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295B1 -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295B1
KR101400295B1 KR1020140042416A KR20140042416A KR101400295B1 KR 101400295 B1 KR101400295 B1 KR 101400295B1 KR 1020140042416 A KR1020140042416 A KR 1020140042416A KR 20140042416 A KR20140042416 A KR 20140042416A KR 101400295 B1 KR101400295 B1 KR 10140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old
concrete
corner
sur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오 마츠오카
와키로 니시고오리
세츠오 마츠다
이치로 니시와키
사토시 노보루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네오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filed Critical (주)네오테크
Priority to KR102014004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수평각부, 수평각부에 대해 수직을 이루고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와 수직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이 이격되어 마주한 상태에서 두 이등변 삼각형의 중심분할선을 따라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연결하는 동부를 구비하는 소파블록의 제작에 사용되는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은, 바닥 거푸집(5)과, 일측 거푸집(6)과, 타측 거푸집(7)과, 상부 거푸집(8)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거푸집(8)에는 거푸집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창(8d)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8)의 창(8d)에 탈착 가능한 덮개(9)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거푸집을 사용한 소파블록 제작방법은, 거푸집 조립 단계(S01); 상측 수직각부(3a)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천단 타설구)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부 거푸집(8)의 창(8d)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하측 수직각부(3b)의 단부를 모두 채우고 창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까지 타설되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창(8d)을 통해 수평각부(2)와 하측 수직각부(5c) 부분의 콘크리트를 다지는 단계; 창(8d)에 덮개(9)를 체결하고,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천단 타설구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동부(1)를 모두 채우는 높이까지 타설되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천단 타설구를 통해 동부(1) 부분의 콘크리트를 다지는 단계; 및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Form for Wave Dissipating Block and Form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수평각부, 수평각부에 대해 수직을 이루고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와 수직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이 이격되어 마주한 상태에서 두 이등변 삼각형의 중심분할선을 따라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연결하는 동부를 구비하는 소파블록의 제작에 사용되는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파블록은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消失)시키고, 반사파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방파제나 호안(護岸)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주로 콘크리트제의 블록을 말한다.
종래의 소파블록으로는 4개의 뿔 모양으로 생긴 테트라포드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으며, 테트라포드를 변형한 돌로스(dolos), 씨락(sealock) 등도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테트라포드는 방파제의 사면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피복되거나, 잠제와 같은 해안침식 구조물 등을 건설시 다수 개가 밀집 형성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테트라포드를 적층하여 형성된 방파제 또는 하천 바닥 등은 인접하는 테트라포드 사이의 틈새 공간과 테트라포드 자체의 울퉁불퉁한 형상, 그리고 이들의 엇물림에 의하여 파랑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시킨다.
소파블록은 파력 등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질 것, 외력이나 자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 강도를 가질 것, 양중 및 시공이 용이할 것, 파랑 에너지를 감쇄할 수 있도록 적층하였을 때 적당한 공극률을 얻을 수 있을 것 등의 요건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출원인은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블록을 개발하여 특허등록(특허 제1259947호) 받기에 이르렀다.
한편 종래에는 소파블록의 제작 방법으로서 4개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원주면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었으나(특허 제991914호), 이는 출원인이 특허받은 소파블록을 제작함에는 부적합한 면이 많았다.
