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61A - 장축과 단축을 구비한 블록과 등축 길이의 블록에 의한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장축과 단축을 구비한 블록과 등축 길이의 블록에 의한 옹벽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5961A KR20210015961A KR1020207037981A KR20207037981A KR20210015961A KR 20210015961 A KR20210015961 A KR 20210015961A KR 1020207037981 A KR1020207037981 A KR 1020207037981A KR 20207037981 A KR20207037981 A KR 20207037981A KR 20210015961 A KR20210015961 A KR 202100159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axis
- block
- wall block
- wall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과제] 거대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또한 견고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옹벽 구조의 내진성 요구 수준에 따라, 내진 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옹벽 구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과 그리고 평면적인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곡면을 갖는 옹벽 구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킨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의 옹벽 구조이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해결수단]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킨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의 옹벽 구조이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공사에 있어서의 옹벽, 예를 들면 직립(直立) 옹벽, 하천 공사에 있어서의 호안(護岸) 옹벽, 예를 들면 다단 적층 호안 옹벽이나 녹화형 자연 호안 옹벽, 택지 조성 공사의 흙막이 옹벽, 해안 제방의 호안 옹벽, 예를 들면 축제(築堤) 호안 옹벽 또는 성벽이나 돌담 등의 경관 옹벽 등의 구축에 사용되는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옹벽 구조의 예로서는, 기초 지반 상에 배치한 기초부에 블록(32)을 단적(段積)하여 구축하는 구조물과 관련된 선행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단적 블록(32)은, 전벽(前壁)(33) 및 후벽(後壁)(34)과, 양쪽 전·후벽(33, 34)을 연결하는 연결체(좌·우 측벽(35, 36))를 구비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사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벽(34)은 전벽(33)의 절반 이하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 측벽(35, 36)의 상부 사이에는 슬라이딩 저항체(40)가 가로로 걸쳐져 있다.
그리고, 블록을 단적하여 형성되는 각 단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 하단 블록측과 상단 블록측에 걸쳐지도록 슬라이딩 저항체(40)가 배치되고, 하단 블록(33)의 전벽(33)과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40)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바디필링(body-filling)재(31) : 쇄석(碎石), 율석(栗石) 등)을 충전하여 하단측의 전부(前部) 구속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하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40) 부분과 상기 하단 블록의 후벽 내지는 구조물의 배후에 형성되어 있는 법면(法面)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백필링(back-filling)재(17))를 충전하여 하단측의 후부(後部) 구속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단 블록의 전벽(33)과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40)의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바디필링재(31) : 쇄석, 율석 등)을 충전하여 상단측의 전부(前部) 구속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단 블록측의 슬라이딩 저항체(40) 부분과 상기 상단 블록의 후벽(3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바디필링재(31) : 쇄석, 율석 등)을 충전하여 상단측의 후부(後部) 구속층을 형성하여, 상기 각 단의 상하 경계면 위치에서, 상·하단의 전부(前部)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시키는 동시에, 상·하단의 후부(後部) 구속층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시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부(前部) 구속층과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후부(後部) 구속층이, 상기 슬라이딩 저항체(40)를 매개로 반력(수동(受動))을 발휘함으로써, 상하 경계면에 있어서의 블록의 슬라이딩 저항력을 강화한 옹벽 블록의 상하 경계면 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발명의 옹벽구조에 있어서는, 전벽(33), 후벽(34), 양쪽 전·후벽(33, 34)을 연결하는 연결체(좌·우 측벽(35, 36)), 및 좌·우 측벽(35, 36)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저항체(40)에 의해 옹벽 블록이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려된 것이었지만,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 방지를 위해 활동(活動) 저항체(40)라는 특별한 부재를 준비하고, 이를 옹벽 구축 단계에서 옹벽 내부의 바디필링재(31)의 내부에 매설(埋設)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옹벽 구축 공정이 복잡해지고, 옹벽 구축 작업 기간이 길어짐과 동시에, 옹벽 구축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평면적인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곡면을 가지는 옹벽 구조를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고, 일부 옹벽 블록의 앵커 효과에 의해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견고한 옹벽 구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허문헌 2가 개시하는 발명의 옹벽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옹벽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1)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가지는 장방형상(長方形狀)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柱狀) 옹벽 블록, 또는 (2)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해당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角部)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을 사용한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의 옹벽 구조이며,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옹벽 블록(이하, "횡(橫) 배치 블록"이라고 한다)과,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옹벽 블록(이하 "종(縱) 배치 블록"이라고 한다)을 조합시킨 구성의 옹벽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옹벽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종 배치 블록의 앵커 효과에 의해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견고한 옹벽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최근 다발하는 거대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옹벽 구조로 하기 위해서도, 보다 견고한 옹벽 구조가 요구됨과 동시에, 옹벽 구조의 내진성 요구 수준에 따라 내진 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옹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거대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또한 견고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옹벽 구조의 내진성 요구 수준에 따라, 내진 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옹벽 구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평면적인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곡면을 가지는 옹벽 구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
발명자들은, 보다 견고한 옹벽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상술한 종 배치 블록의 앵커 효과를 어떻게 높일 것인가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종 배치 블록과 종 배치 블록의 외주(外周)에 설치되는 중결재(中結材)와의 접촉 면적의 크고 작음(大小)이 종 배치 블록의 앵커 효과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판명했다.
