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427B1 - 김 양식용 부표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부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8427B1 KR101988427B1 KR1020170066202A KR20170066202A KR101988427B1 KR 101988427 B1 KR101988427 B1 KR 101988427B1 KR 1020170066202 A KR1020170066202 A KR 1020170066202A KR 20170066202 A KR20170066202 A KR 20170066202A KR 101988427 B1 KR101988427 B1 KR 101988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support rod
- buoy
- fix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06607 Porphyra umbilicalis Species 0.000 title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뛰어난 부력과 내구성을 나타냄과 함께 파손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우려가 없으며 수표면상의 일정범위를 구획하는 가두리 양식장 구축시 부표 몸체와 지지막대의 간편한 조립과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김 양식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뛰어난 부력과 내구성을 나타냄과 함께 파손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우려가 없으며 수표면상의 일정범위를 구획하는 가두리 양식장 구축시 부표 몸체와 지지막대의 간편한 조립과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김 양식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부구(浮具) 또는 부이(BUOY)라고도 불리는 부표(浮標)는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부력을 갖는 구조체로, 선박의 항로, 암초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 안내를 비롯하여 어구(漁具)나 닻 등 물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 표시와 어패류 및 조류 등을 양식하기 위해서 설치된 그물 등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어업용 부표는 부력이 뛰어난 스티로폼을 구형이나 원주형태로 압축하여 체결용 망을 씌우고, 망을 통해 각각의 부표가 로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스티로폼 부표는 각 부표의 로프 연결을 체결용 망 설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스티로폼이 작업용 배나 파도뿐 아니라 해양 생물 부착이나 침투에 의해 쉽게 파손될 뿐 아니라, 파손된 스티로폼 조각이 수면을 부유하면서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용 부표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해상 일정범위에 그물을 설치하고 특정의 어류를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조건에서는 한쌍의 나무막대를 사다리 모양으로 형성한 통로(14)가 복수의 부표(10)에 의해 부력을 받는 상태로 연결하고 그 아래쪽으로 그물을 설치하게 되며, 이를 위해 부표(10)는 원통형의 스티로폼(11) 외주면에 마대(12)를 감은 구성으로서 끈(13)을 이용하여 통로(14)에 고정되며 통로(14)가 적절한 하중을 견디도록 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 방식이었다.
이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티로폼 부표와 나무막대 및 마대는 태양광과 해수에 장시간 노출로 인한 부식과 홍합과 같은 해양생물이 달라붙어 번식함에 따라 부식이 가속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스티로폼 부표 대신 원통형의 합성수지 부표가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기온변화에 따라 내부공기의 팽창 및 수축뿐 아니라 내부의 수분침투 및 응결로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은 물론, 특히 막대를 로프를 사용하여 체결함에 따라 현장 결합작업의 어려움과 파도 및 바람 등 지속적인 외력에 의한 결합부 마모 및 파손의 우려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뛰어난 부력과 내구성을 나타냄과 함께 환경오염 우려가 없으며 부표 몸체와 지지막대의 쉬운 조립 및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김 양식용 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김 양식용 부표에 있어서, 설정된 길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막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한쪽 측면으로 한쌍의 지지막대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 및 고정되는 고정부와, 내외측을 연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캡이 형성된 밀폐구조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을 외측에서 일부 덮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지지막대가 일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막대에는 양단부로부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로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를 일부 포함한 몸체 일부를 덮으면서 몸체 다른 쪽으로 둘러 고정되는 고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지지막대가 관통하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 전면 또는 후면과 함께 접하는 모서리 및 측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몸체 반대면에 대칭 형성되는 고정체와 연결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성 재질의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막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중심을 기준으로 십자형 단면을 갖고 축방향을 따라 내벽과 연결되며 연속형성되는 보강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내측에 한쪽으로 하향 경사되어 수분이 수집되는 수집부를 구비하되, 상기 캡은 상기 수집부로부터 외부로 연통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제1관통공에 형성되어 몸체 내부의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을 통해 개방되어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콕과, 상기 몸체 상측에 형성되어 내외부를 연통하는 제2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에 형성되어 몸체 외부의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을 통해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김(해태) 양식뿐 아니라 다양한 어업 및 가두리 양식장을 비롯한 수표면상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함에 있어 뛰어난 부력과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파손에 따른 환경오염의 우려도 낮출 수 있다.
