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209A -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209A
KR20190061209A KR1020170159332A KR20170159332A KR20190061209A KR 20190061209 A KR20190061209 A KR 20190061209A KR 1020170159332 A KR1020170159332 A KR 1020170159332A KR 20170159332 A KR20170159332 A KR 20170159332A KR 20190061209 A KR20190061209 A KR 20190061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bag
foam
air injection
inje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208B1 (ko
Inventor
이제연
나영준
윤동환
허봉립
홍재원
한주택
강철구
Original Assignee
(주)경인이피에스
주식회사 신명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인이피에스, 주식회사 신명,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경인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7015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2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함으로써 파도나 풍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을 에어백에서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Environmentally friendly buoy with air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에 걸쳐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유지관리가 용이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부력을 이용하여 각종 수산물 양식에 필요한 시설이나 부교 등의 부상 시설물을 물 위에 띄우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며, 통상 스티로폼으로 성형한 원통형의 스티로폼의 외주면에 마대를 감아 끈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부표는 재질이 연약하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조류나 파도, 작업선 등의 외부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쉽게 부스러지고, 강한 자외선에 의해 조직이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며, 파손된 스티로폼이 수면 위로 부유하여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 재질의 밀도가 낮고 표면이 거칠어서 각종 해조류 및 패류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스티로폼 내부에 수분이 침투되어 시간이 갈수록 부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258호로 친환경 부표를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발포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발포폴리스틸렌으로 제조되는 내부체를 장착하여 파도나 풍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지할 수 있었으나, 발포폴리스틸렌으로 제조되는 내부체에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기능이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2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포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을 에어백에서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사용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발포체에 외부 충격발생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장착되어 공기의 주입을 안내하는 공기주입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체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에 의해 제1·2 반제품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은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모양의 변형이 가능하면서 일정강도를 유지하도록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주입안내부는 상기 에어백 일측에 장착되는 공기주입안내부재와,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를 통해 에어백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공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공기주입안내캡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의 원료를 금형 내부로 공급하고 가열부의 열로 가열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요입된 반원형의 발포체를 형성하는 발포체 형성단계와;
상기 반원형의 발포체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주입안내부가 장착된 에어백을 위치시킬 때, 공기주입안내부가 발포체 표면에 나타나도록 설치하는 에어백 설치단계와;
상기 에어백이 수용공간에 장착된 반원형의 발포체를 제1·2 열접착기에 각각 장착한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2 열접착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대응된 반원형의 발포체가 융착고정되어 부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표가 형성되면 공기주입안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이 수용공간에 내부에서 팽창하면서 수용공간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반원형의 발포체 외주면에 보호필름을 융착고정하는 보호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에어백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함으로써 파도나 풍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을 에어백에서 흡수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사용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공기주입안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제작과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100)는, 발포체(110) 내부에 에어백(120)을 장착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구성으로, 발포체(110), 에어백(120), 공기주입안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체(110)는 상기 부표(100)의 모양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113) 및 복수의 리브(114)가 구비되는 제1·2 반제품(111)(1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2 발포체(111)(112)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에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및 보강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반제품(111)(112)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보호필름(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120)은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포체(110) 내부의 수용공간(112)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모양의 변형이 가능하면서 일정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주입안내부(130)는 상기 에어백(120)에 공기의 주입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공기주입안내부재(131), 공기주입안내캡(132)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131)는 상기 에어백(120)에 관통된 통공(미도시)에 융착고정되어 공기주입안내캡(132)의 장착을 안내한다.