KR102293352B1 -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352B1
KR102293352B1 KR1020210052677A KR20210052677A KR102293352B1 KR 102293352 B1 KR102293352 B1 KR 102293352B1 KR 1020210052677 A KR1020210052677 A KR 1020210052677A KR 20210052677 A KR20210052677 A KR 20210052677A KR 102293352 B1 KR102293352 B1 KR 10229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leg
leg part
sofa block
sub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인
신동인
Original Assignee
김병인
신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인, 신동인 filed Critical 김병인
Priority to KR102021005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52B1/ko
Priority to KR1020210109005A priority patent/KR102639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52B1/ko
Priority to PCT/KR2022/004441 priority patent/WO2022225217A1/ko
Priority to KR1020240023807A priority patent/KR20240024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의 강성과 공극률과 인터록킹 성능을 향상시킨 소파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파블록은,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을 향해 연장되는 4개의 메인다리부(10)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형 소파블록으로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가 모두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3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된 4개의 제1빔부(13);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2개의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2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I자 형태로 연장된 6개의 제3빔부(17); 및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 및 제1빔부(13)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규정되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으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3개의 방사각부(40)를 구비하는 서브다리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WAVE DISSIPATION BLOCK AND OCEANIC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성과 공극률과 인터록킹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파 성능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해양 생태계의 안정적인 서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형 소파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록은 외해의 고파랑이 내해나 육측에 그대로 다다르지 않도록 파랑에너지를 소산시키는 해양구조물이다. 이러한 소파블록은 방파제, 안벽, 잠제 등 다양한 해양구조물에 정적 또는 난적 방식으로 사용된다.
소파블록은, 소파블록을 정적 또는 난적의 방법으로 거치함으로써 발생하는 공극율과, 소파블록의 형상과 거치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Kd 값 등에 의해 기술적 가치가 평가된다.
가령, 공극율을 높이기 위해 소파블록을 엉성하게 디자인하거나 거치를 엉성하게 하면, 기초사석이 유출되거나 소파블록이 움직이며 부딪혀 파손되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제체가 파괴되는 피해가 발생한다.
또한 소파블록은, 해당 소파블록이 시공 설치되는 해양 환경에 대응하여 체적(톤수)가 결정된다. 가령, 해당 해양의 설계파고가 클수록 소파블록의 자중은 더욱 커지도록 설계된다.
한편 소파블록은,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의 결속력(인터록킹) 역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설계파고를 너무 크게 잡으면, 시공비용이 매우 크게 늘어나, 비효율적인 설계가 된다. 이와 반대로 설계파고를 너무 타이트하게 잡으면, 이를 넘어서는 파고에 소파블록이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적정한 설계파고를 설정할 수 있으면서도, 설계파고를 넘어서는 예상치 못한 파고에도 소파블록이 떠내려가 버리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의 인터록킹은 가장 중요한 설계요소 중 하나라고 아니할 수 없다.
그러나 지나친 인터록킹은, 소파블록의 거치 시공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는바, 이에 대한 적절한 타협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높은 강성과 공극율을 확보할 수 있고, 파랑 에너지 소산 능력이 크며, 인터록킹이 잘 되면서도 거치 시공이 까다롭지 않은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을 향해 연장되는 4개의 메인다리부(10)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형 소파블록에 적용된다.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은 원형이거나 정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정다각형은, 가령,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단면이 반드시 정다각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다각형(삼각형, 육각형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인다리부(10)는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뿔대 형태이거나, 단면이 일정한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은,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서브다리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주된 골자로 한다.
서브다리부(30)가 메인다리부(1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면, 높은 공극율을 확보하고, 파랑 에너지 소산 능력이 크며, 인터록킹이 잘 되면서도 거치 시공이 까다롭지 않게 된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네 메인다리부(10)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세 메인다리부(10)에만 마련되거나, 두 메인다리부(10)에만 마련되거나, 하나의 메인다리부(10)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일부 메인다리부(10)에만 서브다리부(30)가 마련된 소파블록을 거치할 때에는, 서브다리부(30)가 마련된 메인다리부(10)가 하향하도록 하고, 서브다리부(30)가 마련되지 않은 메인다리부(10)는 상향하도록 배향하며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규정되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방사각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과 수직한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방사각부(40)는 평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방사각부(40)는 120도 간격으로 3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사각부(4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보다 더 긴 사각형 형태,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방사각부의 단면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한 바와 같이 단면의 폭이 단면의 높이보다 더 크다면 가령 납작한 타원형과 같은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3개의 방사각부(40)는, 사이연결부(50)에 의해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사이연결부(50)는, 이웃하는 두 방사각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두 방사각부(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마치 오리발의 물갈퀴와 같다고 이해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연결부(50)가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방사각부(40)가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은, 메인다리부(10)의 두께 내지 크기 축소를 위해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를 구비함은 물론, 서브다리부(30)와 메인다리부(10)의 연결부위의 강도 확보를 위해,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를 구비하는 것을 주된 골자로 한다.