특히 부표 몸체와 지지막대의 간편하고 쉬운 조립구조를 통해 각종 어업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조립 후 바람이나 파도 등 해상환경에서도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분 침투나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를 분해 없이도 간편하게 배출하여 부력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내압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등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용 부표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막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고정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몸체의 내부 및 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막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고정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몸체의 내부 및 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김 양식용 부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해수나 담수 등 다양한 수표면에 띄워 위치표시를 비롯하여 어업이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부표로서, 특히 가두리양식장과 같이 일정 면적으로 구획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부표 몸체(100)와 지지막대(200)를 기본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지지막대(200)는 종래의 가두리양식장과 같이 다수로 구비되는 부표 몸체와 몸체를 상호연결하며 양식장의 테두리 내지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이나 파도를 통해 상시 작용하는 외력을 잘 버틸 수 있도록 한 쌍, 즉 2개를 통해 몸체(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막대(200)는 설정된 길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외력에 대해 견고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의 나무막대와는 달리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막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지지막대(200)는 도 4(a)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220)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바람이나 파도로 인한 외력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다양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0)와 몸체(100)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길어지는 상황을 비롯하여 지지막대의 강도를 한층 강화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 4(b)와 같이 상기 지지막대(200)는 내부 중공부(220)에, 내측 중심을 기준으로 십자형 단면을 갖고 축방향을 따라 내벽과 연결되며 연속형성되는 보강체(2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지지막대(200) 성형시 내측에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 2개의 보강체(210)가 열십자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며 지지막대(200)의 변형 및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밀폐구조의 통 형상의 구조체로서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밀폐 수용되는 공기로 인한 부력을 갖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종래의 합성수지재의 부표와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조로서 사각기둥, 원기둥, 타원형기둥을 비롯하여 구 형상까지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모서리가 부드러운 사각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종래에는 이러한 부표 몸체에 지지막대를 대고 로프나 사이즈가 큰 고무밴드(테잎) 등을 감아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바람이나 파도를 통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이러한 로프를 비롯하여 지지막대와 몸체 사이의 마찰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100) 한쪽 측면, 바람직하게는 상측면으로 한쌍의 지지막대(200)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 및 고정되는 고정부(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100)가 원통 내지는 타원형상의 통으로 구성시 상측에 설정된 간격으로 한 쌍의 지지막대(200)가 평행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10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의 고정부(11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110)가 상기 지지막대(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하여 삽입되는 지지막대(200)가 고정부(110)에 밀착삽입됨에 따라 종래 대비 매우 넓어진 접촉지지면적으로 인해 외력에 따른 마찰이나 파손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110)의 내경과 상기 지지막대(200)의 외경 사이에 간격이 작을수록 지지효과가 높아지나 온도로 한 열팽창, 수축을 비롯한 제작시 발생하는 공차 등으로 인한 현장 조립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고정부(110)를 상기 몸체(100)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11)과 상기 결합홈(111)을 외측에서 일부 덮되 상기 결합홈(111)에 삽입된 지지막대가 일부 노출되도록 개구부(1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온도로 한 열팽창, 수축을 비롯한 제작시 발생하는 공차에도 상기 개구부(112) 간격이 미세하게 조절되며 쉽게 몸체(100)와 지지막대(200)가 쉽게 조립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몸체(100)와 삽입된 지지막대(200) 사이에 외력 발생시에도 역시 상기 개구부(112) 간격을 통해 힘의 분산 및 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지막대(200)가 몸체(100)를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됨에 따라 외력에 의해 몸체(100)가 관통된 지지막대(200)를 따라 움직일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막대(200)에는 양단부로부터 설정된 간격, 즉 상기 몸체(100)가 삽입되고도 소정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는 수준으로 상기 몸체(100)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단턱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막대(200) 단부로 삽입되는 몸체(100)는 상기 단턱부(23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지지막대(200)의 양단에 각각 삽입된 몸체(100)의 상기 단턱부(230) 내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가 수표면에 설치되는 특성상 상측 공기와의 하측 수면접촉부 사이에 상당한 온도차가 발생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와 