특히 단순히 4개의 원주면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 천단 타설구에서 하부에 있는 다리부까지 시야를 확보하면서 타설과 다짐을 하기에 어려움이 많아 다리부 선단에 곰보가 발생할 수 있고, 동체 축선부의 원기둥 형상의 상부면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원기둥 형상의 기둥부에 대한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파블록의 하부, 특히 수평각부와 하측 수직각부에 대해서 시야 확보와 다짐이 용이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각부와 하측 수직각부에 대한 시야 확보와 다짐은 물론 동부의 상면부에 대해서도 스페이징이 가능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푸집을 이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렇게 소파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타설을 다단계로 실시하여 소파블록의 모든 체적 영역에 대해서 밀실한 콘크리트를 만들어 강도를 확보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각부와 하측 수직각부에 발생할 수 있는 곰보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부의 상면부에 남아있을 수 있는 기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소파블록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일측 수평각부(2a)와 타측 수평각부(2b)를 포함하는 수평각부(2);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상측 수직각부(3a)와 하측 수직각부(3b)를 포함하는 수직각부(3); 및 상기 수평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과 수직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이 이격되어 마주한 상태에서 두 이등변 삼각형의 중심분할선을 따라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연결하는 동부(1);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각부(2)와 수직각부(3)가 중심분할선을 따라 형성된 동부(1)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수평각부의 저면을 감싸는 수평각부 저면부(5a); 상기 동부의 저면을 감싸는 동부 저면부(5b); 및 상기 하측 수직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하측 수직각부 대향면부(5c);를 구비하는 바닥 거푸집(5)과, 상기 수직각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수직각부 일측면부(6a); 상기 동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동부 일측면부(6b); 및 상기 일측 수평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일측 수평각부 대향면부(6c);를 구비하는 일측 거푸집(6)과, 상기 수직각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수직각부 타측면부(7a); 상기 동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동부 타측면부(7b); 및 상기 타측 수평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타측 수평각부 대향면부(7c);를 구비하는 타측 거푸집(7)과, 상기 수평각부의 상면을 감싸는 수평각부 상면부(8a); 상기 동부의 상면을 감싸는 동부 상면부(8b); 및 상기 상측 수직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상측 수직각부 대향면부(8c);를 구비하는 상부 거푸집(8)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거푸집(8)에는 거푸집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창(8d)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8)의 창(8d)에 탈착 가능한 덮개(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을 제공한다.
상기 창(8d)은 수평각부 상면부(8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9)는 수평각부 덮개(9a)와 동부 덮개(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9)의 상단에는 슬릿(9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거푸집을 사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거푸집 조립 단계(S01); 상측 수직각부(3a)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천단 타설구)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부 거푸집(8)의 창(8d)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하측 수직각부(3b)의 단부를 모두 채우고 창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까지 타설되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 타설단계(S02); 제1 타설단계와 함께 또는 제1 타설단계 후 창(8d)을 통해 수평각부(2)와 하측 수직각부(5c) 부분의 콘크리트를 다지는 제1 다짐단계(S03); 창(8d)에 덮개(9)를 체결하고,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천단 타설구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동부(1)를 모두 채우는 높이까지 타설되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타설단계(S04); 제2 타설단계와 함께 또는 제2 타설단계 후 천단 타설구를 통해 동부(1) 부분의 콘크리트를 다지는 제2 다짐단계(S05); 및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천단 타설구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단까지 모두 채워지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 타설단계(S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거푸집 조립 단계(S01)는: 지상에 가대(4)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대(4) 상에 바닥 거푸집(5)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 거푸집(5) 상에 일측 거푸집(6)과 타측 거푸집(7)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 거푸집(5)과 일측 거푸집(6)과 타측 거푸집(7) 상에 상부 거푸집(8)을 설치하는 단계; 및 수평각부(2)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하측 수직각부(3b)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마무리 거푸집(1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덮개(9)는 상부 거푸집(8)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짐단계에서 수평각부(2) 및 동부(1)의 콘크리트 기포를 수직각부(3) 쪽으로 모이게 하여 수평각부 상면과 동부 상면에 콘크리트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타설단계 후, 덮개(9)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9c)을 통해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스페이징 막대기를 삽입하는 제1스페이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타설단계에서 상측 수직각부(3a)의 천단부분에 콘크리트를 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타설단계 후, 천단 타설구를 통해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스페이징 막대기를 삽입하는 제2스페이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작방법에 의하면, 소파블록의 하부, 특히 수평각부와 하측 수직각부에 대해서 시야 확보와 다짐이 용이하게 되어 취약한 수평각부와 하측 수직각부 선단에 대해서도 콘크리트 타설과 다짐을 충실히 할 수 있게 되어 소파블록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기포가 많이 위치할 수 있는 동부의 상면부에 대해서도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소파블록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파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창을 활용하면서 타설을 다단계로 실시하여 다짐이 취약하거나 기포가 많이 정체되어 있을 수 있는 소파블록의 취약 영역에 대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소파블록의 전체 영역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푸집에 의해 제작되는 소파블록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바닥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일측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타측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상부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마무리 거푸집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소파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거푸집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소파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스페이징을 실시하는 범위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실시하는 스페이징의 사용되는 막대기의 형상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소파블록]
도 1은 본 발명의 거푸집에 의해 제작되는 소파블록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소파블록은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일측 수평각부(2a)와 타측 수평각부(2b)를 포함하는 수평각부(2)와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상측 수직각부(3a)와 하측 수직각부(3b)를 포함하는 수직각부(3)가 동부(1)에 의해 연결된 형상이다.
