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035B1 -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035B1
KR102194035B1 KR1020200045522A KR20200045522A KR102194035B1 KR 102194035 B1 KR102194035 B1 KR 102194035B1 KR 1020200045522 A KR1020200045522 A KR 1020200045522A KR 20200045522 A KR20200045522 A KR 20200045522A KR 102194035 B1 KR102194035 B1 KR 10219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hedron
triangle
vertex
corn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구용
Original Assignee
구룡종합건설(주)
안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룡종합건설(주), 안구용 filed Critical 구룡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04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 효과가 뛰어나고 다양한 방법으로 거치 가능하며, 인터록킹 기능이 뛰어난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파블록은: 실질적으로 정사면체(11)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몸체(10);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을 포함하고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으로부터 외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각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각부(20)는: 기단부(31)로부터 중간부(33)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커지는 구심각부(30); 및 상기 중간부(33)로부터 선단부(51)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심각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몸체(10)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면(117)에서 상기 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외향 돌출되는 돌기부(15)를 구비한다. 각부(20)의 측면은 복수개의 평면 삼각형들을 가지고, 돌기부(15)는 면(117)의 면적중심(119)에서 변(113) 부위로 갈수록 더 돌출되며, 변 부근의 돌기부(15)에는, 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16)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WAVE DISSIPATING BLOCK AND OCEANINC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파 효과가 뛰어나고 다양한 방법으로 거치 가능하며, 인터록킹 기능이 뛰어난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소파블록은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消失)시키고, 반사파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방파제나 호안(護岸)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주로 콘크리트제의 블록을 말한다. 소파블록은 파력 등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가질 것, 외력이나 자중에 대하여 충분한 구조 강도를 가질 것, 양중 및 시공이 용이할 것, 파랑 에너지를 감쇄할 수 있도록 적층하였을 때 적당한 공극률을 얻을 수 있을 것 등의 요건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소파블록으로서는, "테트라포드(Tetrapod, TTP)"와 "돌로스(Dolos)" 등이 있다. 테트라포드는 4개의 뿔 모양의 다리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소파블록이고, 돌로스는 일정 길이를 가진 몸체 양단에 다리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형태의 소파블록이다.
상기 테트라포드는 방파제의 사면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피복되거나, 잠제와 같은 해안침식 구조물 등을 건설시 다수 개가 밀집 형성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테트라포드를 적층하여 형성된 방파제 또는 하천 바닥 등은 인접하는 테트라포드 사이의 틈새 공간과 테트라포드 자체의 울퉁불퉁한 형상, 그리고 이들의 엇물림에 의하여 파랑 에너지를 분산 또는 소실시킨다.
소파블록을 거치하는 방법에는 2층피복 형식과 난적 형식 등이 있고, 2층피복 형식에는 직립제피복형식과 경사제피복형식이 있으며, 난적 형식에는 직립제 전단면 피복 형식과 경사제 전단면 피복 형식이 있다.
난적 형식은 공극률을 구현하기 쉽고 거치가 간단하여 시공성이 좋은 반면, 일반인들에게는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난잡하게 쌓여 있는 것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미관이 좋지 않다.
반면 2층피복 형식은 소파블록이 정연하게 배치되어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인 소파블록이 배열되어 있어도 주변 미관을 그다지 해치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수십톤에 달하는 소파블록을 하나씩 거치할 때마다 위치는 물론 방위(각도)까지 맞춰야 하는 점에서 시공이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다.
전형적인 테트라포드는 중심점으로부터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을 향하는 형태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각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테트라포드는 하나의 중심점으로부터 각부가 방사상으로 연장된다는 형상적인 한계로 인해 무게 톤수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다. 가령 75톤 급 이상으로 테트라포드를 제작하면, 테트라포드의 중심부의 부피가 커져서 수화열로 인해 균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테트라포드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의 각부를 구비하므로, 소파블록 간의 인터록킹 효과가 크지 않고, 각부가 파손에 약하며, 공극률 확보가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테트라포드의 각부의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한 소위 "딤플", 인터록킹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을 개선한 소위"테트라네오" 등의 소파블록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딤플의 경우, 정사면체의 모서리와 꼭지점을 다소 과도하게 모따기한 형태에서, 꼭지점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을 소정의 깊이로 함몰시킨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각부의 강도는 확보할 수 있었으나, 공극률 확보가 쉽지 않고, 인터록킹 효과가 약하다.