즉, 종 배치 블록과 종 배치 블록의 외주에 설치되는 중결재와의 접촉 면적이며, 종 배치 블록이 슬라이딩 하는 방향(옹벽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접촉 면적이 커짐에 따라, 종 배치 블록의 앵커 효과가 커지게 되는 것을 판명했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킨 평면(平面) 또는 곡면 형상의 옹벽 구조이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킨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의 옹벽 구조이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3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의 옹벽 구조에 있어서,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이 횡 방향(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4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관점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옹벽 구조에 있어서,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이 횡 방향(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동시에, 옹벽 법면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복수단(複數段) 단적(段積)되는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5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4 관점에 따른 발명의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 구조가 적어도 2개의 옹벽면을 구비하며, 2개의 옹벽면의 접속 부분인 옹벽 모서리부에 있어서,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이 배치되고, 옹벽 법면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 상단측의 옹벽 블록의 장축 X축과 하단측의 옹벽 블록의 장축 X축이 교차하도록 교대로 쌓여 있는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6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4 또는 제 5 관점의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 법면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복수단 단적되는 상단측의 옹벽 블록과 하단측의 옹벽 블록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7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6 관점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옹벽 구조에 있어서,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의 각각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외주(外周)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突起部)가 설치되고, 수평면 내에 배치된 인접한 옹벽 블록의 돌기부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8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7 관점에 따른 발명의 옹벽 구조에 있어서, 돌기부는, 옹벽 블록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또한, 제 9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8 관점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옹벽 구조에 있어서,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장축 X축과 단축 Y축의 길이의 비가 2:1이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단축 Y축의 길이와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의 X축 및 Y축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구성의 옹벽 구조로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옹벽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종 배치 블록과 종 배치 블록의 외주에 설치되는 중결재와의 접촉 면적이며, 종 배치 블록이 슬라이딩하는 방향(옹벽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접촉 면적이 커짐에 따라, 종 배치 블록의 배치 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종 배치 블록의 앵커 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 배치 블록의 배치 밀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 배치 블록의 앵커 효과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대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종래 기술보다도 더욱 견고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옹벽 구조의 내진성 요구 수준에 따라 내진 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옹벽 구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이나,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특히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종 배치 블록의 장축 X축의 방향을 수평면 내에서 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평면적인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곡면을 갖는 옹벽 구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정방형(正方形) 단면의 주상(柱狀)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1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정방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여러 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1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여러 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한 주상 옹벽 블록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이며, 옹벽 블록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弧狀)의 돌기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이며, 옹벽 블록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이며, 옹벽 블록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정방형(正方形) 단면의 주상(柱狀)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1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정방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여러 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1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여러 단 단적한 옹벽 구조를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한 주상 옹벽 블록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이며, 옹벽 블록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弧狀)의 돌기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이며, 옹벽 블록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이며, 옹벽 블록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10)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20)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이며, 원통 형상을 갖는 옹벽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옹벽 블록(10)은,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장방형상의 단면의 길이 방향을 장축 X축이라고 하며, 장방형상의 단면에서 장축 X축에 수직인 방향을 단축 Y축이라 한다. 옹벽 블록(10)의 내부에는 높이(H) 방향 및 길이(L) 방향을 따라 1 이상의 공동(空洞) 부분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폭(W), 길이(L) 및 높이(H)의 각 치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옹벽 구조를 구축할 때 옹벽 블록(10)의 배열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폭(W) 치수와 길이(L) 치수의 비를 1:2로 설정하여도 좋다.
