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947B1 -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 Google Patents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947B1
KR101259947B1 KR1020130023923A KR20130023923A KR101259947B1 KR 101259947 B1 KR101259947 B1 KR 101259947B1 KR 1020130023923 A KR1020130023923 A KR 1020130023923A KR 20130023923 A KR20130023923 A KR 20130023923A KR 101259947 B1 KR101259947 B1 KR 10125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ifting groove
sofa block
leg portions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오 마츠오카
와키로 니시고오리
세츠오 마츠다
이치로 니시와키
사토시 노보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주)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주)네오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Priority to KR102013002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랑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시킬 목적으로 방파제 또는 해안이나 하천을 비롯한 호안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하는 소파 블록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은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된 다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몸통부 단부에 결합되는 두 개의 다리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 일단부에 결합된 다리부와 타단부에 결합된 다리부는 서로 축면이 뒤틀리게 배치되는 소파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의 길이를 L, 각 다리부의 최대폭을 K, 상기 몸통부의 길이를 M, 상기 몸통부 축의 연장선과 다리부 축 간의 각도를 α라 할 때, α는 45°이상 90° 이하이고, (M+2Lcosα)Lsinα/K2의 값이 1.0 이상 1.8 이하이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통부 단부에서 다리부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지되 테이퍼진 각도(β)는 2°이상 30°이하이며; 상기 다리부는 외측 단부면 둘레를 따라 모따기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면에는 단부 양측을 관통하는 인양홈이 형성되되, 상기 인양홈의 단부는 다리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확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 및 다리부는 단면이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 소파 블록이 서로 잘 맞물릴 수 있으므로, 밀도 있는 시공 및 우수한 결합성으로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파 블록 중앙부에 위치된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다리부의 길이를 공학적으로 안정한 비율로 설계하여, 충분한 구조 강도 확보 및 100톤 이상 대형 블록의 제작이 가능하며, 다리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인양홈을 이용하여 시공을 진행함으로써, 소파 블록의 시공시 작업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Wave dissipating block with lifting groove}
본 발명은 파도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시킬 목적으로 방파제 또는 해안이나 하천을 비롯한 호안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하는 소파 블록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성뿐만 아니라 충분한 구조 강도를 겸비하고, 소파 블록의 시공시 작업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에 대한 것이다.
소파 블록은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消失)시키고, 반사파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방파제나 호안(護岸)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주로 콘크리트제의 블록을 말한다.
종래의 소파 블록으로는 4개의 뿔 모양으로 생긴 테트라포드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으며, 테트라포드를 변형한 돌로스(dolos), 씨락(sealock) 등도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테트라포드는 방파제의 사면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피복되거나, 잠제와 같은 해안침식 구조물 등을 건설시 다수 개가 밀집 형성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테트라포드를 적층하여 형성된 방파제 또는 하천 바닥 등은 인접하는 테트라포드 사이의 틈새 공간과 테트라포드 자체의 울퉁불퉁한 형상, 그리고 이들의 엇물림에 의하여 파랑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시킨다.
소파 블록은 파력 등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질 것, 외력이나 자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 강도를 가질 것, 양중 및 시공이 용이할 것, 파랑 에너지를 감쇄할 수 있도록 적층하였을 때 적당한 공극률을 얻을 수 있을 것 등의 요건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소파 블록은 크기가 클수록 상하로 적층된 소파 블록 사이에 맞물림이 거의 없어 안정성 확보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특성상, 콘크리트의 전단 강도 문제로 제작 및 운반 중 파괴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100톤 이상의 대형 블록의 제작이 곤란하였다.
