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321A - 딤플형 소파 블록 - Google Patents

딤플형 소파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321A
KR20130037321A KR1020110101672A KR20110101672A KR20130037321A KR 20130037321 A KR20130037321 A KR 20130037321A KR 1020110101672 A KR1020110101672 A KR 1020110101672A KR 20110101672 A KR20110101672 A KR 20110101672A KR 20130037321 A KR20130037321 A KR 2013003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dimple
sofa block
lower sid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가즈 다카가키
이언철
Original Assignee
(주) 신아건설
주식회사 치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아건설, 주식회사 치스이 filed Critical (주) 신아건설
Priority to KR102011010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321A/ko
Publication of KR2013003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사면체의 꼭지점들 및 모서리를 잘라낸 형태에 딤플(dimple)을 형성한 딤플형 소파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제1측면 및 상기 복수의 제1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측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하측면,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하측면, 상기 제1하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상측면 및 상기 제2하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상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을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몸체부의 제1측면 및 상기 다리부의 제1하측면에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1하측면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개구 능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딤플형 소파 블록{DIMPLE TYPE WAVE DISSIPATING BLOCK}
본 발명은 소파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해로부터 진입하는 파랑의 파력을 감쇄시키기 위해 방파제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의 설치 시 사용되는 소파 블록들 중, 정사면체의 꼭지점들 및 모서리를 잘라낸 형태에 딤플(dimple)을 형성한 딤플형 소파 블록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는 외해로부터의 파랑을 막아 내항을 보호하는 구조물로서, 경사제 방파제와, 직립제 방파제와, 혼성제 방파제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 경사제 방파제는 기본적으로 쌓아 올려진 사석(버림돌)에 의해 형성되고, 외해를 향하는 경사면과 내항을 향하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그리고 외해를 향하는 경사면에는 소파(消波) 블록이 설치되고, 내항을 향하는 경사면에는 피복석이 설치된다. 소파 블록은 외해로부터 방파제로 진행하는 파랑의 파력을 감쇄시키고, 방파제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현재까지 가장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어 왔던 소파 블록은 테트라포드(tetrapod)이다. 테트라포드는 기본적으로 정사면체를 이루고,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각 꼭지점을 향해 연장하는 4개의 다리를 구비한다. 그러나 테트라포드는 매끈한 원통 모양의 다리로 인해 해양 식물의 착생력을 떨어뜨리고, 이로써 연안을 황폐화시킨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다리의 직경이 중심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작아지기 때문에 테트라포드 간 맞물림이 견고하지 못하고, 이로써 테트라포드는 안정성에 있어서 문제를 드러내어 왔다.
현재 테트라포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딤플(dimple)형 소파 블록이 알려져 있다. 딤플형 소파 블록은 정사면체의 네 꼭지점 및 여섯 모서리를 잘라 형성된 구조체에 딤플(dimple), 즉 웅덩이를 만든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형태로 마련된 딤플형 소파 블록은 테트라포드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테트라포드에 비해 우수한 소파 기능을 갖으며, 테트라포드에 비해 공극률이 커 보다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딤플형 소파 블록은 상호 간에 견고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테트라포드에 비해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한국등록특허 제0982355호는 상기 딤플형 소파 블록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딤플형 소파 블록(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와, 4개의 다리체(30)를 포함한다. 몸체부(20)에는 치어의 은신처로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슬릿(22)이 형성된다. 다리체(30)는 평면 형태의 단부면(38)과, 상측면부(32)와, 하측면부(34)를 포함한다. 상측면부(32)는 단부면(38)으로부터 연장하고, 사각 평면 형태의 상측면(32a) 및 삼각 평면 형태의 상측면(32b)을 포함한다. 사각 평면 형태의 상측면(32a)과 삼각 평면 형태의 상측면(32b)은 모서리를 공유한다. 하측면부(34)는 상측면부(32)로부터 몸체부(20)까지 연장하고, 사각 평면 형태의 하측면(34a) 및 사각 곡면 형태의 하측면(34b)을 포함한다. 사각 평면 형태의 하측면(34a)과 사각 곡면 형태의 하측면(34b)은 부채꼴 곡면 형태의 연결면(3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해양 식물은 소파 블록의 모서리에서 착생한다. 그리고 상기 딤플형 소파 블록(10)의 몸체부(20)에 마련된 슬릿(22)은 모서리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슬릿(22)은 비록 치어의 은식처 제공용으로 마련되었으나 해양 식물의 착생처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22)은 딤플형 소파 블록(10)의 공극률 증가에도 이바지한다.
