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003B1 -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003B1
KR102621003B1 KR1020230096095A KR20230096095A KR102621003B1 KR 102621003 B1 KR102621003 B1 KR 102621003B1 KR 1020230096095 A KR1020230096095 A KR 1020230096095A KR 20230096095 A KR20230096095 A KR 20230096095A KR 102621003 B1 KR102621003 B1 KR 102621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rner
tip
tetrapo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윤
Original Assignee
이자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자윤 filed Critical 이자윤
Priority to KR102023009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각부(20); 및 상기 네 개의 각부(20)의 선단부(50)에 모두 마련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인양홈(51);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세 각부(20)는 모두, 상기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선단부(50)과 모두 교차하는 소정의 동일 가상평면(P) 상에 배치되는 인양홈(51)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이다.

Description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Tetrapod, oceanic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파블록, 이를 거치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트라포드와,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과,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파블록은, 해수와 파도의 에너지를 소산시켜 항만이나 해양구조물이 해수와 파도로 인해 피해를 않도록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거치(정적)되거나 불규칙적으로 거치(난적)되는 단위블록이다.
널리 알려진 이른바 테트라포드는 톤수가 작은 블록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른바 씨락(등록특허공보 제991914호 참고), 돌로스(등록특허공보 제1400295호 참고)는 톤수가 큰 블록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들 중 씨락과 돌로스와 같은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 단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각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 단부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수평각부를 구비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사면에 이러한 소파블록을 거치할 때에는, 사면 위쪽에 수평각부를 거치하고, 수직각부가 사면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거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각부와 수직각부 사이의 몸체는 그보다 하부단에 거치된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들이 이웃하는 부분에 얹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거치방법에 따르면,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몸체만이 그 하부단에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에 의해 지지될 뿐,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직각부가 그 하부단에 거치된 다른 소파블록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떠 있는 형태가 되어 자세가 불안정하다.
고중량의 콘크리트 블록이 불안정한 자세로 거치되면, 파랑에 의해 요동(rocking)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블록의 취약부, 가령 씨락 또는 돌로스의 몸체부의 전단 파괴의 원인이 된다.
이렇게 파괴된 소파블록은 자중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설계 파고 이내의 파랑에도 육측이나 해측으로 쉽게 떠밀려버리고, 이에, 거치되어 있던 다른 소파블록들이 무너져버려, 해양구조물이 부분적으로 붕괴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테트라포드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의 구조를 가지므로, 방향성이 없다는 점에서 시공이 용이하고, 거치 자세가 안정적이어서 요동 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반면, 별도의 몸체가 없이 각부만으로 이루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톤수를 늘리기 위해 각부의 직경을 크게 하면, 체적 대비 표면비가 크게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양생 시 수화열이 배출되지 못하여, 콘크리트 양생 중 크랙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런 연유로, 테트라포드는 자중을 키우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낚시 등을 즐기던 사람이 실족하여, 테트라포드를 적용하여 구축한 해양구조물 내부로 빠져버리게 되면, 테트라포드의 점대칭 형상으로 인해 사람이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 없어, 인명 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잦았다.
그리고 씨락, 돌로스와 달리 테트라포드의 단조로운 표면 형상은, 소파 효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원인이 되었다.
또한 테트라포드는, 방향성이 없다는 점에서 시공이 용이하지만, 각부들만 연결된 점에서 인양고리를 안정적으로 걸 수 있는 부위가 부족하여 인양이나 취급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테트라포드 형상의 소파블록임에도 불구하고 톤수를 늘리기 위해 각부의 직경을 크게 하더라도 체적 대비 표면비가 크게 줄어들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 양생 시 수화열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중을 크게 할 수 있는 테트라포드와,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트라포트의 표면에 사람이 발로 디딜 수 있는 모서리와 평탄면을 다수 제공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테트라포드와,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의 표면에 사람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모서리와 파지 형상을 구현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테트라포드와,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표면 형상을 가지는 테트라포드와,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떠한 자세에서도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한 테트라포드와,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각부(20)를 구비하는 테트라포드(1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각부(20)는, 중심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이 작아지며 연장되는 뿔대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각부(20)는, 중심으로부터 선단으로 단면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상기 각부(2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상기 각부(2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정다각형은 정육각형일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상기 각부(20)의 단면은, 둘레를 따라 원형의 프로파일과 정다각형의 프로파일이 교호로 배치된 혼합 프로파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각부(20)의 둘레면은, 이웃하는 두 각부(20)를 연결하는 3개의 제1둘레면(31)과, 이웃하는 세 각부(20)를 연결하는 3개의 제2둘레면(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제1둘레면(31)은 L자 내지 V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제2둘레면(32)은 Y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제1둘레면(31)과 3개의 제2둘레면(32)은, 호형의 프로파일일 수 있다.