상기 제1빔부(13)는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가 모두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3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테트라포드 형태의 소파블록에서, 위와 같은 제1빔부(13)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빔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의 중심, 즉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다리부(10)의 단면계수(Z)를 증가시켜, 메인다리부의 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가령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이 정삼각형일 때,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정삼각형의 꼭지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령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이 정육각형일 때,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정육각형의 서로 이격된 세 꼭지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빔부(17)는 이웃하는 2개의 메인다리부(1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빔부(17)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2개의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2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I자 형태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테트라포드 형태의 소파블록에서, 위와 같은 제3빔부(17)는 6개 구비될 수 있다.
빔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제3빔부(17)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이 정삼각형일 때, 상기 제3빔부(17)는 상기 정삼각형의 세 변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이 정육각형일 때, 상기 제3빔부(17)는 상기 제1빔부(13)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정육각형의 나머지 세 꼭지점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1)은, 메인다리부(10)의 두께 내지 크기 축소를 위해 제2빔부(1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빔부(15)는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의 기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빔부(15)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어느 한 제1빔부(13)의 중심으로부터 이와 이웃하는 제1빔부(13)의 중심까지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빔부(15)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제3빔부(17)와 교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빔부 내지 제3빔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테트라포드 형태의 소파블록에서, 위와 같은 제2빔부(15)는 6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빔부(13), 제2빔부(15) 및 제3빔부(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일 수 있다. 다만 단면의 형상이 반드시 여기에 열거한 형태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파블록(1)은, 상기 서브다리부(30)의 강도 확보를 위해, 표면빔부와 이면빔부를 구비함은 물론, 서브다리부(30)와 메인다리부(10)의 연결부위의 강도 확보를 위해, 이면빔부를 구비하는 것을 주된 골자로 한다.
상기 방사각부(4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연결부(5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사각부(40)는 상기 제1빔부(13)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연결부(50)는 상기 제3빔부(17)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방사각부(40)가 상기 제3빔부(17)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연결부(50)가 상기 제1빔부(13)의 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방사각부(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각부표면빔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사이연결부(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사이연결부(5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연결부표면빔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방사각부(4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각부이면빔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사이연결부(5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사이연결부(50)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연결부이면빔부(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제1빔부(13)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제3빔부(17)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제3빔부(17)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제1빔부(13)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각부표면빔부(43), 연결부표면빔부(53), 각부이면빔부(45), 또는 연결부이면빔부(55)의 단면 형상은 일반적인 다각형이거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일 수 있다. 다만, 단면의 형상이 반드시 여기에 열거한 형태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빔부(13)와 제2빔부(15)와 상기 제3빔부(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서브다리부(30)의 표면빔부와 이면빔부에는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파블록을 복수 개 거치한 해양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Y형의 제1빔부와 I형의 제3빔부로 인해, 메인다리부의 강도를 확보하고 소파 효과 및 공극률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제2빔부로 인해, 메인다리부의 강도를 더욱 확보하고 소파 효과 및 공극률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서브다리부로 인해, 높은 공극율을 가지고,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의 인터록킹이 더욱 확실히 이루어질 있으며, 소파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표면빔부와 이면빔부로 인해, 높은 공극률을 가지고, 서브다리부의 강도를 더욱 확보하고, 소파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표면빔부와 이면빔부가 제1빔부 및 제2빔부와 연결됨으로써, 서브다리부와 메인다리부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
구조물에서 골조인 빔부는 구조물의 전체 중량을 줄이면서 자체적으로 외력에 저항하고, 외력을 분산하고, 외력을 전달하는 우수한 기능과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다리부에 빔부(제1빔부, 제2빔부, 제3빔부)를 부가함으로써, 어느 한 메인다리부에 작용하는 외력을 자체적으로 지지하거나 다른 메인다리부로 분산하거나 서브다리부로 전달하는 우수한 기능과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따라 소파블록의 강성은 탁월하게 향상된다. 이와 더불어 빔부에 의해 부가되는 요철 형상은 소파효과와 공극률 향상을 가져오고, 아울러 해양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빔부의 기능과 효과는 서브다리부에 부가되는 표면빔부와 이면빔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테트라포드 형태의 소파블록 1개에 마련되는 서브다리부의 12개의 방사각부는 이웃하는 소파블록에 마련되어 있는 12개 방사각부, 제1빔부와 제3빔부, 표면빔부와 이면빔부 등에 간섭되며 우수한 인터록킹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소파블록에 고파랑이 작용하여도 제체가 파괴되지 않는다. 더불어, 위와 같은 구조와 그 형상은 공극률 및 소파효과 향상, 거치안정성 확보, 해양생물에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우수성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은,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1 내지 도 35는,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6 내지 도 40은,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1 내지 도 45는, 제9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6 내지 도 50은, 제10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1 내지 도 55는, 제1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 배면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6 내지 도 58은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9 내지 도 62는 제10실시예에서 제2빔부가 생략된 소파블록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적용한 B 배열의 일층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적용한 A 배열의 일측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5 내지 68은 도 64의 일층적 상에 두발걸기로 이층적을 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축방향이란, 다리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를 연장방향 또는 길이방향이라 표현할 수도 있다. 다리부의 중심축이란, 다리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으로서, 다리부의 중심을 지나는 축을 의미할 수 있다.
둘레방향이란, 다리부의 중심축 둘레를 에워싸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원주방향이라 표현할 수도 있다.