또한 테트라네오의 경우, 각부의 단부에서 단면이 확장된 형태의 돌기부가 인터록킹 효과를 높여주기는 하나, 거푸집이 복잡하고 탈형이 어려워 제작이 쉽지 않고, 소파블록의 거치 역시 쉽지 않으며, 공극률 확보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파블록 간의 인터록킹 효과를 개선하면서도 제작과 시공이 용이한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극률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각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파 효과가 매우 뛰어난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할 수 있는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거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정사면체(11)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몸체(10);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을 포함하고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으로부터 외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각부(20);를 포함하는 소파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중심몸체(10)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면(117)에서 상기 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외향 돌출되는 돌기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부(20)는: 구심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10)와 연결되는 기단부(31); 원심방향으로 상기 각부(20)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부(51); 상기 각부(20)의 선단부와 기단부(31)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기단부(31) 및 선단부(51)보다 단면적이 더 큰 중간부(33); 상기 기단부(31)로부터 중간부(33)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커지는 구심각부(30); 및 상기 중간부(33)로부터 선단부(51)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심각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면(117)의 면적중심(119)과, 상기 면(117)의 변(113)이 상기 변(113)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각부(20)의 기단부(31)와 만나는 지점들을 연결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면(117)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이웃하는 두 면(117)에 마련된 돌기부(15)들이 서로 연결되는 변(113) 부분에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체적중심(13)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5)는 실질적으로 이등변삼각형의 밑면을 가지는 삼각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6)는, 중심몸체(10)의 이웃하는 두 면(117)에 의해 규정되는 변(113)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두 면(117)의 돌기부(15)들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변(113)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함몰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6)에 의해 규정되는 함몰부(16)의 표면은, 상기 변(113)과 상기 각부(20)의 기단부(31)와 만나는 지점과, 인접하는 두 돌기부(15)들의 삼각뿔의 꼭지점들을 연결한 삼각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단부(31)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에 의해 이웃하는 세 변의 소정의 지점들을 연결한 제1삼각형(311) 형태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33)의 단면은 육각형(321)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311)의 중심과 상기 육각형(321)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311)의 단면과 상기 육각형(321)의 단면은,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311)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이고, 상기 육각형(321)은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의 세 꼭지점들인 세 제1코너(313)와, 상기 육각형(321)의 여섯 꼭지점들인 여섯 중간부코너(323)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세 중간부코너(323)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의 둘레로 서로 방사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은 상기 육각형(3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심각부(30)의 측면은, 제1측표면(35) 3개와 제2측표면(37) 6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측표면(35)은, 상기 기단부(31)의 제1삼각형(311)의 변에 해당하는 제1엣지(315)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제1코너(313),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엣지(315)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측표면은, 상기 기단부(31)의 제1삼각형(311)의 제1코너(313),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너(313)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및 상기 중간부코너(323)와 이웃하는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선단부(51)는 제2삼각형(511) 형태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삼각형(511)의 중심과 상기 육각형(321)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삼각형(511)의 단면과 상기 육각형(321)의 단면은,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삼각형(511)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삼각형(511)의 세 꼭지점들인 세 제2코너(513)와, 상기 육각형(321)의 여섯 꼭지점들인 여섯 중간부코너(323)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세 중간부코너(323)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의 둘레로 서로 방사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원심각부(50)의 측면은, 제3측표면(53) 3개와 제4측표면(55) 6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측표면(53)은, 상기 선단부(51)의 제2삼각형(511)의 변에 해당하는 제2엣지(515)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제2코너(513),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엣지(515)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4측표면(55)은, 상기 선단부(51)의 제2삼각형(511)의 제2코너(513),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코너(513)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및 상기 중간부코너(323)와 이웃하는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과 상기 제2삼각형(511)은 서로 정렬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311)과 상기 제2삼각형(511)은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상기 기단부(31)가 상기 중심몸체(10)의 변(113)과 만나는 지점과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 간의 거리(d)는, 상기 정사면체(11)의 두 꼭지점(111)을 잇는 변(113)의 길이(L)의 1/4 이상이고 1/2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에서 상기 중간부코너(323)에 이르는 거리(d2)는, 상기 직선에서 상기 제1코너(313)에 이르는 거리(d1)의 1.0 배를 초과하고 2.0 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부(20)의 기단부(31)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는, 상기 정사면체(11)의 변(113)의 길이(L)의 0.2배 이상 0.8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31)와 중간부(33) 간의 거리(h1)는 상기 중간부(33)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2)의 1/3 이상 2/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31)와 중간부(33) 간의 거리(h1)는 상기 중간부(33)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2)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는 챔퍼(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파블록들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거치된 어느 한 소파블록의 각부가 이와 이웃하여 거치된 소파블록의 함몰부(16)에 의해 지지되도록 정적(定積)될 수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거치된 어느 한 소파블록의 구심각부(30)가 이와 이웃하여 거치된 소파블록의 구심각부(30)와 접하여 인터록킹 되도록 정적(定積)될 수 있다.