상기 3개의 제1둘레면(31)과 3개의 제2둘레면(32)은, 정육각형의 각 모서리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제1둘레면(31)과 3개의 제2둘레면(32) 중 어느 한 쪽은, 직선 형태의 프로파일이고, 다른 한 쪽은 호형 프로파일일 수 있다.
상기 3개의 제1둘레면(31)과 3개의 제2둘레면(32)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은, 원형의 프로파일과 정다각형의 프로파일이 교호로 배치된 혼합 프로파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테트라포드(10)는, 상기 네 개의 각부(20)의 선단부(50)에 모두 마련되는 인양홈(51)을 포함한다.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인양홈(51)이 마련될 수 있다.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선단부(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곧게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인양홈(5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상기 인양홈(51)에 의해 규정되는 6개의 돌출부(52)가 마련될 수 있다.
어느 한 각부(20)의 선단부(50)의 선단면을 기준으로, 나머지 세 각부(20)는 상기 선단부(50)의 선단면의 중심으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각부(20)의 선단부(50)의 선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나머지 세 각부(20)의 연장방향은 120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어느 한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상기 3개의 인양홈(51)의 연장 방향은 모두, 상기 한 각부(20)로부터 나머지 세 각부(20)가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난다.
상기 한 각부(20)의 선단부(50)에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인양홈(51)의 제1사이각(b)은 실질적으로 60도일 수 있다.
상기 한 각부(20)의 선단부(50)에서, 인양홈(51) 및 그와 인접하는 다른 각부(20)의 연장방향의 제2사이각(c)은 실질적으로 30도일 수 있다.
상기 각부(2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이고, 상기 인양홈(51)은 상기 정육각형의 꼭지점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2)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일 수 있다.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선단부(50)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도형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세 변에 대응하도록 곧게 연장된 3개의 인양홈(51)이 마련될 수 있다.
어느 한 각부(20)에 마련된 각 인양홈(51)은, 다른 세 개의 각부(20) 중 선택된 2개의 각부(20)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양홈(51)의 내측면은, 각부(20)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홈경사각(d)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양홈(51)의 홈경사각(d)은 실질적으로 0도 초과 19.5도 이하일 수 있다.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선단부(50)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곧게 연장된 3개의 인양홈(51)이 마련될 수 있다.
어느 한 각부(20)에 마련된 각 인양홈(51)은, 다른 세 개의 각부(20) 중 선택된 2개의 각부(20)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세 각부(20)는 모두, 상기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선단부(50)과 모두 교차하는 소정의 동일 가상평면(P) 상에 배치되는 인양홈(51)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인양홈(51)은, 상기 선단부(5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양홈(51)의 단면 형상은 등변 사다리꼴 또는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각부(20)의 둘레면과 대응하는 상기 돌출부(52)의 외측면 또는 상기 선단부(50)의 외측면은, 상기 각부(20)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외측경사각(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경사각(e)은 실질적으로 19.5도 이상일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각부(20)는, 상기 두 각부(20)의 각각의 정육각형 단면의 한 변에 의해 규정되는 제1둘레면(31)이 L자 내지 V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하는 세 각부(20)는, 상기 세 각부(20)의 각각의 정육각형 단면의 한 변에 의해 규정되는 제2둘레면(32)이 Y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부(2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52)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부채꼴일 수 있다.
상기 둘레면(30)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부홈(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둘레면(31)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각부홈(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둘레면(32)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각부홈(4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의 경계부에는, 각부(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각부홈(43)이 마련될 수 있다.
각부(20)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3각부홈(43)이 마련된 위치는 상기 인양홈(51)이 마련된 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3각부홈(43)과 인양홈(51)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각부홈(43)과 인양홈(5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하는 각부(20)의 각부홈(40)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제1각부홈(41)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제2각부홈(42)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한 쌍의 제3각부홈(43)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웃하는 각부(20)의 각부홈(4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제1각부홈(4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제2각부홈(4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한 쌍의 제3각부홈(43)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둘레면(30)에 대한 상기 각부홈(40)의 함몰경사각(a)은 30도 이하 또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둘레면(31)에 대한 상기 제1각부홈(41)의 함몰경사각(a)은 3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둘레면(32)에 대한 상기 제2각부홈(42)의 함몰경사각(a)은 3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둘레면(31) 또는 제2둘레면(32)에 대한 상기 제3각부홈(43)의 함몰경사각(a)은 9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부홈(40)의 함몰내각(f)은 120도 이상 또는 6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각부홈(41) 또는 제2각부홈(42)의 함몰내각(f)은 12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3각부홈(43)의 함몰내각(f)은 6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3각부홈(43)의 함몰내각(f)은 실질적으로 90도일 수 있다.
