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917A -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917A
KR20090002917A KR1020070067319A KR20070067319A KR20090002917A KR 20090002917 A KR20090002917 A KR 20090002917A KR 1020070067319 A KR1020070067319 A KR 1020070067319A KR 20070067319 A KR20070067319 A KR 20070067319A KR 20090002917 A KR20090002917 A KR 2009000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reinforcement
foundation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102007006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917A/ko
Publication of KR2009000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부판에 반원형의 돌기부와 반원형의 오목홈이 번갈아가며 상하 연속적으로 파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에는 다수개의 통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판의 돌기부와 오목홈의 양측에는 블록 연결용 보강벽체가 상기 돌기부의 높이로 연설되며, 돌기부와 오목홈의 중앙에는 세로보가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기 양측 보강벽체에는 각각 암수키가 반복 형성되어, 호안에 파형 블록을 목적에 따라 해양 체험 현장이나 친수형 소파기능을 위한 목적으로 외형적으로 파랑의 형상을 연상하게 하는 시각적 효과가 있으며, 블록을 대형화하여 블록 상호간 다수개의 암수키로 연결됨으로써 결속력이 향상된다. 또한, 계단을 설치하여 블록 설치시 통행로로 사용하며 조위차에 따른 해수면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여 친수성을 제공하며, 블록의 후면을 사석으로 매립함으로써 공기단축으로 인해 경제적이며 견고한 구조의 호안을 제공한다.
호안블록, 통수공, 해양체험, 계단

