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460B1 -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460B1
KR101448460B1 KR1020140092520A KR20140092520A KR101448460B1 KR 101448460 B1 KR101448460 B1 KR 101448460B1 KR 1020140092520 A KR1020140092520 A KR 1020140092520A KR 20140092520 A KR20140092520 A KR 20140092520A KR 101448460 B1 KR101448460 B1 KR 10144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bottom plate
coupl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치로 니시와키
사토시 노보루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네오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filed Critical (주)네오테크
Priority to KR102014009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40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 B28B7/46Moulds; Cores; Mandre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oulding material for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장에서 안정적인 거푸집의 설치가 가능하고,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성형된 소파블록의 다리가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다리 끝단부에 두부돌출부가 확장 돌출성형되도록 하여, 부설작업시 우수한 공극률 및 맞물림이 양호한 소파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올려져 안착지지되는 거푸집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은, 발판에 올려져 지지되는 저판과, 저판에 하측이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저판 및 제1측판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개구홀을 구비하는 제1하부다리틀을 형성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저판 및 제2측판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2개구홀을 구비하는 제2하부다리틀을 형성하고, 저판 및 제3측판과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3개구홀을 구비하는 제3하부다리틀을 형성하며, 제1,2측판과 결합에 의해 상단다리틀을 형성하는 제3측판과, 상기 제1,2,3하부다리틀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되는 마무리판과, 상기 제1,2,3개구홀에 결합되어 개구홀을 폐쇄시키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푸집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소파블록이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MOLD FOR MANUFACTURING WAVE DISSIPATING BLOCK, METHOD FOR MANUFACTURING WAVE DISSIPATING BLOCK, WAVE DISSIPATING BLOCK USING THEREOF AND THE STRUCTURES CONSTRUCTED BY WAVE DISSIPATING BLOCK}
본 발명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파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 흡수하고 안정성 및 공극율을 향상시키도록 다면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지지다리 및 두부돌출부를 갖는 소파블록을 성형할 수 있도록 조립, 분해, 운반이 용이한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 블록, 방파 블록(방파제), 소파 블록, 어초형 블록 등을 포함하는 해양 블록은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되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해양블록 특히, 크기 및 중량이 큰 소파블록은 시공성의 향상과 운반비용의 절감 등을 위한 목적으로 거취현장에서 가까운 곳에 준비된 제작 야드에 철제 거푸집을 반입한 후 거푸집의 조립,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 탈형 및 양생 작업 등을 거쳐 현지에서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소파 블록 제조용 거푸집은 단순히 제조하고자 하는 해양 블록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된 것이 대부분으로,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퍼짐성이나, 콘트리트 타설의 편의성 등에 의해 원통 또는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4개의 지지다리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소파블록만을 성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거푸집에 의해 성형된 종래의 소파블록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다리가 원통 또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그 표면이 곡면상태를 구비하고 있어, 매끄러운 곡면표면에 부딪힌 파랑은 별로 저항을 받지 않고 튀어 오르거나 지지다리의 정면에서 조금만 옆으로 비껴 닿는 파랑은 그대로 미끄러져 나가 지지다리 자체에서는 실질적으로 파랑이 잘게 분쇄되지 못하여 소파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 아니라, 소파블록에 형성된 지지다리의 접촉력이 저하되어 파도에 의해서 소파블록이 유동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소파블록이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거푸집에 의해 성형된 종래의 소파블록(30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지지다리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지다리는 자체 표면이 곡면으로 제작되어, 그 표면이 매끄러워 해초류 및 패류등 수중 동식물의 활착과 착생이 어려우며, 이로 인한 어류의 먹이 및 서식 공간이 부족하여 어류가 모여들지 않는 등 어족자원 보호차원에서의 역할에 미흡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낚시꾼이나 관광객, 시설물 점검시에 소단에 설치한 종래 소파블록의 위에 올라가서 미끄러져 다치는 등 인명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원통 또는 테이퍼진 원통형상이 아닌 다면체 형상 또는 복수의 돌기(요철)을 구비하는 소파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거푸집내 콘크리트의 타설충전 곤란성, 콘크리트 퍼짐성, 타설 충전된 콘크리트의 기포발생 등등에 의해 현장에서 성형된 소파블록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22414 (2013.10.2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27785 (2011.03.3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63982 (2010.06.08)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123521 (2010.11.24)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안정적인 거푸집의 설치가 가능하고,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성형된 소파블록의 다리가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다리 끝단부에 두부돌출부가 확장 돌출성형되도록 하여, 부설작업시 우수한 공극률 및 맞물림이 양호하도록 한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올려져 안착지지되는 거푸집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은, 발판에 올려져 지지되는 저판과, 저판에 하측이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저판 및 제1측판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개구홀을 구비하는 제1하부다리틀을 형성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저판 및 제2측판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2개구홀을 구비하는 제2하부다리틀을 형성하고, 저판 및 제3측판과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3개구홀을 구비하는 제3하부다리틀을 형성하며, 제1,2측판과 결합에 의해 상단다리틀을 형성하는 제3측판과, 상기 제1,2,3하부다리틀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되는 마무리판과, 상기 제1,2,3개구홀에 결합되어 개구홀을 폐쇄시키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푸집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소파블록이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은 