상기 각부홈(40)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각부홈(41)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각부홈(42)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각부홈(43)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앵커(60)는, 각부(20)에 매립된 매립콘(70)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매립콘(70)은, 각부(20)의 표면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60)는 버섯형 앵커, T자형 앵커, L자형 앵커, 및 U자형 앵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60)는 상기 각부(20)의 둘레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각부홈(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테트라포드(10)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상기 테트라포드(10)를 복수 개 거치하여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테트라포드(10)는 1층적, 1.5층적, 2층적, 또는 난적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테트라포드(10)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공방법은, 거푸집으로 상기 테트라포드(10)를 제작하는 단계와, 지면에 접하는 세 각부(20)에 각각 마련된 인양홈(51)에 인양고리(80)를 각각 걸어 인양하는 단계와, 인양된 테트라포드(10)를 구축할 해양구조물의 소정 위치에 거치한 뒤 인양홈(51)으로부터 인양고리(8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부의 둘레면에 마련된 각부홈과 각부의 선단부에 마련된 인양홈 형상에 의해, 테트라포드의 표면적을 더 확보하여 수화열 배출 표면을 확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트라포드의 톤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부홈과 인양홈의 요철 형상으로 인해, 수류 분리와 수류 전환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이에 따라 소파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트라포드의 표면에 사람이 발로 디딜 수 있고 사람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모서리와 평탄면과 파지부를 전체적으로 제공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각부의 선단부에 마련된 인양홈을 통해, 테트라포드의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고, 테트라포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채로운 테트라포드의 표면 형상에도 불구하고, 거푸집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거푸집의 구조가 복잡해지지 아니하고, 제조 과정도 복잡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트라포드의 각부의 세장비가 크지 않아, 전단 파괴에 매우 강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소파블록의 상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소파블록의 상부에 배치된 각부만을 확대하여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각부에 매립된 매립콘과, 거기에 고정되며 각부 외부로 노출되는 버섯형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U자형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T자형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L자형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인양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을 거치하여 형성한 해양구조물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XXIII-XXIII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XXX-XXXX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XXXVII-XXCVII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제1면과 제2면이 연결되어 있다고 하면 그 사이에 다른 면(예를 들면 모따기면, 라운드면, 챔퍼면 등)이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형상을 한정함에 있어서, 실질적이라는 표현은, 엄밀하지 않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가령 정육각형의 꼭지점 부위에 소정의 챔퍼나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는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이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육각형의 모서리 중간 부분에 홈 형상이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는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이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전방은 외해를 바라보고, 후방은 내해를 바라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전방은 해측을 바라보고, 후방은 육측을 바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은, 방파제, 돌제, 잠제, 안벽, 물양장, 호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소파블록은 철근을 배근하지 않는 무근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철근을 배근할 수도 있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 면이 대응된다고 함은, 그 두 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고 함은 엄밀한 수학적 의미가 아니라, 발명의 과제 해결 원리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그와 같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소파블록]
<제1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은,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각부(20)를 구비하는 테트라포드(10)이다.
상기 각부(20)는,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이 작아지며 연장되는 뿔대 형태를 가진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각부(20)가, 중심으로부터 선단으로 단면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기둥 형태인 것을 배제하지 않고, 상기 각부(2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거나, 다른 정다각형이거나, 원형의 일부분들과 정다각형의 일부분들이 둘레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치된 형태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각부(20)의 둘레면은, 이웃하는 두 각부(20)를 연결하는 3개의 제1둘레면(31)과, 이웃하는 세 각부(20)를 연결하는 3개의 제2둘레면(32)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둘레면(31)은 정육각형 단면 형상의 서로 이웃하지 않는 세 변과 대응하고, 상기 제2둘레면(32)은, 나머지 세 변과 대응한다. 즉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은, 각부(20)의 둘레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제1둘레면(31)은 "ㅅ"자 형태로 연결되고,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제2둘레면(32)은 "Y"자 형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테트라포드(10)를 지면에 거치하였을 때, 제2둘레면(32)의 선단 모서리 부위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테트라포드(10)는, 상기 네 개의 각부(20)의 선단부(50)에 모두 마련되는 인양홈(51)을 포함한다.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선단부(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곧게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인양홈(51)이 마련된다.
상기 한 각부(20)의 선단부(50)에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인양홈(51)의 제1사이각(b)은 60도 내외이다. 상기 인양홈(51)은, 상기 각부(20)의 정육각형 단면 형상에서, 정육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두 꼭지점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인양홈(51)의 배치를 통해, 인양홈(51)의 연장 길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요철 구조는, 소파 효과를 증대시킨다.
한편, 어느 한 각부(20)의 선단부(50)를 기준으로, 나머지 세 각부(20)는 상기 선단부(50)의 중심으로부터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어느 한 각부(20)의 선단부(50)의 중심을 기준으로, 나머지 세 각부(20)의 연장방향은 120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각부(20)의 선단부(50)에서, 인양홈(51) 및 그와 인접하는 다른 각부(20)의 연장방향의 제2사이각(c)은 30도 내외이다.