여기서 수평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과 수직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하고 있으며, 이렇게 이격된 부분이 동부(1)에 의해 연결된 형태이다. 아울러 동부(1)의 중심축은 수평각부(2)와 수직각부(3)의 두 이등변 삼각형의 중심분할선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각부(2)와 수직각부(3)는 중심분할선을 따라 형성된 동부(1)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소파블록과 후술할 거푸집의 각 위치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수평, 수직,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위를 정하여 각 부위를 지칭하였지만, 이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인 뿐, 이러한 명칭으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도 1의 소파블록은 각 각부들(2a,2b,3a,3b)의 형상은 서로 일치하고 그 배치도 서로 대칭적으로 잘 짜여져 있기 때문에, 가령 이를 지면 상에 어떻게 올려놓더라도 결국 같은 구조가 된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거푸집]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바닥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일측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타측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상부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대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구성하는 마무리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1에는 소파블록의 주변을 따라 도면부호 5a~8c가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거푸집의 해당 부위가 양생될 소파블록과 접하는 부위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은 크게 서로 그 형상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4개의 거푸집 부품(5,6,7,8)과, 지면에 설치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가대(4)와, 거푸집 부품의 각 각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무리 거푸집(10)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바닥 거푸집(5)은 수평각부(2)의 저면을 감싸는 수평각부 저면부(5a)와, 동부(1)의 저면을 감싸는 동부 저면부(5b)와, 하측 수직각부(3b)의 대향면(수직각부가 수평각부와 마주하는 면)을 감싸는 하측 수직각부 대향면부(5c)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5a~5c)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분이 분리되어 운송을 용이하게 하고, 소파블록이 제작되는 현장에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 거푸집(5)은 지면에 설치되는 가대(4)와 체결하기 위한 구조 부분(도면부호 없음)을 더 포함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일측 거푸집(6)은 수직각부(3)의 일측면을 감싸는 수직각부 일측면부(6a)와, 동부(1)의 일측면을 감싸는 동부 일측면부(6b)와, 일측 수평각부의 대향면(수평각부가 수직각부와 마주하는 면)을 감싸는 일측 수평각부 대향면부(6c)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역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분이 분리되어 운송을 용이하게 하고, 소파블록이 제작되는 현장에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4를 참조하면, 타측 거푸집(7)은 대체적으로 일측 거푸집과 대칭의 형상으로서, 상기 수직각부(3)의 타측면을 감싸는 수직각부 타측면부(7a)와, 동부(1)의 타측면을 감싸는 동부 타측면부(7b)와, 타측 수평각부(2b)의 대향면(수평각부가 수직각부와 마주하는 면)을 감싸는 타측 수평각부 대향면부(7c)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역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분이 분리되어 운송을 용이하게 하고, 소파블록이 제작되는 현장에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거푸집(8)은 수평각부(2)의 상면을 감싸는 수평각부 상면부(8a)와, 동부(1)의 상면을 감싸는 동부 상면부(8b)와, 상측 수직각부(3a)의 대향면(수직각부가 수평각부와 마주하는 면)을 감싸는 상측 수직각부 대향면부(8c)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역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분이 분리되어 운송을 용이하게 하고, 소파블록이 제작되는 현장에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거푸집(8)에는 거푸집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창(8d)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창(8d)은 수평각부 상면부(8a)의 상부(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면에 대해)에 형성되어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살펴보는 감시창의 기능과, 이를 통해 다짐을 할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창은 거푸집 외부로부터 두 수평각부(2a,2b)에 대한 시야와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수평각부 부분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동부(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수평각부에 형성된 창 사이에도 창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은 상술한 상부 거푸집(8)의 창(8d)을 덮기 위한 덮개(9)를 포함하는데, 이는 수평각부 부분의 창을 덮기 위한 수평각부 덮개(9a)와 수평각부 사이에 형성된 창을 덮기 위한 동부 덮개(9b)를 구비한다.