Description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Revetment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수성을 고려하고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일 구조체를 대형화하였으며, 외형적으로 파랑을 연상할 수 있는 반달형 돌기부를 콘크리트 부판에 평면배치 또는 상하로 굴곡되게 요철을 둔 형식으로 구성하며, 블록 좌우에는 보강벽체를, 그리고, 중앙부에는 보강용 세로보를 두며, 블록간 상호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블록 좌우의 보강벽체에는 연결용 암수키를 두었다.
설치 목적에 따라 해양체험현장은 완경사로 설치됨으로 제체 바닥 고르기를 한 후 포설하며 친수형 호안은 급경사로 적치하게 됨으로 블록 부판 후면에 부벽을 추가 첨가시켜 블록 자체를 보강한다.
일반적으로 해안에 있는 시설은 크고 작은 파랑과 조수왕래로 인해 세굴이나 침식 등의 피해 우려가 있으므로 호안 시설을 하게 되며, 해양 체험 현장이나 친수성을 고려한 친수성 블록을 사용한 사례는 있으나 소형블록의 사용이 일반적이다.
근래에는 친수성을 요구하는 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블록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제체 유실 방지를 위한 시설이며, 통상적으로 소형블록의 사용으로 인해 이상 파랑시에는 피해가 우려되고 다량의 블록 사용에 따른 공정 차질이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친수헝 호안을 제공함에 구조외형 자체가 파랑을 연상하게 되는 구조형식이 바람직하고 공정을 축소하여 공기단축이나 경세성과 안정성이 확보되는 호안블록의 개발과 설치방법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부판에 반원형의 돌기부와 반원형의 오목홈이 번갈아가며 상하 연속적으로 파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에는 다수개의 통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판의 돌기부와 오목홈의 양측에는 블록 연결용 보강벽체가 상기 돌기부의 높이로 연설되며, 돌기부와 오목홈의 중앙에는 세로보가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기 양측 보강벽체에는 각각 암수키가 반복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콘크리트 부판에 반원형의 돌기부와 수평면이 번갈아가며 상하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에는 다수개의 통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판의 돌기부와 수평면의 양측에는 블록 연결용 보강벽체가 상기 돌기부의 높이로 연설되며, 돌기부와 수평면의 중앙에는 세로보가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기 양측 보강벽체에는 각각 암수키가 반복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강벽체 및 세로보의 배면에는 급경사 호안 법면에 시공하기 용이하도록 돌출 부벽이 더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호안블록을 완만한 경사의 호안에 시공하는 방법은, 하단에 기초마운드(1)를 구축하고, 상기 기초마운드(1) 위에는 기초받침블록(2)을 설치한 후 기초받침블록(2) 위에 본 발명의 호안블록(B)을 호안의 높이에 따라 1개 단위 또는 2개 단위로 포설하되, 상기 기초받침블록(2)에는 난간(3)을 설치하여 해양체험 현장 통로로 이용하며, 호안의 상단에서 상기 기초받침블록(2)까지는 계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급경사의 호안에는 기초마운드(1)를 구축하고, 상기 기초마운드(1) 위에는 기초받침블록(2)을 설치한 후 돌출부벽(40)이 형성된 호안블록(B')을 상기 기초받침블록(2) 위에 블록을 선 거치하고, 후면에 사석 채움하여 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안에 파형 블록을 목적에 따라 해양 체험 현장이나 친수형 소파기능을 위한 목적으로 외형적으로 파랑의 형상을 연상하게 하는 시각적 효과가 있으며, 블록을 대형화하여 블록 상호간 다수개의 암수키로 연결됨으로써 결속력이 향상된다. 또한, 계단을 설치하여 블록 설치시 통행로로 사용하며 조위차 에 따른 해수면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여 친수성을 제공하며, 블록의 후면을 사석으로 매립함으로써 공기단축으로 인해 경제적이며 견고한 구조의 호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호안블록(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다의 파랑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부판(10)에 반원형의 볼록홈(11)과 반원형의 오목홈(12)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번갈아가며 파형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볼록홈(11)과 수평면(13)이 번갈아가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오목홈(12) 및 수평면(13)에는 소형 통수공(14))이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판(10)의 볼록홈(11)과 오목홈(12)의 양측에는 보강벽체(20)가 볼록홈(1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볼록홈(11)과 오목홈(12)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세로보(30)가 더 형성되어 견고성이 보강된다.
또한, 블록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보강벽체(20)의 외측으로는 각각 암수키(21)가 반복 형성되며, 급경사의 법면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보강벽체(20)와 세로보(30)의 배면측에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돌출 부벽(40)이 더 돌출되어 형성하여 호안블록(B')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완만한 호안의 경사 법면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안의 높이에 따라 호안블록(B)을 1단 또는 2단으로 구축하는 바, 볼록홈(11)과 오목홈(12)이 연속 반복 형성되는 호안블록(B)과 볼록홈(11)과 수평면(13)이 연속 반복 형성되는 호안블록(B)을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먼저 해저면에 피복석이 피복된 기초마운드(1)를 구축하고, 그 위에 기초받침블록(2)을 설치한 후 본 발명의 호안블록(B)의 보강벽체(20)에 형성된 암수키(21)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서로 견고히 조립한다. 그리고, 2단의 호안블록(B) 사이에도 기초받침블록(2)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받침블록(2)에는 난간(3)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기초받침블록(2)을 해양 체험 현장의 통로로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호안블록(B)은 배면 사석을 먼저 고르기 한 후 포설하게 되며, 호안블록(B)의 위에는 캡콘크리트(4)를 설치한다.
이때, 측면으로 연속 조립되는 호안블록(B)의 일정 간격마다 해양체험 현장으로 이용하기 위해 캡콘크리트(4)의 상단에서 호안블록(B) 기초받침블럭(2)까지 계단(5)을 다수 형성한다.
따라서, 호안블록(B)에 부딪치는 파랑이 볼록홈(11)과 오목홈(12) 및 수평면(13)에 의해 소파되는 것은 물론, 파랑의 출렁임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친수성이 양호하게 된다.
한편, 호안 법면의 경사가 급하고 높은 경우에는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돌출 부벽(40)이 형성된 호안블록(B')을 설치하게 되며, 이를 위해 먼저 호안블록(B') 선 거치한 후, 호안블록(B')의 배면에 사석을 채움으로써, 사석이 보강벽체(20)와 세로보(30)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호안블록(B')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을 경사 법면에 2단으로 시공한 상태에서 호안블록 부분을 절단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을 경사 법면에 2단으로 시공한 상태에서 계단 부분을 절단한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을 경사 법면에 2단으로 시공한 상태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8은 도 1의 호안블록에 돌출 부벽이 더 형성된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호안블록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호안블록을 급경사 법면에 시공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3의 호안블록에 돌출 부벽이 더 형성된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호안블록 측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호안블록을 급경사 법면에 시공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부판 11 : 볼록홈
12 : 오목홈 13 : 수평면
14 : 통수공 20 : 보강벽체
30 : 세로보 40 : 돌출 부벽