옹벽 블록(10)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콘크리트로서는, 투수성(透水性) 콘크리트 및 비 투수성 콘크리트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옹벽 블록(10)은 콘크리트제로 한정되지 않고, 방청 처리를 실시한 철 등의 금속제로 하거나, 내부식성을 구비한 수지 재료제, 또는 수지계 복합 재료제로 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옹벽 블록(20)은,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柱狀)이며, 장방형상의 단면의 모서리부는 원호로 둥글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옹벽 블록(20)의 경우, 장방형상의 단면의 두 모서리부가 하나의 원호로 둥글게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다시 말하면, 원호의 직경이 옹벽 블록(20)의 폭(W)과 동일한 치수로 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나타낸 원호보다도 작은 원호로 모서리부를 둥글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의 모서리 부분은 원호로 둥글게 하지 않고, 모따기를 한 형상으로 완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모따기의 크기는 임의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옹벽 블록(20)에서도 도 1에 나타낸 옹벽 블록(10)과 마찬가지로,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의 길이 방향을 장축 X축이라고 하고,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내에서 장축 X축에 수직인 방향을 단축 Y축이라고 한다. 옹벽 블록(20)의 내부에는 높이(H) 방향 및 길이(L) 방향을 따라 1 이상의 공동 부분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폭(W), 길이(L) 및 높이(H)의 각 치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옹벽 구조를 구축할 때 옹벽 블록(20)의 배열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폭(W) 치수와 길이(L) 치수의 비를 1:2로 설정하여도 좋다.
옹벽 블록(20)은, 옹벽 블록(10)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콘크리트로서는, 투수성 콘크리트 및 비 투수성 콘크리트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옹벽 블록(20)은 콘크리트제로 한정되지 않고, 방청 처리를 실시한 철 등의 금속제로 하거나, 내부식성을 구비한 수지 재료제, 또는 수지계 복합 재료제로 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은,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의 대표적인 예인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이다.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은, 중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직경(D), 높이(H), 두께(T) 등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은, 도 3에 나타낸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주상 옹벽 블록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원통 형상을 갖는 옹벽 블록뿐만 아니라, 정방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옹벽 블록이나 다각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옹벽 블록 등도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에 포함된다. 또한, 옹벽 구조를 구축할 때 옹벽 블록(30)의 배열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의 X축 방향 길이 및 Y축 방향 길이를 옹벽 블록(10) 및 옹벽 블록(20)의 폭(W)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의 높이(H)를 옹벽 블록(10) 및 옹벽 블록(20)의 높이(H)와 동일하게 설정해도 좋다.
옹벽 블록(30)은, 옹벽 블록(10) 및 옹벽 블록(20)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콘크리트로서는, 투수성 콘크리트 및 비 투수성 콘크리트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옹벽 블록(30)은 콘크리트제로 한정되지 않고, 방청 처리를 실시한 철 등의 금속제로 하거나, 내부식성을 구비한 수지 재료제, 또는 수지계 복합 재료제로 할 수도 있다.