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131)는 공기주입안내캡(132)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주입안내캡(132)은 상기 공기주입안내캡(132)에 장착되어 에어백(120) 내부로 공기의 주입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131) 단부에 상기 에어백(120)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공기주입안내부재(131)를 폐쇄하여 공기의 빠짐을 방지하는 공기배출방지부재(133)를 더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제조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비드폼이면서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미세분말화의 진행이 안되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의 원료를 제1 하부금형에 공급하고, 제1 하부 금형에 제1 상부 금형을 안착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하·상부 금형을 가열부(미도시)로 가열하여 발포체(110) 즉, 제1·2 반제품(111)(112)를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 금형의 모양에 따라 제1·2 반제품(111)(112) 내부에 수용공간(113) 및 복수의 리브(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금형에 보호필름(115)을 안착시키고 흡입기(미도시)로 흡입하여 밀착시킨 후, 상기 보호필름(115)에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의 원료를 공급하고 가열부로 가열하여 보호필름(115)에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이 융융되면서 제1·2 반제품(111)(1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에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및 보강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형성하는데,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및 보강재는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30 중량부로 포함되도록 하여 자외선 차단기능, 산화 방지기능, 및 보강기능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상부 금형에서 형성된 반제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냉각시키면, 제1 상부 금형의 모양에 따라 제1·2 발포체(111)(112) 내부에 수용공간(112) 및 복수의 리브(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2 발포체(111)(112) 중 어느 하나의 발포체에 형성된 수용공간(113)에 도 4와 같이, 공기주입안내부(130)가 통공(미도시)에 융착고정된 에어백(120)을 장착하는데, 상기 공기주입안내부(130)는 제1·2 발포체(111)(112) 표면에 나타나도록 장착하고, 에어백(120)이 장착된 어느 하나의 발포체 대응면에 다른 하나의 발포체 대응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안내부(130)는 제1·2 발포체(111)(112) 표면 또는 보호필름(115) 표면에 나타나도록 장착하여야 한다.
상기 에어백(120)이 수용공간(113)에 장착된 제1·2 발포체(111)(112)를 제2 하부 금형에 설치하고, 제2 하부 금형에 제2 상부 금형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2 하·상부 금형을 가열부(미도시)로 가열하여 제1·2 발포체(111)(112)의 대응면이 융착되는 발포체(11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발포체(110)를 제2 하·상부 금형에서 분리하여 냉각시키면 에어백(120)이 발포체(110)에 내장된 부표(10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안내캡(132)의 외주면에 복수의 걸림돌기(132')가 돌출되어 제1·2 발포체(111)(112)의 대응면이 융융되어 융착될 때, 걸림돌기(132')가 제1·2 발포체(111)(112) 내부로 삽입되므로 공기주입안내부재(131)가 발포체(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백(120)이 발포체(110)에 내장된 부표(100)가 형성되면,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공기주입안내부(130)의 공기주입안내캡(132)으로 공기주입핀(10)을 결합하여 공기주입핀(10) 단부가 에어백(12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핀(10)은 공기주입안내캡(132) 내부의 폐쇄된 공간을 벌리면서 결합되면서 공기주입판의 단부는 공기주입안내캡(132)으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공기배출방지부재(133)를 가압하여 공기주입안내부재(131)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에어백(120)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에어백(120) 내부에 단부가 위치한 상기 공기주입핀(10)을 통해 외부공기가 에어백(120) 내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에어백(120)은 팽창되면서 발포체(110)의 수용공간(113)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수용공간(113) 내면에 에어백(120)이 밀착되면, 공기주입핀(10)을 공기주입안내캡(132)으로부터 분리하여 공기의 주입을 중단함과 동시에 공기주입핀(10)이 공기주입안내캡(132)을 통해 외부로 이동되면, 공기주입핀(10)이 가압한 공기배출방지부재(133)는 에어백(120) 내부의 공기 압력에 의해 공기주입안내부재(131)를 폐쇄하면서 에어백(120) 내부의 공기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핀(10)이 이탈된 공기주입안내캡(132)는 자체 탄력으로 복원되어 폐쇄하므로 공기의 배출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부표(100)는 나무나 합성수지를 이용한 고정부재에 다수 배치되고, 부표(100)와 고정부재를 와이어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로 고정할 수 있는데, 상기 부표(100)는 보호피름(115)에서 일차적으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보호함은 물론 발포체(110) 내부의 에어백(120)에서 이차적으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백(120)의 충격흡수 능력이 뛰어나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수명을 연장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100) 내부에 전자 칩을 내장하여 부표(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쓰레기 실명제를 통한 쓰레기의 발생을 줄이면서 허가된 개수만큼 부표의 사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랑 및 수심 등 해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부표 110: 발포체
