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959A -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959A
KR20050116959A KR1020040042091A KR20040042091A KR20050116959A KR 20050116959 A KR20050116959 A KR 20050116959A KR 1020040042091 A KR1020040042091 A KR 1020040042091A KR 20040042091 A KR20040042091 A KR 20040042091A KR 20050116959 A KR20050116959 A KR 2005011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ype pile
container
hole
pi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영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주식회사 반석팽이기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주식회사 반석팽이기초 filed Critical 시지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6959A/ko
Publication of KR2005011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팽이형상으로 제작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팽이말뚝조립틀에 다수개 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유니트로 연약지반 또는 절토와 성토 구간의 지반상에 다수개 조립연결설치한 후에 지반상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가 설치된 공간부에 쇄석을 타설하고,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내에 쇄석과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단위 팽이형말뚝용기의 상부에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와 통공부뚜껑을 덮은 후에 쇄석 타설 또는 쇄석 타설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덮는 것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위로 콘크리트 타설인부가 통행하면서 타설하도록 하는 발판의 역할과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종료위치를 설정토록 하여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고르게 하도록 하고, 타설후에 콘크리트 및 쇄석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통공부뚜껑을 덮는 것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조립연결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유니트를 지반 위에 설치하고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사이로 쇄석을 타설할 때 불필요한 쇄석이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쇄석의 타설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기초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는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통공부가 형성된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와 상기 내측연장부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의 네방향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다른 예로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는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통공부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와 상기 내측연장부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주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연장부의 통공부에 형성된 면을 다각형으로 하여 상기 다각형의 면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을 형성하는 곳에 수직부에서부터 수평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리브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손잡이구멍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내측연장부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의 네방향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통공부뚜껑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상부판에 형성된 통공부를 덮을 수 있으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원주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외주연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Top-shaped pile container cover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field-striked top foundation using the cover}
본 발명은 연약지반 위에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팽이형상으로 제작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다수개 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 유니트를 조립연결설치한 후에 지반상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와 용기가 설치된 공간부에 쇄석을 타설 및 다짐을 하고,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내에 쇄석을 충전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상부에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덮고 통공부에는 통공부뚜껑을 덮은 후에 상기 용기와 용기사이에 쇄석을 타설 및 다짐을 하거나 또는 쇄석을 상기 용기내에 충전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시공하는 현장타설형 팽이말뚝기초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는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통공부가 형성된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와 상기 내측연장부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의 네방향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다른 예로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는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통공부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와 상기 내측연장부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주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연장부의 통공부에 형성된 면을 다각형으로 하여 상기 다각형의 면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을 형성하는 곳에 수직부에서부터 수평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리브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손잡이구멍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내측연장부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의 네방향에 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통공부뚜껑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상부판에 형성된 통공부를 덮을 수 있으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원주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외주연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연결조립하여 지반상에 설치한 후에 상기 용기와 용기사이 및 상기 용기내에 쇄석 포설 또는 쇄석 포설 및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위에 단위 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덮는 것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위로 콘크리트 타설인부가 통행하면서 타설하도록 하는 발판의 역할과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종료위치를 설정토록 하여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고르게 하도록 하고, 타설후에 콘크리트 및 쇄석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통공부뚜껑을 덮는 것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조립연결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유니트를 지반 위에 설치하고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사이로 쇄석을 타설할 때 불필요한 쇄석이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쇄석의 타설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반 위에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조립한 여러개의 유니트를 설치하고 연결한 다음 상기 용기와 용기사이에 쇄석을 포설하면서 다짐을 한 후에 상기 용기내에 쇄석을 충전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과정에서 용기와 용기사이에 쇄석을 포설할 때 중장비를 이용하여 쇄석을 포설하므로서 불필요하게 쇄석이 상기 용기내로 투입되어 쇄석을 포설하는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과 상기 용기내에 쇄석을 충전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펌프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서 용기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종료시점을 예측할 수 없어 용기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흘러넘치거나 하는등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재료의 손실 및 용기내의 콘크리트 마감면이 부분적으로 일정하지 않은 점과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에 