각각의 하부다리틀의 끝단 상부(이하 '각정부'라 칭함)에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개구홀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거푸집내 콘크리트의 타설시, 하부다리틀내 타설된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기포 및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하고, 하부다리틀의 끝단 하부 즉, 요철성형부와 그 주변에 발생되는 잔카(골재밀집)현상을 개구홀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성형되는 소파블록의 전체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는 저판, 3개의 측판, 덮개, 마무리판으로 구성된 거푸집이, 발판 위에 올려져 안착되도록 되어 있어, 현장에서의 거푸집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파블록의 다리가 평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로 성형되므로, 성형된 소파블록과 파랑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소파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해상에서 태풍 등으로 큰 파랑이 발생시 소파블록이 소파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생기는 시설물 및 인명피해의 위험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에 의해 성형되는 소파블록은 다리가 평면을 구비하는 다면체로 성형되므로, 곡면표면을 구비하는 종래 소파블록과 대비할 경우 미끄럼이 방지되어 사고 발생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해초류 및 패류등의 활착 및 착생효과를 증대시켜 자연생태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은 제1,2,3 하부다리틀 및 상단다리틀의 끝단부분에 요철성형부가 위치하도록 조립되므로, 소파블록에 요철부를 만들기 위하여, 강판자체를 여러조각으로 잘게 자르고 가공한 후 용접하여 거푸집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거푸집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거푸집에 형성된 요철성형부에 의해 소파블록의 다리 끝단에 두부돌출부가 돌출성형되므로, 소파블록의 포설 또는 부설시 두부돌출부에 의해 소파블록간 공극율이 증대되고, 두부돌출부에 의해 소파블록간 맞물림(걸림)이 증가되어 포설(부설)된 소파블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돌출형성된 두부돌출부에 의해 파랑이 닿는 면적이 많아지게 되어 파세를 급격히 약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파블록을 포설할 시, 두부돌출부에 의해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두부돌출부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어패류의 은신처 역할 및, 작은 물고기의 통로 및 서식처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의해 성형된 소파블록은 다리의 끝단에 요철형상의 두부돌출부가 돌출성형되므로, 소파블록을 로프, 체인 등의 인양와이어에 의해 감아 이동할 경우, 인양와이어의 미끄러짐 현상, 소파블록의 기울어짐과 회전이 발생되지 않아,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소파블록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저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저판의 내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측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측판의 내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의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파블록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소파구조물의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저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저판의 내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측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측판의 내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의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4개의 다리가 사면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4개의 다리 끝단에는 요부와 철부를 구비하는 두부돌출부가 각각 돌출형성된 소파블록을 타설양생하기 위한 거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장치(20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발판(10)과, 상기 발판에 올려져 안착지지되는 거푸집(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20)은, 발판(10)에 올려져 지지되는 저판(30)과, 저판(30)에 하측이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측판(40)과, 상기 저판(30) 및 제1측판(40)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개구홀(95)을 구비하는 제1하부다리틀(91)을 형성하는 제2측판(50)과, 상기 저판(30) 및 제2측판(50)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2개구홀(96)을 구비하는 제2하부다리틀(92)을 형성하고, 저판(30) 및 제1측판(40)과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3개구홀(97)을 구비하는 제3하부다리틀(93)을 형성하며, 제1,2측판(40,50)과 결합에 의해 상단다리틀(94)을 형성하는 제3측판(60)과, 상기 제1,2,3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되는 마무리판(70)과, 상기 제1,2,3개구홀(95,96,97)에 결합되어 제1,2,3개구홀(95,96,97)을 폐쇄시키는 덮개(8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거푸집(20)은 저판(30), 제1,2,3측판(40,50,60), 마무리판(70) 및 덮개(80)의 모서리에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가 코터/코터핀 결합 또는 볼트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된 거푸집(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를 이용한 코터/코터핀결합 또는 볼트결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2,3하부다리틀(91,92,93) 및 상단다리틀(94)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에 있어서, 사면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된 4개의 다리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저판(30)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0)에 접촉지지되는 저판본체(31)와, 상기 저판본체(31)에 각각 결합되는 3개의 저판날개(32,33,34)를 포함한다.
상기 3개의 저판날개(32,33,34)는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판본체(31)를 중심으로 중심선(P)이 서로 등각도 즉, 120°를 구비하도록 저판본체(31)에 결합되며, 3개의 저판날개(32,33,34)는 가장자리(37)에 각각 요철성형부(37a)가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판본체(31)와 저판날개(32,33,34)로 구성되는 저판(30)은 외측면(35)에 복수의 보강대(35a)가 설치되어 있고, 콘크리트가 타설접촉되는 내측면(36)은 곡선이 아닌 복수의 평면이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저판날개(32,33,34)의 외측면 일측에는 발판(10)이 접촉지지되는 지지보강편(38)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2,3측판(40,50,60)은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2,3측판(40,50,60)은 양측이 서로 결합에 의해 연결 즉, 제1측판(40)의 우측은 제2측판(50)의 좌측에, 제2측판(50)의 우측은 제3측판(60)의 좌측에, 제3측판(60)의 우측은 제1측판(40)의 좌측에 각각 연결되고, 제1,2,3측판(40,50,60)의 하측은 저판(30)에 각각 결합되어, 저판(30)과 제1,2,3측판(40,50,60)이 전체적으로 사면체 형상으로 연결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3측판(40,50,60)은 도 5 및 도 6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측면(45,55,65)에 복수의 보강대(45a,55a,65a)가 설치되어 있고, 콘크리트가 타설접촉되는 각각의 내측면(46,56,66)이 곡선이 아닌 복수의 평면이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제1,2,3측판(40,50,60)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 5 및 도 6 에 의해 함께 설명한다.