아울러 종래에는 소파 블록(1)을 인양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크레인으로부터 양중 로프(40)를 해체하여 양중 로프(40)가 소파 블록(1)의 저면을 통과하도록 연결한 다음, 연결된 양중 로프(40)에 크레인이나 그 밖의 인양장비와 연결된 고리를 연결하여 원하는 위치로 소파 블록(1)을 이동하였다(일본공개특허 특개 2004-270348, 일본공개특허 특개2010-173786). 따라서 양중 로프(40)의 해체 및 긴결 과정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소파 블록(1)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일일이 양중 로프(4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소파 블록(1)의 인양 중에 외력 등에 의하여 소파 블록(1)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안전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접 소파 블록이 잘 맞물려, 우수한 결합성으로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이를 돌로스 II(dolos II)라 명하기로 한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파 블록 중앙부에 위치된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다리부의 길이를 공학적으로 안정한 비율로 설계하여, 충분한 구조 강도 확보가 가능하고, 100톤 이상의 대형 블록의 제작이 가능한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소파 블록의 시공과 관련하여 작업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된 다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몸통부 단부에 결합되는 두 개의 다리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 일단부에 결합된 다리부와 타단부에 결합된 다리부는 서로 축면이 뒤틀리게 배치되는 소파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의 길이를 L, 각 다리부의 최대폭을 K, 상기 몸통부의 길이를 M, 상기 몸통부 축의 연장선과 다리부 축 간의 각도를 α라 할 때, α는 45°이상 90° 이하이고, (M+2Lcosα)Lsinα/K2의 값이 1.0 이상 1.8 이하이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통부 단부에서 다리부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지되 테이퍼진 각도(β)는 2°이상 30°이하이며; 상기 다리부는 외측 단부면 둘레를 따라 모따기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면에는 단부 양측을 관통하는 인양홈이 인양홈이 형성되되, 상기 인양홈의 단부는 다리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확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 및 다리부는 단면이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 소파 블록이 서로 잘 맞물릴 수 있으므로, 밀도 있는 시공 및 우수한 결합성으로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파 블록 중앙부에 위치된 몸통부와 몸통부에 연결된 다리부의 길이를 공학적으로 안정한 비율로 설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충분한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100톤 이상의 대형 블록의 제작이 가능하다.
아울러 다리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인양홈을 이용하여 시공을 진행함으로써, 소파 블록의 시공시 작업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인양홈이 구비된 다리부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에 양중 로프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몸통부 축 및 다리부 축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소파 블록간 공간부를 대표하는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인접하는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을 쌓아 올려 형성된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인양홈이 구비된 다리부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양홈(30)이 형성된 소파 블록(1)은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몸통부(10) 및 상기 몸통부(10)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된 다리부(20a, 20b, 20c, 20d)로 구성되어 상기 몸통부(10) 단부에 결합되는 두 개의 다리부인 20a, 20b와 20c, 20d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10) 일단부에 결합된 다리부(20a, 20b)와 타단부에 결합된 다리부(20c, 20d)는 서로 축면이 뒤틀리게 배치된다.
상기 몸통부(10)는 소파 블록(1)의 중앙에 위치하고, 다리부(20a, 20b, 20c, 20d)는 몸통부(10)의 양단에 둘씩 접속되는 형태이다. 4개의 다리부(20a, 20b, 20c, 20d)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다.
상기 각 다리부는 몸통부(10)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되며, 몸통부(10) 일단부에 결합된 일측 다리부(20a, 20b)와 타단부에 결합된 타측 다리부(20c, 20d)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때, 일측 다리부(20a, 20b)의 각 축(21a, 21b)은 몸통부 축(11)을 통과하는 하나의 가상 평면 위에 존재하고, 타측 다리부(20c, 20d)의 각 축(21c, 21d)도 몸통부 축(11)을 통과하는 다른 하나의 가상 평면 위에 존재한다.
이때, 일측 다리부(20a, 20b)의 축(21a, 21b)과 타측 다리부(20c, 20d)의 축(21c, 21d)은 소파 블록(1)을 쌓아올릴 때 맞물림이 잘 이루어지도록 그 축면이 서로 뒤틀리게 배치한다. 특히, 상기 두 개의 축면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두 개의 가상평면이 몸통부 축(11)상에 있어 직교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소파 블록(1)의 맞물림 효과가 극대화된다.