같이 계절간 기온차나 일교차가 비교적 큰 기후상 특성으로 인해 몸체 내측 수분 응축으로 인한 결로가 발생하게 되며, 몸체(100)를 이루는 재질에 따라서도 미세한 수분 투습으로 인해 이러한 결로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결로는 장기방치시 겨울철 기온저하에 따른 동결로 인해 내구성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결로가 심할 경우 부력저하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는 이를 주기적으로 확인 및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0)에는 내외측을 연통하는 관통공(130) 및 상기 관통공(130)을 개폐하는 방수재질의 캡(140)이 형성되어, 결로 발생시 캡(140)을 개방하여 내부에 응결된 수분을 제거해줄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130) 및 캡(140)을 몸체(100) 하측 모서리 방향에 형성함으로 응결수 제거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막대(20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응결수 제거를 위해 몸체(100)를 수표면에서 들어올리고 관통공(130)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기울이는 작업이 쉽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응축수를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서는 지지막대(200)를 몸체(10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몸체의 내부 및 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응결수 배출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0)는 내측에 한쪽으로 하향 경사되어 수분이 수집되는 수집부(120)를 구비하게 된다. 이는 몸체(100) 성형시 이러한 형태로 제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되는 지지막대(200)가 수표면에서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응결수는 상기 수집부(120)를 통해 한쪽으로 모이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캡(140)은 상기 수집부(120)로부터 외부로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131) 및 상기 제1관통공(131)에 형성되어 몸체 내부의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을 통해 개방되어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출콕(141)과 함께, 상기 몸체(100) 상측에 형성되어 내외부를 연통하는 제2관통공(132) 및 상기 제2관통공(132)에 형성되어 몸체 외부의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을 통해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콕(14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배출콕(141) 및 에어콕(142)은 일종의 체크밸브로서, 배출콕(141)은 몸체(100) 내측에서 외측으로, 에어콕(142)은 몸체(100)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유체 흐름만을 각각 허용하며, 배출콕(141) 및 에어콕(142)을 통해 자연적인 수분침투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어선을 비롯하여 통상의 선박에는 다양한 용도의 압축기가 구비되므로 관리자는 에어건 등을 활용하여 상기 에어콕(142)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게 되며, 몸체(100) 내부의 압력상승에 따라 상기 배출콕(141)이 개방되며 내부 공기와 함께 수집부(120)를 통해 모인 응결수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에어콕(142)은 통상의 압축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압에 대응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출콕(141)은 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내압에서도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압축공기 주입을 비롯하여 기온 상승에 따른 내부 공기팽창으로 인한 과도한 내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기 고정부(110)를 통해 몸체에 삽입된 지지막대(200)의 고정이 이루어지나, 풍랑 등으로 인해 해상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 결합된 지지막대(200)와 고정부(110) 사이에 과도한 응력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종래와 같이 상기 몸체 외측으로 상기 고정부(110)를 일부 덮을 수 있도록 지지로프(400) 및 이와 동등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고무밴드 등을 감아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작업 현상에서 비교적 사이즈가 큰 몸체(100) 외측으로 지지로프(400)를 감는 작업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장시간 해수 노출에 따른 지지로프(400)의 장력저하 및 부식을 비롯하여 이로 인해 탈락된 지지로프(400)의 섬유조직이 어패류 등에 섭취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체(300)를 구비함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고정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체(300)는 상기 고정부(110)를 일부 포함한 몸체(100) 일부를 덮으면서 몸체 다른 쪽으로 둘러 고정되는 구조체로 상기 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선택되는 일면이나 한 쌍으로 구비되어 몸체의 전, 후면 모두에 설치 가능하다. 만약 일면에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턱부(230)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몸체(100)의 전, 후면 모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체(300)는 상기 지지막대(200)가 관통할 수 있는 지지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전면 또는 후면과 함께 접하는 모서리 및 측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몸체(100) 반대면에 대칭 형성되는 고정체(300')와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성재질의 연결부(320)를 통해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먼저 고정체(300)의 지지공(310)에 한 쌍의 지지막대(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몸체(100)의 설치가 이루어지며, 이후 동일한 형상의 고정체(300')를 반대측에 설치하되 상기 연결부(320)를 통해 양 고정체(300, 300')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체(300, 300')가 상기 고정부(110)를 일부 덮으며 지지막대(200)와 몸체(100)와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320)는 탄성이 있는 고무나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버클(321)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시 장력 저하에도 길이를 줄여가며 사용 가능하며, 고정체(300')가 단턱부(230)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몸체(100)가 지지막대(200) 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몸체 110: 고정부
111: 결합홈 112: 개구부
120: 수집부 130: 관통공
131: 제1관통공 132: 제2관통공
140: 캡 141: 배출콕
