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395B1 - 부표 - Google Patents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395B1
KR102454395B1 KR1020220098951A KR20220098951A KR102454395B1 KR 102454395 B1 KR102454395 B1 KR 102454395B1 KR 1020220098951 A KR1020220098951 A KR 1020220098951A KR 20220098951 A KR20220098951 A KR 20220098951A KR 102454395 B1 KR102454395 B1 KR 10245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groove
buoy
coupl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환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22009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로프 홀더와 제2 로프 홀더를 부표본체의 양쪽으로 삽입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동시에, 조립된 제1 로프 홀더와 제2 로프 홀더가 부표본체의 겉표면 내에 최대한 수용되어 부력을 극대화시킨, 부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표{buoy}
본 발명은, 제1 로프 홀더와 제2 로프 홀더를 부표본체의 양쪽으로 삽입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동시에, 조립된 제1 로프 홀더와 제2 로프 홀더가 부표본체의 겉표면 내에 최대한 수용되어 부력을 극대화시킨,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양식장 시설물을 고정하고,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나아가 어망을 잡아주거나 어망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수상 태양광 시설을 물 위로 부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부표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스티로폼 부표인데, 스티로폼 부표는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파손되고, 알갱이로 잘게 부스러져 수거 및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먹이로 오인한 어류, 조류 등 동물의 폐사로 이어져 해양생태계 파괴와 자연경관 훼손 등 해양 환경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허문헌의 종래 부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발포폼(51)으로 된 부력뭉치(50)와, 일측 고리부(61a) 및 타측 나사부(61b)가 구비되어 부력뭉치(50)의 종홀(53)을 관통하는 볼트(61)와, 타측 나사부(61b)에 체결되는 너트(62)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부표는, 볼트(61)의 타측 나사부(61b)에 너트(62)가 체결됨으로써, 특히 파도에 놓인 부표인 경우 너트(62)가 풀릴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종래 부표는, 볼트(61)의 타측 나사부(61b)에 너트(62)를 체결하는 공수가 더 필요하다.
또한, 종래 부표는, 일측 고리부(61a) 및 타측 나사부(61b)가 부력뭉치(5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일측 고리부(61a)와 너트(62)는 부력뭉치(50)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부력 극대화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 부표는, 일측 고리부(61a) 및 타측 나사부(61b)가 부력뭉치(5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취급 시 사람 또는 로프가 일측 고리부(61a) 및 타측 나사부(61b)에 걸릴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9248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프 홀더의 조립 편의성과 부력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부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표에 따르면, 횡단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부표본체;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서 삽입되며,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로프 홀더; 및 상기 관통공의 타측에서 삽입되며,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로프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서 서로 겹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에 따르면, 상기 제1 로프 홀더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타단에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삽입바와, 상기 제1 삽입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부표본체의 일측에 걸리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스토퍼에 관통 형성되는 제1 로프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프 홀더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일단에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삽입바와, 상기 제2 삽입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부표본체의 타측에 걸리는 제2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에 관통 형성되는 제2 로프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삽입바의 중심에 대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삽입바의 중심에 대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에 따르면, 상기 부표본체의 일측에, 상기 제1 스토퍼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제1 로프 고리와 연통되는 제1 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표본체의 타측에, 상기 제2 스토퍼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과, 상기 제2 로프 고리와 연통되는 제2 연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제1 연통홈은, 제1 십자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홈과 상기 제2 연통홈은, 제2 십자홈으로 구성될 t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바와, 상기 제1 결합바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과 제1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삽입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바와, 상기 제2 결합바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과 제2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제2 걸림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제1 걸림홈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에 따르면, 상기 부표본체와 상기 제1,2 로프 홀더는,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 로프 홀더와 제2 로프 홀더를 부력본체의 관통공에 양쪽에서 삽입하면 조립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편리할 수 있다.
특히 제1 로프 홀더의 제1 결합바와 제2 로프 홀더의 제2 결합바가 서로 겹치면서 텐션에 의해 결합 조립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프 홀더의 스토퍼, 삽입부, 로프 고리가 부력본체의 수용홈, 관통공, 연통홈 내에 수용 배치됨으로써, 부력본체만이 물에 뜨기 때문에 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로프 홀더의 스토퍼와 로프 고리가 부력본체의 수용홈과 연통홈 내에 배치됨으로써, 부력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취급 시 사람이나 로프 등이 걸릴 우려가 없다.