상기 소파블록들은 2단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각부(20)가 중심에서 멀어짐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구간을 구비하므로, 인접하는 두 소파블록의 인접하여 배치된 두 각부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터록킹 될 수 있고, 인접하는 두 소파블록의 어느 한 소파블록의 중심몸체의 돌기부(15) 내지 함몰부(16)가 이웃하는 소파블록의 각부(20)와 인터록킹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함몰부(16)가 중심몸체(10)의 변(113)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16)가 상기 변(1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어서, 상기 함몰부(16)가 이웃하여 거치되는 소파블록의 각부(20)를 지지하여 줌은 물론, 파랑의 분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중심몸체(10)의 면(117)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돌기부(15)가 변(113)의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파랑의 분산 효과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각부의 형상으로 인해 공극률을 확보함은 물론, 각부의 길이가 길더라도 그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심몸체(10)와 각부(20)의 다양한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은 소파블록의 모든 면을 평면 형태로 제작하면서도, 다양한 굴곡을 구현할 수 있어, 거푸집의 제작이 쉽고, 거푸집의 탈형도 용이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기단부와 중간부와 선단부의 형상을, 중심몸체의 체적중심과 꼭지점을 지나는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기단부와 중간부와 선단부의 형상을, 중심몸체의 체적중심과 꼭지점을 지나는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내지 도 20은 1층적을 한 상태의 소파블록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28은 2층적을 한 상태의 소파블록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9는 난적을 한 상태의 소파블록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심방향은 소파블록의 체적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되고, 원심방향은 소파블록의 체적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둘레방향이라 함은, 상기 중심을 향하거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파블록의 개략적인 레이아웃]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소파블록의 개략적인 레이아웃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중심몸체(10)가 실질적으로 이루는 정사면체(11)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도 3은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의 부분에 마련된 각부(20)의 기단부(31)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각각 상기 기단부(31)로부터 각부(20)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구심각부(30)와 원심각부(50)를 포함하는 각부(20)의 연장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소파블록은, 중심몸체(10) 및 상기 중심몸체(10)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4개의 각부(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개의 각부(20)만이 표현되어 있다.
상기 중심몸체(10)는 실질적으로 정사면체(11)의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는 4개의 변(113), 그리고 4개의 꼭지점(111), 및 4개의 면(117)을 포함한다.
상기 각부(20)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 부분에서 외향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하나의 꼭지점(111)에서 모이는 3개의 변(113) 상에 있는 소정의 세 지점(115)은 각부(20)와 연결되는 점이 된다. 이 세 지점(115)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1삼각형(311)은 각부(20)와 중심몸체(10)가 연결되는 기단부(31)가 된다.
상기 각부(20)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에서 꼭지점(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상기 지점(115)과 꼭지점(111) 사이의 거리(d)는 변(113)의 전체 길이(L)의 1/2 미만이고 1/4 이상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변(113)의 양 단부에 마련된 꼭지점(111) 부분에 마련된 두 각부(20)는 각각 중심몸체(10)에 연결되고 두 각부(20)가 직접 연결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네 개의 각부(20)가 형성된 중심몸체(10)의 변(113)은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각부(20)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다.
중심몸체(10)에서 꼭지점(111) 및 상기 꼭지점(111)으로부터 기단부(31)에 이르는 부분은 각부(20)에 매립된 형태가 된다.
상기 각부(20)는 중심몸체(1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구심각부(30)와, 상기 구심각부(30)보다 중심몸체(10)에서 더 멀리 배치되는 원심각부(50)를 포함한다.
