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069B1 -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 Google Patents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7069B1 KR102247069B1 KR1020200008980A KR20200008980A KR102247069B1 KR 102247069 B1 KR102247069 B1 KR 102247069B1 KR 1020200008980 A KR1020200008980 A KR 1020200008980A KR 20200008980 A KR20200008980 A KR 20200008980A KR 102247069 B1 KR102247069 B1 KR 102247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h
- rich man
- lower body
- present
- ma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6607 Porphyra umbilic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48 integrated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9 fusion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9 marine debr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72 pisc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부자에 있어서, 별도의 사출된 구조물이 삽입된 형상을 가지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부자에 있어서, 별도의 사출된 구조물이 삽입된 형상을 가지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부자에 있어서, 별도의 사출된 구조물이 삽입된 형상을 가지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부자는 부표라고도 지칭되며, 바다 또는 수면에 부유되어 소정의 길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정보 제공 또는 양식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부자를 이용한 양식 기술에서는 물 밖에서 양식하는 김 양식용 부자가 있고, 바다속에 수산양식용 망을 침수시켜 최적의 해조류 생육환경을 유지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러한 부자는, 단순히 일정 크기의 스티로폼 덩어리로 되는 복수의 부자에 간답대를 끈으로 묶어 고정되게 한 상태로 최초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부자는 가볍고 부력을 확보하기 쉽다는 이유로 스티로폼 재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티로품 부자는 밀도가 낮고 부스러져 해양쓰레기의 발생 주원인이 되며, 더 나아가 해양 생물의 생존과 해양생태계의 존립을 위협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스티로폼의 재질을 대체할 수 있는 PE 재질의 친환경 소재의 부자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PE 재질로 된 부자에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955908호에는 일체형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양식용 부자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발포스티렌 양식용 부자와 로프 등 어망·어구의 사용에 따른 폐 어망·어구 등에 의해 바다 또는 해안변의 환경이 날로 악화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바스러지는 발포스티렌 양식용 부자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연질 PE, PP,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나일론, 압축발포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중공의 일체형 원통 구조를 갖는 케이싱을 제조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볼 투입구를 통해 에어볼을 투입한 후, 상기 에어볼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연결관을 이용하여 밀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일체형 양식용 부자에 관한 것이다.
다른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3896호에는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소정의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부이몸통을 제작하되, 상기 부이몸통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키고, 그 양측단 모서리 부분에는 발판튜브의 안착이 가능한 장착홈부를 부이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시키며, 부이몸통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결속로프를 이용하여 발판튜브를 부이몸통과 결속시켜 놓을 수 있는 다수 개의 결속홈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부이몸통과 발판튜브의 결속작업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착홈부를 제외한 부이몸통의 상단면 자체가 발판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토록 하며, 이를 통하여 발판튜브를 따라 조립되는 발판프레임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키거나 별도의 발판프레임을 조립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의 구축작업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기존의 경우보다 한층 더 견고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단기간에 제작이 가능토록 한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은, 형태의 일측을 가공하여 막대를 고정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인이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부자로서, 상기 부자 내측에 별도의 사출물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자의 형상을 공 형태의 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유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부자와 구조물 사이의 틈에 유입될 수 있는 물이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형상을 가지되,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부자에 내설된 원주 방향의 가장자리 구성이 수면과 수직된 방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파력에 의해 부자가 수면의 외측에 위치되는 찰나에 물의 배출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는,
부유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 형상을 가지는 부자에 있어서,
상기 부자의 내측에 형성된 홈을 통해 구조물이 삽입되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부자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조작을 통해 부자의 홈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미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조물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측몸체와, 상기 하측몸체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측이 오목한 만곡을 가지도록 형성된 상측몸체를 포함하고,
중공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내부가 가득채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공은 복수 개로서, 구조물의 폭에 따라서 1개 측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물의 상측은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고,
