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146A -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 Google Patents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146A
KR20210015146A KR1020190093546A KR20190093546A KR20210015146A KR 20210015146 A KR20210015146 A KR 20210015146A KR 1020190093546 A KR1020190093546 A KR 1020190093546A KR 20190093546 A KR20190093546 A KR 20190093546A KR 20210015146 A KR20210015146 A KR 2021001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narrow
sofa
slope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서
백남택
Original Assignee
김준서
백남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서, 백남택 filed Critical 김준서
Priority to KR102019009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5146A/ko
Publication of KR2021001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록킹이 잘 되고 소파 효과가 뛰어하며, 제작과 거치가 용이한 쐐기형 소파블록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10);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동체(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재(10)의 상부면(14)은, 측벽부재(10) 저면(13)에 대한 상부면(14)의 높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진다.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보다 작고, 상기 중간 연결동체(27)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Description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WEDGE SHAPED INTERLOCKABLE WAVE DISSIPATION BLOCK USING MULTIPLE INCLINATION SURFACE AND WAVE SHAPE}
본 발명은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록킹이 잘 되고 소파 효과가 뛰어하며, 제작과 거치가 용이한 쐐기형 소파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록이라 하면, 대표적으로, 동부 및 상기 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각부를 갖는 테트라포드가 꼽힌다. 또한 이 외에도, 상기 테트라포드를 변형한 "씨락", "돌로스", "펜타포드", "포드락", "헥사콘" 등의 개선된 소파블록이 있다.
상술한 소파블록들은 모두, 동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4개 내지 8개의 각부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입체적인 구조를 가진다. 입체적인 구조의 소파블록은, 거치 시 공극율이 높다. 그러나 입체적인 구조의 소파블록은, 제작이 어렵고, 거치 작업이 까다로우며, 무게중심이 높아 외력 작용 시 블록의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달리, 평면적인 구조를 가지는 소파블록도 존재한다. 평면적인 구조의 소파블록은 제작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거치 작업이 까다롭지 아니하며 무게 중심이 낮아, 입체적인 구조의 소파블록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지만, 평면적인 형상으로 인해, 공극율이 낮고 소파 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395056호 등록특허공보 제1400295호 등록특허공보 제1668735호 등록특허공보 제1141894호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291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면적인 구조를 가져 제작과 거치가 용이하고 블록 탈락에 대한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공극율이 높고, 소파 효과가 뛰어난 파형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10);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동체(20)를 포함하는 파형 소파블록(1)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구비하는 파형 소파블록을 제공한다.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10)는: 각각, 사면 바닥과 마주하는 저면(13); 상기 저면(13)과 대향하고, 상방을 바라보는 상부면(14);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방을 바라보는 외측면(11);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방을 바라보는 내측면(12);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협소단부면(15); 및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바라보는 광폭단부면(16);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는 협소측 연결동체(25);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후방 단부를 연결하는 광폭측 연결동체(26); 및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와 광폭측 연결동체(26)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동체(2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저면(13)에 대한 상부면(14)의 높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진 상부경사면(141)을 구비한다.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보다 작다.
상기 중간 연결동체(27)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상기 협소단부면(15)과 광폭단부면(16)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동체(20)의 하단부는 상기 측벽부재(10)의 저면(13)의 높이와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동체(20)의 상단부는 상기 측벽부재(10)의 상부면(14)의 높이보다 낮다.
상기 외측면(11)은: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a)만큼 경사진 외측경사면(111);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b)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외측협소마감면(115); 및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c)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외측광폭마감면(117);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경사면(111)과 외측협소마감면(115)과 외측광폭마감면(117)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루고, 상기 외측광폭마감면(117)의 길이(c)는 상기 외측협소마감면(115)의 길이(b)보다 더 길다.
상기 내측면(12)은: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d)만큼 경사진 내측경사면(121);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e)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내측협소마감면(125); 및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f)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내측광폭마감면(126);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경사면(121)과 내측협소마감면(125)과 내측광폭마감면(126)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외측협소마감면(115)의 길이(b)는 상기 내측협소마감면(125)의 길이(e)보다 더 길다.
상기 외측광폭마감면(117)의 길이(c)는 상기 내측광폭마감면(126)의 길이(f)보다 더 짧다.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경사각(a)은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경사각(d)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11)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한 쪽에는 키(117)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상기 키(117)와 상보적인 형태의 키홈(118)이 형성된다.
어느 한 파형 소파블록의 키(117)는, 측방으로 이웃하고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되는 다른 파형 소파블록의 키홈(118)과 맞물린다.