이러한 덮개들은 창을 완전히 커버하면서도, 후술할 스페이징을 위해 커버 상단부에 슬릿9c; 도 12의 (c) 참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소파블록의 제작]
도 9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소파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거푸집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거푸집을 조립하고, 타설과 다짐을 하고, 양생을 한 후, 거푸집을 탈형하고 청소하며, 양생된 소파블록을 전치하고 가적치하는 일반적인 절차는 기존의 소파블록의 제작 과정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상세히 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거푸집의 설치]
소파블록 제작 현장에서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대(4)를 조립하여 적절한 위치의 지상에 설치한다. 지상의 요철이 크면 가대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평탄한 장소에서 조립한다. 가대의 조립은, 가령 수평각부 저면부(5a)를 지지할 수평 베이스(4a)와 하측 수직각부 대형면부(5c)를 지지할 수직 베이스(4b)를 연결하며, 수직 베이스 상에, 동부 저면부(5b)를 지지할 기둥(4c)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가대(4) 상에 바닥 거푸집(5)을 설치한다.
바닥 거푸집(5) 설치 후에는 바닥 거푸집(5) 상에 일측 거푸집(6)과 타측 거푸집(7)을 설치한다.
그 다음에는 바닥 거푸집(5)과 양측 거푸집(6,7) 상에 상부 거푸집(8)을 설치한다.
이러한 설치 단계에서는 각 부분에 대해 볼트나 잠금 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임팩트 렌치나 레칫을 사용하여 확실히 볼팅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볼팅 작업은 한쪽에서 순서대로 체결하는 것 보다는 양단의 몇 개소를 먼저 체결하고 중앙 부근 몇 개소를 체결해 나가는 것이 거푸집의 면을 맞추기 쉽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아울러 각 거푸집 부분의 크기와 무게를 감안하여 적절한 크레인과 와이어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좋고, 높이가 높은 개소에 대해서는 고소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거푸집(5,6,7,8)을 체결한 후에는 수평각부(2)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하측 수직각부(3b)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마무리 거푸집(10)을 설치한다.
위와 같은 거푸집 조립 단계(S01)에서는 덮개(9)가 상부 거푸집(8)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
도 11은 소파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스페이징을 실시하는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푸집 조립이 마무리되면,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한다. 콘크리트 타설은 호퍼와 슈트, 펌프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슈트 펌프 배관의 토출구에서 타설면까지의 낙차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하여 재료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소파블록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타설을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하는 것이 좋다.
먼저 상측 수직각부(3a)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천단 타설구)을 통해 토출구를 삽입하여 도 11의 (1) 부분이 부분의 높이는 대략적으로 하측 수직각부(3b)의 단부를 모두 채우고 창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 사이이다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되, 외부에서 상부 거푸집(8)의 창(8d)을 통해 타설 높이를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한다제1 타설단계(S02).
또한 제1 타설을 진행하면서 창(8d)을 통해 수평각부(2)와 하측 수직각부(5c) 부분의 콘크리트를 다지는 제1 다짐을 실시한다제1 다짐단계(S03).