상기 제1측판(40)은, 제1측판본체(41)와, 상기 제1측판본체(4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48)을 구비하는 제1측판 좌측날개(42)와, 상기 제1측판 좌측날개(42)와 대칭되도록 제1측판본체(4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49)을 구비하는 제1측판 우측날개(43)와, 상기 제1측판 좌측날개 및 우측날개(42,43)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측판본체(41)에 결합되는 제1측판 상단날개(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판 좌측날개(42)와 제1측판 우측날개(43)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며 대칭되도록 제1측판본체(41)에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측판 좌측날개(42), 제1측판 우측날개(43) 및 제1측판 상단날개(44)의 가장자리(47)에는 저판(31)에 형성된 요철성형부(37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또다른 요철성형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측판(50)은, 제2측판본체(51)와, 상기 제2측판본체(5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58)을 구비하며 제1측판 우측날개(43)에 결합되는 제2측판 좌측날개(52)와,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52)와 대칭되도록 제2측판본체(5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59)을 구비하는 제2측판 우측날개(53)와,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52) 및 제2측판 우측날개(53)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제1측판 상단날개(44) 및 제2측판본체(51)와 일측이 결합되는 제2측판 상단날개(5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52)와 제2측판 우측날개(53)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며 대칭되도록 제2측판본체(51)에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52), 제2측판 우측날개(53) 및 제2측판 상단날개(54)의 가장자리(57)에는 저판(31) 및 제1측판(40)에 형성된 요철성형부(37a,47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또다른 요철성형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측판(60)은, 제3측판본체(61)와, 상기 제3측판본체(6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68)을 구비하며 제2측판 우측날개(53)에 결합되는 제3측판 좌측날개(62)와, 상기 제3측판 좌측날개(62)와 대칭되도록 제3측판본체(6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69)을 구비하며 제1측판 좌측날개(42)에 결합되는 제3측판 우측날개(63)와,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 및 우측날개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제1,2측판 상단날개(44,54) 및 제1,2측판본체(41,51)와 결합되는 제3측판 상단날개(6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3측판 좌측날개(62)와 제3측판 우측날개(63)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며 대칭되도록 제3측판본체(61)에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측판 좌측날개(62), 제3측판 우측날개(63) 및 제3측판 상단날개(64)의 가장자리(67)에는 저판(31) 및 제1,2측판(40,50)에 형성된 요철성형부(37a,47a,57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또다른 요철성형부(6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성형부(37a,47a,57a,67a)는 제1,2,3측판의 좌측날개, 우측날개, 상단날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또한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요철성형부(37a,47a,57a,67a)는 거푸집의 조립시 제1,2,3하부다리틀 및 상단다리틀의 끝단 내부에 빙둘러 고리타입으로 연통형성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시, 성형된 소파블록의 하부다리 및 상부다리 끝단에 요철을 구비하는 두부돌출부(180)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2,3측판(40,50,60)에 형성된 반개구홀(48,49,58,59,68,69)은 각각 제1,2,3측판의 요철성형부(47a,57a,67a)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측판(40), 제2측판(50), 제3측판(60) 및 저판(30)은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하부다리틀(91,92,93)과 상단다리틀(94)을 구비하는 거푸집조(20`)가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측판의 제1측판 우측날개와 제2측판 좌측날개, 제1측판의 상단날개와 제2측판의 상단날개가 결합되고, 제2측판 우측날개와 제3측판 좌측날개, 제2측판 상단날개와 제3측판 상단날개가 결합되며, 제3측판 우측날개와 제1측판 좌측날개, 제3측판 상단날개와 제1측판 상단날개가 각각 결합되고, 제1측판 좌측 및 우측날개, 제2측판 좌측 및 우측날개, 제3측판 좌측 및 우측날개, 제1,2,3측판의 본체 일측이 각각 저판에 결합되며, 제1,2,3측판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제1,2,3 하부다리틀(91,92,93)과 상단다리틀(94)이 사면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된 거푸집조(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측판(40)과 제2측판(50)의 결합에 의해 제1측판 우측날개(43)와 제2측판 좌측날개(52)의 반개구홀(49,58)이 연통되어 제1하부다리틀(91)의 각정부(91a)에 제1개구홀(95)이 형성되고, 제2측판(50)과 제3측판(60)의 결합에 의해 제2측판 우측날개(53)와 제3측판 좌측날개(62)의 반개구홀(59,68)이 연통되어 제2하부다리틀(92)의 각정부(92a)에 제2개구홀(96)이 형성되며, 제3측판(60)과 제1측판(40)의 결합에 의해 제3측판 우측날개(63)와 제1측판 좌측날개(42)의 반개구홀(69,48)이 연통되어 제3하부다리틀(93)의 각정부(93a)에 제3개구홀(97)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마무리판(70)은 저판(30)과 제1,2,3측판(40,50,6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1,2,3 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에 결합되어 개방된 제1,2,3 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을 폐쇄하는 것으로, 상기 마무리판(70)은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단 마무리판(71)과 하단 