120: 에어벡 130: 공기주입안내부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발포체에 외부 충격발생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장착되어 공기의 주입을 안내하는 공기주입안내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모양의 변형이 가능하면서 일정강도를 유지하도록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안내부는,
    상기 에어백 일측에 장착되는 공기주입안내부재와;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를 통해 에어백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공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공기주입안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5.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tlene)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thylene)의 원료를 금형 내부로 공급하고 가열부의 열로 가열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요입된 반원형의 발포체를 형성하는 발포체 형성단계와;
    상기 반원형의 발포체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주입안내부가 장착된 에어백을 위치시킬 때, 공기주입안내부가 발포체 표면에 나타나도록 설치하는 에어백 설치단계와;
    상기 에어백이 수용공간에 장착된 반원형의 발포체를 제1·2 열접착기에 각각 장착한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2 열접착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대응된 반원형의 발포체가 융착고정되어 부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표가 형성되면 공기주입안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이 수용공간에 내부에서 팽창하면서 수용공간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의 발포체 외주면에 보호필름을 융착고정하는 보호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KR1020170159332A 2017-11-27 2017-11-27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32A KR102037208B1 (ko) 2017-11-27 2017-11-27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32A KR102037208B1 (ko) 2017-11-27 2017-11-27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09A true KR20190061209A (ko) 2019-06-05
KR102037208B1 KR102037208B1 (ko) 2019-11-26

Family

ID=6684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32A KR102037208B1 (ko) 2017-11-27 2017-11-27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935B1 (ko) 2022-12-28 2024-02-07 김부석 부력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538A (ko) * 2011-07-06 2013-01-16 강계진 어업용 부자
KR101599258B1 (ko) 2014-09-24 2016-03-03 주식회사 신명 친환경 부표
KR101691455B1 (ko) * 2016-07-14 2016-12-30 주식회사 씨라이프 튜브부를 갖는 부표
KR101762315B1 (ko) * 2016-07-25 2017-07-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중 공기층 구조의 부력장치
KR101789793B1 (ko) * 2016-12-09 2017-10-25 조범준 경량 부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538A (ko) * 2011-07-06 2013-01-16 강계진 어업용 부자
KR101599258B1 (ko) 2014-09-24 2016-03-03 주식회사 신명 친환경 부표
KR101691455B1 (ko) * 2016-07-14 2016-12-30 주식회사 씨라이프 튜브부를 갖는 부표
KR101762315B1 (ko) * 2016-07-25 2017-07-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중 공기층 구조의 부력장치
KR101789793B1 (ko) * 2016-12-09 2017-10-25 조범준 경량 부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935B1 (ko) 2022-12-28 2024-02-07 김부석 부력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208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006B1 (ko)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 및 부표 제조 방법
KR200456642Y1 (ko) 조립형 부구
WO2002041458A9 (en) Guard rail support, attachment, and positioning spacer block
KR101393475B1 (ko)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92753A (ko) Epp 부력체 제조 방법
KR20190061209A (ko)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KR102220967B1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1743741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KR101238200B1 (ko) 해상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1955315B1 (ko) 진공성형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55698Y1 (ko) 조립형 부구
KR101955326B1 (ko) 코팅층 및 보호층을 구비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8482B1 (ko)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를 이용한 부력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력체
JP2017172325A (ja) 防舷材及び防舷材の製造方法
KR20110053305A (ko) 해상활동용 부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880486B1 (ko) 공기압 조절형 에어 튜브를 내장한 부표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210023262A (ko) 에어백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방법
KR20220157563A (ko)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9828B1 (ko) 항로표지 등부표의 부유체 제조방법
KR20120121095A (ko) 발포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56731Y1 (ko) 부력 발판
KR102260254B1 (ko) 친환경 부표 제작장치
KR20180085131A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부표
KR101991077B1 (ko) 에어백을 구비한 친환경 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