타설 중의 다짐은 레미콘을 거푸집의 구석으로 널리 확산시켜 레미콘에 포함된 불필요한 공기를 발산시키고 밀실한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실시된다. 다짐이 부족하면 크기 깊은 기포가 생기고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반대로 다짐을 과도하게 하면 재료가 분리되는 원인이 되어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다짐을 적절한 수준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짐에는 일반적인 내부 진동기(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짐을 시행하는 동안 콘크리트의 기포가 바이브레이터의 샤프트 부근에 모이므로 소파블록의 각부 선단에 넣은 샤프트는 서서히 콘크리트에서 빼내는 것이 좋다. 특히 각부 선단은 곰보가 나타나기 쉬운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서 콘크리트가 충분히 널리 퍼지도록 바이브레이터를 실시하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의 상부 거푸집(8)에는 수평 각부 부분에 창(8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시야와 접근성을 확보하여 각부 선단의 다짐 공정을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창(8d)에 덮개(9)를 체결하고,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천단 타설구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동부(1)를 모두 채우는 높이도 11의 (2) 부분까지 타설되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한다제2 타설단계(S04).
또한 제2 타설을 진행하면서, 천단 타설구를 통해 동부(1) 부분의 콘크리트에 대한 다짐을 실시한다제2 다짐단계(S05). 본 발명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소파블록의 형상에서는 동부(1)의 상면부 부근이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있어 특히 기포가 모이기 쉽다. 따라서 상기 제2 다짐단계에서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수평각부(2) 및 동부(1)의 기포를 수직각부(3) 쪽으로 모이게 하여 수평각부 상면과 동부 상면에 콘크리트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이러한 기포 부분을 없애기 위해, 상기 제2 타설단계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9)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9c)을 통해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스페이징 막대기를 삽입하는 제1스페이징 단계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스페이징 막대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고 긴 형상의 막대기인데,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얇은 슬릿을 통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스페이징은 콘크리트 타설 직후에 실시하되, 슬릿을 통해 스페이징 막대기가 도 12에 도시된 스페이징 범위(B)에서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기포 부분을 확실히 없애며, 삽입을 할 때에는 단번에 하고 상하 운동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빼낸다. 아울러 스페이징 막대기의 삽입 간격은 스페이징 막대 폭의 절반 정도가 겹치도록 한다.
다음으로,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천단 타설구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단까지 모두 채워지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한다제3 타설단계(S06).
제3 타설을 실시하면서도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다짐을 실시한다.
특히 제3 타설단계에서는 상측 수직각부(3a)의 천단부분에 콘크리트를 여성함으로써, 잉여수가 오버플로우하기 쉽도록 하고, 타설 콘크리트가 침하하는 경우에도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타설단계 후, 천단 타설구를 통해 도 12에 도시된 스페이징 범위(A)에서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스페이징 막대기를 삽입하는 제2스페이징 단계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타설이 마무리되면, 천단 고르기를 실시한다. 천단 고르기는 타설 후 충분히 콘크리트가 안정되고 나서, 여성한 콘크리트에 대해 시행한다. 천단 고르기에서 여성분을 누르는 것으로, 천단의 테이퍼 부분에 모이기 쉬운 물과 공기를 몰아낸다.
그 후 양생을 한다.
그리고 거푸집을 탈형하게 되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발현된 후 이루어진다. 탈형은 조립 순서와 반대로 마무리 거푸집→상부 거푸집→ 양측 거푸집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거푸집에 대해서는 청소를 실시한다.