구심각부(30)는 중심몸체(10)와 연결되는 기단부(31)에서 상기 중심몸체(1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구심각부(30)와 원심각부(50)의 경계부분을 중간부(33)라 하면, 상기 중간부(33)의 단면적은 상기 기단부(31)의 단면적보다 더 크다. 그리고 기단부(31)와 중간부(33) 사이의 임의의 두 지점을 잡아 단면을 보았을 때, 중간부(33)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이 기단부(31)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보다 더 크다. 또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중간부(33)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이 기단부(31)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정리하면, 구심각부(30)는 중심몸체(10)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원심각부(50)는 상기 중간부(33)에서 각부(20)의 선단부(51)에 이르는 구간을 지칭한다. 상기 원심각부(50)는 중간부(33)에서 선단부(51)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선단부(51)의 단면적은 상기 중간부(33)의 단면적보다 작다. 그리고 중간부(33)와 선단부(51) 사이의 임의의 두 지점을 잡아 단면을 보았을 때, 중간부(33)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이 선단부(51)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보다 더 크다. 또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중간부(33)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이 선단부(51)에 더 가까운 지점의 단면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정리하면, 원심각부(50)는 중심몸체(10)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기단부(31)의 제1삼각형(311) 단면 형상은 정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중간부(33)의 육각형(321) 단면 형상은 정육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선단부(51)의 제2삼각형(511) 단면 형상은 정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311)의 중심과 상기 육각형(321)의 중심과 상기 제2삼각형(511)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삼각형(311)의 중심에서 상기 제1삼각형(311)의 제1코너(313; 꼭지점)에 이르는 제1거리(d1)는 상기 육각형(321)의 중심에서 상기 육각형(321)의 중간부코너(323; 꼭지점)에 이르는 제2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삼각형(511)의 중심에서 상기 제2삼각형(511)의 제2코너(513; 꼭지점)에 이르는 제3거리(d3)는 상기 제2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거리(d1)는 상기 제2거리(d2)의 1.0배를 초과하고 2.0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거리(d1)가 제2거리(d2)의 1.0배 이하이면, 이웃하는 소파블록(1)의 각부들 간의 인터록킹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제1거리(d1)가 제2거리(d2)의 2.0배를 초과하면, 각부(20)가 지나치게 두꺼워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의 인터록킹 거치 자체가 매우 어렵게 되고, 각부(20)의 자중이 증가하는 것에 비해 기단부(3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어 각부(20)가 기단부(31)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제3거리(d3)는 상기 제1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삼각형(311)과 제2삼각형(511)의 형상은 합동일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부(20)의 기단부(31)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 각부의 길이는 상기 정사면체(11)의 변(113)의 길이(L)의 0.2배 이상 0.8배 이하일 수 있다.
각부의 길이(h)가 변의 길이(L)의 0.2 배 미만이면, 각부의 길이를 확보할 수 없어 이웃하는 소파블록 간의 겹침량을 확보할 수 없어 인터록킹이 어렵다. 또한 각부의 길이(h)가 변의 길이(L)의 0.8 배 이상이면, 각부의 길이(h)가 지나치게 길어져 간섭되지 않아야 할 다른 소파블록과 간섭되어 거치가 어려워지고, 각부(20)가 기단부(31)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31)와 중간부(33) 간의 거리(h1), 즉 구심각부의 길이는, 상기 중간부(33)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2), 즉 원심각부의 길이의 1/3 이상 2/3 이하일 수 있다. 두 거리(h1, h2) 간 비율이 상기 범위(1/3 ~ 2/3)를 벗어나면, 이웃하는 소파블록의 각부들 간의 인터록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31)와 중간부(33) 간의 거리(h1)는 상기 중간부(33)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소파블록의 구체적인 형상]
이하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실시예의 소파블록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소파블록(1)은 실질적으로 정사면체(11)의 형상을 구비하는 중심몸체(10)의 꼭지점 부분에서, 중심몸체(10)의 체적중심(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각부(20)를 구비한다.