반경방향이란, 다리부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구심방향이란 다리부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 원심방향이란 다리부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실질적으로 테트라포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소파블록(1)은,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을 향해 연장되는 4개의 메인다리부(10)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다리부의 중심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다리부(10)는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뿔대 형태이다. 즉 상기 메인다리부(10)는 실질적으로 원뿔대 형상이다.
설명의 편의 상, 4개의 메인다리부 중 소파블록을 지면에 놓았을 때 상부를 향하는 메인다리부를 제1메인다리부라 하고, 지면에 접하는 나머지 메인다리부들을 각각 제2메인다리부, 제3메인다리부 및 제4메인다리부라 지칭한다. 다만 이들은 설명의 편의 상 이렇게 지칭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제1메인다리부 내지 제4메인다리부의 형상에는 차이가 없다.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는 서브다리부(30)가 연결된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과 수직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태이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방사각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각부(4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 둘레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3개의 방사각부(40)는 평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상기 방사각부(40) 연장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자른 상기 방사각부(4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쉽게 설명하자면, 상기 방사각부(40)의 단면은 평평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바 있듯이, 단면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사이연결부(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사이연결부(50)는 상기 3개의 방사각부(40)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연결부(50) 역시 120도 간격으로 3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연결부(50)는, 이웃하는 두 방사각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두 방사각부(40)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방사각부(40)는, 사이연결부(50)에 의해 그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사이연결부(50)가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방사각부(40)가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작다. 이에 따라, 상기 방사각부(40)는, 상기 사이연결부(50)보다 원심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이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메인다리부 내지 제4메인다리부의 단부에 마련된 서브다리부(30)의 하나의 방사각부(40)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이는, 두 방사각부(40)가 지면에 접하는 형태보다, 소파블록(1)을 지면으로부터 약간 더 높게 배치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사각부(40)의 배향은 소파블록(1)의 공극률을 높여준다.
상기 소파블록(1)은,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메인다리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의 제1빔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빔부(13)는, Y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빔부(13)는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를 연결하는 형태이다.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가 모두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3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된 형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빔부(13)는,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1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또한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빔부(13)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의 면적을 축소하면서도 메인다리부(10)의 강도를 더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메인다리부(10)의 굽힘 강성을 크게 보강하게 된다. 제1빔부(13) 자체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제1빔부(13)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압축력 내지 전단파괴에 매우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가령, 제1메인다리부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 쪽으로 굽혀지는 외력을 받으면,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1빔부(13)에서 상기 제1메인다리부에 마련된 빔부가 압축력 또는 전단력을 받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빔부(13) 자체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빔부(13)가 상기 제1메인다리부가 굽혀지는 외력에 크게 저항하게 된다. 아울러 제1메인다리부에 형성된 제1빔부(13)는 상기 제2메인다리부와 상기 제3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되므로, 상기 제2메인다리부와 상기 제3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된 제1빔부(13) 부분이 상기 제1메인다리부의 제1빔부(13) 부분을 지지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가령, 제1메인다리부가 제4메인다리부 쪽으로 굽혀지는 외력을 받으면,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1빔부(13)에서 상기 제1메인다리부에 마련된 빔부 및 제1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1빔부(13)에서 상기 제1메인다리부에 마련된 빔부가 압축력 또는 전단력을 받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빔부(13) 자체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상기 두 제1빔부(13)가 상기 제1메인다리부가 굽혀지는 외력에 크게 저항하게 된다. 아울러 제1메인다리부에 형성된 두 제1빔부(13)는 각각 상기 제2메인다리부와 상기 제4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메인다리부와 상기 제4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되므로, 상기 제2메인다리부와 상기 제4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된 제1빔부(13) 부분 및 상기 제3메인다리부 및 상기 제4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된 제1빔부(13) 부분이 상기 제1메인다리부의 두 제1빔부(13) 부분을 지지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빔부(13)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근이 배근될 수도 있다. 그러면, 가령, 제1메인다리부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 쪽으로 굽혀지는 외력을 받을 때,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에 마련된 제1빔부(13) 중 상기 제1메인다리부 부분의 빔부와, 제1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에 마련된 제1빔부(13) 중 상기 제2메인다리부 부분의 빔부가, 제1메인다리부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 쪽으로 굽혀지려 할 때 발생하는 인장력 또는 전단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메인다리부가 굽혀지는 외력에 크게 저항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가령, 제1메인다리부가 제4메인다리부 쪽으로 굽혀지는 외력을 받을 때에도 마찬가지일 것일 것이다.
또한 상기 소파블록(1)은, 제2빔부(1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빔부(15)는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의 기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2빔부(15)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어느 한 제1빔부(13)의 중심으로부터 이와 이웃하는 제1빔부(13)의 중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같은 테트라포드 형태의 소파블록에서, 위와 같은 제2빔부(15)는 6개 마련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2빔부(15)에도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상기 제2빔부(15)는 소파블록의 중심부에서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가 접하는 부위를 따라 형성되므로, 도 2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이웃하는 세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부위를 중심으로, 하나의 Y자 형태의 제1빔부(13)의 세 가지 부분이 120도 간격으로, 그리고 3개의 제2빔부(15)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는, 이웃하는 세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부위를 중심으로 6개의 빔부가 60도 간격으로 배치된 것과 같은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제1메인다리부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 쪽으로 굽혀지는 외력을 받으면,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1빔부(13)에서 상기 제1메인다리부에 마련된 빔부가 압축력과 전단력에 저항하게 되고, 상기 제2메인다리부와 상기 제3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된 제1빔부(13) 부분과,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 사이의 제2빔부(15)의 압축 또는 전단저항력이 상기 제1메인다리부에 마련된 제1빔부(13)의 압축 또는 전단저항력을 지지해주게 된다. 또한 제2빔부(15)에 철근이 배근되어 있다면,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 사이의 제2빔부(15) 및 제1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 사이의 제2빔부(15)의 인장 또는 전단저항력이 상기 제1메인다리부에 마련된 제1빔부(13)를 지지해주게 된다.