부력본체와 로프 홀더를 동일한 재질의 사출 성형품을 사용함으로써, 탄성 변형이나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로프 고리가 있는 로프 홀더를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로프가 최대한 로프 고리에 걸리고 부력본체에 닿는 것을 최소화하여 부력본체의 내구성 저하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표(100)의 외관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부표(100)를 전후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종래 부표를 도시한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의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표(100)의 외관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부표(100)를 전후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5-5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표(100)는, 물에 뜨는 부력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본체(200)는, 경량화와 재활용 차원에서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력본체(200)는, 다양한 형상 예컨대 운동장 트랙형, 드럼통형 등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력본체(200)는, 관통공(21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21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횡단한 횡단 관통공일 수 있다. 관통공(210)의 단면이,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력본체(200)는, 제1 연통홈(230a)과 제2 연통홈(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연통홈(230a)(230b)은, 부력본체(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통홈(230a)은, 후술된 제1 로프 고리(350a)와 서로 통하는 홈일 수 있다. 제2 연통홈(230b)은, 후술된 제2 로프 고리(350b)와 서로 통하는 홈일 수 있다. 제1,2 연통홈(230a)(230b)은, 8자 또는 프로펠러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제1,2 연통홈(230a)(230b)은, 제1,2 로프 고리(350a)(350b)가 최대한 부력본체(200)의 표면적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2 연통홈(230a)(230b)은, 제1,2 로프 고리(350a)(350b)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력본체(200)는, 제1 수용홈(250a)과 제2 수용홈(2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수용홈(250a)(250b)은, 부력본체(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홈(250a)과 제2 수용홈(250b)은, 후술된 제1 스토퍼(330a)와 제2 스토퍼(330b)가 수용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2 스토퍼(330a)(330b)도 최대한 부력본체(200) 내에 위치함으로써 부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2 스토퍼(330a)(330b)와 제1,2 연통홈(230a)(230b)은, 십자 형상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표(100)는, 제1 로프 홀더(300a)와 제2 로프 홀더(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로프 홀더(300a)(300b)는, 관통공(210)의 양쪽에서 삽입 결합되어 부력본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로프 홀더(300a)와 제2 로프 홀더(300b)는, 제1 삽입바(310a)와 제2 삽입바(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삽입바(310a)(310b)는, 관통공(210)의 양쪽에서 삽입될 수 있다. 제1,2 삽입바(310a)(310b)는 길이를 갖는 막대기 형상일 수 있다. 제1,2 삽입바(310a)(310b)의 단면도 관통공(210)의 단면과 같이 사각형상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삽입바(310a)(310b)의 상하면에, 살빼기홈(311a)(311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프 홀더(300a)와 제2 로프 홀더(300b)는,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결합부(320a)(320b)는, 제1,2 결합바(321a)(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결합바(321a)(321b)는, 제1,2 삽입바(310a)(310b)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2 결합바(321a)(321b)의 끝단에, 도 5와 같이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사면(322a)(32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0a)는, 제1 걸림턱(323a)과 제1 걸림홈(32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턱(323a)과 제1 걸림홈(325a)은, 제1 결합바(321a)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b)는, 제2 걸림턱(323b)과 제2 걸림홈(32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턱(323b)과 제2 걸림홈(325b)은, 제2 결합바(321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림턱(323a)은 제2 걸림홈(325b)에 걸리고, 제2 걸림턱(323b)은 제1 걸림홈(325a)에 걸릴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바(321a)는, 제1 삽입바(310a)의 중심에 대해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바(321b)는, 제2 삽입바(310b)의 중심에 대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결합바(321a)(321b)가 서로 겹치면서 텐션에 의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제1 로프 홀더(300a)와 제2 로프 홀더(300b)는, 제1 스토퍼(330a)와 제2 스토퍼(3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스토퍼(330a)(330b)는, 제1,2 삽입바(310a)(310b)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 삽입바(310a)(310b)는, 부력본체(200)의 일측과 타측에 걸려 더는 삽입될 수 없다. 제1,2 삽입바(310a)(310b)는, 걸리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T자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로프 홀더(300a)와 제2 로프 홀더(300b)는, 제1 로프 고리(350a)와 제2 로프 고리(3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로프 고리(350)(350b)는, 로프가 걸릴 수 있다. 제1,2 로프 고리(350a)(350b)는, 제1,2 스토퍼(330a)(330b)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 로프 고리(350a)(350b)는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본체(200)와 제1,2 로프 홀더(300a)(300b)는,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품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구성 저하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로프 홀더(300a)와 제2 로프 홀더(300b)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연통홈(230a)(230b)과 제1,2 수용홈(250a)(250b)도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부표 200: 부력본체