그러나 상기 슬릿(22)은 치어의 은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크기의 증가에 한계를 갖고, 몸체부(20)의 한정된 면적으로 인해 개수의 증가에도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딤플형 소파 블록(10)에 따르면, 상기 슬릿(22)으로 인한 착생 해저 식물 수의 증가 및 공극률 증가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생 해저 식물의 수 및 공극률을 종래의 슬릿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딤플(dimple)형 소파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제1측면 및 상기 복수의 제1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측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하측면,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하측면, 상기 제1하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상측면 및 상기 제2하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상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을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몸체부의 제1측면 및 상기 다리부의 제1하측면에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1하측면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개구 능선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상기 개구 능선의 꼭지점들로부터 연장하는 측면 능선과, 상기 측면 능선의 단부들을 꼭지점으로 하는 바닥 능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에 위치하는 바닥 능선에 의해 형성된 다리부 바닥은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바닥 능선에 의해 형성된 몸체부 바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어 상기 홈의 깊이를 점차 낮추어 준다. 또한 상기 다리부 바닥과 상기 몸체부 바닥 사이에는 상기 다리부 바닥의 경사도보다 낮은 경사도를 갖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측면 능선은 상기 개구 능선의 꼭지점과 상기 경사면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능선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의 몸체 능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하측면과 제2하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의 하측 능선부 및 상기 제1상측면과 제2상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의 상측 능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하측면은 평면 정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하측면은 평면 역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마련된 홈은 종래의 슬릿보다 착생 해양 식물의 수를 더 증가시킴과 동시에 소파 블록의 공극률을 더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마련된 홈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바닥을 구비하는바, 거푸집에 주입된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 및 완성된 소파 블록의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능선부와 하측 능선부와 상측 능선부가 평면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소파 블록들 간 접촉 내지 충돌로 인한 파손 가능성 및 파손 정도가 종래에 비해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에 구비된 하측면부의 강도가 종래에 비해 보강되고, 이로써 몸체부와 다리부의 분리 가능성이 종래에 비해 낮아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딤플형 소파 블록에서 홈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딤플형 소파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딤플형 소파 블록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10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딤플형 소파 블록(100)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상기 홈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방사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사면체의 꼭지점으로 연장하는 4개의 다리부(130a 내지 130d)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복수의 제1측면(112), 제2측면(114) 및 몸체 능선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2측면(114)은 복수의 제1측면(112) 사이에 위치하고, 몸체 능선부(116)는 제1측면(112)과 제2측면(114)의 경계에 위치한다.
다리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4개(130a 내지 130d)로 구비된다. 그러나 이들 4개의 다리부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바, 이하에서는 편의상 4개의 다리부 중 하나(130a)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나머지 3개(130b 내지 130d)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다리부(130a)는 삼각 평면 형태의 단부면(150a)과, 몸체부(110)와 연결된 하측면부와, 상기 단부면(150a) 및 하측면부와 연결된 상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면부는 3개의 제1하측면(132a)과, 3개의 제2하측면(134a)과, 6개의 하측 능선부(140a)를 포함한다. 제1하측면(132a)은 몸체부(110)의 제1측면(112)과 연결되고, 제2하측면(134a)은 몸체부(110)의 제2측면(114)과 연결되며, 하측 능선부(140a)는 제1하측면(132a)과 제2하측면(134a)의 경계에 위치함과 동시에 몸체부(110)의 몸체 능선부(116)와 연결된다.
상측면부는 삼각 평면 형태로 구비된 3개의 제1상측면(136a)과, 사각 평면 형태로 구비된 3개의 제2상측면(138a)과, 6개의 상측 능선부(142a)를 포함한다. 제1상측면(136a)은 제1하측면(132a) 및 단부면(150a)과 연결되고, 제2상측면(138a)은 제2하측면(134a) 및 단부면(150a)과 연결되며, 상측 능선부(142a)는 제1상측면(136a)과 제2상측면(138a)의 경계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하측 능선부(140a)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10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제1측면(112) 및 다리부(130a 내지 130d)의 제1하측면(132a 내지 132d)에 홈을 구비한다. 이 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모든 홈의 구조가 동일한바, 이하에서는 편의상 하나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상기 홈은 개구 능선(162)과, 측면 능선(164)과, 바닥 능선(166)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 능선(162)은 몸체부(110)의 제1측면(112) 및 세 다리부(130a 내지 130c) 각각의 제1하측면들(132a 내지 132c)로 이루어진 도형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한다. 도 2 및 도 5는 상기 개구 능선(162)을 12각형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홈은 능선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측면 능선(164) 및 바닥 능선(166)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측면 능선(164)은 개구 능선(162)의 꼭지점으로부터 연장하고, 바닥 능선(166)은 측면 능선(164)의 하단을 꼭지점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홈은 한국등록특허 제0982355호에 개시된 선행발명의 슬릿(22)(도 1)에 비해 능선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해양 식물은 소파 블록의 능선에서 착생한다. 따라서 상기 홈은 선행발명의 슬릿(22)에 비해 착생 해저 식물의 수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소파 블록의 공극률이 커질수록 소파 블록의 부피는 증가한다. 예컨대, 100톤의 무게를 갖는 어느 한 소파 블록의 공극률이 40%이고 100톤의 무게를 갖는 다른 소파 블록의 공극률이 50%라면, 양 소파 블록의 무게는 동일하지만 50%의 공극률을 갖는 소파 블록의 부피가 40%의 공극률을 갖는 소파 블록이 부피보다 크다. 따라서 방파제를 형성할 때 50%의 공극률을 갖는 소파 블록을 사용하면 40%의 공극률을 갖는 소파 블록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한 소파 블록의 수가 적다. 따라서 공극률이 큰 소파 블록일수록 경제성이 좋다. 그런데 본 발명의 홈은 선행발명의 슬릿(22)에 비해 큰 체적을 갖기 때문에 소파 블록의 공극률을 상기 슬릿(22)에 비해 더욱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홈은 소파 블록의 경제성 향상에도 상기 슬릿(22)보다 많이 기여한다.