마무리판(72)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마무리판(71)과 하단 마무리판(72) 역시, 볼트결합 또는 코터/코터핀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마무리판(7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덮개(80)는 제1,2,3하부다리틀(91,92,93)의 각정부(91a,92a,93a)에 형성된 제1,2,3개구홀(95,96,97)에는 결합되어 제1,2,3개구홀(95,96,97)을 폐쇄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거푸집(20)은 제1,2,3 하부다리틀(40,50,60)과 상단다리틀(94)의 끝단 가장자리(47,57,67)에, 제1,2,3측판(40,50,60)에 위치하는 각각의 요철성형부(47a,57a,67a)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고리타입(환형타입)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20)은 내측면 즉, 콘크리트가 주입타설되는 내측면은 모두 곡선이 아닌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본 발명의 거푸집(20)에 의해 성형되는 소파블록(100)은 다수의 평면을 구비하는 다면체 형상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발판(10)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3개의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에 수직되어 설치되는 발판지주(12)와, 일측 발판지주에 일측단이 볼트체결되고, 이웃하는 또다른 발판지주에 타측단이 볼트체결되어 연결되는 패널(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발판(10)은 발판지주(12)가 설치된 3개의 베이스(11)가 바닥면에 삼각형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발판지주(12)가 패널(13)에 의해 이웃하는 또다른 베이스 위의 발판지주에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발판지주(12)는 상단이 저판(30)에 접촉지지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또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베이스(11)에 하단이 볼트체결되는 2개의 지주(14)와, 상기 2개의 지주(14)에 양측이 볼트연결되어 2개의 지주(14)를 서로 연결지지하는 연결패널(1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 발판지주(12), 패널(13)은 서로 결합에 의해 일체로 연결설치되며, 이러한 결합은 브래킷을 이용한 공지의 결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판(10)은 총 6개의 지주(14)에 의해 저판(30)이 6점 지지되어, 발판(10) 위에 안정적으로 거푸집(20)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부품상태로 현장으로 운반이송된 후, 현장에서 발판(10), 저판(30), 제1,2,3측판(40,50,60)을 각각 조립하고, 현장바닥면에 발판(10)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상기 발판(10)의 지주(14)에 조립된 저판(30)이 6점지지되어 접촉되도록 올려 놓는다. 이때, 상기 저판(30)은 저판의 지지보강편(38)이 지주(14)에 접촉되도록 올려놓는 것이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10)에 지주(14)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 크레인에 의해 제1측판(40)을 2점 매달기로 들어올려 저판(30)에 연결하고, 제2측판(50)을 2점 매달기로 들어올려 저판(30) 및 제1측판(40)에 연결하며, 제3측판(60)을 2점 매달기로 들어올려 저판(30), 제1측판(40) 및 제2측판(50)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발판(10) 위에 제1,2,3측판(40,50,60)이 조립되면, 제1,2,3 하부다리틀(91,92,93) 및 상단다리틀(94)이 사면체의 각 꼭지점을 향하도록 뻗어지는 형상의 거푸집조(20`)가 발판(10)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조(20`)의 제1,2,3 하부다리틀(91,92,93) 및 상단다리틀(94)이 끝단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2,3 하부다리틀(91,92,93)의 제1,2,3각정부(91a,92a,93a)에는 제1,2,3개구홀(95,96,97)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2,3 하부다리틀(91,92,93) 끝단에는 마무리판(70)이 각각 체결되고, 상기 제1,2,3개구홀(95,96,97)에는 덮개(80)가 각각 체결되어, 상단다리틀(94)의 끝단 즉, 천단부(98)만 개방된 상태가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현장 바닥면에 발판(10)을 조립하는 발판조립단계; 발판(10) 위에, 저판(30)을 안착시키고, 저판(30)에 제1,2,3측판(40,50,60)을 볼트조립하여 제1,2,3개구홀(95,96,97)을 구비하는 제1,2,3 하부다리틀(91,92,93)과, 상단다리틀(94)이 사면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된 거푸집조(20`)를 형성하는 거푸집조 조립단계; 거푸집조(20`)에 형성된 제1,2,3 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에 마무리판(70)을 체결하여 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을 폐쇄시키는 마무리판 조립단계; 제1,2,3개구홀(95,96,97)에 덮개(80)를 체결하여 거푸집(20)을 조립하는 덮개 조립단계; 상부다리틀(94)의 개방된 천단부(98)을 통해 거푸집(20)내로 콘크리트를 타설 주입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 후, 제1,2,3하부다리틀(91,92,93)내에 위치하도록 거푸집(20)내로 내부진동기(바이브레이터)를 각각 투입하여 다짐하는 다짐단계; 상기 다짐단계후, 덮개(80)를 제거하여 제1,2,3개구홀(95,96,97)을 개방하고, 상기 제1,2,3개구홀(95,96,97)을 통해 제1,2,3하부다리틀(91,92,93)내에 타설충전된 콘크리트에 대한 레이턴스(laitance)제거 및 스페이징을 수행하는 하부다리틀 스페이징단계; 상기 하부다리틀 스페이징단계 후, 천단부(98)를 통해 상부다리틀(94)내 타설된 콘크리트에 대한 레이턴스(laitance)제거 및 스페이징을 수행하는 상단다리틀 스페이징단계; 상기 제1,2,3개구홀(95,96,97) 및 천단부(94)을 통해 콘크리트를 보충타설하고, 천단부(94) 및 제1,2,3개구홀(95,96,97)내의 콘크리트면을 고르기하는 면고르기단계; 상기 면고르기단계 후, 양생시트를 씌우고 습윤상태를 유지하며 거푸집내에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양생단계; 상기 양생단계 후, 거푸집을 탈형하고, 성형된 소파블록을 크레인에 의해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조립단계, 거푸집조 조립단계, 마무리판 조립단계, 덮개 조립단계는 거푸집을 조립하기 위한 거푸집 조립단계로, 거푸집에 대한 설명에 조립과정이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는 발판 위에 안착지지된 거푸집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푸집의 제 1,2,3 하부다리틀(91,92,93) 및 상단다리틀(94)에 콘크리트를 타설충전시킨다.