이에 따라, 어느 한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상기 3개의 인양홈(51)의 연장 방향은 모두, 상기 한 각부(20)로부터 나머지 세 각부(20)가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난다.
아울러, 각각 3개의 인양홈(51)을 구비하는 각부(20)들 중 이웃하는 세 각부(20)는, 상기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선단부(50)와 모두 교차하는 소정의 동일 가상평면(P, 도 3 및 도 6 등 참조) 상에 배치되는 인양홈(51)을 각각 구비한다. 즉, 지면에 놓인 세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모두, 수평하게 연장되는 인양홈(51)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각부(20)의 인양홈(51)에 인양고리(80)를 걸어 소파블록(10)을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효과는, 테트라포드(10)의 네 각부(20) 중 임의의 조합으로 선택된 세 각부(20)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즉 테트라포드(10)의 네 각부(20) 중 어느 각부(20)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더라도, 위와 같이 테트라포드(10)의 인양이 안정적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상기 인양홈(51)에 의해 규정되는 6개의 돌출부(52)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52)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상기 인양홈(51)은, 상기 선단부(50)의 표면으로부터 테트라포드(10)의 중심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인양홈(51)의 단면 형상은, 가령 등변 사다리꼴 형상이다. 이처럼 상기 인양홈(51)의 내측면은, 각부(20)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홈경사각(d)을 가지며, 상기 인양홈(51)의 홈경사각(d)은 0도 초과 19.5도 이하가 된다. 홈경사각(d)이 19.5도를 초과하면, 인양고리(80)가 인양홈(51) 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기 어렵다.
상기 인양홈(51)의 내측면은, 상기 돌출부(52)의 내측면과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부(20)의 둘레면과 대응하는 상기 돌출부(52)의 외측면은, 상기 각부(20)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외측경사각(e)을 가지며, 상기 외측경사각(e)은 실질적으로 19.5도 이상이 된다. 외측경사각(e)이 19.5도 미만이면, 테트라포드(10)를 지면 상에 거치할 때, 돌출부(52)의 외측면 선단 모서리가 지면에 접하고, 해당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돌출부(52)의 파손 우려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상기 둘레면(30)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부홈(40)이 마련된다. 상기 연장방향으로 바라본 상기 각부홈(40)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이등변 삼각형이고, 그 형상은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부홈(40)의 연장방향 양 단부에도 헌치 형상이 마련된다.
상기 제1둘레면(31)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각부홈(41)이 마련되고, 상기 제2둘레면(32)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각부홈(42)이 마련된다.
이웃하는 각부(20)들 각각의 각부홈(40)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제1각부홈(41)들은, 두 각부(20)의 경계 부위에서 끊어진 형태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제2각부홈(42)들은, 세 각부(20)의 경계 부위에서 끊어진 형태를 가진다.
즉 이웃하는 두 각부(20)의 제1각부홈(41)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제2각부홈(42)들도, 서로 연결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테트라포드(10)의 각부(20)들의 경계 부위의 강성을 보강함과 더불어, 소파블록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더 형성하여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둘레면(30)에 대한 상기 각부홈(40)의 함몰경사각(a)은 30도 이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각부홈(40)의 함몰내각(f)은 120도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둘레면(31)에 대한 상기 제1각부홈(41)의 함몰경사각(a)은 30도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경사각(a)은 25도 내지 31도일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내각(f)은, 118도 내지 130도일 수 있다.
상기 함몰경사각(a)이 25도보다 작으면, 각부홈(40)의 요철 정도가 미비하여 소파 효과가 떨어지고, 사람이 디디거나 파지하기 어려우며, 소파블록의 표면적 증가 효과도 떨어진다.
한편, 상기 함몰경사각(a)이 30도보다 크면, 거푸집의 탈거가 어렵게 된다. 구체적으로, 테트라포드형 소파블록의 거푸집은, 동일 형상의 부분거푸집 4개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부분거푸집은,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제2둘레면(32)과 대응하는 면,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2둘레면(32)의 양측에 배치된 제1둘레면(31)의 1/2에 해당하는 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거푸집의 형상에 따라, 제2둘레면(32)은 부분거푸집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반면, 제1둘레면(31)은 부분거푸집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된다. 따라서 제2둘레면(32)에 마련된 제2각부홈(42)의 함몰경사각(a)은 30도보다 더욱 커도 무방하지만, 제1둘레면(31)에 마련된 제1각부홈(41)의 함몰경사각(a)은 대략 30도 정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둘레면(32)에 마련된 제2각부홈(42)의 함몰경사각(a)은, 상기 제1둘레면(31)의 함몰경사각(a)보다 1배 이상 3배 미만으로 더 클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둘레면(32)에 대한 상기 제2각부홈(42)의 함몰경사각(a)이 1배인 형태가 예시된다.