즉, 어떠한 방향으로 메인다리부가 외력을 받더라도,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빔부(13)와 제2빔부(15)가 모두, 그러한 외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에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제1실시예의 제1빔부(13)와 제2빔부(15)는, 메인다리부(10)의 강도를 크게 보강하여,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을 작게 하더라도 메인다리부(10)에 파단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빔부(13)와 제2빔부(15)는, 서브다리부(30)가 외력을 받음으로 인해 상기 메인다리부(10)에 발생하는 응력에도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제1빔부(13)와 제2빔부(15)는, 매끄러운 테트라포드의 표면에 상당한 굴곡을 제공하므로, 소파 효과를 크게 높이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상은 해양생태계에 우수한 서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빔부(13)와 제2빔부(15)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인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수차례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단면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제1빔부(13)가 모두,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서브다리부(30)와 메인다리부(10)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그리고, 상기 제1빔부(13)가 상기 서브다리부(30)에 직접 연결되므로, 상기 서브다리부(30)가 외력을 받을 때, 상기 서브다리부(30)와 메인다리부(10) 간의 연결 부위를 보강함은 물론, 상기 서브다리부(3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메인다리부(10)에 발생하는 응력에도 저항하게 된다.
하나의 서브다리부(30)에는, 3개의 제1빔부(13)가 120도 간격으로 연결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방사각부(4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사이연결부(5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방사각부(4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방사각부(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각부표면빔부(4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사이연결부(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사이연결부(5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연결부표면빔부(5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는 60도 간격으로 6개가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태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이웃하는 세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부위를 중심으로 6개의 빔부가 60도 간격으로 배치된 것과 마찬가지의 형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는, 상기 제1빔부(13) 및 제2빔부(15)와 유사한 강도 보강, 소파능력, 공극율 향상 및 해양생태계 서식공간 제공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에도 역시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그러면, 가령, 방사각부(40) 하나가 외력을 받아 해당 방사각부(40)의 각부표면빔부(43)가 압축력 또는 전단력을 받게 되었을 때, 이러한 압축력 또는 전단력은, 나머지 두 방사각부(40)의 각부표면빔부(43) 및 이들 사이에 마련된 사이연결부(50)의 연결부표면빔부(53)의 압축 저항력에 의해 더욱 지지될 수 있고, 나머지 두 사이연결부(50)의 연결부표면빔부(53)의 인장 또는 전단저항력에 의해 더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에 배근된 철근은, 상기 제1빔부(13)의 철근과 연결됨으로써, 더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의 단면은 정사각형이다.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는, 서브다리부(30)의 표면 굴곡을 증가시켜, 소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는 해양생태계의 우수한 서식공간이 된다.
한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비록 직접 설명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소파블록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의 깨짐 방지 및 날카로움 해소를 위해 챔퍼를 부가할 수 있고, 깊은 모서리 부분(구조물 구석 부분)의 단면 보강 및 용이한 거푸집 탈형을 위해 헌치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직접 언급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 가령 제1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서브다리부(30)의 방사각부(40)의 이면에 각부이면빔부(45)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는 상기 방사각부(4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연결되므로,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구심측 단부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구심측 단부는, 상기 제1빔부(13)의 단부와도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에는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철근은 상기 제1빔부(13)에 배근된 철근과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철근은 상기 각부표면빔부(43)의 철근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서브다리부(30)를 형성하면서도, 비교적 단면이 작은 방사각부(40)를,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각부이면빔부(45)로 충분히 보강할 수 있다.
가령, 방사각부(40) 하나가 외력을 받아 해당 방사각부(40)의 각부표면빔부(43)가 압축력 또는 전단력을 받게 되었을 때, 해당 방사각부(40)의 각부이면빔부(45)의 인장 또는 전단저항력이 상기 방사각부(4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방사각부(40)를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각부이면빔부(45)는 상기 제1빔부(13)에 연결되므로,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방사각부(4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각부이면빔부(45)는, 서브다리부(30)의 이면의 굴곡을 증가시켜, 소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직접 언급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 가령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서브다리부(30)의 사이연결부(50)의 이면에 연결부이면빔부(5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는 상기 사이연결부(5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사이연결부(5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의 구심측 단부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에는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의 철근은 상기 연결부표면빔부(53)에 배근된 철근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연결부(50)가 반경방향으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와 중첩되는 부분은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사이연결부(50)가 반경방향으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보다 더 원심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를 통해 상기 메인다리부(1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이면빔부(55)는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사이연결부(50)와 메인다리부(10) 사이의 연결 강도를 더욱 보강한다.