상기 키(117)와 키홈(118)의 위치는,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의 키(117)와 키홈(118)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두 파형 소파블록의 광폭단부면(16)이,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협소단부면(15)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파형 소파블록을 거치한 사면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면 구조물은,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파형 소파블록이 거치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파형 소파블록이 거치된다.
상기 사면 구조물은,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된다.
상기 사면 구조물은,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광폭단부면(16)은 서로 접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외측면(11)은 서로 접한다.
상기 사면 구조물은,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협소단부면(15)은 서로 접하지 않는다.
상기 사면 구조물은, 기초사석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사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사석 상에 피복석을 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사석 상에 근고블록을 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피복석과 근고블록 상에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을 거치하는 단계;를 거쳐 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파형 소파블록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5)을 제공한다.
상기 거푸집(5)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저면(13), 측벽부재(10)의 내측면(12)의 하부 및 연결동체(20)의 하부를 규정하는 바닥거푸집(51);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내측면(12)의 상부 및 연결동체(20)의 상부를 규정하는 상부거푸집(52);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을 규정하는 측면거푸집(53);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협소단부면(15)을 규정하는 협소단부면 거푸집(54); 및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광폭단부면(16)을 규정하는 광폭단부면 거푸집(55);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거푸집(51)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11)의 키(117)의 저면과 키홈(118)을 규정하고, 상기 측면거푸집(53)의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11)의 키(117)의 상부를 규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10);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동체(20)를 포함하는 파형 이형블록(7)을 제공한다. 상기 파형 이형블록(7)은 사면의 코너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10)는: 각각, 사면 바닥과 마주하는 저면(13); 상기 저면(13)과 대향하고, 상방을 바라보는 상부면(14);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방을 바라보는 외측면(11);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방을 바라보는 내측면(12); 상기 저면(13), 상부면(14) 및 외측면(1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협소단부면(15); 및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바라보는 광폭단부면(16);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는 협소측 연결동체(25);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후방 단부를 연결하는 광폭측 연결동체(26); 및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와 광폭측 연결동체(26)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동체(2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저면(13)에 대한 상부면(14)의 높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진 상부경사면(141)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그 측방향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의 절곡 부위의 후방 단부와,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의 절곡 부위(22)의 전방 단부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맞물림부(252, 262)를 구비한다.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보다 작다.
상기 중간 연결동체(27)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하나의 측벽부재(10); 및 상기 측벽부재(10)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반쪽 연결동체(20)를 포함하는 파형 반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파형 반블록은 사면의 측방 마감 부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평면적인 구조를 가져 제작과 거치가 용이하고, 블록 탈락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평면형 소파블록임에도 불구하고 공극율이 높고, 소파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평면형 소파블록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록킹이 강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파형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형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파형 소파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의 파형 소파블록을 거치하여 인터록킹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파형 이형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파형 이형블록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0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파형 소파블록과 파형 이형블록을 사면에 거치한 사면 구조물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파형 소파블록의 거푸집이다.
도 14는 도 13의 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은 사면의 경사 방향과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전방이 사면의 어느 한 쪽 방향에 국한되고 후방이 그 다른 방향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전방과 후방은 사면의 경사를 따르는 방향으로서 서로 반대 방향임을 의미하지만, 전방이 사면의 내리막 방향에 한정되고 후방이 사면의 오르막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서 측 방향은 사면에 대한 즉 경사 방향에 수직한 등고선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내측방향이라 함은 소파블록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까워지는 측방향을 의미하고, 외측방향이라 함은 소파블록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멀어지는 측방향을 의미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하방은 사면을 수직으로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고, 상방은 사면의 상방 법선 방향이라 이해할 수 있다.
[파형 소파블록]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파형 소파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의 파형 소파블록(1)은, 측방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재(10)와, 이들 사이에서 이들을 측방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동체(20)를 구비한다. 한 쌍의 측벽부재(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된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10)를 연결하되, 복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다.
참고로 실시예의 파형 소파블록(1)과, 후술할 파형 이형블록(7)과, 파형 반블록은,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단가를 낮추기 위해 패각 가루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재(10)는,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내측면(12), 협소단부면(15) 및 광폭단부면(16)을 구비하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이다.
실시예의 측벽부재(10)는 평면도를 보았을 때 기울어진 직선 형태임이 예시되나, 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면(13)은 사면 바닥과 마주하는 평평한 면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면이다.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저면(13)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방을 바라보는 면으로서, 역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상부면(14)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저면(13)에 대해 그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저면(13)에 대한 상부면(14)의 높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진 상부경사면(141)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경사면(141)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g)로 경사져 있다.