상기 각부홈(40)의 형상은, 직사각 프리즘 형태(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은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이고, 상단부는 장변과 대응하는 직선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각부홈(40)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각부홈(41)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각부홈(42)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각부홈(41)에만 선택적으로 앵커(60)가 마련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앵커(60)는, 각부(20)에 매립된 매립콘(70) 체결된 형태로 상기 테트라포드(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매립콘(70)은, 각부(20)의 표면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립콘(70)은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매립콘(70)이 거푸집 내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거푸집 외면 쪽에서 상기 거푸집을 관통하며 상기 매립콘(70)에 앵커(60)를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매립콘(70)은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로 양생이 진행된다.
양생이 끝난 뒤 앵커(60)를 해체하고 거푸집을 탈거하면, 상기 매립콘(70)의 상부 면을 통해 마련된 앵커 체결홀이 상기 각부(20)의 표면으로 노출된다. 이처럼 노출된 매립콘(70)에 다시 앵커(60)를 체결하면, 상술한 앵커(6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앵커(60)는 버섯형 앵커(도 12 참조), U자형 앵커(고 13 참조), T자형 앵커(도 14 참조), 및 L자형 앵커(도 15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버섯형 앵커를 적용한 테트라포드(10)를 개시한다.
상기 앵커(60)는 상기 각부(20)의 둘레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각부홈(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60)가 다른 테트라포드(10)와 부딪히며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해양구조물에서 테트라포드(10) 사이에 추락한 사람이 앵커(60)에 부딪혀 다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양고리(80)가 앵커(60)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소파블록의 취급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테트라포드(10)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공방법은, 거푸집으로 상기 테트라포드(10)를 제작하는 소파블록 제작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지면에 접하는 세 각부(20)에 각각 마련된 인양홈(51)에 인양고리(80)를 각각 걸어 인양하는 소파블록 인양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인양된 테트라포드(10)를 구축할 해양구조물의 소정 위치에 거치한 뒤 인양홈(51)으로부터 인양고리(80)를 제거하는 소파블록 거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소파블록과 그 시공방법을 통해 시공된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가령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트라포드(10)를 복수 개 거치하여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테트라포드(10)는 1층적, 1.5층적, 2층적, 또는 난적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층적 테트라포드 형태로 구축된 해양구조물을 예시한다. 앞서 실시예는 사면에 소파블록이 놓임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잠제를 구축하기 위해 사면이 아닌 수평면 상에 놓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상기 테트라포드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은, 방파제, 돌제, 잠제, 안벽, 물양장, 호안 등 다양한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제1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의 각부(20)는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점차 단면이 작아지며 연장되는 뿔대 형태를 가진다. 각부(20)의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은, 각각 정육각형 단면 형상의 변에 대응한다.
테트라포드(10)의 둘레면(30)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부홈(40)이 마련된다. 상기 연장방향으로 바라본 상기 각부홈(40)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이등변 삼각형이고, 그 형상은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이등변 삼각형은, 가령 직각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부홈(40)의 연장방향 선단부에 헌치 형상이 마련된다. 반면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각부홈(40)은 이웃하는 두 각부 사이에서 헌치 없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둘레면(31)의 표면과 상기 제2둘레면(2)의 표면의 경계 부위에서,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각부홈(43)이 마련된다. 상기 제3각부홈(43)은, 각부(20)의 정육각형 단면 형상의 꼭지점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제1각부홈과 제2각부홈이 생략된 형태를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10)가 제1각부홈(41), 제2각부홈(42), 및 제3각부홈(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거나, 모두를 구비하거나, 모두 구비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이웃하는 두 각부(20)에 마련된 제3각부홈(43)은,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이웃하는 두 각부(20)는,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3각부홈(43)을 가진다.
상기 둘레면(30)에 대한 상기 제3각부홈(43)의 함몰경사각(a)은 90도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둘레면(31) 또는 제2둘레면(32)에 대한 상기 제3각부홈(43)의 함몰경사각(a)은 90도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경사각(a)은 70도 내지 8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75도 내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3각부홈(43)의 함몰내각(f)은 60도 이상이며, 구체적으로 80도 내지 100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도 내외일 수 있다.
상기 함몰경사각(a)이 80도 초과이거나 함몰내각(f)이 80도 미만이면, 소파블록의 거푸집을 4개의 부분거푸집으로 제작하기 어렵다.
반면 함몰경사각(a)이 70도 이하이거나 함몰내각(f)이 100도 이상이면, 함몰 깊이가 얕아져 소파 효과나 소파블록의 단면적 증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3각부홈(43)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L자형 앵커가 적용됨을 예시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각부(20)의 둘레방향으로 제3각부홈(43)이 마련된 위치와, 인양홈(51)이 마련된 위치가 상호 대응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각부홈(43)과 인양홈(51)은, 제3각부홈(43)의 연장방향 선단부에 마련된 헌치 형상으로 인해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 이는 표면의 굴곡 프로파일을 증가시켜 파도의 에너지 소산 효과를 증대시킨다.