상기 각부(20)의 기단부(31)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에 의해 이웃하는 세 변의 소정의 지점들을 연결한 제1삼각형(311) 형태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33)의 단면은 육각형(321)의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각부(20)의 선단부는 제2삼각형(511)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제1삼각형(311)의 중심과 상기 육각형(321)의 중심과 상기 제2삼각형(511)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Z)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311)의 단면과 상기 육각형(321)의 단면과 상기 제2삼각형(511)의 단면은,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311)과 제2삼각형(511)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이고, 상기 육각형(321)은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 즉 Z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의 세 꼭지점들인 세 제1코너(313)와, 상기 육각형(321)의 여섯 꼭지점들인 여섯 중간부코너(323)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세 중간부코너(323)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의 둘레로 서로 방사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은 상기 육각형(3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심각부(30)의 측면은, 삼각 평면 형태의 제1측표면(35) 3개와 삼각 평면 형태의 제2측표면(37) 6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측표면(35)은, 상기 기단부(31)의 제1삼각형(311)의 변에 해당하는 제1엣지(315)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제1코너(313),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엣지(315)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측표면(35)의 삼각형 형상은, 한 변이 상기 기단부(31)의 하나의 제1엣지(315)에 해당한다.
상기 제2측표면은, 상기 기단부(31)의 제1삼각형(311)의 제1코너(313),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너(313)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및 상기 중간부코너(323)와 이웃하는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제2측표면(37)의 삼각형 형상은, 한 변이 상기 중간부(33)의 하나의 중간부엣지(325)에 해당한다.
상기 구심각부(30)의 측면은, 둘레방향으로, 제1측표면(35), 제2측표면(37), 제2측표면(37), 제1측표면(35), 제2측표면(37), 제2측표면(37), 제1측표면(35), 제2측표면(37), 및 제2측표면(37)의 순으로 표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들 표면은 모두 삼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며, 해당 평면의 법선의 방향이 모두 서로 어긋나 배치된다. 즉 이러한 구심각부(30)의 측면은, 평면 형태이어서 거푸집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뛰어난 소파 효과를 가지게 된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 즉 Z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삼각형(511)의 세 꼭지점들인 세 제2코너(513)와, 상기 육각형(321)의 여섯 꼭지점들인 여섯 중간부코너(323)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세 중간부코너(323)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의 둘레로 서로 방사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삼각형(511)은 상기 육각형(3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삼각형(511)은 Z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1삼각형(311)과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상기 원심각부(50)의 측면은, 삼각 평면 형태의 제3측표면(53) 3개와 삼각 평면 형태의 제4측표면(55) 6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측표면(53)은, 상기 선단부(51)의 제2삼각형(511)의 변에 해당하는 제2엣지(515)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제2코너(513),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엣지(515)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제3측표면(53)의 삼각형 형상은, 한 변이 상기 선단부(51)의 하나의 제2엣지(515)에 해당한다.
상기 제4측표면은, 상기 선단부(51)의 제2삼각형(511)의 제2코너(513),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코너(513)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및 상기 중간부코너(323)와 이웃하는 중간부코너(323)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제4측표면(55)의 삼각형 형상은, 한 변이 상기 중간부(33)의 하나의 중간부엣지(325)에 해당한다.
상기 원심각부(50)의 측면은, 둘레방향으로, 제3측표면(53), 제4측표면(55), 제4측표면(55), 제3측표면(53), 제4측표면(55), 제4측표면(55), 제3측표면(53), 제4측표면(55), 및 제4측표면(55)의 순으로 표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들 표면은 모두 삼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며, 해당 평면의 법선의 방향이 모두 서로 어긋나 배치된다. 즉 이러한 원심각부(50)의 측면은, 평면 형태이어서 거푸집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뛰어난 소파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8 내지 도 15에서 예시하는 소파블록은 Z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1삼각형(311)과 제2삼각형(511)이 서로 포개어지는 구조의 각부(20)를 구비하는 형태가 예시된다.