하나의 서브다리부(30)에 마련된 상기 3개의 각부이면빔부(45)와 상기 3개의 연결부이면빔부(55)는 60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강도 보강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의 굴곡을 증가시켜, 소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이하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4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직접 언급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 가령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서브다리부(30)의 형상은 동일하지만, 그 방향이 60도 회전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서브다리부(3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이다.
그러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메인다리부 내지 제4메인다리부의 단부에 마련된 서브다리부(30)의 두 방사각부(40)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방사각부(40)가 지면에 접하는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태보다, 소파블록(1)의 거치 자세가 보다 안정적이고, 상기 소파블록(1)의 자중이 여러 방사각부(40)로 더 분산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1빔부(13)의 단부는 서브다리부(30)의 사이연결부(50)의 이면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사이연결부(50)의 반경방향 연장 길이가 상기 제1빔부(13)의 반경방향 높이와 동일하면, 제1빔부(13)가 연결부이면빔부(55)의 기능까지 함께 하게 된다.
그리고 제4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다리부(30)의 각부이면빔부(45)는 그 반경방향 내측 단부, 즉 구심측 단부가, 상기 제1빔부(13)와는 연결되지 않지만,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에 연결된다.
[제5실시예]
이하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5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직접 언급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 가령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사이연결부(50)의 반경방향 연장 거리가 방사각부(40)의 단부에까지 이른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르면, 서브다리부(30)는 육각형을 이루게 된다.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서브다리부(3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단순 해지므로, 제작이 더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연결부표면빔부(53)의 길이가 더 길어지므로, 소파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제6실시예]
이하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5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6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직접 언급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 가령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5실시예와 대비하여, 서브다리부(30)의 이면에 각부이면빔부(45)와 연결부이면빔부(55)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와 연결부이면빔부(55)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부이면빔부(45)는 방사각부(40)의 이면에 마련되고, 연결부이면빔부(55)는 사이연결부(50)의 이면에 마련된다.
달리 설명하면,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사이연결부(50)의 반경방향 연장 거리가 방사각부(40)의 단부에까지 이른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도 있다. 제6실시예가 제5실시예와의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한 효과는, 앞서 제3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제7실시예]
이하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실시예에서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해당 내용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은, 메인다리부(10) 자체와 서브다리부(30)의 형상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빔부(15)가 생략된 대신 제3빔부(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소파블록(1)은,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메인다리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의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를 구비한다.
상기 제1빔부(13)는, Y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빔부(13)는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를 연결하는 형태이다.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가 모두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3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된 형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빔부(13)는,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1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또한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빔부(13)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빔부(17)는, I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빔부(17)는, 이웃하는 2개의 메인다리부(10)를 연결하는 형태이다.
상기 제3빔부(17)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2개의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2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I자 형태로 연장된 형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빔부(17)는,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 제1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 제1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 제2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 그리고 제3메인다리부와 제4메인다리부가 아웃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첨 상기 제3빔부(17)는 6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의 면적을 축소하면서도 메인다리부(10)의 강도를 더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메인다리부(10)의 굽힘 강성을 크게 보강하게 된다. 제1빔부(13) 자체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제1빔부(13)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압축력 또는 전단력에 매우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3빔부(17) 역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의 면적을 축소하면서도 메인다리부(10)의 강도를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3빔부(17) 역시, 메인다리부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거나 정육각형인 경우,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메인다리부(10)의 굽힘 강성을 크게 보강하게 된다. 상기 제3빔부(17)는, 메인다리부의 단면 형상이 정삼각형인 경우,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두 번째로 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메인다리부(10)의 굽힘 강성을 크게 보강하게 된다.
제1빔부(13)와 제3빔부(17) 자체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압축력 또는 전단력에 매우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가령, 제1메인다리부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 쪽으로 굽혀지는 외력을 받으면,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1빔부(13), 제1메인다리부와 제2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3빔부(17) 및 제1메인다리부와 제3메인다리부가 이웃하는 부위에 형성된 제3빔부(17)들에서 상기 제1메인다리부에 마련된 빔부들이 압축력 또는 전단력을 받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빔부(13)와 제3빔부(17) 자체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해당 부위가 상기 제1메인다리부가 굽혀지는 외력에 크게 저항하게 된다. 아울러 제1메인다리부에 형성된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상기 제2메인다리부와 상기 제3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되므로, 상기 제2메인다리부와 상기 제3메인다리부까지 연장된 제1빔부(13)와 제3빔부(17) 부분이 상기 제1메인다리부의 제1빔부(13) 및 제3빔부(17) 부분을 지지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빔부(13) 및/또는 상기 제3빔부(17)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근이 배근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1빔부(13) 및/또는 상기 제3빔부(17)는 인장력과 전단력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7실시예의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메인다리부(10)의 강도를 크게 보강하여,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을 작게 하더라도 메인다리부(10)에 파단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서브다리부(30)가 외력을 받음으로 인해 상기 메인다리부(10)에 발생하는 응력에도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매끄러운 테트라포드의 표면에 상당한 굴곡을 제공하므로, 소파 효과를 크게 높이게 된다.