상기 다짐단계는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내의 공기를 빼내어 밀실한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잔카(골재밀집)가 발생되기 쉬운 제1,2,3하부다리틀(91,92,93)의 요철성형부(37a,47a,57a,67a)와 그 주변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전되도록 다짐한다.
상기 요철성형부(37a,47a,57a,67a)는 제1,2,3하부다리틀(91,92,93)과 층을 이루도록 돌출(확장) 형성되어 있어, 요철성형부(37a,47a,57a,67a)와 그 주변에 잔카(골재밀집)현상이 발생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은 부위에 잔카(골재밀집)현상이 발생되면, 요철성형부(37a,47a,57a,67a)에 의해 성형되는 소파블록의 두부돌출부(180)에 이상이 발생될 뿐 아니라, 두부돌출부(180)의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상기 하부다리틀 스페이징단계는, 제1,2,3하부다리틀(91,92,93)내 콘크리트의 표면기포 및 잉여수분의 상승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완료 후, 덮개(80)를 제거하여 제1,2,3개구홀(95,96,97)을 개방시킨 후, 제1,2,3개구홀(95,96,97)에 모여 있는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한다. 상기 제1,2,3개구홀(95,96,97)에 모여 있는 레이턴스(laitance)는 소파블록의 성형완료시, 두부돌출부(180)의 크랙을 발생시키고, 두부돌출부(180)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개방된 제1,2,3개구홀(95,96,97)을 통해 막대를 이용하여 스페이징을 수행함으로써, 제1,2,3하부다리틀(91,92,93)내 콘크리트의 기포 및 잉여수분 제거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징을 수행하게 되면, 제1,2,3개구홀(95,96,97)내의 콘크리트 면(마무리면)이 서서히 침하하게 되므로, 침하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보충타설한다.
또한,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보충타설되면, 잉여 수분이 오버플로우 하기 쉽게 되므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침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상부다리틀 스페이징 단계는, 상부다리틀(94)내 콘크리트의 표면기포 및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하고, 잉여수분의 상승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완료 후, 상부다리틀(94)의 천단부(98)를 통해 막대를 이용하여 상부다리틀(94)에 대한 스페이징을 수행하여 콘크리트내의 레이턴스(laitance), 기포 및 잉여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천단부(98)의 콘크리트면에 모여 있는 레이턴스(laitance) 역시, 소파블록(100)의 성형완료시, 상부다리틀에 위치하는 요철성형부(47a,57a,67a)에 의해 성형되는 두부돌출부(180)에 크랙이 발생되어 두부돌출부(180)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천단부(98)에 대하여 스페이징을 수행하게 되면, 천단부의 콘크리트 면이 서서히 침하하게 되므로, 침하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보충타설한다.
상기 면고르기 단계는 제1,2,3개구홀(95,96,97) 및 천단부(98)을 통해 보충타설된 콘크리트의 콘크리트면을 나무흙손 등으로 처리하여 평평하게 마무리한다.
상기 양생단계는 천단부(98) 및 제1,2,3개구홀(95,96,97)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천단부 및 제1,2,3개구홀에 양생시트(양생포)를 씌워 습윤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양생시킨다. 이때, 상기 양생시트는 로프에 의해 묶어 고정하거나, 모래 주머니 등을 연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양생시트 및 그의 고정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단계는 성형물 즉, 거푸집내에 양생된 소파블록이 소정강도가 발현되면, 마무리판, 제1,2,3 측판 순으로 거푸집을 분리하고, 저판위에 올려져 있는 소파블록을 크레인에 의해 들어올려 적치장소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소파블록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가 사면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될 뿐 아니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내측면 즉, 저판(30), 제1,2,3측판(40,50,60), 마무리판(70) 및 덮개(80)의 내측면이 다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가 원통형상 또는 테이퍼진 원통형상이 아닌, 평면이 연결되는 다면체 형상을 구비하게 되고,
다면체 형상을 구비하는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의 끝단에는 거푸집의 요철성형부(37a,47a,57a,67a)에 의해 요철을 구비하는 두부돌출부(180)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두부돌출부(180)가 형성된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의 끝단면(111,121,131,141)은 평면형상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두부돌출부(180)에 의해 제1,2,3하부다리부(110,120,130)와 소파블록이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 사이에 소정높이의 공간(190)이 형성되게 되며, 두부돌출부(180)가 요철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평면형상을 구비하는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의 끝단면(111,121,131,141)으로 파력이 유입되더라도 두부돌출부(180)의 요부(181)를 통해 공간(190)내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에 형성된 두부돌출부(180)에 의해 해양에 소파블록을 설치할 경우, 일측 소파블록과 이에 이웃하는 소파블록이 두부돌출부(180)에 의해 서로 걸리어 얼키게 되므로, 파력에 의한 소파블록의 유동 및 유실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소파블록은 해저면에 형성된 기초사석층 또는, 상기 기초사석층에 형성된 피복블록층의 파랑이 작용되는 경사면에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복층으로 정적 또는 난적으로 피복설치되어 파랑을 저감시키는 