볼록한 영역 중 일측으로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에 의하면, 부유에 유리한 구형의 부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부가 기능(로프의 고정 등)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별도로 형성하여 부자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부자의 가공과정은 간단해지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양식을 위한 양식용 부자 중 별도 사출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구조물에 대하여 일부의 내부가 표시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에 도 2의 구조물이 삽입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가 사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양식을 위한 양식용 부자 중 별도 사출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구조물에 대하여 일부의 내부가 표시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에 도 2의 구조물이 삽입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가 사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자는 PP, PE 또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PE의 경우, 평판 시트형의 PE판 재료를 준비하고, PE판을 합기지를 이용하여 와인딩하여 원기둥형의 PE롤 또는 PE구를 형성하며, PE롤 또는 PE구를 융착기를 이용하여 융착시키고, 추가 발포를 통해 융착폼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려는 구조는, 부자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별도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결합시킨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사출을 통해 제작되는 PP의 경우, 부유에 유리하기 때문에 내부가 중공인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려는 구조의 적용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재된 부자를 PP 또는 PE 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PE를 기반으로 한 부자가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기술을 이해하는 시점의 기술상식과 해당 시점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또 다른 김 양식용 부자 혹은 통상의 부표의 제조기술에 있어서, 반드시 PE를 기반으로 한 부자의 제조방법이 아니더라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사한 제조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면, 해당 기법을 적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양식을 위한 양식용 부자 중 별도 사출된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구조물에 대하여 일부의 내부가 표시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에 도 2의 구조물이 삽입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가 사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는, 부자(10)의 내측으로 구조물(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자(10)는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공 형태의 구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자(10)에 삽입된 구조물(20)은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측몸체(21)와, 상기 하측몸체(21)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몸체(22)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몸체(22)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몸체(22)의 최상면으로는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고, 볼록한 영역 중 일측으로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22a)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물(20)은 PP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내부에 다수 개의 중공(23)이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구조물(20)은 내부가 가득 채워진 상태이며, 상기 중공(23)에 해당하는 영역만 내부가 비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중공(23)은 상기 구조물(20)을 길이방향으로 중심으로 기준하였을 때, 양방향이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중공(23)의 배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진 않는다.
이렇게 구성된 구조물(20)은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20)은 도 3과 같이 구조물(20)의 폭방향에 대하여, 상기 중공(23)이 2개 이상의 복수 층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공(23)의 복수 층 구조에 대한 개수는 구조물(20)의 폭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20)을 부자(10)에 삽입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만약 부자(10)가 PE 재질로 이루어져 상술된 제조과정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융착되기 전 PE롤의 일면에 구조물(20)이 삽입될 홈을 구조물(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PE롤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된다. 이러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롤을 금형을 통해 압축 프레스 전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혹은 이때의 PE롤은 단순 롤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융착 과정에서 구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PE롤의 홈에 구조물(20)을 삽입한 상태로, 해당 면에 다른 PE롤을 맞대어 놓은 상태로, 융착시켜 부자(10)를 제조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구조물(20)이 구비된 부자(10)의 내측 중, 홈과 구조물(20)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발생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부자(10)는 특히, 굴의 양식을 위하여 구조물(20)의 돌출된 영역이 하측으로 위치한 상태로, 수면에 부유되는 경우, 상술된 구조물(20)이 돌출된 영역이 수면에 잠기게 되고, 그물망 등이 구성이 당김에 의해 부자(10)의 일측이 물에 잠기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구조물(20)과 부자(10)는 일체형 구조가 아니므로,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이러한 틈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데, 이렇게 물의 유입량이 많아지면, 부자(10)가 부유하는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표 1]과 같이 구조물(20)을 변경 설게할 수도 있다.
