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366B1 -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 Google Patents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366B1
KR102297366B1 KR1020190070930A KR20190070930A KR102297366B1 KR 102297366 B1 KR102297366 B1 KR 102297366B1 KR 1020190070930 A KR1020190070930 A KR 1020190070930A KR 20190070930 A KR20190070930 A KR 20190070930A KR 102297366 B1 KR102297366 B1 KR 10229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cover
main body
mat foundation
permanent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077A (ko
Inventor
이기조
Original Assignee
(주)태평양기술산업
이기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평양기술산업, 이기조 filed Critical (주)태평양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9007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3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3Shutter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현장타설 중공블록이 그물망 구조로 배열되어 형성된 매트기초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사용되는 영구거푸집(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현장타설 중공블록의 형성을 위하여,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심부에 중공부(112)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덮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거푸집(100)을 제시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인 시공성을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MAT FOUNDATION USING PERMANENT FORM}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매트기초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한국등록특허 10-1088357 그물망 마이크로 기초공법의 도면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의 상부에 쇄석 또는 사질토를 포설하는 공정, 포설된 지반 상부에 내부가 비어 관통된 다각형 또는 원형 블록 형태의 중공블록(30)에 의한 마이크로 기초(매트기초)를 외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그물망을 형성하는 공정 및 형성된 마이크로 기초의 빈 공간을 쇄석또는 사질토로 충진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그물망 마이크로기초(10)가 인공지반(20) 내에 매입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치환된 인공지반(20) 내에서 6각통 또는 원통 형태의 얕은기초인 그물망 마이크로기초(10)를 일정한 간격과 일정한 패턴(pattern)으로 배치한 후 그 상부에 상부기초(1)가 시공된다.
이는 얕은기초를 사용하여 깊은기초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깊은 기초와 같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초의 구조물의 형성을 위하여, 고중량의 중공블록을 다수 제조, 운반, 보관해야 하므로, 시공이 불편하고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10-1088357 그물망 마이크로 기초공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간편하고 효율적인 시공성을 얻도록 하는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현장타설 중공블록이 그물망 구조로 배열되어 형성된 매트기초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사용되는 영구거푸집(100)으로서, 상기 현장타설 중공블록의 형성을 위하여,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심부에 중공부(112)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덮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거푸집(100)을 제시한다.
상기 본체(110)의 외곽의 횡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의 횡단면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20)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솟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20)의 중앙부 상면에는 손잡이부(12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영구거푸집(100)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으로서, 지반에 다수의 상기 본체(110)를 그물망 구조로 배열하고,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상기 덮개(120)에 의해 임시로 폐쇄하는 단계; 상기 본체(11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덮개(120)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에 골재(A) 또는 토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간편하고 효율적인 시공성을 얻도록 하는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을 제시한다.
도 1,2는 한국등록특허 10-1088357의 도면.
도 3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영구거푸집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영구거푸집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영구거푸집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6은 영구거푸집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7은 매트기초 구조물의 평면도.
도 8은 매트기초 구조물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현장타설 중공블록이 그물망 구조로 배열되어 형성된 매트기초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사용되는 영구거푸집(100)에 관한 것이다.
이는 현장타설 중공블록의 형성을 위하여,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심부에 중공부(112)가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덮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위 본체(110)는 외부 격벽과 내부 격벽에 의해 구성되고, 외부 격벽과 내부 격벽의 사이 영역에 위 트임부(111)를 통하는 콘크리트의 충전부가 형성되고, 내부 격벽의 내부 영역에 위 중공부(112)가 형성된다.
이를 이용한 매트기초공법은 다음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반에 다수의 영구거푸집(100)의 본체(110)를 그물망 구조로 배열하고,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덮개(120)에 의해 임시로 폐쇄한다(도 3,4).
트임부(111)를 통해 영구거푸집(100)의 본체(110)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도 5).
덮개(120)를 제거하고, 본체(110)의 중공부(112)에 골재(A) 또는 토사를 충전하고 다짐한다(도 7).
즉, 종래기술과 같이 다수의 중공블록을 그물망 구조로 배열하여 매트기초 구조물을 시공한다는 전제 하에, 영구거푸집(100)을 이용하여 중공블록을 현장타설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조, 운반, 보관이 어려운 고중량의 프리캐스트 중공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 운반, 보관이 용이한 저중량의 영구거푸집(100)을 사용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구거푸집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덮개(120)를 사용하므로, 콘크리트 타설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중공부(112)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수의 중공블록이 서로 빈틈없이 면접촉한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본체(110)의 외곽의 횡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중공부(112)는 골재(A) 또는 토사가 충전되는 영역이므로, 원형 구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시공성을 위하여 바람직하고, 그 밖에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영구거푸집 본체(110)의 하부에도 상부의 트임부(111)와 마찬가지로 트임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영구거푸집(100)이 안정적으로 위치를 지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영구거푸집 본체(110)의 하부는 폐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2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중공부(11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덮개(120)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솟은 구조를 취하는 경우, 본체(110)의 트임부(111) 측으로 콘크리트가 쉽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 덮개(120)의 상면에 고이는 콘크리트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
덮개(120)의 중앙부 상면에 손잡이부(121)가 형성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덮개(120)의 제거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6).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영구거푸집 110 : 본체
111 : 트임부 112 : 중공부
120 : 덮개 121 : 손잡이부
C : 콘크리트 A : 골재