Claims (5)

  1. 콘크리트 부판(10)에 반원형의 돌기부(11)와 반원형의 오목홈(12)이 번갈아가며 상하 연속적으로 파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12)에는 다수개의 통수공(1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판(10)의 돌기부(11)와 오목홈(12)의 양측에는 블록 연결용 보강벽체(20)가 상기 돌기부(11)의 높이로 연설되며, 돌기부(11)와 오목홈(12)의 중앙에는 세로보(30)가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기 양측 보강벽체(20)에는 각각 암수키(21)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2. 콘크리트 부판(10)에 반원형의 돌기부(11)와 수평면(13)이 번갈아가며 상하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13)에는 다수개의 통수공(1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판(10)의 돌기부(11)와 수평면(13)의 양측에는 블록 연결용 보강벽체(20)가 상기 돌기부(11)의 높이로 연설되며, 돌기부(11)와 수평면(13)의 중앙에는 세로보(30)가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기 양측 보강벽체(20)에는 각각 암수키(21)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벽체(20) 및 세로보(30)의 배면에는 급경사 호안 법면에 시공하기 용이하도록 돌출 부벽(4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4. 완만한 경사의 호안 하단에 기초마운드(1)를 구축하고, 상기 기초마운드(1) 위에는 기초받침블록(2)을 설치한 후 기초받침블록(2) 위에 상기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블록을 호안의 높이에 따라 1개 단위 또는 2개 단위로 포설하되, 상기 기초받침블록(2)에는 난간(3)을 설치하여 해양체험 현장 통로로 이용하며, 호안의 상단에서 상기 기초받침블록(2)까지는 계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의 시공방법.
  5. 급경사의 호안에 기초마운드(1)를 구축하고, 상기 기초마운드(1) 위에는 기초받침블록(2)을 설치한 후 기초받침블록(2) 위에 상기 청구항 제 3항의 블록을 선 거치하고, 후면에 사석 채움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의 시공방법.
KR1020070067319A 2007-07-05 2007-07-05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KR20090002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319A KR20090002917A (ko) 2007-07-05 2007-07-05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319A KR20090002917A (ko) 2007-07-05 2007-07-05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17A true KR20090002917A (ko) 2009-01-09

Family

ID=4048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319A KR20090002917A (ko) 2007-07-05 2007-07-05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9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46A (ko) 2019-07-31 2021-02-10 김준서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46A (ko) 2019-07-31 2021-02-10 김준서 다중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형 인터록킹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760B1 (ko)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US20110299937A1 (en) Pre-stressed concrete foundation for a marine building structure
KR20090002917A (ko) 견고성이 보강된 호안블록
KR101675507B1 (ko) 해상부유구조물용 부력체 및 그 제작방법
KR100743897B1 (ko) 방파제 구축용 단위블럭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WO1996025561A1 (fr) Structure souple de pose sur fond sous-marin et procede de mise en place
JP2006161402A (ja) 防波構造物の改良施工方法
US7401999B2 (en) Pre-cast deck and dock system
CN212129050U (zh) 一种土质边坡的支护结构
KR200224547Y1 (ko) 다단계의 계단식 경사면을 가진 호안의 조립구조
US6742965B1 (en) Erosion control and bulkhead apparatus
JP3857291B1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および土木構築物
KR100837848B1 (ko)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CN104060605B (zh) 折线形桩基础结构及其基础作用力计算方法和施工方法
RU120972U1 (ru) Основание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158074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고내구성 방수구조체 축조방법
KR20100100294A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83885B1 (ko) 하구나 해안의 연약지반에서의 호안공 시공방법
KR102228751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A2300311A1 (en) Reversible flexible wall dams (rfwd)
KR101219408B1 (ko) 소파블록
CN214530686U (zh) 基坑支护结构
CN213952284U (zh) 一种新型柔性挡土墙
JP4116019B2 (ja) 護岸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03

Effective date: 2010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