콘크리트 타설시 대단위의 면적에 다수개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에 많은양의 콘크리트를 통시에 타설하여야 하므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위로 콘크리트 타설인부가 통행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여야 하나 이러한 타설인부가 다닐발판이 없어 작업의 속도가 지연되는등의 문제점과 또한 상기 용기내에 콘크리를 타설한 후에 콘크리트 및 쇄석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일부가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연결조립하여 지반상에 설치한 후에 상기 용기와 용기사이 및 상기 용기내에 쇄석 포설 또는 쇄석 포설 및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위에 단위 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덮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 위로 콘크리트 타설인부가 통행하면서 타설하도록 하는 발판의 역할과 상기 단위 팽이형말뚝용기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종료위치를 설정토록 하여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고르게 하도록 하고, 타설후에 콘크리트 및 쇄석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32) 위에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팽이형상으로 제작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를 다수개 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 유니트(40)를 조립연결설치한 후에 지반(32)상에 상기 단위팽이형 말뚝용기(30)와 용기(30)가 설치된 공간에 쇄석(45)을 타설 및 다짐을 하고,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 내에 채움재(44)인 쇄석(45)과 콘크리트를 각각 충전 및 타설할 때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에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를 덮고 통공부(14)에는 통공부 뚜껑(70)을 덮은 후에 상기 용기(30)와 용기(30)사이에 쇄석(45)을 타설 및 다짐을 한 후에 상기 통공부뚜껑(70)을 제거한 다음 상기 용기(30)내에 쇄석(45)을 충전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상기 용기(30)의 공간부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중앙부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리(41)에 상부 연결철근(42)을 격자형으로 인접한여 설치된 고리(41)를 상호 연결조립설치하여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50)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는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14)가 형성된 상부판(11)과 상기 상부판(11)의 통공부(14)가 형성된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13)와 상기 내측연장부(13)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12)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11)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16)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16)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1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16)의 네방향에 구멍(17)을 형성하거나,
또다른 예로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는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14)가 형성된 상부판(11)과 상기 상부판(11)의 통공부(14)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13)와 상기 내측연장부(13)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주리브(19)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연장부(13)의 통공부(14)에 형성된 면을 다각형으로 하여 상기 다각형의 면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21)을 형성하는 곳에 수직부(16)에서부터 수평리브(20)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리브(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손잡이 구멍(18)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내측연장부(13)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12)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11)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16)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16)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1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16)의 네방향에 구멍(17)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통공부뚜껑(70)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판(11)에 형성된 통공부(14)를 덮을 수 있으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원주형상의 상판(73)과 상기 상판(73)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외주연(72)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 말뚝용기덮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단위팽이형말뚝용기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인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단위팽이형말뚝용기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설치하여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를 시공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통공부를 덮을 수 있는 통공부뚜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각각의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14)가 형성된 상부판(11)과 상기 상부판(11)의 통공부(14)가 형성된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13)와 상기 내측연장부(13)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12)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11)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16)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16)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1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16)의 네방향에 구멍(17)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는 지반위에 설치된 각각의 단위 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에 삽입하되 상기 말뚝용기(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내로 상기 수직부(16)가 삽입되되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연과 내측으로 밀착되어 삽입하고, 상기 외측연장부(12)의 연장부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몸체 두께와 일치가 되어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내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를 덮었을 때 상기 외측연장부(12)가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몸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인접하여 설치되는 또 다른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부(16)의 몸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직리브(15)는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공간부내에 삽입될 때 상기 용기(30)의 외부연과 내측으로 밀착되게 하면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연장부(13)는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가 설치되어 상기 용기(30)내에 쇄석을 충전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종료시점을 상기 내측연장부(13)와 수평을 이루는 표면이 형성될 때 콘크리트의 타설완료시점으로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며,
또한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넓은 면적에 설치된 각각의 단위 팽이형말뚝용기(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타설인부가 상기 단위 팽이형말뚝용기(30)상부를 이동하면서 타설할 때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를 서로 연결하는 작업등의 관련작업을 수행할 때 이동이 용이하게 발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연장부(13)와 외측연장부(12)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의 수직부(16)의 네방향에 형성된 구멍(17)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에 삽입될 때 상기 용기(30)의 네방향에 형성된 구멍(17)과 일치시켜 상기 용기(30)가 지반 상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조립될 때 상기 용기(30) 및 덮개(10)가 동시에 연결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인하여 상기 용기(30)가 쇄석(45)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용기(30)의 찌그러짐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도 동시에 노리는 효과이다.