상기 축은 각 구성의 단부측 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으로, 해당 단부측 면과 직교하는 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파 블록(1)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몸통부(10)와 각 다리부(20a, 20b, 20c, 20d)가 연결되는 부분에 헌치부(22)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 중 어느 하나(20d)의 외측 단부면에는 단부 양측을 관통하는 인양홈(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양홈(30)의 단부는 다리부(20d)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확대요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양홈(30)은 소파 블록(1) 제작시 거푸집을 탈형하거나 소파 블록(1)을 운반할 경우, 크레인이나 그 밖의 인양장비로부터 양중 로프(40)를 해체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양중 로프(40)의 해체 및 긴결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소파 블록(1)의 인양홈(30)에 바로 양중 로프(40)를 체결하여 소파 블록(1)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리부(20d)의 외측 단부면에 형성된 인양홈(30)의 위치를 변경하면 소파 블록(1)의 양중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파 블록(1)의 무게중심 및 소파 블록(1)이 위치될 지면의 각도를 고려하여 인양홈(3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소파 블록(1)의 적치시 현장 작업 부담을 감소시키고 안전 및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확대요홈(31)은 인양홈(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리부(20d)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다. 확대요홈(31)은 양중 로프(40)의 접촉 및 마찰로 인하여 다리부(20d) 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및 도 6의 사시도에서 소파 블록(1)에 양중 로프(40)가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양중 로프(40)가 소파 블록(1)의 저면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양중 로프(40)가 하부에 위치한 일측 다리부(20d)의 외측 단부면에 형성된 인양홈(30)을 거쳐 상부에 위치한 타측 다리부(20c)의 측면에 걸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으로 소파 블록(1)의 안정적 인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의 (a)는 몸통부 축 및 다리부 축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소파 블록간 공간부를 대표하는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인접하는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각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를 L, 각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최대폭을 K, 상기 몸통부(10)의 길이를 M, 상기 몸통부 축(11)의 연장선과 다리부 축(21a, 21b, 21c, 21d) 간의 각도를 α라 할 때, α는 45°이상 90° 이하이고, (M+2Lcosα)Lsinα/K2의 값이 1.0 이상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부 축(11)의 연장선과 다리부 축(21a, 21b, 21c, 21d) 사이의 각도 α는 45°~90°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한다.
α값이 45°보다 작으면 소파 블록(1) 간 맞물림 효과가 작아지고, α값이 90°보다 크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간 공간을 대표하는 면적(S)이 작아져 다리부(20a, 20b, 20c, 20d)가 서로 맞물리는 것이 곤란해진다. 도 2에서 상기 α값은 66°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M+2Lcosα)Lsinα/K2의 값은 소파 블록(1)의 안정성 및 구조 강도와 관련된 것으로, 이들에 대하여 차례대로 서술한다.
우선 소파 블록(1)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접 소파 블록(1) 사이에 양호한 맞물림 상태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각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를 길게 하고 단면 폭을 작게 하며, 몸통부(10)의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소파 블록(1)의 안정성은 인접하는 소파 블록(1)의 다리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다른 소파 블록(1)의 다리부가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간부가 좁으면 다리부를 충분히 삽입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소파 블록(1)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L)와 경사각(α), 몸통부(10)의 길이(M),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최대폭(K) 사이에 특정 비율이 되도록 (M+2Lcosα)Lsinα/K2의 값을 1.0 이상으로 설계한다.
여기에서 K2은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수직 단면적(다리부 축이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의 최대치를 의미하며, (M+2Lcosα)Lsinα는 도 7의 (b)에서 빗금친 부분의 면적(S)을 의미한다. 빗금친 부분의 면적(S)은 복수의 소파 블록(1) 간에 양호한 맞물림을 얻기 위해 필요한 블록간 공간을 대표하는 면적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복수의 소파 블록(1)을 횡방향으로 늘어놓고 그 상부에 도 9에서와 같이 소파 블록(1)을 올려쌓는 경우, 인접 소파 블록(1) 사이의 공간, 즉, 도 8의 빗금친 부분의 면적(S')에 다른 소파 블록(1)의 다리부가 위치되도록 맞물리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S'가 일정한 면적 이하이면 다리부의 삽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S'에 다리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S'가 다리부의 단면적과의 관계에서 '일정한 면적'보다 클 것이 요구된다.
상기 '일정한 면적'을 대표하는 것이 블록간 공간을 대표하는 면적이다.
상기 블록간 공간을 대표하는 면적(S)은 도 7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 변의 길이가 M+2Lcosα, 다른 한 변의 길이가 Lsinα인 사각형의 면적으로 대표된다.
여기에서 2Lcosα는 도 7의 (a)에 나타난 다리부 축(21a, 21b)의 몸통부 축(11) 방향으로의 돌출길이인 Lcosα와 다른 다리부 축(21c, 21d)의 몸통부 축(11) 방향으로의 돌출길이인 Lcosα의 합이다.