제7실시예에서 상기 제1빔부(13)와 제3빔부(17)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인 것이 예시된다.
상기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제1빔부(13)와 제3빔부(17)가 모두,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상기 서브다리부(30)와 메인다리부(10)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그리고, 상기 제1빔부(13)와 제3빔부(17)가 상기 서브다리부(30)에 직접 연결되므로, 상기 서브다리부(30)가 외력을 받을 때, 상기 서브다리부(30)와 메인다리부(10) 간의 연결 부위를 보강함은 물론, 상기 서브다리부(3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메인다리부(10)에 발생하는 응력에도 저항하게 된다.
하나의 서브다리부(30)에는, 3개의 제1빔부(13)가 120도 간격으로 연결되고, 3개의 제3빔부(17)가 120도 간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는 6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7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빔부(13)는 상기 방사각부(40)에 연결되고, 상기 제3빔부(17)는 상기 사이연결부(5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다리부(30)는 방사각부(40)와 사이연결부(50)가 모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방사각부(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각부표면빔부(4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사이연결부(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사이연결부(5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연결부표면빔부(5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는 60도 간격으로 6개가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제1빔부(13) 및 제3빔부(17)의 배치와 대응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에도 역시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연결부표면빔부(53)에 배근된 철근은, 상기 제1빔부(13) 및 제3빔부(17)의 철근과 연결됨으로써, 강도 보강이 더욱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8실시예]
이하 도 36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7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1빔부(13)와 제2빔부(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1빔부(13)와 제3빔부(17)를 구비한다. 이와 대비하여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1빔부(13), 제2빔부(15) 및 제3빔부(17)를 모두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6개의 제2빔부(15)의 중앙부는, 6개의 제3빔부(17)의 중앙부와 서로 교차하게 된다. 즉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1실시예 및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빔부가 가장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어서, 메인다리부의 강도를 크게 보강할 수 있다.
[제9실시예]
이하 도 41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8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9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8실시예와 대비하여, 서브다리부(30)의 방사각부(40)의 이면에 각부이면빔부(45)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는 상기 방사각부(4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이면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연결되므로,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구심측 단부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구심측 단부는, 상기 제1빔부(13)의 단부와도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에는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철근은 상기 제1빔부(13)에 배근된 철근과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각부이면빔부(45)의 철근은 상기 각부표면빔부(43)의 철근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서브다리부(30)를 형성하면서도, 비교적 단면이 작은 방사각부(40)를, 상기 각부표면빔부(43)와 각부이면빔부(45)로 충분히 보강할 수 있다.
가령, 방사각부(40) 하나가 외력을 받아 해당 방사각부(40)의 각부표면빔부(43)가 압축력 또는 전단력을 받게 되었을 때, 해당 방사각부(40)의 각부이면빔부(45)의 인장 또는 전단저항력이 상기 방사각부(4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방사각부(40)를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각부이면빔부(45)는 상기 제1빔부(13)에 연결되므로,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방사각부(4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각부이면빔부(45)는, 서브다리부(30)의 이면의 굴곡을 증가시켜, 소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3빔부(17)의 단부는 서브다리부(30)의 사이연결부(50)의 이면과 연결되는데, 상기 사이연결부(50)의 반경방향 연장 길이가 상기 제3빔부(17)의 반경방향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제3빔부(17)가 연결부이면빔부(55)의 기능까지 함께 하도록 할 수 있다(이와 유사한 효과는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다).
[제10실시예]
이하 도 46 내지 도 5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0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9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10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9실시예와 대비하여, 서브다리부(30)의 형상은 동일하지만, 그 방향이 60도 회전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10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서브다리부(30)는,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이다.
그러면,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메인다리부 내지 제4메인다리부의 단부에 마련된 서브다리부(30)의 두 방사각부(40)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방사각부(40)가 지면에 접하는 제9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태보다, 소파블록(1)의 거치 자세가 보다 안정적이고, 상기 소파블록(1)의 자중이 여러 방사각부(40)로 더 분산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0실시예에 따르면, 제1빔부(13)의 단부는 서브다리부(30)의 사이연결부(50)의 이면과 연결되고 제3빔부(17)의 단부가 방사각부(40)의 이면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사이연결부(50)의 반경방향 연장 길이가 상기 제1빔부(13)의 반경방향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제1빔부(13)가 연결부이면빔부(55)의 기능까지 함께 하게 된다.
그리고 제10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다리부(30)의 각부이면빔부(45)는 그 반경방향 내측 단부, 즉 구심측 단부가, 상기 제3빔부(17)와는 연결되면서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에 연결된다.
[제11실시예]
이하 도 51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제1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1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9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11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9실시예와 대비하여, 사이연결부(50)의 반경방향 연장 거리가 방사각부(40)의 단부에까지 이른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르면, 서브다리부(30)는 육각형을 이루게 된다.