상기 저면(13)에 대한 상부경사면(141)의 기울기(g)는 호안의 경사 또는 쇄파 효과의 증대를 위해 약 10도 내지 20도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2도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경사면(141)이 경사진 직선 형태임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경사면(141)은 경사진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경사면(141)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저면(13)과 평행을 이루는 상부협소마감면(14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협소단부면(15)의 높이 치수를 어느 정도 확보해준다. 상기 상부협소마감면(145)의 전후방향 길이는, 후술할 외측협소마감면(115)의 길이(b) 및 내측협소마감면(125)의 길이(e)보다 짧다.
상기 상부경사면(141)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저면(13)과 평행을 이루는 상부광폭마감면(14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광폭단부면(16)의 상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갖지 않도록 하여 파손 가능성을 낮춰준다. 상기 상부광폭마감면(146)의 전후방향 길이는, 후술할 외측광폭마감면(117)의 길이(c) 및 내측광폭마감면(126)의 길이(f)보다 짧다.
상기 외측면(11)은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방을 바라보는 면이다. 상기 내측면(12)은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방을 바라보는 면이다.
상기 협소단부면(15)은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면이다. 상기 광폭단부면(16)은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바라보는 면이다.
상기 외측면(11)은,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a)만큼 경사진 외측경사면(111)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면(12)은,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d)만큼 경사진 내측경사면(121)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경사각(a)은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경사각(d)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두 경사각(a, d)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가령 소파블록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내측면(12)의 경사각(d)이 외측면(11)의 경사각(a)보다 더 커, 전방으로 갈수록 측벽부재(10)의 두께(이는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거리에 해당함)가 더 커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소파블록이 거치되는 호안의 사면 경사가 1:1.5 인 경우, 상기 외측면(11)의 경사각(a)은 약 15도일 수 있다. 상기 경사각(a)은 호안의 사면 경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11)은,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b)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외측협소마감면(1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12)은,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e)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내측협소마감면(125)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협소마감면(115)의 길이(b)는 상기 내측협소마감면(125)의 길이(e)보다 더 길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경사면(111)과 내측경사면(121) 간의 폭과 대비하여, 상기 외측협소마감면(115)과 상기 내측협소마감면(125) 간의 폭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는 협소단부면(15)의 폭을 확보하는 형상이 된다. 협소단부면(15)은 광폭단부면(16)과 대비하여 그 높이가 낮은 만큼, 위와 같이 협소단부면(15)의 폭을 확보하면 해당 부위의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외측면(11)은,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c)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외측광폭마감면(11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12)은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f)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내측광폭마감면(126)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광폭마감면(117)의 길이(c)는 상기 내측광폭마감면(126)의 길이(f)보다 더 짧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경사면(111)과 내측경사면(121) 간의 폭과 대비하여, 상기 외측광폭마감면(117)과 상기 내측광폭마감면(126) 간의 폭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는 광폭단부면(16)의 폭을 확보하는 형상이 된다. 후술하겠지만, 사면의 하부단에 V 거치(도 5의 상부단 중앙에 거치된 소파블록과 같이 경사방향으로 상방에 광폭 부위가 배치되고 경사방향으로 하방에 협소 부위가 배치되도록 소파블록을 거치)되는 파형 소파블록(1)과 상부단에 A 거치(도 5의 하부단 중앙에 거치된 소파블록과 같이 경사방향으로 상방에 협소 부위가 배치되고 경사방향으로 하방에 광폭 부위가 배치되도록 소파블록을 거치)되는 파형 소파블록(1)은 경사 방향으로 상기 광폭단부면(16)이 서로 접한다. 그러면 상부단의 파형 소파블록(1)의 자중의 일부는, 서로 접하는 상기 광폭단부면(16)을 통해, 하부단의 파형 소파블록(1)으로 전달된다. 상기 광폭단부면(16)의 폭을 확보하면, 상부단의 자중이 하부단에 전달되는 부위의 강도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협소측 연결동체(25), 중간 연결동체(27) 및 광폭측 연결동체(26)를 포함한다.
협소측 연결동체(25)는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전방 단부를 연결한다. 광폭측 연결동체(26)는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후방 단부를 연결한다. 중간 연결동체(27)는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와 광폭측 연결동체(26)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을 연결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 중간 연결동체(27) 및 광폭측 연결동체(26)의 단면은 원형인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그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면 형상은 이 외에도 다각형 형상, 바람직하게는 정다각형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육각형이거나 정팔각형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중간 연결동체(27)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 연결동체(27)와 협소측 연결동체(25)의 단면이 같은 크기와 형상인 구조가 예시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을 타고 오르거나 내리는 해수의 흐름에 대한 쇄파 효과를 크게 증가시킨다.