소파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소파구조물은 2층으로 피복될 경우,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사석층(400) 또는 피복블록층(500)의 상면에 복수의 소파블록이 설치되어 하단피복층(600)이 형성되고, 상기 하층피복층의 소파블록 사이사이에 또다른 소파블록을 경사지게 삽입설치하여 상단피복층(700)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단피복층(600)은 복수의 소파블록을 동일한 형상으로 종렬배치시켜 홀수열(610)을 설치하고, 상기 홀수열에 종렬배출된 소파블록과 대칭되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복수의 소파블록을 종렬배치시켜 짝수열(620)을 설치하며, 상기 홀수열(610)과 짝수열(620)을 반복설치하여 하단피복층(600)을 형성한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하단피복층의 홀수열(610)과 짝수열(6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소파블록을 설치하여 상단피복층(700)을 형성하되, 소파블록의 상단다리 또는 제1,2,3 하부다리 중, 적어도 2개의 다리가 하단피복층의 홀수열(610)과 짝수열(620) 사이의 공간내로 삽입되도록 소파블록을 대각방향으로 엇갈리게 설치한다. 즉, 소파블록의 상단다리, 제1,2,3하부다리 중, 2개의 다리는 하단피복층의 홀수열(610)과 짝수열(620) 사이의 공간내로 삽입되어 위치하고, 나머지 2개의 다리는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소파블록을 대각방향(P)으로 경사져서 하단피복층의 소파블록과 상단피복층의 소파블록이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하단피복층의 소파블록에 대하여 상단피복층의 소파블록이 대각방향으로 엇갈리게 설치될 경우, 상단피복층에 위치하는 소파블록의 상단다리와 제1,2,3하부다리가 하단피복층에 위치하는 소파블록들의 상단다리와 제1,2,3하부다리에 맞물리게 되어 지지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소파구조물내의 공극율이 증대되게 된다. 이때 소파구조물은 공극율 60% 를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발판 (11) : 베이스
(12) : 발판지주 (13) : 패널
(14) : 지주 (15) : 연결패널
(20) : 거푸집 (20`) : 거푸집조
(30) : 저판 (31) : 저판본체
(32,33,34): 저판날개 (35) : 외측면
(35a) : 보강대 (36) : 내측면
(37) : 가장자리 (37a) : 요철성형부
(38) : 지지보강편 (40) : 제1측판
(41) : 제1측판본체 (42) : 제1측판 좌측날개
(43) : 제1측판 우측날개 (44) : 제1측판 상단날개
(45) : 외측면 (45a) : 보강대
(46) : 내측면 (47) : 가장자리
(47a) : 요철성형부 (48,49): 반개구홀
(50) : 제2측판 (51) : 제2측판본체
(52) : 제2측판 좌측날개 (53) : 제2측판 우측날개
(54) : 제2측판 상단날개 (55) : 외측면
(55a) : 보강대 (56) : 내측면
(57) : 가장자리 (57a) : 요철성형부
(58,59): 반개구홀 (60) : 제3측판
(61) : 제3측판본체 (62) : 제3측판 좌측날개
(63) : 제3측판 우측날개 (64) : 제3측판 상단날개
(65) : 외측면 (65a) : 보강대
(66) : 내측면 (67) : 가장자리
(67a) : 요철성형부 (68,69): 반개구홀
(70) : 마무리판 (71) : 상단 마무리판
(72) : 하단 마무리판 (80) : 덮개
(91) : 제1하부다리틀 (92) : 제2하부다리틀
(93) : 제3하부다리틀 (94) : 상단다리틀
(95) : 제1개구홀 (96) : 제2개구홀
(97) : 제3개구홀 (98) : 천단부
(100) : 소파블록 (110) : 제1하부다리
(120) : 제2하부다리 (130) : 제3하부다리
(140) : 상단다리 (180) : 두부돌출부

Claims (13)

  1. 소파블록을 성형하는 거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장치(20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발판(10)과, 상기 발판에 올려져 안착지지되는 거푸집(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20)은,
    발판(10)에 올려져 지지되는 저판(30)과, 저판(30)에 하측이 결합되어 연결되는 제1측판(40)과,
    상기 저판(30) 및 제1측판(40)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1개구홀(95)을 구비하는 제1하부다리틀(91)을 형성하는 제2측판(50)과,
    상기 저판(30) 및 제2측판(50)에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2개구홀(96)을 구비하는 제2하부다리틀(92)을 형성하고, 저판(30) 및 제1측판(40)과 결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제3개구홀(97)을 구비하는 제3하부다리틀(93)을 형성하며, 제1,2측판(40,50)과 결합에 의해 상단다리틀(94)을 형성하는 제3측판(60)과,
    상기 제1,2,3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되는 마무리판(70)과,
    상기 제1,2,3개구홀(95,96,97)에 결합되어 제1,2,3개구홀(95,96,97)을 폐쇄시키는 덮개(8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측판(40)은, 제1측판본체(41)와, 상기 제1측판본체(4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48)을 구비하는 제1측판 좌측날개(42)와, 상기 제1측판 좌측날개(42)와 대칭되도록 제1측판본체(4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49)을 구비하는 제1측판 우측날개(43)와, 상기 제1측판 좌측날개 및 우측날개(42,43)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측판본체(41)에 결합되는 제1측판 상단날개(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판(50)은, 제2측판본체(51)와, 상기 제2측판본체(5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58)을 구비하며 제1측판 우측날개(43)에 결합되는 제2측판 좌측날개(52)와,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52)와 대칭되도록 제2측판본체(5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59)을 구비하는 제2측판 우측날개(53)와,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52) 및 제2측판 우측날개(53)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제1측판 상단날개(44) 및 제2측판본체(51)와 일측이 결합되는 제2측판 상단날개(54)를 포함하며,