먼저, [표 1]과 같이 구조물(20)의 상측몸체(22)의 일측 중, 부자(10) 외주방향에 인접한 수직된 면의 하측의 만곡이 시작되는 영역에는 돌출된 연장날개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장날개는 구조물(20)과 부자(10)의 홈 사이의 틈에 닿을 정도로만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조물(20)의 하측몸체(21)는 상기 상측몸체(22)와 일체로 구성되어 하측에 형성된 제1 하측몸체와 상기 제1 하측몸체의 양단으로 별도의 구조물로 구성되되 힌지(H)를 통해 연결된 제2 하측몸체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하측몸체와 제2 하측몸체를 연결하는 힌지(H)는 제2 하측몸체의 제1 하측몸체에 맞닿는 방향의 상측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위 [표 1]에서는 힌지를 축으로 한 회전을 기재할 것인데, 이러한 회전을 가능하기 위해서, [표 1]에서 각진 모서리 영역은 만곡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 하측몸체의 다른 단부는, 부자(10)의 홈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힌지축(H)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축(H)을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자(10)의 구조물(20)이 삽입되는 홈은 [표 1]과 같이 구조물(20)에 비하여 크기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측몸체(22)의 위치에 해당되는 홈의 경우, [표 1]과 다르게 상측몸체(22) 보다 약간 크게 하는 정도로 할 수 있지만, [표 1]과 같이 일직선의 방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하측몸체(21)의 위치에 해당하는 홈은, 측방향과 상, 하 방향이 힌지(H)와 힌지축(H)에 의한 회전이 가능할 정도로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물(20)에는 중공(23)이 형성됨을 기재하였지만, [표 1]의 구성을 위해 하측몸체(21)를 제1 하측몸체와 제2 하측몸체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표 1]과 같이 중공(23)의 크기와 위치를 다소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상술된 바와 같이 대칭 구조와 복수 층의 구조만 적용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술된 구조에 의하면, 힌지축(H)과 힌지(H)의 작용으로, 제2 하측몸체의 힌지축(H)에 의한 위치는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제1 하측몸체에 인접한 제2 하측몸체의 단부는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서 상측몸체 역시 도면을 기준으로 하강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부자가 사용되는 경우,
(1) 만약, 침수식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 하의 방향을 변경되는데(도 5 참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관통구(22a)를 통해 그물망(b)을 연결하여 침수시켜 놓는 경우에, 구조물(20)은 항상 도면을 기준으로 상승하는 힘을 갖게 된다. 그러다가 파력 등에 의해 출렁임이 발생되는 경우, 파력에 의해 구조물(20)이 하강되었다가 중력과 그물망(b)의 당기는 힘에 의해 다시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장날개가 홈과 맞닿은 상태로 움직임으로써 압력이 발생되어 연장날개의 상측에 고여진 물을 배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주사기의 원리와 같이 압력의 발생에 따라 혹시라도 부자(10)의 홈 내부에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연장날개의 부자(10)의 홈에 맞닿는 일면에는 패킹을 포함시킴으로써, 압력을 발생을 더욱 도모할 수도 있다.
(2)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자를, 통상의 부자로 사용하려는 경우로 예를 든다. 그 경우, 부자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수면에 부유되는 경우에, 파도나 우천 등에 의하여 부자(10)의 홈 내부에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수면의 파력이나 출렁임 등에 의하여, 구조물(20)이 도면을 기준으로 하강하였다가 상승하게 될 수 있어서, (1)에 설명된 원리로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하측몸체와 제2 하측몸체가 맞닿는 각각의 면에 코일스프링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코일스프링의 개수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이러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서, (2)의 경우 부자(10)가 중심을 잡지 못하여, 구조물(20)의 도면 기준 상, 하 운동이 어렵더라도, 약간의 외력(外力, 예컨대 파력) 만으로 구조물(20)이 움직이게 된다면, 탄성에 의해 움직임이 점점 커지게 되어 구조물(20)의 상, 하강 작용이 가능해지게 할 수 있다.