상기 소파블록이 거치되는 호안의 사면 경사가 1:1.5 인 경우,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과 중간측 연결동체(20)와 광폭측 연결동체(26)의 직경 비는 약 1:1:1.7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의 중심과 중간측 연결동체(20)의 중심 간의 거리 대비 상기 중간측 연결동체(20)의 중심과 광폭측 연결동체(26)의 중심 간의 거리는 1:1.25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직경 비와 중심 간 거리 비는 사면의 경사비에 따라 소폭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동체(20)의 하단부는 상기 측벽부재(10)의 저면(13)의 높이와 대응한다. 이에 따라 연결동체(20)와 측벽부재(10)가 모두 사면 상에 거치되어 하중이 적절히 분산 지지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동체(20)의 상단부는 상기 측벽부재(10)의 상부면(14)의 높이보다 낮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부재(10)는 소파 효과를 더욱 크게 발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협소단부면(15)과 광폭단부면(16)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면 하부단의 파형 소파블록의 광폭단부면(16)이 상부단의 파형 소파블록의 광폭단부면(16)과 면 접촉하여, 하부단의 파형 소파블록이 상부단의 파형 소파블록의 하중(F2; 도 5 참조)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경사면(111)과 외측협소마감면(115)과 외측광폭마감면(117)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V 거치된 파형 소파블록의 외측경사면이, 이와 이웃하여 A 거치된 파형 소파블록의 외측경사면이 면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V 거치된 파형 소파블록에 걸리는 하중(F1)은, 서로 면 접촉하는 상기 외측경사면들을 통해, 이웃하여 A 거치된 파형 소파블록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경사면(121)과 내측협소마감면(125)과 내측광폭마감면(126)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외측광폭마감면(117)의 길이(c)는 상기 외측협소마감면(115)의 길이(b)보다 더 길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방향으로, 파형 소파블록 간의 광폭단부면(16)은 서로 접하게 되고 협소단부면(15)은 서로 접하지 않게 되는 필요 조건이 된다.
상기 외측면(11)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한 쪽에는 키(117)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상기 키(117)와 상보적인 형태의 키홈(118)이 형성된다. 실시예에는 키(117)가 전방에 배치되고 키홈(118)이 후방에 배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어느 한 파형 소파블록의 키(117)는, 측방으로 이웃하고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되는 다른 파형 소파블록의 키홈(118)과 맞물린다. 물론 키(117)는 키홈(118)에 헐겁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소파블록을 거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해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키(117)와 키홈(118)의 위치는,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의 키(117)와 키홈(118)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두 파형 소파블록의 광폭단부면(16)이,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협소단부면(15)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으로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에 키와 키홈이 맞물린 상태에서, 광폭단부면(16)이 더 돌출되며, 이에 따라,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광폭단부면(16)은 면 접촉하고, 서로 마주하는 협소단부면(15)은 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단에서 V 거치된 소파블록에 걸리는 하중(F1)은 외측면을 통해 그 양측에 A 거치된 소파블록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부단에서 A 거치된 소파블록에 걸리는 하중(F2)은 광폭단부면(16)을 통해 그 하부단에 V 거치된 소파블록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하부단에서 V 거치된 소파블록에 걸리는 하중(F3)은 다시 그 양측에 A 거치된 소파블록에 전달된다. 이처럼, 소파블록의 쐐기 형상의 평면도 형상, 그리고 경사방향으로 광폭단부면(16)만 서로 접하는 구조는, 거치 작업이 단순하도록 하면서도 파형 소파블록 간 인터록킹을 강화한다. 특히 V 거치된 소파블록의 하중이, 사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폭측 연결동체에서 주로 발생하고, 이러한 하중에 의해 소파블록이 사면 하방으로 큰 하중을 가지게 되므로, 인터록킹 효과가 더욱 뛰어나다.
도 6을 참조하면, 측방으로 이웃하는 소파블록의 서로 이웃하는 측벽부재(10)는 서로 요철이 반복된다. 따라서 경사 입사하는 물살에 대한 쇄파 효과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파형 이형블록]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파형 이형블록(7)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이형블록은 사면의 코너부에 거치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파형 이형블록(7)은, 앞서 설명한 파형 소파블록(1)과 대비하여, 중앙부가 90도로 절곡된 절곡 부위(22)를 구비하는 점, 협소측 연결동체(25)가 전방을 바라보는 제1맞물림부(252)를 구비하는 점, 상기 제1맞물림부(252)가 협소단부면(15)과 연결된 구조인 점, 광폭측 연결동체(26)가 후방을 바라보는 제2맞물림부(262)를 구비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두 블록에 있어서 중복이 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파형 이형블록에 대해 설명하지 않은 사항은 파형 소파블록의 내용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절곡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파형 이형블록(7)의 협소단부면(15)은 저면(13), 상부면(14) 및 외측면(1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바라본다.
