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632B1 - 해상부유장치 - Google Patents

해상부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632B1
KR101545632B1 KR1020130093421A KR20130093421A KR101545632B1 KR 101545632 B1 KR101545632 B1 KR 101545632B1 KR 1020130093421 A KR1020130093421 A KR 1020130093421A KR 20130093421 A KR20130093421 A KR 20130093421A KR 101545632 B1 KR101545632 B1 KR 10154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hollow
support frame
fix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475A (ko
Inventor
김병영
Original Assignee
김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영 filed Critical 김병영
Priority to KR102013009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6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구조적으로 경량화되고 견고하며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양측면부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정렬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부유공간이 형성되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선체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중공형 부유부; 및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를 횡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정렬홈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 보강바가 구비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된 삽입연결부와, 상기 삽입연결부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연장연결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구비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홈은 상기 삽입연결부가 삽입되어 실질적인 형합 형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중공형 부유부의 하측으로 인입된 복수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렬홈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연장연결부의 하면이 안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관통하여 체결 및 고정되는 안착연결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상부유장치{floating apparatus for marine}
본 발명은 해상부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경량화되고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개선된 해상부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과 같은 내수면이나 근해에 그물망으로 구획을 지어 그 안에서 물고기 또는 굴 따위를 양식하는 이른바 가두리 양식장이 성행하고 있다. 여기서, 가두리 양식은 인공적인 수조를 설치하지 않고 자연환경 그대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필요에 따라서는 이동도 쉽게 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어서 양식업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가두리 양식장의 통상적인 시설을 살펴보면, 각목을 이용하여 사다리 형태로 형성한 통로가 다수의 부이에 의해 부력을 받는 상태로 연결되고, 그 하방향으로 그물이 설치되며, 상기 통로 상에는 발판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통로를 구성하는 각목 또는 발판은 해수에 쉽게 부식됨과 함께 심한 파고에 저항력이 떨어지는 등 내구성을 보장받지 못하고, 상기 발판은 각목을 통하여 못이나 나사류를 사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까닭에 해제나 이탈 등으로 인해 안정적이지 못하고 수시로 재고정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구는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부유물로 제작되는데, 해상에서 장시간 사용시 상기 스티로폼 부유물이 해수에 의해 수축되어 부양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파도 및 조류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이나, 수초 또는 어패류 등이 부착되어 생식하는 경우 상기 부착된 수초 또는 어패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티로폼이 함께 떨어져나가 내구력 및 부양력이 점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26871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경량화되고 외부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이 개선된 해상부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면부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정렬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부유공간이 형성되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선체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중공형 부유부; 및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를 횡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정렬홈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 보강바가 구비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된 삽입연결부와, 상기 삽입연결부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연장연결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구비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홈은 상기 삽입연결부가 삽입되어 실질적인 형합 형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중공형 부유부의 하측으로 인입된 복수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렬홈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연장연결부의 하면이 안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관통하여 체결 및 고정되는 안착연결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 내부의 부유공간은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부에 의하여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정렬홈의 내측 및 상기 삽입연결부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에는 더브테일 돌기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더브테일 돌기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더브테일 홈이 형성되되, 상기 더브테일 돌기 및 상기 더브테일 홈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슬라이딩 삽입시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돌출부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그의 대향되는 타면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형합되어 구속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해상부유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장치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형성되어 내구성, 내식성이 개선되고 무게가 가벼워 부유성이 개선되며 상기 중공형 부유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정렬홈에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삽입연결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효율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파도와 같은 외력에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가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중공형 부유부에 구비되는 상기 굴곡연장부에는 더브테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삽입연결부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더브테일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보조 체결부재 없이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와 지지프레임부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이 현저히 감축될 수 있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셋째,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부을 고정하여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그물이동공간을 통해 상기 그물의 설치, 이동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부유부와 지지프레임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4a 및 도 4c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장치에 그물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장치를 다수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부유부와 지지프레임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장치(100)는 중공형 부유부(10)와 지지프레임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해상부유장치(100)라 함은 댐과 같은 내수면이나 근해에 그물망으로 구획을 지어 그 안에서 물고기 또는 굴 따위를 자연환경 그대로를 이용하여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 및 그것을 이루는 부유식 구조물을 통칭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은 장방형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는 발판 하측으로 복수개의 스티로폼 재질의 부이와 