한편, 상기 홈의 바닥은 몸체부 바닥(172) 및 다리부 바닥(174)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 바닥(172)은 몸체부(110)에 위치하는 바닥 능선(166)으로 둘러싸여 있고, 평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다리부 바닥(174)은 다리부(130a 내지 130c)에 위치하는 바닥 능선(166)으로 둘러싸여 있고, 평면 형태를 갖는다. 또한 다리부 바닥(174)은 몸체부 바닥(172)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데, 이로 인해 다리부(130a 내지 130c)에 구비된 홈의 깊이는 몸체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다리부 바닥(174)이 몸체부 바닥(172)에 대하여 위와 같이 경사를 이룰 경우, 딤플형 소파 블록(100)의 양생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딤플형 소파 블록(100)의 강도 저하가 방지된다. 이에 대하여는 문단을 바꾸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딤플형 소파 블록(100)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소정 시간의 양생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동안 콘크리트 내에서는 기포나 수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 기포나 수포는 딤플형 소파 블록(100)이 탈형 강도에 이르는 시점(즉, 양생의 종료 시점)을 지연시키고, 완성된 딤플형 소파 블록(100)의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기포나 수포는 거푸집에 주입된 콘크리트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다리부 바닥(174)이 몸체부 바닥(172)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를 이루면, 콘크리트 내의 기포나 수포가 거푸집의 표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 바닥(172)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다리부 바닥(174)은 딤플형 소파 블록(100)의 양생 시간 증가 및 강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동일한 취지에서 상기 딤플형 소파 블록(100)에서는 상기 홈의 측면들이 상기 홈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룬다.
상기 홈의 바닥은 몸체부 바닥(172)과 다리부 바닥(174)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면(176)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사면(176)은 다리부 바닥(174)보다 낮은 경사도를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거푸집에 주입된 콘크리트 내의 기포나 수포의 배출 효율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능선(164)은 개구 능선(162)의 꼭지점과 상기 경사면(176)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능선을 더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측면 능선(164) 및 바닥 능선(166)의 길이 증가로 인해 착생 해양 식물의 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0982355호에 개시된 선행발명에 의하면, 사각 평면 형태의 상측면(32a)과 삼각 평면 형태의 상측면(32b) 간 경계가 첨예하게 구비되고, 몸체부(20)에 형성된 경계 또한 첨예하게 구비되며, 연결면(36)과 사각 평면 형태의 하측면(34a) 간 경계 및 연결면(36)과 사각 곡면 형태의 하측면(34b) 간 경계도 첨예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경계들의 첨예함으로 인해 소파 블록들 간 접촉 내지 충돌(이러한 현상은 소파 블록의 설치 시 발생하거나, 소파 블록의 설치 후 가혹한 환경으로 인해 발생함) 시 소파 블록이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소파 블록의 파손 가능성 및 정도는 100톤 이상의 대형 소파 블록에서 더욱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100)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몸체 능선부(116)와 상기 하측 능선부(140a)와 상기 상측 능선부(142a)를 평면 형태로 구비한다. 이때, 평면 형태의 몸체 능선부(116), 하측 능선부(140a) 및 상측 능선부(142a)는 균일하고 동일한 폭을 갖는다. 평면 형태의 몸체 능선부116)와 하측 능선부(140a)와 상측 능선부(142a)는 딤플형 소파 블록(100)에 구비된 모서리들의 첨예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로써 딤플형 소파 블록(100)들 간 접촉 내지 충돌로 인한 파손 가능성 및 파손 정도를 종래에 비해 낮춰 준다.