전치는 거푸집 탈형 후 소정의 양생 후 시행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그 기능이 훼손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1: 동부
2: 수평각부
2a: 일측 수평각부
2b: 타측 수평각부
3: 수직각부
3a: 상측 수직각부
3b: 하측 수직각부
4: 가대
4a: 수평 베이스
4b: 수직 베이스
4c: 기둥
5: 바닥 거푸집
5a: 수평각부 저면부
5b: 동부 저면부
5c: 하측 수직각부 대향면부
6: 일측 거푸집
6a: 수직각부 일측면부
6b: 동부 일측면부
6c: 일측 수평각부 대향면부
7: 타측 거푸집
7a: 수직각부 타측면부
7b: 동부 타측면부
7c: 타측 수평각부 대향면부
8: 상부 거푸집
8a: 수평각부 상면부
8b: 동부 상면부
8c: 상측 수직각부 대향면부
8d: 창
9: 덮개
9a: 수평각부 덮개
9b: 동부 덮개
9c: 슬릿
10: 마무리 거푸집

Claims (10)

  1.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일측 수평각부(2a)와 타측 수평각부(2b)를 포함하는 수평각부(2);
    중심축이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두 이등변을 이루는 상측 수직각부(3a)와 하측 수직각부(3b)를 포함하는 수직각부(3); 및
    상기 수평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과 수직각부의 두 이등변의 꼭지점이 이격되어 마주한 상태에서 두 이등변 삼각형의 중심분할선을 따라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연결하는 동부(1);
    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각부(2)와 수직각부(3)가 중심분할선을 따라 형성된 동부(1)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은:
    지면에 설치되는 가대(4)와,
    상기 수평각부의 저면을 감싸는 수평각부 저면부(5a);
    상기 동부의 저면을 감싸는 동부 저면부(5b); 및
    상기 하측 수직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하측 수직각부 대향면부(5c);
    를 구비하며, 상기 가대(4) 상에 지지되는 바닥 거푸집(5)과,
    상기 수직각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수직각부 일측면부(6a);
    상기 동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동부 일측면부(6b); 및
    상기 일측 수평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일측 수평각부 대향면부(6c);
    를 구비하는 일측 거푸집(6)과,
    상기 수직각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수직각부 타측면부(7a);
    상기 동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동부 타측면부(7b); 및
    상기 타측 수평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타측 수평각부 대향면부(7c);
    를 구비하는 타측 거푸집(7)과,
    상기 수평각부의 상면을 감싸는 수평각부 상면부(8a);
    상기 동부의 상면을 감싸는 동부 상면부(8b); 및
    상기 상측 수직각부의 대향면을 감싸는 상측 수직각부 대향면부(8c);
    를 구비하는 상부 거푸집(8)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거푸집(8)에는 거푸집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창(8d)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거푸집(8)의 창(8d)에 탈착 가능한 덮개(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8d)은 수평각부 상면부(8a)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9)는 수평각부 덮개(9a)와 동부 덮개(9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9)의 상단에는 슬릿(9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을 사용하여 소파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거푸집 조립 단계(S01);
    상측 수직각부(3a)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천단 타설구)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부 거푸집(8)의 창(8d)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하측 수직각부(3b)의 단부를 모두 채우고 창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까지 타설되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 타설단계(S02);
    제1 타설단계와 함께 또는 제1 타설단계 후 창(8d)을 통해 수평각부(2)와 하측 수직각부(5c) 부분의 콘크리트를 다지는 제1 다짐단계(S03);
    창(8d)에 덮개(9)를 체결하고,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천단 타설구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동부(1)를 모두 채우는 높이까지 타설되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타설단계(S04);
    제2 타설단계와 함께 또는 제2 타설단계 후 천단 타설구를 통해 동부(1) 부분의 콘크리트를 다지는 제2 다짐단계(S05); 및
    천단 타설구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천단 타설구를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단까지 모두 채워지는 것을 확인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 타설단계(S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조립 단계(S01)는:
    지상에 가대(4)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대(4) 상에 바닥 거푸집(5)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 거푸집(5) 상에 일측 거푸집(6)과 타측 거푸집(7)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 거푸집(5)과 일측 거푸집(6)과 타측 거푸집(7) 상에 상부 거푸집(8)을 설치하는 단계; 및
    수평각부(2)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하측 수직각부(3b)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마무리 거푸집(10)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덮개(9)는 상부 거푸집(8)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짐단계에서 수평각부(2) 및 동부(1)의 콘크리트 기포를 수직각부(3) 쪽으로 모이게 하여 수평각부 상면과 동부 상면에 콘크리트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설단계 후, 덮개(9)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9c)을 통해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스페이징 막대기를 삽입하는 제1스페이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설단계에서 상측 수직각부(3a)의 천단부분에 콘크리트를 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설단계 후, 천단 타설구를 통해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스페이징 막대기를 삽입하는 제2스페이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20140042416A 2014-04-09 2014-04-09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140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16A KR101400295B1 (ko) 2014-04-09 2014-04-09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16A KR101400295B1 (ko) 2014-04-09 2014-04-09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295B1 true KR101400295B1 (ko) 2014-05-27