    상기 제3측판(60)은, 제3측판본체(61)와, 상기 제3측판본체(6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68)을 구비하며 제2측판 우측날개(53)에 결합되는 제3측판 좌측날개(62)와, 상기 제3측판 좌측날개(62)와 대칭되도록 제3측판본체(61)에 결합되고 반개구홀(69)을 구비하며 제1측판 좌측날개(42)에 결합되는 제3측판 우측날개(63)와,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 및 우측날개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제1,2측판 상단날개(44,54) 및 제1,2측판본체(41,51)와 결합되는 제3측판 상단날개(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저판(30)은 발판(10)에 접촉지지되는 저판본체(31)와, 상기 저판본체(31)에 각각 결합되는 3개의 저판날개(32,33,34)를 포함하되,
    상기 3개의 저판날개(32,33,34)는 가장자리(37)에 각각 요철성형부(37a)가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 좌측날개(42), 제1측판 우측날개(43) 및 제1측판 상단날개(44)의 가장자리(47)에는 조립시 저판(31)에 형성된 요철성형부(37a)와 연통되는 또다른 요철성형부(4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판 좌측날개(52), 제2측판 우측날개(53) 및 제2측판 상단날개(54)의 가장자리(57)에는 조립시 저판(31) 및 제1측판(40)에 형성된 요철성형부(37a,47a)와 연통되는 또다른 요철성형부(5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측판 좌측날개(62), 제3측판 우측날개(63) 및 제3측판 상단날개(64)의 가장자리(67)에는 조립시 저판(31) 및 제1,2측판(40,50)에 형성된 요철성형부(37a,47a,57a)와 연통되는 또다른 요철성형부(67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제1,2,3측판(40,50,60)에 형성된 반개구홀(48,49,58,59,68,69)은 각각 제1,2,3측판의 요철성형부(47a,57a,67a)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저판(3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접촉되는 내측면(36)이 평면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2,3측판(40,50,60)은 콘크리트가 타설접촉되는 각각의 내측면(46,56,66)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은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3개의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에 수직되어 설치되는 발판지주(12)와, 일측 발판지주에 일측단이 체결되고, 이웃하는 또다른 발판지주에 타측단이 체결되어 연결되는 패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주(12)는 상단이 저판(30)에 접촉지지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또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베이스(11)에 하단이 체결되는 2개의 지주(14)와, 상기 2개의 지주(14)에 양측이 볼트연결되어 2개의 지주(14)를 서로 연결지지하는 연결패널(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
  9. 청구항 1,2,4,5,6,7,8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장치에 의해 소파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장 바닥면에 발판(10)을 조립하는 발판조립단계;
    발판(10) 위에, 저판(30)을 안착시키고, 저판(30)에 제1,2,3측판(40,50,60)을 볼트조립하여 제1,2,3개구홀(95,96,97)을 구비하는 제1,2,3 하부다리틀(91,92,93)과, 상단다리틀(94)이 사면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된 거푸집조(20`)를 형성하는 거푸집조 조립단계;
    거푸집조(20`)에 형성된 제1,2,3 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에 마무리판(70)을 체결하여 하부다리틀(91,92,93)의 끝단을 폐쇄시키는 마무리판 조립단계;
    제1,2,3개구홀(95,96,97)에 덮개(80)를 체결하여 거푸집(20)을 조립하는 덮개 조립단계;
    상부다리틀(94)의 개방된 천단부(98)을 통해 거푸집(20)내로 콘크리트를 타설 주입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 후, 제1,2,3하부다리틀(91,92,93)내에 위치하도록 거푸집(20)내로 내부진동기(바이브레이터)를 각각 투입하여 다짐하는 다짐단계;
    상기 다짐단계후, 덮개(80)를 제거하여 제1,2,3개구홀(95,96,97)을 개방하고, 상기 제1,2,3개구홀(95,96,97)을 통해 제1,2,3하부다리틀(91,92,93)내에 타설충전된 콘크리트에 대한 레이턴스(laitance)제거 및 스페이징을 수행하는 하부다리틀 스페이징단계;
    상기 하부다리 스페이징단계 후, 천단부(98)를 통해 상부다리틀(94)내 타설된 콘크리트에 대한 레이턴스(laitance)제거 및 스페이징을 수행하는 상단다리틀 스페이징단계;
    제1,2,3개구홀(95,96,97) 및 천단부(94)을 통해 콘크리트를 보충타설하고, 천단부(94) 및 제1,2,3개구홀(95,96,97)내의 콘크리트면을 고르기하는 면고르기단계;
    상기 면고르기단계 후, 양생시트를 씌우고 습윤상태를 유지하며 거푸집내에서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양생단계;
    상기 양생단계 후, 거푸집을 탈형하고, 성형된 소파블록을 크레인에 의해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
  10. 청구항 9 의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소파블록이 해저면 상면에 형성된 기초 사석층 또는 피복블록층의 상면에 단층 이상으로 정적 또는 난적으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소파구조물.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소파블록은,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가 사면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성형되고,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가 다면체로 이루어지며,
    다면체로 이루어진 제1,2,3하부다리(110,120,130)와 상단다리(140)의 끝단에는 요철을 구비하는 두부돌출부(180)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소파구조물.
  12. 삭제
  13. 청구항 9 의 제조방법에 의해 성형된 소파블록은 해저면 상면에 형성된 기초사석층 또는, 피복블록층의 상면에 복수개가 정렬 배치되어 하단피복층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피복층의 소파블록 사이사이에 또다른 소파블록의 상단다리가 경사지게 삽입되도록 설치하여 상단피복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소파구조물.