제11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서브다리부(30)의 형상이 제9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단순 해지므로, 제작이 더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9실시예와 대비하여 연결부표면빔부(53)의 길이가 더 길어지므로, 소파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제11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9실시예와 대비하여, 서브다리부(30)의 연결부이면빔부(55) 이면에 연결부이면빔부(55)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서브다리부(40)의 이면에서 연결부이면빔부(55)의 길이가 더 길어지므로, 소파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소파블록의 거치를 위한 해양구조물]
본 발명의 소파블록(1)은, 소파블록(1)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 다시 3개의 방사각부를 구비하는 서브다리부(30)를 더 구비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처럼 3개의 방사각부 중 하나의 방사각부가 지면에 닿도록 할 수도 있고, 제10실시예처럼 3개의 방사각부 중 2개의 방사각부가 지면에 닿도록 할 수도 있다.
먼저,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1)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도 56 내지 도 58에 도시되어 있다.
제1메인다리부가 상향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2메인다리부의 서브다리부의 상방으로 향하는 두 방사각부는, 이와 이웃하여 거치되고 제1메인다리부가 상향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3메인다리부 및 제4메인다리부의 제1빔부와 각각 인터록킹된다(도 56 및 도 58의 b 부분 참조).
이와 유사하게, 제1메인다리부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2메인다리부의 서브다리부의 상방으로 향하는 두 방사각부는, 이와 이웃하여 거치되고 제1메인다리부가 상향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3메인다리부 및 제4메인다리부의 제1빔부와 각각 인터록킹된다(도 56의 c 부분 참조).
아울러, 각 메인다리부의 단부에 마련된 서브다리부들은 다양한 각도와 형상으로 소파블록들 간의 공극 부위에 자리잡는다.
다음으로, 제10실시예의 소파블록(1)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은 도 59 내지 도 62에 도시되어 있다.
제1메인다리부가 상향(하향)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2메인다리부의 서브다리부의 세 방사각부는, 이와 이웃하여 거치되고 제1메인다리부가 상향(하향)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3메인다리부 및 제4메인다리부의 서브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인터록킹된다(도 60 및 도 62의 a 부분 참조).
또한, 제1메인다리부가 상향(하향)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2메인다리부의 서브다리부의 세 방사각부는, 이와 이웃하며 제1메인다리부가 하향(상향)하도록 거치한 소파블록의 제3메인다리부 및 제4메인다리부의 서브다리부의 방사각부와 인터록킹된다(도 60의 d 부분 참조).
이처럼, 이웃하는 소파블록들의 서브다리부들은 많은 방사각부와 빔부로 인하여 서로 매우 확실하게 인터록킹된다.
앞서 도 56 내지 도 62의 거치 형태는, 소파블록의 일층적이 도 63에 도시된 B 배열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거치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소파블록은 도 64에 도시한 A 배열에 기초하여 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A 배열의 일층적 자체만으로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소파블록들 간의 인터록킹이 긴밀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면도인 도 6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소파블록을 거치할 때 단순히 양중한 소파블록을 하강시키는 것만으로, 거치와 동시에 인터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킹은, 이웃하는 서브다리부에 의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인터록킹은, 서브다리부가 메인다리부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됨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도 65 내지 도 68에는, 두발 걸기 형태로 이층적을 한 소파블록의 거치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이층에 거치되는 소파블록에서 하향하는 두 메인다리부에 마련된 서브다리부는 일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메인다리부에 마련된 빔부와, 일층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서브다리부와 인터록킹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메인다리부의 단부에 서브다리부를 형성하면서도, 빔부들에 의해 보강된 메인다리부의 두께를 보다 가늘게 함으로써, 공극률에 손해를 보지 않고 오히려 공극율을 높이면서도 소파블록의 소파 효과와 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실시예의 해양구조물에서는, 서로 다른 일층적 형태 상에 이층적을 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소파블록을 이용하여 삼층적과 사층적까지 가능함은 물론이고, 각 층마다 또는 하나의 층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도 65 내지 도 68과 같은 두발 걸기 형태나, 도 59 내지 도 62와 같은 한발 꽂기 형태 등) 및 그 조합으로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난적으로 거치하여도 무방하며, 기 시공된 테트라포드 해양구조물의 보수 보강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가령, 앞서 설명한 형상들 중,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이라는 의미는, 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라는 의미이다. 즉, 정사각형의 코너 부위에 모따기가 되어 있다면, 이는 엄밀히는 팔각형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실질적인 효과는 정사각형의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가령,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사각형의 양측면이 약간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우, 이는 엄밀히는 사다리꼴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실질적인 효과는 정사각형의 효과를 가지므로, 이 역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 소파블록
10: 메인다리부
13: 제1빔부(Y형빔부)
15: 제2빔부(연결빔부)
17: 제3빔부(I형빔부)
30: 서브다리부
40: 방사각부
43: 각부표면빔부
45: 각부이면빔부
50: 사이연결부
53: 연결부표면빔부
55: 연결부이면빔부

Claims (15)

  1.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을 향해 연장되는 4개의 메인다리부(10)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형 소파블록으로서, 상기 소파블록(1)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3개의 메인다리부(10)가 모두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3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된 4개의 제1빔부(13);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2개의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2개의 메인다리부(10)의 단부까지 I자 형태로 연장된 6개의 제3빔부(17); 및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 제1빔부(13)의 단부 및 제3빔부(17)의 단부에 연결되는 서브다리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중심축과 수직한 평판 형태로서,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규정되는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으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3개의 방사각부(40);
    이웃하는 두 방사각부(40)의 사이를 연결하는 사이연결부(50);
    상기 방사각부(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각부표면빔부(43); 및
    상기 사이연결부(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세 사이연결부(50)의 단부까지 Y자 형태로 연장되는 연결부표면빔부(53);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각부(4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 상기 메인다리부(10)의 가상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보다 더 긴 형태이고,
    상기 사이연결부(50)가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방사각부(40)가 상기 서브다리부(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고,