Family

ID=5089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416A KR101400295B1 (ko) 2014-04-09 2014-04-09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29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460B1 (ko) 2014-07-22 2014-10-1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KR101452403B1 (ko) 2014-07-22 2014-10-22 (주)네오테크 피복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복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복블록과 피복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KR101668735B1 (ko) 2016-05-27 2016-10-2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
KR101697171B1 (ko) 2016-05-27 2017-01-17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제조방법
KR101841498B1 (ko) * 2016-02-12 2018-03-23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인공어초 기능을 겸비한 항만구조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85363B1 (ko)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15146A (ko) 2019-07-31 2021-02-10 김준서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KR102537469B1 (ko) 2022-11-24 2023-05-30 서영준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16A (ja) * 1991-05-16 1993-0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消波ブロツクの撤去方法
KR100982355B1 (ko) * 2009-09-11 2010-09-15 주식회사 메카해양개발 소파블록의 제작방법 및 시공공법
KR101027785B1 (ko) * 2010-09-30 2011-04-13 (주) 신아건설 소파블록 제조용 가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소파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파블록
KR101259947B1 (ko) * 2013-03-06 2013-05-02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16A (ja) * 1991-05-16 1993-0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消波ブロツクの撤去方法
KR100982355B1 (ko) * 2009-09-11 2010-09-15 주식회사 메카해양개발 소파블록의 제작방법 및 시공공법
KR101027785B1 (ko) * 2010-09-30 2011-04-13 (주) 신아건설 소파블록 제조용 가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소파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파블록
KR101259947B1 (ko) * 2013-03-06 2013-05-02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460B1 (ko) 2014-07-22 2014-10-1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KR101452403B1 (ko) 2014-07-22 2014-10-22 (주)네오테크 피복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복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복블록과 피복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KR101841498B1 (ko) * 2016-02-12 2018-03-23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인공어초 기능을 겸비한 항만구조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1668735B1 (ko) 2016-05-27 2016-10-2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
KR101697171B1 (ko) 2016-05-27 2017-01-17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제조방법
KR20210015146A (ko) 2019-07-31 2021-02-10 김준서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KR102085363B1 (ko)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74979A (ko) 2019-12-12 2021-06-22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7469B1 (ko) 2022-11-24 2023-05-30 서영준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295B1 (ko)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1668735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
KR101697171B1 (ko)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제조방법
US20080277561A1 (en) Mold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ple blocks
CN103290967B (zh) 一种密肋空腹复合楼板及制作方法
ES2533339T3 (es) Módulos de encofrar, ensamblables y desechables, para construir encofrados modulares para hacer cimientos de hormigón
JP5681827B2 (ja) 立坑構築方法
JP2007170153A (ja) 擁壁用l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利用する擁壁構築の基礎施工法及び擁壁の基礎構造
JP4428396B2 (ja) 地中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CN112746684A (zh) 一种高设防烈度抗震墙体及其施工方法
JP2012112162A (ja) 山留壁及び山留壁の構築方法
CN208152108U (zh) 一种地下室底板格构柱的防水结构
KR101834430B1 (ko) 석재패널이 구비된 게비온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129250B1 (ko) 가물막이와 취수탑의 외벽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취수탑용 거푸집을 사용한 취수탑 시공공법
CN107386305A (zh) 装配式混凝土围堰及其施工方法
ES2246667B1 (es) Metodo de fabricacion de muro prefabricado tipo sandwich de hormigon armado aligerado con poliestireno expandido y muro obtenido por dicho metodo.
KR101324125B1 (ko) 경사면을 갖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6059A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조립식 pc블록 및 그를 이용한 공법
KR20050116959A (ko)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CN105625468B (zh) 一种多层地下建筑物的建造方法
KR100770041B1 (ko) 조립식 옹벽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JP4873547B2 (ja)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216707841U (zh) 一种强度高且便于浇筑的三明治墙板模具
KR200369481Y1 (ko)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KR200433699Y1 (ko)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