도 4는, 옹벽 블록(10)(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옹벽 블록(30)(정방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1단 단적한 옹벽 구조(100)를 구축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옹벽 구조(100)에서는, 옹벽 블록(10)과 옹벽 블록(30)을 복수 개 조합시켜 배치하여 옹벽 구조(100)를 구축하고 있다. 도 4는 옹벽 블록의 배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옹벽 블록(10)의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이 옹벽 블록(10)을 "종 배치 블록"이라고 한다)함과 동시에, 옹벽 블록(10)의 사이에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30)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옹벽 블록(10)과 옹벽 블록(30)이 규칙적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규칙적으로 교대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자유로운 순서로 옹벽 블록(10) 및 옹벽 블록(30)을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옹벽 블록(10)과 옹벽 블록(30)(정방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여러 단 단적한 옹벽 구조(100)를 구축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옹벽 구조(100)에서는, 도 4에서 나타낸 1단 단적한 옹벽 구조(100)의 위에 더하여 옹벽 블록(10)과 옹벽 블록(30)(정방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복수 단 단적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상단측에 있어서의 옹벽 블록(10)(또는 옹벽 블록(30))이, 하단측에 있어서의 옹벽 블록(10)(또는 옹벽 블록(30))과 횡 방향(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단측에 있어서의 옹벽 블록(10)의 배치 형태와 하단측에 있어서의 옹벽 블록(10)의 배치 형태에 특정한 규칙성을 지니지 않도록 하여 옹벽 구조(100)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옹벽 블록(10) 및 옹벽 블록(30) 중의 중공(中空) 부분, 옹벽 블록(10) 및 옹벽 블록(30)과 법면(5) 사이의 공간에는 쇄석이나 율석 등으로 구성된 중결재(6)를 충전하고 이것을 전압(轉壓, 흙 다짐)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언급한 옹벽 구조(100)로 함으로써, 특히 종 배치 블록의 외주 측면인 법면(5)측은 전압된 중결재(6)와 접촉하게 되어 종 배치 블록이 법면 전방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 배치 블록이 법면 전방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여기에서 종 배치 블록의 앵커 효과라고 한다.
따라서, 옹벽 블록(10)의 사이에 옹벽 블록(30)을 배치하여, 옹벽 블록(10)(종 배치 블록)의 배치 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전압된 중결재(6)와 접촉하는 옹벽 블록(10)(종 배치 블록)의 외주이며, 옹벽 블록(1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을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저항이 최대화되고, 종 배치 블록의 앵커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옹벽 구조(100)는, 옹벽 블록(10)과 옹벽 블록(30)을 조합시켜 배치하는 것만으로 족하며, 특별한 기계 등을 사용하거나, 특별한 현장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견고한 옹벽 구조(100)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옹벽 블록(20)(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옹벽 블록(30)(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1단 단적한 옹벽 구조(100)를 구축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옹벽 구조(100)에 있어서는, 옹벽 블록(20)과 옹벽 블록(30)(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복수 개 조합시켜 배치하여 옹벽 구조(100)를 구축하고 있다. 도 6은 옹벽 블록의 배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옹벽 블록(20)의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이 옹벽 블록(20)을 "종 배치 블록"이라고 한다)함과 동시에, 옹벽 블록(20)의 사이에는 옹벽 블록(30)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옹벽 블록(20)과 옹벽 블록(30)이 규칙적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규칙적으로 교대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자유로운 순서로 옹벽 블록(20) 및 옹벽 블록(30)을 배치할 수 있다.
도 7은 옹벽 블록(20)과 옹벽 블록(30)(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여러단 단적한 옹벽 구조(100)를 구축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옹벽 구조(100)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낸 1단 단적한 옹벽 구조(100)의 위에 더하여 옹벽 블록(20)과 옹벽 블록(30)(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복수단 단적한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의 특징점 및 효과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옹벽 구조(1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여기에서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 배치 블록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배향 방향의 자유도가 향상되어, 평면적인 옹벽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곡면을 갖는 법면을 형성하는 옹벽을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옹벽 블록(40)(장축 X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한 주상 옹벽 블록)은, 옹벽 블록(10)의 변형례이며, 옹벽 블록(40)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41)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옹벽 블록(40)에서는, 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41)는, 옹벽 블록(4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돌기부(41)는 옹벽 블록(40)의 높이 방향 중앙 부분에만 설치되거나, 옹벽 블록(40)의 상단측 단부 또는 하단측 단부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돌기부(41)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호형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형(矩形), 