협소측 연결동체(25)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의 상면은 측벽부재(10)의 상부면(14)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의 하면은 측벽부재(10)의 저면(13)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협소측 연결동체(25)의 전면은 협소단부면(15)이 연결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의 전면은 제1맞물림부(25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맞물림부(252)는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의 절곡부위의 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맞물림부(252)는 사면에 수직한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파형 이형블록은 사면의 코너(73, 도 10 내지 도 12 참조)에 거치될 것이 예정되므로, 상기 제1맞물림부(252)는 절곡 부위(22)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의 절곡 부위(22)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1맞물림부(252)와 상보적인 형상의 제2맞물림부(262)가 구비된다.
상기 파형 이형블록(7)은 전방이 사면의 상부를 향하고, 후방이 사면의 하부를 향하도록 거치될 수 있으며, 하부단의 파형 이형블록(7)의 제1맞물림부(252)가, 상부단의 파형 이형블록(7)의 제2맞물림부(262)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파형 이형블록(7)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 측벽부재(10)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이면서도, 경계사면(73)의 기하학적 특성으로 인해, 파형 이형블록(7)의 전방, 즉 협소부가 사면의 상부를 바라보도록 거치되더라도, 제1사면(71)과 제2사면(72)에 놓여지는 측벽부재(10)는 사면을 따라 내려갈수록 상기 경계사면(73)에 가까워지게 된다. 즉 파형 이형블록(7)을 기준으로 보면 A 거치를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제1사면(71)과 제2사면(72)을 기준으로 보면 마치 V 거치를 한 것과 같이 측벽부재가 배열된다.
[파형 반블록]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파형 반블록을 설명한다. 파형 반블록은, 파형 소파블록을 반으로 나눈 형상이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IV-IV 단면선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의 형상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파형 반블록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구조물의 측방향 단부를 마무리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거치될 수 있다.
[사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하 도 5, 도 6,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파형 블록들을 거치하여 구축할 수 있는 사면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사석으로 사면(71, 72)과 천단면을 형성한다. 기초사석의 규격은 0.015 내지 0.03m3/EA일 수 있다. 상기 사면의 경사비는 1 : 1.5 일 수 있으나, 경사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초사석으로 형성된 사면 및 그 상부에 이어지는 수평한 천단면 상에는 피복석(미도시)이 부설될 수 있다. 피복석의 규격은 약 0.3m3/EA일 수 있다. 아울러 피복석에 이어 천단면의 내측에는 근고블록(미도시)을 거치한다. 상기 근고블록은 유공형일 수 있다. 근고블록과 피복석의 높이는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사석, 피복석 및 근고블록의 포설 및 거치는 통상적인 시공 방법에 따르면 족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형 블록은 상기 피복석과 근고블록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면 구조물은, 사면의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파형 소파블록(1)이 거치되어 하나의 단을 이룬다. 상기 하나의 단에서, 측방향을 따라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은 A 거치와 V 거치가 교호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측벽부재(10)의 외측면(11)이 서로 마주한다. 이때 어느 한 측벽부재(10)의 키(117)가, 이에 이웃하는 다른 측벽부재(10)의 키홈(118)에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단 내에서는 A 거치가 먼저 이루어지고, 그 사이 사이에서 V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측방으로 파형 소파블록(1)들을 이웃시키며 거치하면, A 거치가 이루어진 파형 소파블록(1)의 광폭단부면(16)은, V 거치가 이루어진 파형 소파블록(1)의 협소단부면(15)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V 거치가 이루어진 파형 소파블록(1)의 광폭단부면(16)은, A 거치가 이루어진 파형 소파블록(1)의 협소단부면(15)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된다.
하부단의 거치가 완료되면, 상부단이 거치된다. 상부단의 파형 소파블록 역시 측방향으로 A 거치와 V 거치가 교호로 이루어지며, 동시에 하부단의 파형 소파블록과도 A 거치와 V 거치가 교호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면의 측방향으로도 복수 개의 파형 소파블록이 교호로 A 거치 및 V 거치되고,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도 복수 개의 파형 소파블록이 교호로 A 거치 및 V 거치된다. 즉 상기 사면 구조물에서,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된다.