Claims (6)

  1. 영구거푸집(100)에 의한 다수의 현장타설 중공블록이 그물망 구조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매트기초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매트기초공법으로서,
    상기 영구거푸집(100)은,
    상기 현장타설 중공블록의 형성을 위하여, 상부에 트임부(111)가 형성되고 심부에 중공부(112)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임시로 폐쇄하기 위한 덮개(12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120)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솟은 구조이고,
    상기 덮개(120)의 중앙부 상면에는 손잡이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매트기초공법은,
    지반에 다수의 상기 본체(110)를 그물망 구조로 배열하고,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를 상기 덮개(120)에 의해 임시로 폐쇄하는 단계;
    상기 본체(11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덮개(120)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에 골재(A) 또는 토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외곽의 횡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112)의 횡단면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70930A 2019-06-14 2019-06-14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KR10229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30A KR102297366B1 (ko) 2019-06-14 2019-06-14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30A KR102297366B1 (ko) 2019-06-14 2019-06-14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77A KR20200143077A (ko) 2020-12-23
KR102297366B1 true KR102297366B1 (ko) 2021-09-02

Family

ID=7408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30A KR102297366B1 (ko) 2019-06-14 2019-06-14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3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65Y1 (ko) * 2004-06-21 2004-09-21 이순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KR200430906Y1 (ko) *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빌드썬 먹줄슬리브 유닛
KR101129678B1 (ko) * 2011-11-15 2012-03-28 주식회사 에이스올 중공블록을 이용한 그물망 기초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317A (ja) * 1989-10-05 1991-05-24 Taisei Corp 中空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とその施工方法
KR101088357B1 (ko) 2011-03-10 2011-12-01 주식회사 에이스올 그물망 마이크로 기초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65Y1 (ko) * 2004-06-21 2004-09-21 이순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KR200430906Y1 (ko) * 2006-08-18 2006-11-13 주식회사 빌드썬 먹줄슬리브 유닛
KR101129678B1 (ko) * 2011-11-15 2012-03-28 주식회사 에이스올 중공블록을 이용한 그물망 기초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77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242157A (ja) タイヤ型枠被覆ブロック
JP7101407B2 (ja) 現場打設補強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97366B1 (ko) 영구거푸집을 이용한 매트기초공법
KR101111655B1 (ko)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KR101129678B1 (ko) 중공블록을 이용한 그물망 기초공법
RU2005139447A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апруды из армированных габионов
KR101235826B1 (ko)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1163595B1 (ko) 조립식 인공전석
KR101068857B1 (ko) 원추형 기초용기
KR100780216B1 (ko) 벌집모양의 매트를 설치하는 공법
CA2129191C (en) Culvert end wall retainer system
JP7101408B2 (ja) 現場打設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WO2011111002A1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KR101415248B1 (ko) 팽이말뚝 스탬프를 이용한 팽이말뚝 시공방법
JP5851088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型枠と擁壁の構築工法
KR200450476Y1 (ko)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KR101222690B1 (ko) 개비온 블록
KR20050116959A (ko)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팽이형말뚝용기덮개 및 이를이용한 현장타설형팽이말뚝기초 시공방법
KR100480508B1 (ko) 친환경 개거수로
JP5611264B2 (ja) 桟橋の枕コンクリートとなる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
KR101331599B1 (ko) 조립식 벽체를 이용한 시설물
EP2995722B1 (en) Insulating damp course element
JP4886822B2 (ja)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KR10184150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석벽 구조물 시공방법
RU2649352C1 (ru) Свайно-плитный фунда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