같은 부유체가 로프 등으로 묶여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스티로폼 재질의 부이는 파도 또는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며, 파손되어 떨어져 나가는 스티로폼 조각은 심각한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티로폼 재질의 부이에 부착성 어패류나 수초가 부착되어 서식함에 따라 부양력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상기 스티로폼이 떨어져나가 내구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해상에 부유시 상기 스티로폼이 장시간 염분에 노출되어 상기 스티로폼 부이 자체의 부유력이 저하되거나, 로프로 묶은 부위가 끊어져 상기 스티로폼 부이가 이탈되어 상기 가두리 양식장의 부유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는 양측면부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정렬홈(13)이 형성되며 내부에 부유공간(11)이 형성되도록 선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는 해수 및 파도와 같은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선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공형 부유부(10)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구성, 내식성이 개선됨과 함께 경량으로 부유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은 유리섬유가 함유되는 대신에 나일론 수지가 함유되는 경우의 재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는 내측이 비어있는 부유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공간(11)의 부력에 의해 상기 해상부유장치(100)가 부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는 파도 또는 바람 등에 대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부유공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강격벽(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격벽(14)은 상기 부유공간(11)의 내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강격벽(14)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부유공간(11)이 개별적으로 폐쇄되도록 밀폐벽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부유공간(11)이 내부에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부유공간(11)의 내주면을 따라 프레임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양측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정렬홈(1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는 중앙부 하단부로부터 양측면부 상단부를 향해 기설정된 곡선형상의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선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전후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파도 및 바람과의 마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상단부에는 후술되어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기설정된 위치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정렬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홈(13)은 후술되어지는 삽입연결부(21)가 삽입되어 실질적인 형합 형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하측으로 인입된 복수개의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양측면부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하면이 안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기설정된 폭으로 연장된 안착연결부(12)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부(20)는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를 횡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부(20)는 삽입연결부(21)와 연장연결부(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삽입연결부(21)는 상기 정렬홈(13)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정렬홈(13)에 실질적인 형합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삽입연결부(21)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연장연결부(2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부(20)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가 격자형의 프레임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삽입연결부(21)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양측면부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정렬홈(13)이 상호 형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 상측의 기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자리할 뿐만 아니라, 파도와 같은 외부 충격에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10)가 상기 지지프레임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연결부(21)는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 보강바(22)가 구비되어 인서트 사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삽입연결부(21)는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지지강도 및 내구력이 개선되도록 내측으로 상기 보강바(22)가 구비되어 인서트 사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바(22)는 목재 및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바(22)는 내부가 찬 플레이트 형태의 바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강도는 개선되되 무게가 경량화 되도록 중공형의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비된 상기 보강바(22)의 외측을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코팅되도록 인서트 사출 형성함으로써 물 또는 염분에 대한 내식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바(22)가 금속 재질의 중공형 파이프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강도가 개선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면서도 무게가 경량화되어 부유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삽입연결부(21)를 연결하도록 상기 연장연결부(2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연결부(23)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복수개의 상기 삽입연결부(21)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연결부(23)는 상기 삽입연결부(21)의 내측에 상기 보강바(22)가 구비되도록 인서트 사출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평판형의 상기 연장연결부(23)를 구비한 후 그의 하측으로 복수개의 상기 삽입연결부(21)를 열융착 등으로 접착하여 일체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지지프레임부(20)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상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삽입연결부(21)가 상기 정렬홈(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연결부(2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연장연결부(23)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양측면부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연결부(12)의 상면에 안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부유부(10) 내부의 부유공간(11)은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부(30)에 의하여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안착되어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상단부는 실질적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부(30)를 구비하여 밀폐하여 상기 부유공간(11)으로 물 또는 기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부유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30)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상면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실질적인 통행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30) 및 상기 지지프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치 요철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작업자가 이동시 물기 등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덮개부(30)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그물고정부(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그물고정부(40)는 상기 해상부유장치(100)를 가두리 양식장으로 사용시 그물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그물고정부(40)에 상기 그물을 고정한 후 그의 내측으로 양식대상체인 어패류를 방사하여 양식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c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공형 부유부와 지지프레임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와 지지프레임부의 연결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때, 변형예에서의 삽입연결부, 정렬홈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장치(100,200,300)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0,220)가 