그러나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Z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1삼각형(311)과 제2삼각형(511)이 서로 대향하는 구조의 각부(20)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앞서 도 8 내지 도 15의 소파블록에서, 원심각부(50)가 60도 돌아간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각부(20)를 구비하는 소파블록(1) 역시 구심각부(30)와 원심각부(50)의 측면이 모두 평면 형태이어서, 거푸집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뛰어난 소파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중심몸체(10)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면(117)에서 상기 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외향 돌출되는 돌기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5)는, 중심몸체(10)의 하나의 면(117)마다 3개씩 제공된다.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면(117)의 면적중심(119)과, 상기 면(117)의 변(113)이 상기 변(113)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각부(20)의 기단부(31)와 만나는 지점들을 연결한 이등변 삼각형의 밑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면(117)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서, 실질적으로 이등변삼각형의 밑면을 가지는 삼각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5)는, 면(117)의 면적중심(119)에서 변(113) 부위로 갈수록 더 돌출되는 형태이다.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이웃하는 두 면(117)에 마련된 돌기부(15)들이 서로 연결되는 변(113) 부분에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체적중심(13)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6)는, 중심몸체(10)의 이웃하는 두 면(117)에 의해 규정되는 변(113)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두 면(117)의 돌기부(15)들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변(113)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함몰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6)는 변(113)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16) 표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113)과 상기 각부(20)의 기단부(31)와 만나는 지점과, 인접하는 두 돌기부(15)들의 삼각뿔의 꼭지점들을 연결한 한 쌍의 삼각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6)의 형상은 상기 변(1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소파블록(1)의 각부(20)를 수용하고 지지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소파블록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는 챔퍼(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다. 챔퍼가 형성되는 모서리는, 상기 모서리에 의해 만나는 두 면이 이루는 각이 90도 이하여서 뽀족하거나 날카로워 깨지기 쉬운 부분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의 소파블록은 두 면이 이루는 각이 90도 이하에 해당하는 부위가 없어, 별도의 챔퍼 형상을 부가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소파블록의 거치]
본 발명은, 상기 소파블록들을 거치한 해양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방파제일 수 있다. 상기 방파제는 1:1.5 또는 1:2의 경사각을 가지는 사면에 상술한 소파블록들을 거치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거치된 어느 한 소파블록의 구심각부(30)가 이와 이웃하여 거치된 소파블록의 구심각부(30)와 접하여 인터록킹 되도록 정적(定積)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의 1층적 상태를 도시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웃하여 거치된 두 소파블록(1)의 구심각부(30)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거치되므로, 두 소파블록(1)은 각부의 길이방향으로 인터록킹 될 수 있다(도 20의 "a" 부분 참조).
또한 이웃하어 거치된 두 소파블록(1) 중 어느 한 소파블록의 각부(20)의 단부는 다른 소파블록(1)의 함몰부(16)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돌기부(15)와 간섭될 수 있다(도 20의 "a" 부분 참조). 이에 따라 어느 한 소파블록의 각부는 다른 한 소파블록의 중심몸체(10)와 인터록킹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파블록들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거치되어 해양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양구조물은, 거치된 어느 한 소파블록의 각부의 측면이 이와 이웃하여 거치된 소파블록의 함몰부(16)에 의해 지지되도록 정적(定積)될 수 있다.
도 22는 도 21과는 다른 형태로 두 소파블록이 2층적 되는 형태의 단위를 정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도면이고, 도 23은 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4는 이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2의 "c" 부분과 도 23의 "D"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어느 한 소파블록의 함몰부(16)의 오목한 형상과 그 방향은 이와 마주하는 다른 소파블록의 각부와 대응하게 된다. 이는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들의 인터록킹 효과를 높여주고,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들이 서로 접하는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5는 도 21과 다르고 도 23 내지 도 24와도 다른 형태로 소파블록들이 2층적 되는 형태의 두 단위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6 내지 도 29는 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파블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2층적 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9에는 소파블록들이 난적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소파블록들은 정사면체 형태의 중심몸체에 구심각부와 원심각부를 포함하는 각부를 형성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각부와 각부 간, 중심몸체와 각부 간의 인터록킹 효과를 크게 높였으며, 각부의 독특한 형태를 통해 각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소파블록
10: 중심몸체
11: 정사면체
111: 꼭지점
113: 변
L: 변의 길이
115: 각부 연결점
117: 면
119: 면적중심
13: 체적중심
15: 돌기부
16: 함몰부
20: 각부
h: 각부의 길이
30: 구심각부
h1: 구심각부의 길이
31: 기단부
311: 제1삼각형
313: 제1코너
d: 꼭지점과 제1코너 사이의 거리
d1: 제1삼각형의 중심에서 제1코너에 이르는 거리(제1거리)
315: 제1엣지
33: 중간부
321: 육각형
323: 중간부코너
d2: 육각형의 중심에서 중간부코너에 이르는 거리(제2거리)
325: 중간부엣지
35: 제1측표면
37: 제2측표면
50: 원심각부
h2: 원심각부의 길이
51: 선단부
511: 제2삼각형
513: 제2코너
d3: 제2삼각형의 중심에서 제2코너에 이르는 거리(제3거리)
515: 제2엣지
53: 제3측표면
55: 제4측표면

Claims (17)

  1. 실질적으로 정사면체(11)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몸체(10);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을 포함하고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으로부터 외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각부(20);를 포함하는 소파블록으로서,