상기 덮개(10)의 재질은 원칙적으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재질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나, 필요시 강도가 있는 재질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가 형성된 상부판(11)과 상기 상부판(11)의 통공부(14)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13)와 상기 내측연장부(13)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주리브(19)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연장부(13)의 통공부(14)에 형성된 면을 다각형으로 하여 상기 다각형의 면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21)을 형성하는 곳에 수직부(16)에서부터 수평리브(20)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리브(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손잡이구멍(18)을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내측연장부(13)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12)가 형성되는 시작점의 상기 상부판(11)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16)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16)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1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16)의 네방향에 구멍(17)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는 지반에 설치된 각각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에 삽입하되, 상기 말뚝용기(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내로 상기 수직부(16)가 삽입되되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연과 내측으로 밀착되어 삽입하고, 상기 외측연장부(12)의 연장부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몸체 두께와 일치가 되어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내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를 덮었을 때 상기 외측연장부(12)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몸체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인접하여 설치되는 또 다른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부(16)의 몸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직리브(15)는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공간부내에 삽입될 때 상기 용기(30)의 외부연과 내측으로 밀착되게 하면서 쉽게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연장부(13)는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가 설치되어 상기 용기(30)내에 쇄석(45)을 충전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종료시점을 상기 내측연장부(13)와 수평을 이루는 표면이 형성될 때 콘크리트의 타설완료시점으로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며,
또한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넓은 면적에 설치된 각각의 단위 팽이형말뚝용기(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타설인부가 상기 단위 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를 이동하면서 타설할 때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를 서로 연결하는 작업등의 관련작업을 수행할 때 이동이 용이하게 발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연장부(13)와 외측연장부(12)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의 수직부(16) 네방향에 형성된 구멍(17)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에 삽입될 때 상기 용기(30)의 네방향에 형성된 구멍(17)과 일치시켜 상기 용기(30)가 지반 상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조립될 때 상기 용기(30) 및 덮개(10)가 동시에 연결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인하여 상기 용기(30)가 쇄석(45)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용기(30)의 찌그러짐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도 동시에 노리는 효과이다.
상기 손잡이구멍(18)은 상기 덮개(10)를 상기 용기(30)내에 삽입하거나 위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제거할 경우등의 관련작업을 할때 상기 덮개(1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네방향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필요에 의하여 그 개수를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주리브(19)는 상기 내측연장부(13)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수직부(16)에 연결되어 상기 원주리브(19)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하여 강도를 높힐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내측연장부(13)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되어 다각형의 일측면과 일측면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21)에 상기 수평리브(20)를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주리브(19)와 수평리브(20)는 발판으로 활용시 강도를 높힐 수 있으며, 상기 덮개(10)가 전체적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덮개(10)가 상기 용기(30)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용기(3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덮개(10)의 재질은 원칙적으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재질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나, 필요시 강도가 있는 재질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단위팽이형말뚝용기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도 1과 2의 덮개 설명시 상세하게 설명하여 본 도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합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설치하여 현장타설형 팽이말뚝기초를 시공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부직포등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킨 지반(32) 위에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팽이형상으로 제작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를 다수개 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유니트(40)를 조립연결설치한 후에 지반(32)상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와 용기(30)가 설치된 공간에 쇄석(45)을 포설 및 다짐을 하고,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 내에 채움재(44)인 쇄석(45)과 콘크리트를 충전 및 타설하기 전에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에 도 1과 2에서 언급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10)를 덮고 통공부(14)에는 후술하는 도 6의 통공부뚜껑(70)을 덮은 후에 상기 용기(30)와 용기(30)사이에 쇄석을 포설 및 다짐을 한 후에 상기 통공부뚜껑(70)을 제거한 다음 상기 용기(30)내에 채움재(44)를 충전하기 위하여 쇄석(45)을 충전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상부 중앙에 형성된 고리(41)에 상부연결철근을 인접하여 설치된 또 다른 고리(41)와 상호 연결조립하여 시공완료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50)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통공부를 덮을 수 있는 통공부뚜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30)의 상부판(11)에 형성된 통공부(14)를 덮을 수 있으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원주형상의 상판(63)과 상기 상판(73)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외주연(72)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주연(72)이 상기 통공부(14)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상판(73)은 통공부(14)를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뚜껑(70)은 도 1과2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용기(30)와 용기(30)사이 공간에 쇄석(45)을 포설할 때 쇄석이 불필요하게 상기 용기(30)내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다수개로 조립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유니트판넬을 지반상에 설치하며 이들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단위 단위팽이형말뚝용기와의 사이에 쇄석을 포설할때와 상기 단위 팽이형말뚝용기내에 쇄석을 충전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할 때 상기 단위 팽이형말뚝용기의 공간부상에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덮어 쇄석을 포설하고,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작업을 하여 보다 향상된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키면서 상기 용기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기초시공방법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단위팽이형말뚝용기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단위팽이형말뚝용기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설치하여 현장타설형 팽이말뚝기초를 시공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통공부를 덮을 수 있는 통공부뚜껑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11 : 상부판