다양한 형태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해상부유장치(100)는 도 4a와 같이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상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구비되되, 상기 정렬홈(13)에 상기 삽입연결부(21)가 삽입되어 실질적인 형합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연결부(21)를 연결하도록 상기 연장연결부(23)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장연결부(23)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양측면부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안착연결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24a,24b)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부재(24a,24b)는 상기 안착연결부(12)와 상기 연장연결부(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볼트와 너트가 나사체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삽입연결부(21)와 상기 안착연결부(12)를 감싸 묶도록 체결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즉,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와 지지프레임부(20)가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24)를 사용하여 고정하되, 상기 체결부재(24a,24b)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안착연결부(12)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안착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상측으로 개방된 부분은 상기 덮개부(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부유장치(200)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중공형 부유부(110)의 양측면부 상단부에 상기 정렬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형 부유부(11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안착연결부(112)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연결부(112)에는 상기 정렬홈(113)의 내측홈 프로파일을 따라 굴곡연장부(113a)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굴곡연장부(113a)의 내면과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삽입연결부(21)의 외면이 형합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삽입연결부(21)와 상기 굴곡연장부(113a)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체결부재(124b)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안착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중공형 부유부(110)의 상측으로 개방된 부분은 상기 덮개부(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부유장치(300)는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정렬홈(213)의 내측 및 상기 삽입연결부(221)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에는 더브테일 돌기(221a)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더브테일 돌기(221a)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더브테일 홈(213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프레임부(220)의 하측으로 상기 삽입연결부(221)가 구비되되, 상기 삽입연결부(221)는 내부에 보강바(222)가 구비되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삽입연결부(221)의 말단부는 기설정된 형태의 상기 더브테일 돌기(221a)가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의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안착연결부(212)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연결부(212)에는 상기 정렬홈(213)의 내측홈 프로파일을 따라 굴곡연장부(113a)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굴곡연장부(113a)의 내측면에는 상기 더브테일 돌기(221a)와 실질적인 형합 형태를 이루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더브테일 홈(213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20)를 연결하되,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에 형성된 더브테일 홈(213a)에 상기 지지프레임부(220)에 형성된 더브테일 돌기(221a)가 더브테일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더브테일 결합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와 지지프레임부(220)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이 현저히 감축될 수 있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더브테일 돌기(221a) 및 상기 더브테일 홈(213a)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슬라이딩 삽입시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돌출부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그의 대향되는 타면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형합되어 구속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고정돌출부 및 고정홈은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20)가 더브테일 결합되어 슬라이딩 체결시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후크 결합되어 슬라이딩을 구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4a 내지 도 4c의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와 상기 지지프레임부(20,220)를 체결하되,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정렬홈(13,113,213)에 상기 지지프레임부(20,220)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삽입연결부(21,221)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므로 작업효율성이 개선되고 파도와 같은 외력에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가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에 구비되는 상기 굴곡연장부(113a)에는 더브테일 홈(213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삽입연결부(221)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213a)을 따라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더브테일 돌기(221a)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보조 체결부재 없이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와 지지프레임부(220)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이 현저히 감축될 수 있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30)는 본 일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안착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의 상측으로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는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의 상단부 전면을 일체로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덮개부(30)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부(20,220)가 안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밀폐될 수도 있고, 상기 정렬홈(13,113,213)의 내측 프로파일을 따라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의 상측 전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덮개부(30)가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하므로 부유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30)의 상면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30)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20,220)의 상면은 작업자가 이동시 미끄러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 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 지지프레임부(20,220) 및 상기 덮개부(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중공형 부유부(10,110,210),지지프레임부(20,330) 및 상기 덮개부(3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할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동형질 접착제를 이용하여 영구 고정되도록 접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동형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면 상호간의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접착부위의 강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감소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장치에 그물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장치를 다수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장치(100)는 상부에 복수개의 그물고정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물고정부(40)는 상기 해상부유장치(100)를 가두리 양식장으로 사용시 그물(41)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그물고정부(40)에 상기 그물(41)을 고정한 후 그의 내측으로 양식대상체인 어패류를 방사하여 양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물(41)을 