210: 관통공 230a,250b: 제1,2 연통홈
250a,250b: 제1,2 수용홈 300a,300b: 제1,2 로프 홀더
310a,310b: 제1,2 삽입바 320a,320b: 제1,2 결합부
330a,330b: 제1,2 스토퍼 350a,350b: 제1,2 로프 고리

Claims (7)

  1. 횡단하는 관통공(210)을 포함하는 부표본체(200);
    상기 관통공(210)의 일측에서 삽입되며, 제1 결합부(320a)를 포함하는 제1 로프 홀더(300a); 및
    상기 관통공(210)의 타측에서 삽입되며, 제2 결합부(320b)를 포함하는 제2 로프 홀더(3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320a)와 제2 결합부(320b)는, 상기 관통공(210)의 내부에서 서로 겹치면서 결합되고,
    상기 제1 로프 홀더(300a)는,
    상기 관통공(210)에 삽입되며, 타단에 상기 제1 결합부(320a)가 형성되는 제1 삽입바(310a)와,
    상기 제1 삽입바(310a)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부표본체(200)의 일측에 걸리는 제1 스토퍼(330a)와,
    상기 제1 스토퍼(330a)에 관통 형성되는 제1 로프 고리(350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프 홀더(300b)는,
    상기 관통공(210)에 삽입되며, 일단에 상기 제2 결합부(320b)가 형성되는 제2 삽입바(310b)와,
    상기 제2 삽입바(310b)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부표본체(200)의 타측에 걸리는 제2 스토퍼(330b)와,
    상기 제2 스토퍼(330b)에 관통 형성되는 제2 로프 고리(35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320a)는, 상기 제1 삽입바(310a)의 중심에 대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320b)는, 상기 제2 삽입바(310b)의 중심에 대해 하측에 형성되는,
    부표(100).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표본체(200)의 일측에,
    상기 제1 스토퍼(330a)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250a)과,
    상기 제1 로프 고리(350a)와 연통되는 제1 연통홈(230a)이 형성되고,
    상기 부표본체(200)의 타측에,
    상기 제2 스토퍼(330b)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250b)과,
    상기 제2 로프 고리(350b)와 연통되는 제2 연통홈(230b)이 형성되는,
    부표(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250a)과 상기 제1 연통홈(230a)은, 제1 십자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홈(250b)과 상기 제2 연통홈(230b)은, 제2 십자홈으로 구성되는,
    부표(100).
  6.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320a)는,
    상기 제1 삽입바(310a)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바(321a)와,
    상기 제1 결합바(321a)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323a)과 제1 걸림홈(325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320b)는,
    상기 제2 삽입바(310b)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바(321b)와,
    상기 제2 결합바(321b)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323b)과 제2 걸림홈(325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턱(323a)은, 상기 제2 걸림홈(325b)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턱(323b)은, 상기 제1 걸림홈(325a)에 걸리는,
    부표(10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표본체(200)와 상기 제1,2 로프 홀더(300a)(300b)는,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부표(100).
KR1020220098951A 2022-08-09 2022-08-09 부표 KR10245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951A KR102454395B1 (ko) 2022-08-09 2022-08-09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951A KR102454395B1 (ko) 2022-08-09 2022-08-09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395B1 true KR102454395B1 (ko) 2022-10-17

Family

ID=8380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951A KR102454395B1 (ko) 2022-08-09 2022-08-09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093B1 (ko) 2023-03-17 2023-11-22 이창영 재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625Y1 (ko) * 1981-06-27 1982-08-11 김용채 패류 양식용 스치로폼제 부구
KR20150090677A (ko) * 2014-01-29 2015-08-06 동신산업(주) 수상 부력체
KR102199756B1 (ko) * 2020-08-13 2021-01-08 정용현 발포성형 구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구형 부구와 그 제조방법
KR102392482B1 (ko) 2020-04-29 2022-05-06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부표
KR20220081713A (ko) * 2020-12-09 2022-06-16 박찬역 수산 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625Y1 (ko) * 1981-06-27 1982-08-11 김용채 패류 양식용 스치로폼제 부구
KR20150090677A (ko) * 2014-01-29 2015-08-06 동신산업(주) 수상 부력체
KR102392482B1 (ko) 2020-04-29 2022-05-06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부표
KR102199756B1 (ko) * 2020-08-13 2021-01-08 정용현 발포성형 구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구형 부구와 그 제조방법
KR20220081713A (ko) * 2020-12-09 2022-06-16 박찬역 수산 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093B1 (ko) 2023-03-17 2023-11-22 이창영 재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395B1 (ko) 부표
KR101765549B1 (ko) 조립식 부력체
US6431106B1 (en) Floating drive-on dry dock assembly
US4712394A (en) Surf lock
US4584958A (en) Boat bumper
JP4394453B2 (ja) 海洋係留用浮船
US3986219A (en) Collapsible catamaran
KR101641079B1 (ko) 부자 케이스
KR20120037544A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KR102454394B1 (ko) 부표
US4976641A (en) Buoy with self-ejecting weight
KR102117573B1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US4565147A (en) Mutual and multi-restrained fixing fender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200228358Y1 (ko) 해태양식용부구
KR102471121B1 (ko) 수상용 부유 조립체의 부유블록
JPH0585466A (ja) 浮揚構造体
KR100444883B1 (ko) 양식장용 부자
CN218969910U (zh) 一种双柱桥墩自浮式防撞装置
KR102302344B1 (ko) 결합형 부표
JPH08119193A (ja) 連結式浮島
CN213442993U (zh) 一种便于组装的浮筒
US5435094A (en) Fishing system and float
KR19990005357U (ko) 양식장용 부구
KR102142864B1 (ko) 고무튜브가 구비된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