상기 (M+2Lcosα)Lsinα/K2의 값이 1.0 이상이 되는 범위에서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L)와 경사각(α), 몸통부(10)의 길이(M),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최대폭(K)을 설정하면, 양호한 상태의 맞물림을 얻을 수 있는 소파 블록(1)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를 극단적으로 짧게 설정하더라도 몸통부(10) 길이를 길게 하여 상기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지만,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인접 소파 블록(1) 사이의 공간에 다리부의 충분한 진입이 어려워 양호한 맞물림 상태를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최대폭 대비 다리부(20a, 20b, 20c, 20d) 길이의 비율을 0.85 이상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소파 블록(1)이 적절한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몸통부(10)와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가 짧고, 다리부(20a, 20b, 20c, 20d)의 폭이 큰 것이 유리하며, 몸통부(10)나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가 너무 길면 전단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철근에 의한 보강이 필요하다. 따라서 블록간 공간을 대표하는 면적과 다리부(20a, 20b, 20c, 20d) 최대폭의 제곱의 비를 적절한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M+2Lcosα)Lsinα/K2의 값이 1.8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다. 수치해석 결과, (M+2Lcosα)Lsinα/K2의 값이 1.8 이하이면 철근에 의한 보강 없이 충분한 구조 강도를 얻을 수 있고, 1.8 이상이면 구조 강도상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몸통부(10)의 길이를 극단적으로 길게 설정하더라도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를 짧게 설계하여 상기 식을 만족할 수 있으나, 다리부(20a, 20b, 20c, 20d) 및 몸통부(10)의 길이가 너무 길면 실제 충분한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다리부(20a, 20b, 20c, 20d) 최대폭 대비 몸통부(10) 길이의 비를 0.9 이하로 설정하여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는 상기 몸통부(10) 단부에서 다리부(20a, 20b, 20c, 20d)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지되 테이퍼진 각도(β)는 2°이상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를 외측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한 이유는 소파 블록(1)을 시공할 때 다리부를 인접 소파 블록(1)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상기 β값을 2°보다 작게 하면 소파 블록(1) 설치 작업의 원활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β값을 30° 보다 크게 하면 다리부가 충분히 공간부 사이에 삽입될 수 없어 맞물림 효과가 감소한다. 도 2에서 상기 β값은 6°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는 외측 단부면 둘레를 따라 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10) 및 다리부(20a, 20b, 20c, 20d)는 단면이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외측 단부면 둘레를 따라 모따기를 하는 경우, 거푸집 탈형이 쉽고, 시공시 충돌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 및 다리부(20a, 20b, 20c, 20d)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특히 다리부(20a, 20b, 20c, 20d)의 단면을 다각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소파 블록(1)을 쌓았을 때, 공극률이 커져 파랑 에너지를 감쇄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외측 단면을 팔각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부면을 지면과 평행하도록 구성하여 안정된 지면 접촉이 가능하며, 다리부(20a, 20b, 20c, 20d)의 형상에 맞추어 몸통부(10)도 팔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통부(10) 일단부에 결합된 다리부(20a, 20b)와 타단부에 결합된 다리부(20c, 20d)의 단면 형상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M+2Lcosα)Lsinα/K2의 값 산정시, K 값은 크기가 작은 다리부에 대한 값을 채용하며, L과 α 값은 다른 다리부에 대한 값을 채용한다.