상기 사면 구조물에서,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광폭단부면(16)은 접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외측면(11)은 접한다. 반면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협소단부면(15)은 서로 접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파형 소파블록을 기준으로 보자면, A 거치든 V 거치든 관계 없이, 그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11)은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11)과 접하고, 그 파형 소파블록(1)의 광폭단부면(16)은 경사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1)의 광폭단부면(16)과 접하고, 그 파형 소파블록(1)의 협소단부면(15)은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1)의 협소단부면(15)과 접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제1사면(71)과 제2사면(72)의 경계사면(73)에는, 상술한 파형 이형블록(7)이 경사 방향으로 거치되어 나아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사면의 측방향 단부에는, 상술한 파형 반블록(도 2의 IV-IV 단면선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의 형상)이 거치되어 마무리될 수 있다.
[거푸집]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파형 소파블록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5)을 제공한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거푸집(5)은 바닥거푸집(51), 상부거푸집(52), 한 쌍의 측면거푸집(53), 한 쌍의 협소단부면 거푸집(54) 및 한 쌍의 광폭단부면 거푸집(55)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거푸집(51)은 별도의 지지대 없이 지면 바닥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거푸집(51)은 저면 부분(511)과 내측면 하부부분(512)과 연결동체 하부부분(513)을 구비한다. 상기 저면 부분(511)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저면(13)을 규정한다. 상기 내측면 하부부분(512)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내측면(12)의 하부를 규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동체 하부부분(513)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연결동체(20)의 하부를 규정한다.
상기 상부거푸집은 상기 바닥거푸집(5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거푸집(52)은 내측면 상부부분(522)과 연결동체 상부부분(523)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면 상부부분(522)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내측면(12)의 상부를 규정한다. 상기 연결동체 상부부분(523)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연결동체(20)의 상부를 규정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53)은 상기 바닥거푸집의 양측 단부 및 상기 상부거푸집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거푸집(53)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을 규정한다.
상기 한 쌍의 협소단부면 거푸집(54)은, 상기 바닥거푸집의 전방 단부 양측, 상기 상부거푸집의 양측의 전방 단부, 그리고 상기 측면거푸집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협소단부면 거푸집(54)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협소단부면(15)을 규정한다.
상기 한 쌍의 광폭단부면 거푸집(55)은, 상기 바닥거푸집의 후방 단부 양측, 상기 상부거푸집의 양측의 후방 단부, 그리고 상기 측면거푸집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광폭단부면 거푸집(55)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광폭단부면(16)을 규정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거푸집(5)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상부면(14)을 규정하는 상부면 거푸집을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면 거푸집은 상기 상부거푸집(52), 측면거푸집(53), 협소단부면 거푸집(54) 및 광폭단부면 거푸집(55)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거푸집(51)과 측면거푸집(53)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11)의 키(117)를 규정한다. 상기 바닥거푸집(51)은 상기 키(117)의 저면을 규정하고, 상기 측면거푸집(53)은 상기 키(117)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상부 부분을 규정한다. 이에, 상기 바닥거푸집(51)의 저면 부분(511)에는 키 저면 부분(5117)이 마련된다. 그리고 측면 거푸집(53)에는 키 상부 부분(537)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바닥거푸집(51)은 상기 키홈(118)을 규정한다. 이에 상기 바닥거푸집(51)의 저면 부분(511)에는 키홈 부분(5118)이 마련된다.
상기 거푸집(5)을 이용한 파형 소파블록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거푸집(5)의 바닥거푸집(51), 상부거푸집(52), 측면거푸집(53), 협소단부면 거푸집(54) 및 광폭단부면 거푸집(55)을 조립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콘크리트에는 패각 가루가 첨가되어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이가 단가는 낮출 수 있다.
또한 상부면 거푸집을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 등을 통해 콘크리트를 다질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다. 어느 정도 콘크리트를 채운 뒤에는 상기 상부면 거푸집을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마저 타설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뒤에는, 바닥거푸집(5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거푸집들을 탈거한 후 소파블록을 분리해낼 수 있다.
상술한 소파블록은, 소파 효과가 매우 높다. 상기 소파블록은 직선적인 형태의 기존 소파블록에 비해 블록 자체에 경사를 주어 굴곡을 가지게 함으로써, 소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굴곡은 측벽부재(10)와, 복수 개의 연결동체(20)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 블록과 180° 엇갈린 배치로 측벽부재(10)가 이중 선형을 생성하여 블록과 수괴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경사 입사파에 대한 대응능력이 탁월하다. 또한 블록의 원형 콘크리트 바(bar)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소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파블록은 평균 공극률이 45~48%로서 소파효과가 극대화된다.