    상기 각부(20)는:
    구심방향으로 상기 중심몸체(10)와 연결되는 기단부(31);
    원심방향으로 상기 각부(20)의 선단에 마련된 선단부(51);
    상기 각부(20)의 선단부와 기단부(31)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기단부(31) 및 선단부(51)보다 단면적이 더 큰 중간부(33);
    상기 기단부(31)로부터 중간부(33)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커지는 구심각부(30); 및
    상기 중간부(33)로부터 선단부(51)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심각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기단부(31)는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에 의해 이웃하는 세 변의 소정의 지점들을 연결한 제1삼각형(311) 형태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삼각형(311)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이며,
    상기 중간부(33)의 단면은 육각형(321)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육각형(321)은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이며,
    상기 제1삼각형(311)의 중심과 상기 육각형(321)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삼각형(311)의 단면과 상기 육각형(321)의 단면은,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의 세 꼭지점들인 세 제1코너(313)와, 상기 육각형(321)의 여섯 꼭지점들인 여섯 중간부코너(323)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세 중간부코너(323)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의 둘레로 서로 방사상으로 정렬되고,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은 상기 육각형(3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지점 간의 거리(d)는, 상기 정사면체(11)의 두 꼭지점(111)을 잇는 변(113)의 길이(L)의 1/4 이상이고 1/2 미만이고,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에서 상기 중간부코너(323)에 이르는 거리(d2)는, 상기 직선에서 상기 제1코너(313)에 이르는 거리(d1)의 1.0 배를 초과하고 2.0 배 이하이고,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부(20)의 기단부(31)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는, 상기 정사면체(11)의 변(113)의 길이(L)의 0.2배 이상 0.8배 이하이고,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31)와 중간부(33) 간의 거리(h1)는, 상기 중간부(33)와 선단부(51) 간의 거리(h2)의 1/3 이상 2/3 이하이고,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면(117)에는 상기 면(117)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외향 돌출되는 돌기부(15)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면(117)의 면적중심(119)과, 상기 면(117)의 변(113)이 상기 변(113)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각부(20)의 기단부(31)와 만나는 지점들을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이등변삼각형의 밑면을 가지고, 상기 면(117)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삼각뿔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몸체(10)의 정사면체(11)의 이웃하는 두 면(117)에 마련된 돌기부(15)들이 서로 연결되는 변(113) 부분은, 상기 중심몸체(10)의 체적중심(13)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16)가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16)는, 중심몸체(10)의 이웃하는 두 면(117)에 의해 규정되는 변(113)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두 면(117)의 돌기부(15)들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변(113)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함몰된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16)에 의해 규정되는 함몰부(16)의 표면은, 상기 변(113)과 상기 각부(20)의 기단부(31)와 만나는 지점과, 인접하는 두 돌기부(15)들의 삼각뿔의 꼭지점들을 연결한 삼각형 형태를 포함하는 소파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심각부(30)의 측면은,
    상기 기단부(31)의 제1삼각형(311)의 변에 해당하는 제1엣지(315)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제1코너(313),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엣지(315)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의 제1측표면(35) 3개와;
    상기 기단부(31)의 제1삼각형(311)의 제1코너(313),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너(313)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및
    상기 중간부코너(323)와 이웃하는 중간부코너(323)
    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의 제2측표면(37) 6개;를 구비하는 소파블록.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51)는 제2삼각형(511) 형태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삼각형(511)의 중심과 상기 육각형(321)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삼각형(511)의 단면과 상기 육각형(321)의 단면은,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소파블록.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삼각형(511)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이고,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삼각형(511)의 세 꼭지점들인 세 제2코너(513)와, 상기 육각형(321)의 여섯 꼭지점들인 여섯 중간부코너(323) 중 서로 이웃하지 않는 세 중간부코너(323)는,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의 둘레로 서로 방사상으로 정렬된 소파블록.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원심각부(50)의 측면은,
    상기 선단부(51)의 제2삼각형(511)의 변에 해당하는 제2엣지(515)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제2코너(513), 및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엣지(515)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의 제3측표면(53) 3개와;
    상기 선단부(51)의 제2삼각형(511)의 제2코너(513),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코너(513)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상기 중간부(33)의 중간부코너(323), 및
    상기 중간부코너(323)와 이웃하는 중간부코너(323)
    를 연결하는 삼각형 형상의 제4측표면(55) 6개;를 구비하는 소파블록..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사면체(11)의 꼭지점(111)과 상기 정사면체(11)의 체적중심(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삼각형(311)과 상기 제2삼각형(511)은 서로 정렬된 형태인 소파블록.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소파블록들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로서,
    어느 한 소파블록의 각부가 이와 이웃하는 소파블록의 함몰부(16)에 의해 지지되도록 정적(定積)된 해양 구조물.