<제3실시예>
이하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실시예의 테트라포드(10)는, U자형 앵커(60)를 매립한 점에서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앵커(60)는 U 자 형상의 양단부가 소파블록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된다.
아울러 제3실시예의 테트라포드(10)는, 제3각부홈(43)과 인양홈(51)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제4실시예>
이하 도 27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실시예의 테트라포드(10)는,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각부(20)가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뿔대 형태이다. 이에 따라, 각부(20)의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은, 대략 60도의 내각을 가지는 원호면 형태의 표면을 가진다. 또한 선단부(50)의 외측면 역시, 가령 19.5도의 외측경사각(e)을 가질 수 있다.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6개의 제3각부홈(43)은 6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이 곡면인 점에서, 제3각부홈(43)의 함몰경사각(a)을 규정하기 어렵지만, 제3각부홈(43)의 함몰내각(f)을 통해 그 형상을 충분히 특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5실시예>
이하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4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5실시예의 테트라포드(10)는, 제4실시예와 대비하여, 인양홈(51)의 배치와 이에 따른 선단부(50)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선단부(50)에는 3개의 인양홈(51)이 마련되며, 상기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원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세 변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가상의 원과 가상의 정삼각형이 실질적으로 내접하는 위치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면을 기준으로 나머지 세 각부(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한다. 이에 따라, 도 33에서, 어느 한 인양홈(51)은, 나머지 세 각부(20) 중 어느 두 각부(20)의 기단부를 선분으로 연결한 것과 같은 형태가 된다. 아울러, 두 인양홈(51)은, 그 연장방향의 가장자리를 서로 공유하게 된다.
상기 인양홈(51)에 의해 상기 선단부(50)의 중앙부에는 큰 정삼각형 형태의 제1돌출부(52-1)와, 정삼각형 각 변의 외측에 마련된 현 형태의 3개의 제2돌출부(52-2)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52-1)의 측면과 제2돌출부(52―2)의 내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인양홈(51)의 홈경사각(d)은, 앞서 실시예들과 다를 바 없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돌출부(52-2)의 외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외측경사각(e)도, 앞서 실시예들과 다를 바 없다.
제5실시예에서는 제1돌출부(52-1)와 제2돌출부(52-2)의 돌출 높이가 상호 대응하는 형태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돌출부(52-1)의 돌출 높이가 제2돌출부(52-2)의 돌출 높이보다 더 크도록 설정하여, 인양 단계에서 제1돌출부(52-1)에 의한 인양 지지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되, 상대적으로 낮은 제2돌출부(52-2)에 의해 인양고리(80)의 삽탈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제2돌출부(52-2)는, 소파블록을 지면에 거치하였을 때 제2돌출부(5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높여준다.
상기 선단부(50)의 둘레 쪽으로 노출된 인양홈(51)의 단부는, 제3각부홈(43)과 어긋하게 배치된다. 이들 사이의 간극은 대략 30도 정도이다.
만약 제1실시예와 같이 각부(20)에 제1각부홈(41)이 형성된 경우, 가장자리를 공유하는 두 인양홈(51)의 가장자리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제1각부홈(41)의 둘레방향 위치가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양홈(51)과 제1각부홈(41)은,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제3각부홈(43)과 인양홈(51)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서로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인양홈(51)과 제1각부홈(41)이, 방향 전환이 크게 이루어지는 수류 홈을 구성하게 되어, 소파 효과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체적 대비 표면적 확보에도 유리하다.
<제6실시예>
이하 도 34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5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제5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둘레면(32)에 소정의 평탄면(33)이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평탄면(33)은, 각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기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Y자 형태를 가진다. 상기 평탄면(33)은, 사람이 디딜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2둘레면(32)은, 원형의 프로파일과 다각형의 프로파일이 조합된 표면을 제공한다.
제6실시예는, 평탄면(33)이 제2둘레면(32)에 마련됨을 예시한다. 그러나 상기 평탄면(33)이 제1둘레면(31)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7실시예>
이하 도 38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7실시예의 테트라포드(10)는, 6개의 제3각부홈(43)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테트라포드(10)의 각부(20)는 소정의 외측경사각(e)이 형성된 선단부(50)를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부(50)는 실질적으로 정육각형 뿔대 형상임을 예시하나, 원형 단면의 각부(20)와 원형 단면의 선단부(50)를 구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선단부(50)의 외측면에는, 3개의 인양홈(51)이 마련된다. 3개의 인양홈(51)은 정육각형의 서로 이격된 세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외측면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이며, 외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인양홈(51)은, 제2둘레면(32)과 대응하는 선단부(50)의 외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인양홈(51)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둘레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인양홈(51)의 양단부는,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제3각부홈(43)과 각각 연통한다. 즉 상기 제3각부홈(43)의 연장방향의 선단부는 상기 인양홈(5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인양홈(51)과 제3각부홈(43)이, 방향 전환이 크게 이루어지는 수류 홈을 구성하게 되어, 소파 효과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체적 대비 표면적 확보에도 유리하다.