삼각형,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돌기부(41)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옹벽 블록(50)(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해당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은, 옹벽 블록(20)의 변형례이며, 옹벽 블록(50)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51)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옹벽 블록(50)에서는, 전술한 옹벽 블록(40)과 마찬가지로, 반원 호상의 돌기부(51)는, 옹벽 블록(5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돌기부(51)는 옹벽 블록(50)의 높이 방향 중앙 부분에만 설치되거나, 옹벽 블록(50)의 상단측 단부 또는 하단측 단부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돌기부(51)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호형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형, 삼각형,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돌기부(51)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옹벽 블록(60)(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은, 옹벽 블록(30)(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의 변형례이며, 옹벽 블록(60)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반원 호상의 돌기부(61)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옹벽 블록(60)에서는, 전술한 옹벽 블록(40, 50)과 마찬가지로, 반원 호상의 돌기부(61)는, 옹벽 블록(60)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돌기부(61)는 옹벽 블록(60)의 높이 방향 중앙 부분에만 설치되거나, 옹벽 블록(60)의 상단측 단부 또는 하단측 단부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돌기부(61)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호형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형, 삼각형,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 돌기부(61)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정방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이나, 다각형 단면의 주상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설명한 옹벽 블록(40)과 옹벽 블록(60) 또는 옹벽 블록(50)과 옹벽 블록(60)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앞에서 설명한 옹벽 구조(100)와 동일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옹벽 블록(40)과 옹벽 블록(60) 또는 옹벽 블록(50)과 옹벽 블록(60)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옹벽 구조(100)와 동일한 옹벽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옹벽 블록(40)의 돌기부(41)와 옹벽 블록(60)의 돌기부(61) 또는 옹벽 블록(50)의 돌기부(51)와 옹벽 블록(60)의 돌기부(61)가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옹벽 블록(40) 및 옹벽 블록(60) 또는 옹벽 블록(50) 또는 옹벽 블록(60)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져 더 견고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옹벽 블록(50)(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해당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옹벽 블록(60)(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구축한 옹벽 구조(100)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옹벽 블록(50)을,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즉, 종 배치 블록으로 사용하는)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횡 배치 블록)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옹벽 블록(50)의 사이에는 옹벽 블록(6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옹벽 블록(50)과 옹벽 블록(60)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옹벽 구조(100)를 구축함으로써, 다양하고 다채로운 옹벽 구조(100)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옹벽 블록(50)과 옹벽 블록(60)(원통 형상을 갖는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켜 사용하여 구축한 옹벽 구조(100)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옹벽 구조(100)에서는, 2개의 옹벽면의 접속 부분인 옹벽 모서리부에 옹벽 블록(50)이 배치되고, 옹벽 법면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 상단측의 옹벽 블록(50)의 장축 X축과 하단측의 옹벽 블록(50)의 장축 X축이 교차하도록 교대로 쌓여 있다. 이러한 옹벽 구조(100)를 채용하여, 옹벽 구조(100)의 모서리부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 법면
6 : 중결재
10 : 옹벽 블록
20 : 옹벽 블록
30 : 옹벽 블록
40 : 옹벽 블록
41 : 돌기부
50 : 옹벽 블록
51 : 돌기부
60 : 옹벽 블록
61 : 돌기부
100 : 옹벽 구조
6 : 중결재
10 : 옹벽 블록
20 : 옹벽 블록
30 : 옹벽 블록
40 : 옹벽 블록
41 : 돌기부
50 : 옹벽 블록
51 : 돌기부
60 : 옹벽 블록
61 : 돌기부
100 : 옹벽 구조
Claims (9)
-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킨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의 옹벽 구조이며,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장방형상의 단면 형상의 모서리부를 원호로 둥글게 하거나 또는 모따기한 단면 형상을 갖춘 주상 옹벽 블록과,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을 조합시킨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의 옹벽 구조이며,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단축 Y축을 옹벽 법면을 따라 횡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장축 X축을 옹벽 법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과, 상기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이 횡 방향(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과, 상기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이 횡 