수선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그물(41)을 상기 그물고정부(4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해상부유장치(100)의 일측으로 옮겨 끌어내야 하는데, 종래에는 가두리 양식장의 스티로폼 재질의 부이가 상기 가두리 양식장 하측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연결되어 상기 그물이 엉켜 제대로 분리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장치(100)는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그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부(20)가 연결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하부에 도 5의 (D)부분과 같은 그물이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물(41)을 분리하여 일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그물이동공간(D)을 통해 상기 그물(41)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물이동공간(D)의 개방된 방향이 일정하도록 상기 해상부유장치(100)를 연결함으로써 일정방향(E)으로 상기 그물(41)을 옮길 수 있으므로 상기 그물(41)이 걸리거나 엉키지 않고 손쉽게 작업할 수 있어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해상부유장치(100)를 연결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규모를 선택적으로 확장 및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상기 해상부유장치(100)를 일정한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그물(41)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장치(100)는 상기 중공형 부유부(10)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형성되어 내구성, 내식성이 개선되고 무게가 가벼워 부유성이 개선되며 상기 중공형 부유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정렬홈(13)에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삽입연결부(21)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효율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파도와 같은 외력에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10)가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에 구비되는 상기 굴곡연장부(213)에는 더브테일 홈(213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삽입연결부(221)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213a)을 따라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더브테일 돌기(221a)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보조 체결부재 없이도 상기 중공형 부유부(210)와 지지프레임부(220)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이 현저히 감축될 수 있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을 고정하여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부(20)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그물이동공간을 통해 상기 그물의 설치, 이동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110,210 : 중공형 부유부 11 : 부유공간
12,112,212 : 안착연결부 13,113,213 : 정렬홈
14 : 보강격벽 20,220 : 지지프레임부
21,221 : 삽입연결부 22,222 : 보강바
23,223 : 연장연결부 24a,24b : 체결부재
30 : 덮개부 40 : 그물고정부
41 :그물 100,200,300 : 해상부유장치

Claims (5)

  1. 양측면부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정렬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부유공간이 형성되도록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선체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중공형 부유부; 및
    복수개의 상기 중공형 부유부를 횡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정렬홈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 보강바가 구비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된 삽입연결부와, 상기 삽입연결부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된 연장연결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구비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홈은 상기 삽입연결부가 삽입되어 실질적인 형합 형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중공형 부유부의 하측으로 인입된 복수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렬홈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연장연결부의 하면이 안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관통하여 체결 및 고정되는 안착연결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부유부 내부의 부유공간은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부에 의하여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홈의 내측 및 상기 삽입연결부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에는 더브테일 돌기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더브테일 돌기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더브테일 홈이 형성되되,
    상기 더브테일 돌기 및 상기 더브테일 홈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슬라이딩 삽입시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돌출부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그의 대향되는 타면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형합되어 구속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장치.
KR1020130093421A 2013-08-07 2013-08-07 해상부유장치 KR10154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421A KR101545632B1 (ko) 2013-08-07 2013-08-07 해상부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421A KR101545632B1 (ko) 2013-08-07 2013-08-07 해상부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75A KR20150017475A (ko) 2015-02-17
KR101545632B1 true KR101545632B1 (ko) 2015-08-19

Family

ID=5304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421A KR101545632B1 (ko) 2013-08-07 2013-08-07 해상부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0660A (zh) * 2019-12-13 2020-02-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用于虹鳟鱼疫苗评价的攻毒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751B1 (ko) * 2017-05-18 2019-04-10 김광호 김발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846Y1 (ko) * 2001-07-24 2001-11-23 정기봉 가두리 양식장의 경계망 틀
KR200262020Y1 (ko) 2001-10-15 2002-02-06 정기봉 가두리 양식장의 경계망 틀
KR101162007B1 (ko)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846Y1 (ko) * 2001-07-24 2001-11-23 정기봉 가두리 양식장의 경계망 틀
KR200262020Y1 (ko) 2001-10-15 2002-02-06 정기봉 가두리 양식장의 경계망 틀
KR101162007B1 (ko)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0660A (zh) * 2019-12-13 2020-02-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用于虹鳟鱼疫苗评价的攻毒方法
CN110800660B (zh) * 2019-12-13 2022-07-29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用于虹鳟鱼疫苗评价的攻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75A (ko)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7767A3 (en) A float and a floatable structure
JP2015536679A (ja) 容器を用いた浮上組立体
CN205071889U (zh) 一种漂浮式人工鱼礁
KR101545632B1 (ko) 해상부유장치
US11050382B2 (en) Float aggregate
KR101162007B1 (ko) 개량형 양식장 부자
KR20150046416A (ko) 개선된 부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0928A (ko) 굴 양식용 채묘대
KR20110090540A (ko) 해양 어업용 가두리 구조물
KR101895581B1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KR200403270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KR200435836Y1 (ko)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892972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용 다기능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물 시스템
CA3148292A1 (en) Single-seed shellfish floating aquaculture system
KR101337248B1 (ko) 가두리양식장
KR101988427B1 (ko) 김 양식용 부표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3670Y1 (ko) 해태(김)양식망용 지지대
KR20140117776A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KR20130112452A (ko)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KR10150295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CN203313890U (zh) 一种钢筋混凝土船形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