상기 인양홈(51)의 내각은 약 90도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인양홈(51)의 내각 및/또는 함몰 깊이를, 상기 제3각부홈(43)과 대응하도록 제작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형상으로 인양홈(51)과 제3각부홈(43)의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소파블록을 지면에 올려 놓았을 때, 지면에 놓인 세 각부(20)의 하부에 마련된 인양홈(51)들이 동일 가상평면(P) 상에 배치된다.
인양고리(80)의 착탈을 고려하여, 상기 선단부(50)의 외측경사각(e)을 19.5도보다 더욱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지면과 마주하는 인양홈(51)은, 지면에 지지되는 소파블록의 바닥면에 요철 형상을 제공하여, 소파블록이 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해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테트라포드
20: 각부
30: 둘레면
31: 제1둘레면
32: 제2둘레면
33: 평탄면
40: 각부홈
a: 함몰경사각
f: 함몰내각
41: 제1각부홈
42: 제2각부홈
43: 제3각부홈
50: 선단부
51: 인양홈
b: 제1사이각
c: 제2사이각
d: 홈경사각
52, 52-1, 52-2: 돌출부
e: 외측경사각
60: 앵커
70: 매립콘
80: 인양고리
P: 가상평면

Claims (30)

  1. 가상의 정사면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각부(20); 및
    상기 네 개의 각부(20)의 선단부(50) 각각에 모두 마련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인양홈(51);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세 각부(20)는 모두, 상기 이웃하는 세 각부(20)의 선단부(50)과 모두 교차하는 소정의 동일 가상평면(P) 상에 배치되는 인양홈(51)을 각각 구비하는, 테트라포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곧게 연장된, 테트라포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한 각부(20)의 3개의 인양홈(51)의 연장 방향은, 상기 한 각부(20)로부터 나머지 세 각부(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모두 어긋나는, 테트라포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각부(20)의 선단부(50)에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인양홈(51)의 제1사이각(b)은 실질적으로 60도이고, 인양홈(51) 및 그와 인접하는 다른 각부(20)의 연장방향의 제2사이각(c)은 실질적으로 30도인, 테트라포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상기 인양홈(51)에 의해 규정되는 6개의 돌출부(52)가 마련되고,
    상기 각부(20)의 둘레면과 대응하는 상기 돌출부(52)의 측면이 상기 각부(20)의 연장방향과 이루는 외측경사각(e)은 실질적으로 19.5도 이상인, 테트라포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부(2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이고,
    상기 인양홈(51)은 상기 정육각형의 꼭지점으로 연장되는, 테트라포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부(20)의 선단부(50)에는, 상기 인양홈(51)에 의해 규정되는 6개의 돌출부(52)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52)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인, 테트라포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도형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세 변에 대응하도록 곧게 연장된, 테트라포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어느 한 각부(20)에 마련된 각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선단면을 기준으로, 다른 세 개의 각부(20) 중 선택된 2개의 각부(20)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된, 테트라포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외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테트라포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어느 한 각부(20)에 마련된 각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선단면을 기준으로, 다른 세 개의 각부(20) 중 선택된 2개의 각부(20)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된, 테트라포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양홈(51)은, 표면으로부터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테트라포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양홈(51)의 단면 형상의 홈경사각(d)은 실질적으로 19.5도 이하인, 테트라포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부(20)의 둘레면(30)은, 이웃하는 두 각부(20)를 연결하는 3개의 제1둘레면(31)과, 이웃하는 세 각부(20)를 연결하는 3개의 제2둘레면(32)으로 구분되고,
    상기 둘레면(30)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부홈(40)이 마련된, 테트라포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각부(20)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이고,
    이웃하는 두 각부(20)는, 상기 두 각부(20)의 각각의 정육각형 단면의 한 변에 의해 규정되는 제1둘레면(31)이 L자 형태로 연결되고,
    이웃하는 세 각부(20)는, 상기 세 각부(20)의 각각의 정육각형 단면의 한 변에 의해 규정되는 제2둘레면(32)이 Y자 형태로 연결된, 테트라포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둘레면(31)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각부홈(41)이 마련되고,
    상기 제1각부홈(41)의 함몰내각(f)은 120도 이상인, 테트라포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둘레면(32)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각부홈(42)이 마련된, 테트라포드.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의 표면의 경계부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각부홈(43)이 마련되고,
    상기 제3각부홈(43)의 함몰내각(f)은 60도 이상인, 테트라포드.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1둘레면(31)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각부홈(41)이 마련되고,
    상기 제1각부홈(41)은,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인양홈(51) 사이에 배치된, 테트라포드.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도형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세 변에 대응하도록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1둘레면(31)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각부홈(41)이 마련되고,
    상기 제1각부홈(41)은, 둘레방향으로, 상기 가상의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테트라포드.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2둘레면(32)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각부홈(42)이 마련되고,
    상기 제2각부홈(42)은, 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인양홈(51) 사이에 배치된, 테트라포드.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도형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세 변에 대응하도록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2둘레면(32)의 표면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각부홈(42)이 마련되고,
    상기 제2각부홈(42)은, 둘레방향으로, 상기 가상의 정삼각형의 변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테트라포드.