    상기 방사각부(40)와 사이연결부(50)는 상기 제1빔부(13) 및 상기 제3빔부(17)의 단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길게 외향 연장되는, 소파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표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두 메인다리부(10)가 만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어느 한 제1빔부(13)의 중심으로부터 이와 이웃하는 제1빔부(13)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6개의 제2빔부(15);를 더 포함하는, 소파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소파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부(10)는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에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뿔대 형태이거나, 단면이 일정한 기둥 형태인, 소파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빔부(13)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인, 소파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빔부(17)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인, 소파블록.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빔부(15)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인, 소파블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인, 소파블록.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단부에서 상기 방사각부(4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메인다리부(10)와 이웃하는 나머지 세 메인다리부(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소파블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방사각부(4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방사각부(40)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각부이면빔부(45)를 구비하는, 소파블록.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다리부(30)는, 상기 사이연결부(5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다리부(10)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사이연결부(50)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연결부이면빔부(55)를 구비하는, 소파블록.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소파블록을 복수 개 거치한 해양 구조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52677A 2021-04-22 2021-04-22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29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77A KR102293352B1 (ko) 2021-04-22 2021-04-22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0210109005A KR102639804B1 (ko) 2021-04-22 2021-08-18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PCT/KR2022/004441 WO2022225217A1 (ko) 2021-04-22 2022-03-29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0240023807A KR20240024889A (ko) 2021-04-22 2024-02-19 소파블록의 거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77A KR102293352B1 (ko) 2021-04-22 2021-04-22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005A Division KR102639804B1 (ko) 2021-04-22 2021-08-18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52B1 true KR102293352B1 (ko) 2021-08-24

Family

ID=775068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677A KR102293352B1 (ko) 2021-04-22 2021-04-22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0210109005A KR102639804B1 (ko) 2021-04-22 2021-08-18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0240023807A KR20240024889A (ko) 2021-04-22 2024-02-19 소파블록의 거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005A KR102639804B1 (ko) 2021-04-22 2021-08-18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0240023807A KR20240024889A (ko) 2021-04-22 2024-02-19 소파블록의 거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293352B1 (ko)
WO (1) WO20222252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217A1 (ko) * 2021-04-22 2022-10-2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549227B1 (ko) * 2022-09-23 2023-07-03 아이엠위드유 주식회사 단위 블록
KR102549226B1 (ko) * 2022-09-23 2023-07-03 아이엠위드유 주식회사 단위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260U (ko) * 1998-08-26 2000-03-25 양원회 소파블럭
KR101448460B1 (ko) * 2014-07-22 2014-10-1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KR20200037994A (ko) * 2018-10-02 2020-04-10 상록엔비텍(주) 다기능성 어초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475A (ja) * 2003-05-12 2004-11-25 Tetra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301078374S (ko) * 2020-06-16 2020-10-15
KR102293352B1 (ko) * 2021-04-22 2021-08-24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260U (ko) * 1998-08-26 2000-03-25 양원회 소파블럭
KR101448460B1 (ko) * 2014-07-22 2014-10-1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KR20200037994A (ko) * 2018-10-02 2020-04-10 상록엔비텍(주) 다기능성 어초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217A1 (ko) * 2021-04-22 2022-10-2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549227B1 (ko) * 2022-09-23 2023-07-03 아이엠위드유 주식회사 단위 블록
KR102549226B1 (ko) * 2022-09-23 2023-07-03 아이엠위드유 주식회사 단위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34A (ko) 2022-10-31
WO2022225217A1 (ko) 2022-10-27
KR20240024889A (ko) 2024-02-26
KR102639804B1 (ko)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3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US7013608B2 (en) Self-guyed structures
KR102042736B1 (ko) 분절형 소파블록, 그 거치 방법 및 소파 구조물
KR102336008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20190067857A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
JP4990209B2 (ja) 消波ブロック及び消波ブロック工法
KR10233681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572017B1 (ko) 해양구조물을 위한 단위 블록
KR101164621B1 (ko) 테트라포드 결속 시스템
KR10259778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 시공방법 및 소파 구조물
KR20160009725A (ko) 소파블록
JP2011052491A (ja) 圧壊抑制型コンクリート柱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柱列
KR101698069B1 (ko)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의 적층방법
JPH1018308A (ja) 建物基礎地盤の液状化防止構造
EP4159927A1 (en) Radial type wave dissipating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60021321A (ko) 소파블록
KR20140106943A (ko) 조립형 소파블록
KR101698061B1 (ko)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
KR101390697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와이어로프로 결속한 소파블록 해양구조물
KR101214464B1 (ko) 방파제 어깨부 피복용 장대형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어깨부 피복방법
KR102194035B1 (ko)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KR101657278B1 (ko)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
KR102624034B1 (ko) 지지력을 강화한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194036B1 (ko)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JP6178171B2 (ja) 既存構造物における既存基礎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