12 : 외측연장부 13 : 내측연장부
14 : 통공부 15 ; 수직리브
16 : 수직부 17 : 구멍
18 : 손잡이구멍 19 : 원주리브
20 : 수평리브 21 : 꼭지점
30 : 단위팽이형말뚝용기 31 : 말뚝부
32 : 지반
40 : 현장타설형팽이말뚝유니트 41 : 고리
42 : 상부연결철근 43 : 연결구
44 : 채움재 45 : 쇄석
50 :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Claims (10)

  1. 원판형상으로서 중앙이 통공부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통공부가 형성된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연장형성되도록 한 내측연장부와 상기 내측연장부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외측으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외측연장부가 형성되는 시작부분에서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수직부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리브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부의 네방향에 구멍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장부의 하부면에 원주를 따라 원주리브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측면과 상기 내측연장부의 하부면에 걸쳐 수평리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측면과 내측연장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평리브와 원주리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에 일정한 규격의 손잡이 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 말뚝용기덮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측면과 내측연장부의 하부면에 원주리브와 수평리브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직교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규격의 손잡이 구멍이 동시에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장부의 통공부측에 형성된 단면이 다각형인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8.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의 단면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에서 원주리브와 수평리브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거나 또는 수평리브가 형성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9. a) 부직포등과 같은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작업을 종료한 지반 위에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팽이형상으로 제작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를 다수개 연결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유니트를 조립연결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지반상에 설치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공간부상에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덮으면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통공부상에 통공부 뚜껑을 동시에 덮는 단계;
    c) 상기 지반위에 설치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와 용기사이의 공간에 쇄석을 타설하면서 다짐을 하여 지반상에 쇄석의 포설을 완료하는 단계;
    d)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통공부를 덮고 있는 통공부 뚜껑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상에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가 덮여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공간부 내에 쇄석을 충전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표면이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의 내측연장부인 상부판의 면과 표면이 일치되도록 하고 양생작업을 하여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에 쇄석과 콘크리트타설양생작업을 완료하는 단계;
    f)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중앙부 상부에 설치된 돌출된 고리에 상부연결철근을 격자형으로 서로 연결조립하여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g) 상기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의 상부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 기초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부뚜껑은 상기 단위팽이형말뚝용기의 상부판에 형성된 통공부를 덮을 수 있으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원주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외주연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를 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KR1020040042091A 2004-06-09 2004-06-09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KR20050116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091A KR20050116959A (ko) 2004-06-09 2004-06-09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091A KR20050116959A (ko) 2004-06-09 2004-06-09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25U Division KR200369481Y1 (ko) 2004-06-09 2004-06-09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959A true KR20050116959A (ko) 2005-12-14

Family

ID=3729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091A KR20050116959A (ko) 2004-06-09 2004-06-09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69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37B1 (ko) * 2006-08-03 2007-10-09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벌집모양의 매트를 구성하는 팽이형 블록
KR100780216B1 (ko) * 2007-05-03 2007-11-27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벌집모양의 매트를 설치하는 공법
KR100798689B1 (ko) * 2007-03-12 2008-01-29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팽이패널 조립체를 이용한 현장 타설용 팽이파일의시공방법
KR100842802B1 (ko) * 2007-03-12 2008-07-01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2133540B1 (ko) * 2019-05-30 2020-07-13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포장용 압입식 현장타설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37B1 (ko) * 2006-08-03 2007-10-09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벌집모양의 매트를 구성하는 팽이형 블록
KR100798689B1 (ko) * 2007-03-12 2008-01-29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팽이패널 조립체를 이용한 현장 타설용 팽이파일의시공방법
KR100842802B1 (ko) * 2007-03-12 2008-07-01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0780216B1 (ko) * 2007-05-03 2007-11-27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벌집모양의 매트를 설치하는 공법
KR102133540B1 (ko) * 2019-05-30 2020-07-13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포장용 압입식 현장타설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KR101697171B1 (ko)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제조방법
KR101400295B1 (ko)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1327278B1 (ko) 사각 피라미드 기초 공법
KR20050116959A (ko)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KR200369481Y1 (ko)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JP6624797B2 (ja) 杭基礎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杭基礎構造
CN110984164A (zh) 狭小空间区域基坑上部装配式临时施工平台及其施工方法
JP6924683B2 (ja) 杭頭免震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661301B1 (ko) 강관말뚝 두부의 속채움 콘크리트 타설용 지지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213404B1 (ko) 교량 상판용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5873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7095839B2 (ja) スラブ支持構造、及びスラブ施工方法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JPH11107293A (ja) 建物の基礎構造、その基礎施工方法及び基礎用ブロック
JP561855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成形における鉄筋の配置
KR102472057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합성 기초
JP7338995B2 (ja) 建物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仕切り枠
JP4960675B2 (ja) 土木用ブロック製造法及び土木構築物
KR20160035834A (ko) 건축물의 층조인트 누수방지 방법 및 구조
KR101569019B1 (ko) 스톤네트 제작 장치 및 스톤네트
JP490237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の基礎構造及びその塀の施工方法
KR102297366B1 (ko)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JP2552435B2 (ja) 擁壁の設置方法
JP5851088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型枠と擁壁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