  23. 청구항 14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의 표면의 경계부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각부홈(43)이 마련되고,
    상기 제3각부홈(43)은, 둘레방향으로, 인양홈(51)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테트라포드.
  24. 청구항 14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도형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세 변에 대응하도록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의 표면의 경계부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각부홈(43)이 마련되고,
    상기 제3각부홈(43)은, 둘레방향으로, 상기 가상의 정삼각형의 변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테트라포드.
  25. 청구항 14에 있어서,
    각 각부(20)의 선단부(50)에 마련된 3개의 인양홈(51)은, 선단부(50)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외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둘레면(31)과 제2둘레면(32)의 표면의 경계부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각부홈(43)이 마련되고,
    상기 제3각부홈(43)은, 둘레방향으로, 인양홈(51)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테트라포드.
  2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각부홈(40)에는, 각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앵커(60)가 마련된, 테트라포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앵커(60)는 버섯형 앵커, T자형 앵커, L자형 앵커, 및 U자형 앵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앵커(60)는 상기 각부(20)의 둘레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각부홈(40) 내에 배치되는, 테트라포드.
  2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의 테트라포드(10)를 적용한 해양구조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거푸집으로 상기 테트라포드(10)를 제작하는 단계;
    지면에 접하는 세 각부(20)에 각각 마련된 인양홈(51)에 인양고리(80)를 각각 걸어 인양하는 단계; 및
    인양된 테트라포드(10)를 구축할 해양구조물의 소정 위치에 거치한 뒤, 인양홈(51)으로부터 인양고리(80)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시공 방법.
  3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의 테트라포드(10)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0230096095A 2023-07-24 2023-07-24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62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095A KR102621003B1 (ko) 2023-07-24 2023-07-24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095A KR102621003B1 (ko) 2023-07-24 2023-07-24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003B1 true KR102621003B1 (ko) 2024-01-04

Family

ID=8954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095A KR102621003B1 (ko) 2023-07-24 2023-07-24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00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090A (ko) * 2011-02-01 2012-08-09 니켄 코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파(消波) 블록 및 이러한 소파 블록의 제조방법
KR101259947B1 (ko) * 2013-03-06 2013-05-02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KR20160009725A (ko) * 2014-07-16 2016-01-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록
JP2017008664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チスイ 消波ブロック
KR20170107863A (ko) * 2016-03-16 2017-09-26 송주민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2008012B1 (ko) * 2019-01-23 2019-08-06 이자윤 안전 테트라포드
KR20210074979A (ko) * 2019-12-12 2021-06-22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56171B1 (ko) * 2022-05-20 2022-10-18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 또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090A (ko) * 2011-02-01 2012-08-09 니켄 코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파(消波) 블록 및 이러한 소파 블록의 제조방법
KR101259947B1 (ko) * 2013-03-06 2013-05-02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인양홈이 형성된 소파 블록
KR20160009725A (ko) * 2014-07-16 2016-01-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록
JP2017008664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チスイ 消波ブロック
KR20170107863A (ko) * 2016-03-16 2017-09-26 송주민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2008012B1 (ko) * 2019-01-23 2019-08-06 이자윤 안전 테트라포드
KR20210074979A (ko) * 2019-12-12 2021-06-22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56171B1 (ko) * 2022-05-20 2022-10-18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 또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025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rosion
AU2003208988B2 (en) Revetment block and mat
KR102085363B1 (ko)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08012B1 (ko) 안전 테트라포드
US4913595A (en) Shoreline breakwater
JP2007204918A (ja) ブロックマット
KR10263980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1609463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록
KR102621003B1 (ko) 테트라포드,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95156A (ko) 소파 블록의 부설법
KR102350021B1 (ko) 잠제 기능을 지니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 구조체
KR102312995B1 (ko)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USRE24632E (en) Artificial blocks for structures ex-
KR102572017B1 (ko) 해양구조물을 위한 단위 블록
KR101125992B1 (ko) 하이브리드 테트라 포드
EP4159927A1 (en) Radial type wave dissipating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US7878733B2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KR100460237B1 (ko) 방파제 중간 블록제조용 거푸집장치
WO2017082521A1 (ko) 방파용 소파블록
KR100828222B1 (ko)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JP5587489B1 (ja) 防波ブロック及び防波ブロック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00005260U (ko) 소파블럭
US6059256A (en) Bulkhead forming system
KR101082407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 구조물
KR102610720B1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