또한 상기 선행발명에 의하면, 하측면(34b) 및 연결면(36)이 오목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측면부(34)의 단면적 부족으로 인해 소파 블록들 간 접촉 내지 충돌 시 몸체부(20)와 다리체(32)의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소파 블록(100)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하측면(132a) 및 제2하측면(134a)을 평면 형태로 구비한다. 제1하측면(132a) 및 제2하측면(134a)이 이와 같이 구비되면 상기 하측면부의 강도가 종래에 비해 보강되고, 이로써 하측면부에서 몸체부(110)와 다리부(130a)가 분리될 가능성은 종래에 비해 낮아진다.
또한 평면 형태의 제1하측면(132a)은 윗변(제1상측면(136a)과 접하는 변)보다 긴 아래변(몸체부(110)의 제1측면(112)와 접하는 변)을 갖는 정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되고, 평면 형태의 제2하측면(134a)은 이와 반대, 즉 역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다리부(130a)의 하측면부가 정육각기둥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다리부(130a)와 몸체부(110) 간 접촉 부위에서의 단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딤플형 소파 블록 110 : 몸체부
112 : 제1측면 114 : 제2측면
116 : 몸체 능선부 130a 내지 130d : 다리부
132a 내지 132d : 제1하측면 134a 내지 134d : 제2하측면
136a : 제1상측면 138a : 제2상측면
140a : 하측 능선부 142a : 상측 능선부
150a : 단부면 162 : 개구 능선
164 : 측면 능선 166 : 바닥 능선
172 : 몸체부 바닥 174 : 다리부 바닥
176 : 경사면

Claims (7)

  1. 복수의 제1측면 및 상기 복수의 제1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측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하측면,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하측면, 상기 제1하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상측면 및 상기 제2하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상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제1측면 및 상기 다리부의 제1하측면에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1하측면으로 이루어진 도형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개구 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개구 능선의 꼭지점들로부터 연장하는 측면 능선과, 상기 측면 능선의 단부들을 꼭지점으로 하는 바닥 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 위치하는 바닥 능선에 의해 형성된 다리부 바닥은 상기 몸체부에 위치하는 바닥 능선에 의해 형성된 몸체부 바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어 상기 홈의 깊이를 점차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 바닥과 상기 몸체부 바닥 사이에는 상기 다리부 바닥의 경사도보다 낮은 경사도를 갖는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능선은 상기 개구 능선의 꼭지점과 상기 경사면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의 몸체 능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하측면과 제2하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의 하측 능선부 및 상기 제1상측면과 제2상측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평면 형태의 상측 능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측면은 평면 정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하측면은 평면 역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딤플형 소파 블록.
KR1020110101672A 2011-10-06 2011-10-06 딤플형 소파 블록 KR20130037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72A KR20130037321A (ko) 2011-10-06 2011-10-06 딤플형 소파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72A KR20130037321A (ko) 2011-10-06 2011-10-06 딤플형 소파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21A true KR20130037321A (ko) 2013-04-16

Family

ID=4843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672A KR20130037321A (ko) 2011-10-06 2011-10-06 딤플형 소파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3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012B1 (ko) * 2019-01-23 2019-08-06 이자윤 안전 테트라포드
KR102194035B1 (ko) * 2020-04-14 2020-12-22 구룡종합건설(주)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012B1 (ko) * 2019-01-23 2019-08-06 이자윤 안전 테트라포드
KR102194035B1 (ko) * 2020-04-14 2020-12-22 구룡종합건설(주)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8031B2 (ja) 傾斜防波堤用の被覆材
JP4852175B1 (ja) 消波・魚礁ブロック
KR10263980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JP7482955B2 (ja)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KR20130037321A (ko) 딤플형 소파 블록
KR20100064452A (ko) 다수개 연결형 인공어초
JP6127089B2 (ja) 消波ブロック
EP4159927A1 (en) Radial type wave dissipating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20150086439A (ko) 소파블록
EP3249102B1 (en) Wave absorbing block for breaking waves
KR100962667B1 (ko) 패류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0973B1 (ko) 친환경 이중구조 인공어초
KR100394338B1 (ko) 어초기능을 구비한 방파제 피복용 소파블럭
KR20200141819A (ko) 화로형 인공어초
KR102635406B1 (ko)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
KR101657278B1 (ko)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
KR10058466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파제 설치구조
KR20150065033A (ko) 소파블록
KR101698061B1 (ko) 보강구조를 갖는 고파랑 대응 소파블록
KR102484431B1 (ko) 시공성을 향상시킨 고파랑 대응 소파 블록
KR102656057B1 (ko) 소파블록 쌓기 공법 및 그 소파블록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101549106B1 (ko) 소파블록
KR101157503B1 (ko) 고중량 단층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