KR1020140092520A 2014-07-22 2014-07-22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KR10144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20A KR101448460B1 (ko) 2014-07-22 2014-07-22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20A KR101448460B1 (ko) 2014-07-22 2014-07-22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460B1 true KR101448460B1 (ko) 2014-10-15

Family

ID=5199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520A KR101448460B1 (ko) 2014-07-22 2014-07-22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46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313B1 (ko) * 2015-08-06 2015-11-03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상하 6개의 지지다리가 형성되어 세워 거치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이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소파블록
KR101565316B1 (ko) * 2015-08-06 2015-11-0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좌우 6개의 지지다리가 형성되어 눕힌 상태로 거치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이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소파블록
KR20190111274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대양개발이앤지 테트라 포트 성형장치
KR102153322B1 (ko) 2019-11-21 2020-09-08 김동역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KR102239894B1 (ko) 2020-08-12 2021-04-12 김동역 컴파운드블록
KR102293352B1 (ko) * 2021-04-22 2021-08-24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307307B1 (ko) * 2021-05-18 2021-09-30 주식회사 디에이솔루션 견고한 결속력을 가지는 철제 소파블록
CN113605168A (zh) * 2021-08-04 2021-11-05 黄鹏宇 一种旧水泥混凝土加铺改造结构
KR102336008B1 (ko) * 2021-04-22 2021-12-0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336812B1 (ko) * 2021-05-03 2021-12-0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616385B1 (ko) 2023-01-11 2023-12-20 양병선 이중구조 거푸집을 활용한 소파블록과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2659547B1 (ko) * 2022-01-24 2024-04-30 김기종 구조적 강도 개선을 위한 소파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224A (ja) * 1994-09-07 1996-03-19 Tetra:Kk 四脚消波ブロックの転置装置
KR101027785B1 (ko) 2010-09-30 2011-04-13 (주) 신아건설 소파블록 제조용 가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소파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파블록
KR20120095156A (ko) * 2011-02-18 2012-08-28 니켄 코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파 블록의 부설법
KR101400295B1 (ko) 2014-04-09 2014-05-27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224A (ja) * 1994-09-07 1996-03-19 Tetra:Kk 四脚消波ブロックの転置装置
KR101027785B1 (ko) 2010-09-30 2011-04-13 (주) 신아건설 소파블록 제조용 가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소파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파블록
KR20120095156A (ko) * 2011-02-18 2012-08-28 니켄 코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파 블록의 부설법
KR101400295B1 (ko) 2014-04-09 2014-05-27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313B1 (ko) * 2015-08-06 2015-11-03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상하 6개의 지지다리가 형성되어 세워 거치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이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소파블록
KR101565316B1 (ko) * 2015-08-06 2015-11-0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좌우 6개의 지지다리가 형성되어 눕힌 상태로 거치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이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소파블록
KR20190111274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대양개발이앤지 테트라 포트 성형장치
KR102109795B1 (ko) 2018-03-22 2020-06-12 주식회사 대양개발이앤지 테트라 포트 성형장치
KR102153322B1 (ko) 2019-11-21 2020-09-08 김동역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KR102239894B1 (ko) 2020-08-12 2021-04-12 김동역 컴파운드블록
KR20220145734A (ko) * 2021-04-22 2022-10-31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336008B1 (ko) * 2021-04-22 2021-12-0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WO2022225217A1 (ko) * 2021-04-22 2022-10-2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293352B1 (ko) * 2021-04-22 2021-08-24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639804B1 (ko) * 2021-04-22 2024-02-21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336812B1 (ko) * 2021-05-03 2021-12-0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307307B1 (ko) * 2021-05-18 2021-09-30 주식회사 디에이솔루션 견고한 결속력을 가지는 철제 소파블록
CN113605168A (zh) * 2021-08-04 2021-11-05 黄鹏宇 一种旧水泥混凝土加铺改造结构
KR102659547B1 (ko) * 2022-01-24 2024-04-30 김기종 구조적 강도 개선을 위한 소파블록
KR102616385B1 (ko) 2023-01-11 2023-12-20 양병선 이중구조 거푸집을 활용한 소파블록과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460B1 (ko)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CN108457421B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u形框架梁的制作模具和制作方法
CN104594500B (zh) 一体化梁板柱模板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6378861B (zh) 一种预制装配式混凝土楼梯模具及楼梯制造方法
KR101786811B1 (ko) 인공어초겸용 테트라포드 거푸집
CN108457243A (zh) 一种装配式混凝土挡浪墙的施工方法
CN109630128A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装配式自重下沉竖井
CN106285002A (zh) 现浇楼面高低差工具式吊模施工方法
KR20120089090A (ko) 소파(消波) 블록 및 이러한 소파 블록의 제조방법
KR101120588B1 (ko) 콘크리트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수직조인트 부재
KR101786813B1 (ko)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인공어초 거푸집
CN106065565B (zh) 一种预制装饰混凝土桥墩立柱的施工方法
CN103031897A (zh) 一种保温构件的制作方法
KR101322414B1 (ko) 소파블록 거푸집 및 그로 제작된 소파블록
CN212176547U (zh) 一种建筑物内楼层卫生间降板施工模板装置
CN205502058U (zh) 拼装式塔式起重机基础
CN210713438U (zh) 一种便于吊装的预制叠合楼板构件
CN102587650A (zh) 双向定型钢模板的浇筑结构
CN206916760U (zh) 一种可重复使用的集水井内模装置
CN205777103U (zh) 适用于夯土墙的预制抗剪连接件及夯土墙
KR101045841B1 (ko) 다골다공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CN110029863B (zh) 钢筋混凝土钢柱及其施工方法
CN102277917A (zh) 现浇砼用预制构件
CN217225987U (zh) 砼浇筑用预制成型装置
CN102277918A (zh) 现浇砼用预制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