상술한 소파블록은 안정성이 뛰어나다. 상기 소파블록은 쐐기형상의 블록을 AVAVA 형태로 배치하여 블록 하중이 저면(13)과 광폭단부면(16) 및 외측면(11)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하중 집중이 저면과 하단블록에 상부하중이 집중되는 기존 블록과의 차별화된다. 상기 소파블록은 외측면 하부에 키(117)와 키홈(118)를 두어 인접블록과의 결속효과를 대폭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한 쌍의 측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동체의 직경을 충분히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 제고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파블록은 무게중심이 낮아(8톤급 =1m, 무게중심 0.38m) 외력 작용시 블록 탈락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소파블록은 시공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은 사면을 고려한 파형 소파블록 형상으로서 우각부 정배열이 가능하다. 또한 파형 이형블록은 코너형 블록으로서 기본형인 파형 소파블록 대비 20%이상 중량 증가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소파블록은 기본형, 코너형, 반블록의 세 타입으로 이루어지므로, 단순하여 시공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블록 형상이 단순하여 거푸집 조립해체 등 제작 시공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높은 공극율로 경제적이다.
상술한 소파블록은 평면 배치시 물결모양으로 배열되므로 타 블록에 비해 미관적으로 수려하다. 또한 연결동체 사이의 공극이 8톤급 기준 25츠 내외로 작업시 안정성이 높다. 또한 블록 파손 및 탈락 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파형 소파블록
7: 파형 이형블록
10: 측벽부재
11: 외측면
111: 외측경사면
115: 외측협소마감면
116: 외측광폭마감면
117: 키
118: 키홈
12: 내측면
121: 내측경사면
125: 내측협소마감면
126: 내측광폭마감면
13: 저면
14: 상부면
141: 상부경사면
145: 상부협소마감면
146: 상부광폭마감면
15: 협소단부면
16: 광폭단부면
20: 연결동체
22: 절곡 부위
25: 협소측 연결동체
252: 제1맞물림부
26: 광폭측 연결동체
262: 제2맞물림부
27: 중간 연결동체
5: 거푸집
51: 바닥거푸집
511: 저면 부분
5117: 키 저면 부분
5118: 키홈 부분
512: 내측면 하부부분
513: 연결동체 하부부분
52: 상부거푸집
522: 내측면 상부부분
523: 연결동체 상부부분
53: 측면거푸집
537: 키 상부 부분
54: 협소단부면 거푸집
55: 광폭단부면 거푸집
71: 제1사면
72: 제2사면
73: 경계사면

Claims (11)

  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10);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동체(20)를 포함하는 파형 소파블록(1)으로서,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10)는: 각각,
    사면 바닥과 마주하는 저면(13);
    상기 저면(13)과 대향하고, 상방을 바라보는 상부면(14);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방을 바라보는 외측면(11);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방을 바라보는 내측면(12);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협소단부면(15); 및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바라보는 광폭단부면(16);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는 협소측 연결동체(25);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후방 단부를 연결하는 광폭측 연결동체(26); 및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와 광폭측 연결동체(26)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동체(27)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저면(13)에 대한 상부면(14)의 높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진 상부경사면(141)을 구비하고,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보다 작고,
    상기 중간 연결동체(27)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소파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결동체(20)의 하단부는 상기 측벽부재(10)의 저면(13)의 높이와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동체(20)의 상단부는 상기 측벽부재(10)의 상부면(14)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소파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11)은: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a)만큼 경사진 외측경사면(111);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b)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외측협소마감면(115); 및
    상기 외측경사면(11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c)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외측광폭마감면(117);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경사면(111)과 외측협소마감면(115)과 외측광폭마감면(117)은 상기 저면(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을 이루고,
    상기 외측광폭마감면(117)의 길이(c)는 상기 외측협소마감면(115)의 길이(b)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소파블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12)은: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d)만큼 경사진 내측경사면(121);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e)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내측협소마감면(125); 및
    상기 내측경사면(12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f)만큼 나란하게 연장된 내측광폭마감면(126);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협소마감면(115)의 길이(b)는 상기 내측협소마감면(125)의 길이(e)보다 더 길고,
    상기 외측광폭마감면(117)의 길이(c)는 상기 내측광폭마감면(126)의 길이(f)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소파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11)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한 쪽에는 키(117)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상기 키(117)와 상보적인 형태의 키홈(118)이 형성되고,
    어느 한 파형 소파블록의 키(117)는, 측방으로 이웃하고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되는 다른 파형 소파블록의 키홈(118)과 맞물리고,
    상기 키(117)와 키홈(118)의 위치는,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의 키(117)와 키홈(118)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두 파형 소파블록의 광폭단부면(16)이,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협소단부면(15)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소파블록.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파형 소파블록을 거치한 사면 구조물로서,
    상기 사면 구조물은,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파형 소파블록이 거치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파형 소파블록이 거치되며,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파형 소파블록은 전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배향되며,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광폭단부면(16)은 서로 접하고, 사면의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외측면(11)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이웃하는 파형 소파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협소단부면(15)은 서로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구조물.