방향(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동시에, 옹벽 법면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복수단 단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구조가 적어도 2개의 옹벽면을 구비하며, 2개의 옹벽면의 접속 부분인 옹벽 모서리부에 있어서,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이 배치되고, 옹벽 법면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 상단측의 옹벽 블록의 장축 X축과 하단측의 옹벽 블록의 장축 X축이 교차하도록 교대로 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옹벽 법면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복수단 단적되는 상단측의 옹벽 블록과 하단측의 옹벽 블록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과, 상기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가 설치되고, 수평면 내에 배치된 인접한 옹벽 블록의 상기 돌기부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옹벽 블록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장축 X축과 단축 Y축의 길이의 비가 2:1이며,
상기 장축 X축과 단축 Y축을 갖는 옹벽 블록의 단축 Y축의 길이와, 상기 등축 길이의 옹벽 블록의 X축 및 Y축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61221 | 2018-08-30 | ||
JP2018161221A JP2020033761A (ja) | 2018-08-30 | 2018-08-30 | 長軸と短軸を備えたブロックと等軸長ブロックによる擁壁構造 |
PCT/JP2019/013134 WO2020044641A1 (ja) | 2018-08-30 | 2019-03-27 | 長軸と短軸を備えたブロックと等軸長ブロックによる擁壁構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5961A true KR20210015961A (ko) | 2021-02-10 |
Family
ID=6964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37981A KR20210015961A (ko) | 2018-08-30 | 2019-03-27 | 장축과 단축을 구비한 블록과 등축 길이의 블록에 의한 옹벽 구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20033761A (ko) |
KR (1) | KR20210015961A (ko) |
WO (1) | WO20200446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2559A (ko) * | 2022-11-17 | 2024-05-24 | 조성홍 | 다방향 결합구조를 갖는 조립식 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형태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02499A (ja) | 2007-03-02 | 2011-10-13 | Toei Shoko Kk | 構造物におけるブロックの上下境界部構造及び構造物 |
JP2017206832A (ja) | 2016-05-17 | 2017-11-24 | 株式会社トッコン | 長軸と短軸を備えた擁壁ブロックによる擁壁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05002B2 (ja) * | 2006-11-08 | 2011-06-22 | 共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土留め工用ブロック材 |
JP5467823B2 (ja) * | 2009-09-09 | 2014-04-09 | 日本コーケン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土留覆工法 |
-
2018
- 2018-08-30 JP JP2018161221A patent/JP2020033761A/ja active Pending
-
2019
- 2019-03-27 WO PCT/JP2019/013134 patent/WO202004464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3-27 KR KR1020207037981A patent/KR202100159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02499A (ja) | 2007-03-02 | 2011-10-13 | Toei Shoko Kk | 構造物におけるブロックの上下境界部構造及び構造物 |
JP2017206832A (ja) | 2016-05-17 | 2017-11-24 | 株式会社トッコン | 長軸と短軸を備えた擁壁ブロックによる擁壁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0033761A (ja) | 2020-03-05 |
WO2020044641A1 (ja) | 2020-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228056A1 (en) | Supporting Masonry Block | |
US20230123583A1 (en) | Corner Masonry Block | |
JP6444151B2 (ja) | 嵌合強化された擁壁構造 | |
KR20210015961A (ko) | 장축과 단축을 구비한 블록과 등축 길이의 블록에 의한 옹벽 구조 | |
JP2014111877A (ja) | 壁体構築用ブロック、壁体、壁体の施工方法 | |
JP2013170404A (ja) | 擁壁ブロック、擁壁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 |
CA3012357A1 (en) | Multi-oriented segmental wall blocks, soil reinforcing system, and methods | |
KR101253410B1 (ko) |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체 | |
JP5095030B1 (ja) | 法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法面構造及び法面形成方法 | |
JP5627304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マス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 |
JP5090203B2 (ja) | フィルダムの止水構造および造成方法 | |
KR102153322B1 (ko) |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 |
JP2017206832A (ja) | 長軸と短軸を備えた擁壁ブロックによる擁壁構造 | |
JP2017043922A (ja) | 護岸構築用ブロ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護岸構造 | |
CN210507458U (zh) | 一种基坑竖向拉锚支护系统 | |
JP5931001B2 (ja) | 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 |
JP2014051852A (ja) | 地盤改良構造 | |
US4591297A (en) | Method of building strengthened, embanked foundation | |
JP2021070972A (ja) | 擁壁構造とその補強構造 | |
JP6274462B2 (ja) | 擁壁ブロックならびに人工島 | |
JP2015031147A (ja) | 基礎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平面状基礎構造 | |
JP7142304B1 (ja) | 蛇籠及び法面の保護方法 | |
JP2005200870A (ja) | 構造物基礎地盤の液状化防止構造 | |
JP2018178562A5 (ja) | 防潮堤、防潮堤構築方法および防潮堤パネル | |
US20230080283A1 (en) | Embankment wall structure of monolithic facing panels, changer panels, standard facing panels and said panel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