혹은, 제1 하측몸체와 제2 하측몸체를 연결하는 힌지(H)에 삽입되는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단부 각각이 제1 하측몸체와 제2 하측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제1 하측몸체와 제2 하측몸체의 맞닿는 면이 맞닿아 있는 힘을 유지하거나, 또는 제1 하측몸체와 제2 하측몸체가 항상 떨어져 있도록(구조물이 도면기준으로 하강해있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른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부자
20 : 구조물
21 : 하측몸체
22 : 상측몸체
22a : 관통구
23 : 중공
20 : 구조물
21 : 하측몸체
22 : 상측몸체
22a : 관통구
23 : 중공
Claims (3)
- 부유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 형상을 가지는 부자(10)에 있어서,
상기 부자(10)의 내측에 형성된 홈을 통해 구조물(20)이 삽입되고,
상기 구조물(20)은 상기 부자(10)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조작을 통해 부자(10)의 홈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미 유입된 물을 배출하되,
상기 구조물(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측몸체(21)와, 상기 하측몸체(21)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측이 오목한 만곡을 가지도록 형성된 상측몸체(22)를 포함하고,
중공(2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내부가 가득채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공(23)은 복수 개로서, 구조물(20)의 폭에 따라서 1개 측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20)의 상측은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고,
볼록한 영역 중 일측으로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980A KR102247069B1 (ko) | 2020-01-23 | 2020-01-23 |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980A KR102247069B1 (ko) | 2020-01-23 | 2020-01-23 |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7069B1 true KR102247069B1 (ko) | 2021-05-04 |
Family
ID=7591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8980A KR102247069B1 (ko) | 2020-01-23 | 2020-01-23 |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06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0327A (ko) * | 2002-02-25 | 2003-08-30 | 조용관 | 수산물 양식용 부이 |
KR101070282B1 (ko) * | 2011-07-13 | 2011-10-10 | 김주리 | 어구용 회전식 부구 |
KR20140000713U (ko) * | 2012-07-23 | 2014-02-05 | (주)정진누리마루 | 부구 |
KR20180003896A (ko) | 2016-07-01 | 2018-01-10 | (주)엠디엔지니어링 |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
KR101955908B1 (ko) | 2017-12-19 | 2019-03-08 | 최정화 | 일체형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양식용 부자 |
KR20190102461A (ko) * | 2018-02-26 | 2019-09-04 | 김정명 | 친환경 부자 |
-
2020
- 2020-01-23 KR KR1020200008980A patent/KR1022470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0327A (ko) * | 2002-02-25 | 2003-08-30 | 조용관 | 수산물 양식용 부이 |
KR101070282B1 (ko) * | 2011-07-13 | 2011-10-10 | 김주리 | 어구용 회전식 부구 |
KR20140000713U (ko) * | 2012-07-23 | 2014-02-05 | (주)정진누리마루 | 부구 |
KR20180003896A (ko) | 2016-07-01 | 2018-01-10 | (주)엠디엔지니어링 |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
KR101955908B1 (ko) | 2017-12-19 | 2019-03-08 | 최정화 | 일체형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양식용 부자 |
KR20190102461A (ko) * | 2018-02-26 | 2019-09-04 | 김정명 | 친환경 부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60418T3 (es) | Dispositivo amortiguador de movimiento de agua. | |
JP2015536679A (ja) | 容器を用いた浮上組立体 | |
KR101861759B1 (ko) | 어업용 부구 | |
JPS63501542A (ja) | 浮遊養殖装置 | |
KR101688861B1 (ko) | 부유식 부표 | |
US7918187B2 (en) | Floating aquatic structure | |
KR102247069B1 (ko) |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 |
CN112154954A (zh) | 全潜悬浮式养殖装备 | |
CA1128678A (en) | Anti-surge flotation mattress | |
JP2022542995A (ja) | 外洋水産養殖用魚囲い | |
KR102410877B1 (ko) | 김 양식용 부구와 이를 이용한 김발지지유닛 | |
KR102261842B1 (ko) | 폴리에틸렌 발포체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 |
US20060185215A1 (en) | Landing net with filled handle | |
KR20150021988A (ko) | 양식장 구조물 | |
US1471885A (en) | Floating toy | |
KR200491407Y1 (ko) |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 |
JP7227097B2 (ja) | 浮沈式生簀 | |
TWM544780U (zh) | 沉浮式蚵棚結構 | |
CA2756271A1 (en) | Tpr aquatic toy | |
KR200317819Y1 (ko) | 양식 어망용 부구 | |
KR200271482Y1 (ko) | 중공낚시찌 | |
CN110313428A (zh) | 大型成品鱼养殖网箱 | |
KR200227105Y1 (ko) | 낚시찌 | |
CN220255421U (zh) | 浮筒及养殖网箱 | |
JP7305204B2 (ja) | ルア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