  17. 청구항 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소파블록들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로서,
    어느 한 소파블록의 구심각부(30)가 이와 이웃하는 소파블록의 구심각부(30)와 접하여 인터록킹 되도록 정적(定積)된 해양 구조물.
KR1020200045522A 2020-04-14 2020-04-1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KR10219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22A KR102194035B1 (ko) 2020-04-14 2020-04-1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22A KR102194035B1 (ko) 2020-04-14 2020-04-1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035B1 true KR102194035B1 (ko) 2020-12-22

Family

ID=7408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522A KR102194035B1 (ko) 2020-04-14 2020-04-14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0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7258A (ja) * 2006-03-16 2007-09-27 Shimane Pref Gov 三次元噛み合いブロック
KR20080084679A (ko) * 2007-03-14 2008-09-19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소파블록
KR20100123521A (ko) * 2009-05-15 2010-11-24 (주)메카해양연구소 소파블록 거푸집
KR20130037321A (ko) * 2011-10-06 2013-04-16 (주) 신아건설 딤플형 소파 블록
KR20150077507A (ko) * 2013-12-27 2015-07-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구조물
KR101768016B1 (ko) * 2016-12-28 2017-08-22 대한민국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사방시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7258A (ja) * 2006-03-16 2007-09-27 Shimane Pref Gov 三次元噛み合いブロック
KR20080084679A (ko) * 2007-03-14 2008-09-19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소파블록
KR20100123521A (ko) * 2009-05-15 2010-11-24 (주)메카해양연구소 소파블록 거푸집
KR20130037321A (ko) * 2011-10-06 2013-04-16 (주) 신아건설 딤플형 소파 블록
KR20150077507A (ko) * 2013-12-27 2015-07-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구조물
KR101768016B1 (ko) * 2016-12-28 2017-08-22 대한민국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사방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980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WO2012124254A1 (ja) 消波・魚礁ブロック
KR101400283B1 (ko) 소파블록의 거치방법 및 소파블록이 거치된 방파제
KR102194035B1 (ko)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KR10259778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 시공방법 및 소파 구조물
JP4990209B2 (ja) 消波ブロック及び消波ブロック工法
KR102194036B1 (ko)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JP2006348572A (ja) 消波ブロック
KR102336008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20160009725A (ko) 소파블록
CN110747807A (zh) 一种x型的人工护面消浪块体
KR102181955B1 (ko) 방사형 소파블록 및 거치방법
KR10233681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20150086439A (ko) 소파블록
CN211228350U (zh) 能量吸收构件以及能量吸收组件
KR101627098B1 (ko) 어초 겸용 사면체형 구조물 및 그 배열방법
KR102574104B1 (ko) 면 접촉 소파블록 및 이를 거치한 해양구조물
CN108385609B (zh) 一种平面组合型消浪人工护面块体及消浪堤岸
KR102624034B1 (ko) 지지력을 강화한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CN211849258U (zh) 一种新型堤防护面消浪块体
KR101390697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와이어로프로 결속한 소파블록 해양구조물
KR20160021321A (ko) 소파블록
KR20150065033A (ko) 소파블록
KR102559240B1 (ko) 케이크로스 소파블록 및 그 거치방법
KR102176536B1 (ko) 모래유실 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