  8. 청구항 6의 사면 구조물 시공방법으로서,
    기초사석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사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사석 상에 피복석을 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사석 상에 근고블록을 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근고블록 상에 상기 파형 소파블록을 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면 구조물의 시공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파형 소파블록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5)으로서,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저면(13), 측벽부재(10)의 내측면(12)의 하부 및 연결동체(20)의 하부를 규정하는 바닥거푸집(51);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측벽부재(10)의 내측면(12)의 상부 및 연결동체(20)의 상부를 규정하는 상부거푸집(52);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을 규정하는 측면거푸집(53);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협소단부면(15)을 규정하는 협소단부면 거푸집(54); 및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광폭단부면(16)을 규정하는 광폭단부면 거푸집(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닥거푸집(51)은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11)의 키(117)의 저면과 키홈(118)을 규정하고,
    상기 측면거푸집(53)의 상기 파형 소파블록(1)의 외측면(11)의 키(117)의 상부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10);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동체(20)를 포함하는 파형 이형블록(7)으로서,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10)는: 각각,
    사면 바닥과 마주하는 저면(13);
    상기 저면(13)과 대향하고, 상방을 바라보는 상부면(14);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방을 바라보는 외측면(11);
    상기 저면(13)과 상부면(14)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방을 바라보는 내측면(12);
    상기 저면(13), 상부면(14) 및 외측면(1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협소단부면(15); 및
    상기 저면(13), 상부면(14), 외측면(11) 및 내측면(12)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을 바라보는 광폭단부면(16);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는 협소측 연결동체(25);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의 후방 단부를 연결하는 광폭측 연결동체(26); 및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와 광폭측 연결동체(26)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면(12)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동체(27);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14)은, 상기 저면(13)에 대한 상부면(14)의 높이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진 상부경사면(141)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동체(20)는 그 측방향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광폭측 연결동체(26)의 절곡 부위의 후방 단부와, 상기 협소측 연결동체(25)의 절곡 부위(22)의 전방 단부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의 맞물림부(252, 2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이형블록.
KR1020190093546A 2019-07-31 2019-07-31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KR20210015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46A KR20210015146A (ko) 2019-07-31 2019-07-31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46A KR20210015146A (ko) 2019-07-31 2019-07-31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146A true KR20210015146A (ko) 2021-02-10

Family

ID=7456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546A KR20210015146A (ko) 2019-07-31 2019-07-31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514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17A (ko) 2007-07-05 2009-01-09 원 회 양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KR101141894B1 (ko) 2011-09-21 2012-05-03 김수득 해안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소파 구조물
KR101395056B1 (ko) 2013-05-22 2014-05-19 최미영 피복재와 인공어초를 위한 펜타포드형 소파블록, 그 거치방법 및 제작방법
KR101400295B1 (ko) 2014-04-09 2014-05-27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1668735B1 (ko) 2016-05-27 2016-10-2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17A (ko) 2007-07-05 2009-01-09 원 회 양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KR101141894B1 (ko) 2011-09-21 2012-05-03 김수득 해안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소파 구조물
KR101395056B1 (ko) 2013-05-22 2014-05-19 최미영 피복재와 인공어초를 위한 펜타포드형 소파블록, 그 거치방법 및 제작방법
KR101400295B1 (ko) 2014-04-09 2014-05-27 (주)네오테크 소파블록 제작용 거푸집 및 소파블록 제작방법
KR101668735B1 (ko) 2016-05-27 2016-10-24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거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646B2 (en)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CA2357879C (en) Wall block with interlock
US7367752B2 (en)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US7396190B2 (en)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EP2758603B1 (en) Retaining wall block
JP2004218416A5 (ko)
US20070234665A1 (en) Modular block wall system
KR101151520B1 (ko)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US8876438B2 (en) Process for casting concrete wall blocks for use with geogrid
KR2017000957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EP2694745B1 (en) Modular system of building blocks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US20040159065A1 (en) Retaining wall block
KR20150034780A (ko) 구조 유닛 및 위치결정부재
KR20210015146A (ko)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KR2012002876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JP6359733B1 (ja) 擁壁用積ブロック
CN103046512B (zh) 一种八边形隔层错排互锁可灌孔的新型挡墙砌块
JP638226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US20060096180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grid system
CN203049612U (zh) 一种高抗剪强度砌块错层砌筑的新型挡墙
KR100506749B1 (ko) 매립물을 보강하기 위한 벽 및 상기 벽을 고정하는 고정요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