마지막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을 쌓아 올려 형성된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소파 블록(1)의 네 개의 다리부 중 다리부의 외측 단부가 아래를 향하고 있는 다리부를 그 소파 블록(1)의 하부에 있는 인접 소파 블록(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에 진입시켜 서로 맞물리도록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밀도 있는 적층으로 구조체의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1: 소파 블록
10: 몸통부
11: 몸통부 축
20a, 20b, 20c, 20d: 다리부
21a, 21b, 21c, 21d: 다리부 축
22: 헌치부
30: 인양홈
31: 확대요홈
40: 양중 로프

Claims (1)

  1.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몸통부(10) 및 상기 몸통부(10)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된 다리부(20a, 20b, 20c, 20d)로 구성되어 상기 몸통부(10) 단부에 결합되는 두 개의 다리부(20a, 20b와 20c, 20d)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10) 일단부에 결합된 다리부(20a, 20b)와 타단부에 결합된 다리부(20c, 20d)는 서로 축면이 뒤틀리게 배치되는 소파 블록(1)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부(20a, 20b, 20c, 20d)의 길이를 L, 각 다리부(20a, 20b, 20c, 20d)의 최대폭을 K, 상기 몸통부(10)의 길이를 M, 상기 몸통부 축(11)의 연장선과 다리부(20a, 20b, 20c, 20d) 축 간의 각도를 α라 할 때, α는 45°이상 90° 이하이고, (M+2Lcosα)Lsinα/K2의 값이 1.0 이상 1.8 이하이며;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는 상기 몸통부(10) 단부에서 다리부(20a, 20b, 20c, 20d)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지되 테이퍼진 각도(β)는 2°이상 30°이하이며;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는 외측 단부면 둘레를 따라 모따기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20a, 20b, 20c, 20d) 중 어느 하나(20d)의 외측 단부면에는 단부 양측을 관통하는 인양홈(30)이 형성되되, 상기 인양홈(30)의 단부는 다리부(20d)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확대요홈(31)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10) 및 다리부(20a, 20b, 20c, 20d)는 단면이 팔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KR1020130023923A 2013-03-06 2013-03-06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KR10125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923A KR101259947B1 (ko) 2013-03-06 2013-03-06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923A KR101259947B1 (ko) 2013-03-06 2013-03-06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947B1 true KR101259947B1 (ko) 2013-05-02

Family

ID=4866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923A KR101259947B1 (ko) 2013-03-06 2013-03-06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94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295B1 (ko) * 2014-04-09 2014-05-27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1400283B1 (ko) 2014-04-09 2014-05-27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소파블록의 거치방법 및 소파블록이 거치된 방파제
KR102085363B1 (ko)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81955B1 (ko) 2020-05-27 2020-11-23 황연호 방사형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KR102343393B1 (ko) * 2021-01-14 2021-12-27 주식회사 신아이엔씨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의 배치구조
KR20220085484A (ko) 2020-12-15 2022-06-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456171B1 (ko) * 2022-05-20 2022-10-18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 또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11721A (ko) 2021-07-14 2023-01-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지지력을 강화한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537469B1 (ko) * 2022-11-24 2023-05-30 서영준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21003B1 (ko) * 2023-07-24 2024-01-04 이자윤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295B1 (ko) * 2014-04-09 2014-05-27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1400283B1 (ko) 2014-04-09 2014-05-27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소파블록의 거치방법 및 소파블록이 거치된 방파제
KR102085363B1 (ko)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74979A (ko) 2019-12-12 2021-06-22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81955B1 (ko) 2020-05-27 2020-11-23 황연호 방사형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KR20220085484A (ko) 2020-12-15 2022-06-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559240B1 (ko) * 2020-12-15 2023-07-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343393B1 (ko) * 2021-01-14 2021-12-27 주식회사 신아이엔씨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의 배치구조
KR20230011721A (ko) 2021-07-14 2023-01-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지지력을 강화한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456171B1 (ko) * 2022-05-20 2022-10-18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 또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37469B1 (ko) * 2022-11-24 2023-05-30 서영준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21003B1 (ko) * 2023-07-24 2024-01-04 이자윤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947B1 (ko)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KR102085363B1 (ko)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27393B1 (ko) 양방향 및 일방향 조적벽 내진 보강방법
KR101521438B1 (ko) 삼각 단위 조립체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산사태 방지 배수성 옹벽 축조방법
KR102027848B1 (ko)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제조 방법
KR1022933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534427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
JP5023236B1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マス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2312995B1 (ko)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20160009725A (ko) 소파블록
CN218622790U (zh) 一种抗震叠合墙
US20220316165A1 (en) Structure to prevent soil loss in slope of river and coas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310868B1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102336008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1086885B1 (ko) 다수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 방법
RU188339U1 (ru) Ферменный заполнитель многослойной панели
CN110714442A (zh) 一种护坡板以及柔性连接护面系统
KR20210015961A (ko) 장축과 단축을 구비한 블록과 등축 길이의 블록에 의한 옹벽 구조
RU142954U1 (ru)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варианты)
KR101241328B1 (ko) 케이슨 들고리 구조
JP6151658B2 (ja) 合成PCa版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
JP3199083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中間ユニットブロック体
RU142110U1 (ru)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варианты)
KR20230047647A (ko)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20230047645A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