142: 에어콕 200: 지지막대
210: 보강체 220: 중공부
230: 단턱부 300: 고정체
310: 지지공 320: 연결부
321: 버클 400: 지지로프
111: 결합홈 112: 개구부
120: 수집부 130: 관통공
131: 제1관통공 132: 제2관통공
140: 캡 141: 배출콕
142: 에어콕 200: 지지막대
210: 보강체 220: 중공부
230: 단턱부 300: 고정체
310: 지지공 320: 연결부
321: 버클 400: 지지로프
Claims (6)
- 부표에 있어서,
설정된 길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막대(200);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한쪽 측면으로 한쌍의 지지막대(200)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관통 및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내외측을 연통하는 관통공(130) 및 상기 관통공(130)을 개폐하는 캡(140)이 형성된 밀폐구조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00);
상기 고정부(110)를 일부 포함한 몸체 일부를 덮으면서 몸체 다른 쪽으로 둘러 고정되는 고정체(300); 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몸체(100)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11)과 상기 결합홈(111)을 외측에서 일부 덮되 상기 결합홈(111)에 삽입된 지지막대(200)가 일부 노출되도록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막대(200)에는 양단부로부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110)로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단턱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300)는 상기 지지막대(200)가 관통하는 지지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 전면 또는 후면과 함께 접하는 모서리 및 측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몸체 반대면에 대칭 형성되며 단턱부(230)를 덮는 고정체(300')와 연결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성 재질의 연결부(3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200)는 내부에 중공부(220)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 중심을 기준으로 십자형 단면을 갖고 축방향을 따라 내벽과 연결되며 연속형성되는 보강체(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내측에 한쪽으로 하향 경사되어 수분이 수집되는 수집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캡(140)은 상기 수집부(120)로부터 외부로 연통되는 제1관통공(131) 및 상기 제1관통공(131)에 형성되어 몸체(100) 내부의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을 통해 개방되어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콕(141)과, 상기 몸체(100) 상측에 형성되어 내외부를 연통하는 제2관통공(132) 및 상기 제2관통공(132)에 형성되어 몸체 외부의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을 통해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콕(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6202A KR101988427B1 (ko) | 2017-05-29 | 2017-05-29 | 김 양식용 부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6202A KR101988427B1 (ko) | 2017-05-29 | 2017-05-29 | 김 양식용 부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0283A KR20180130283A (ko) | 2018-12-07 |
KR101988427B1 true KR101988427B1 (ko) | 2019-06-12 |
Family
ID=6466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6202A KR101988427B1 (ko) | 2017-05-29 | 2017-05-29 | 김 양식용 부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84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8573B1 (ko) * | 2018-12-21 | 2021-03-16 | 김영근 | 주입부와 밀폐부가 구비된 부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5424A (ja) * | 1999-09-30 | 2001-04-10 | Molten Corp | 浮力調整型フロート |
KR100849006B1 (ko) * | 2008-02-22 | 2008-07-30 | 임영환 | 해태 양식용 망 지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728Y1 (ko) * | 2012-07-23 | 2014-05-22 | (주)정진누리마루 | 부구 |
KR101688861B1 (ko) | 2016-07-15 | 2016-12-22 | 지피에스코리아(주) | 부유식 부표 |
-
2017
- 2017-05-29 KR KR1020170066202A patent/KR1019884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5424A (ja) * | 1999-09-30 | 2001-04-10 | Molten Corp | 浮力調整型フロート |
KR100849006B1 (ko) * | 2008-02-22 | 2008-07-30 | 임영환 | 해태 양식용 망 지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0283A (ko) | 2018-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3372B1 (ko) | 어류 양식용 격납 펜 | |
KR100971941B1 (ko) | 조립형 부구 | |
KR101988427B1 (ko) | 김 양식용 부표 | |
KR101940751B1 (ko) | 김발지지장치 | |
US6397774B1 (en) | Floating boat house | |
KR200435836Y1 (ko) |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 |
KR20170047749A (ko) | 가두리 양식용 부자 연결 구조체 | |
KR20120007987U (ko) | 양식장용 플로트 | |
KR101545632B1 (ko) | 해상부유장치 | |
KR200156740Y1 (ko) | 가두리 양식장 | |
KR101613850B1 (ko) |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 |
US4920921A (en) | Modular aquaculture fish pen assembly with slidable divider | |
KR102541881B1 (ko) | 간답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김발부표시스템 | |
KR200443092Y1 (ko) | 부력파이프를 이용한 침하식 가두리 양식장 | |
KR200489613Y1 (ko) | 대나무 형상의 부동대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조립이 가능한 양식용 부구장치 | |
KR200358671Y1 (ko) | 내구성이 향상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 |
KR20180044112A (ko) | 가두리양식용 그물 고정틀 | |
KR102668536B1 (ko) | 개량된 간답대 조립구조를 갖는 김 양식장용 부표 조립체 | |
KR102576938B1 (ko) | 김발용 간답대 일체형 부표와 그 제조방법 | |
KR200373547Y1 (ko) | 가두리 양식장 구축용 프레임 | |
KR200497977Y1 (ko) | 회전 부표 | |
JP4938581B2 (ja) | 人工浮島、及び人工浮島群 | |
KR20140005507U (ko) | 내파성 가두리양식장 파이프 | |
KR100378250B1 (ko) | 파이프상에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구조물 | |
KR970001351Y1 (ko) | 어류양식장용 부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