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777B1 - 소재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777B1
KR101225777B1 KR1020100050140A KR20100050140A KR101225777B1 KR 101225777 B1 KR101225777 B1 KR 101225777B1 KR 1020100050140 A KR1020100050140 A KR 1020100050140A KR 20100050140 A KR20100050140 A KR 20100050140A KR 101225777 B1 KR101225777 B1 KR 10122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ide guide
rotating roller
rol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679A (ko
Inventor
박영국
이동규
이상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77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7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와, 이송롤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소재의 이송 시 소재와 접촉되는 면에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는 사이드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롤러부에 의해 소재와 사이드가이드부의 접촉 시 충격량이 감소되므로 사이드가이드부와의 충돌에 의한 소재의 품질 저하를 억제하여 권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재 가이드 장치{APPARATUS FOR GUIDING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가 사이드가이드부와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는 소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압연공정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의 소재를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으로 나뉜다.
압연기에 의해 얇은 판 형상으로 압연된 소재는 후공정으로 보내기 전에 저장, 운반 기타 처리의 편리성을 위해 릴부재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어 보관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소재가 사이드가이드부와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는: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재의 이송 시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면에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는 사이드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가이드부는, 제1사이드가이드; 및 상기 이송롤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에 대향되는 제2사이드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는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에 대향되는 내측면에 제1회전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는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에 대향되는 내측면에 제2회전롤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는, 제1가이드베이스; 상기 제1가이드베이스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상지지대; 상기 제1가이드베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하지지대; 및 상단이 상기 제1상지지대에 축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제1하지지대에 축지지되어 상기 소재와의 접촉 시 자유 회전하는 제1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는, 제2가이드베이스; 상기 제2가이드베이스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상지지대; 상기 제2가이드베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하지지대; 및 상단이 상기 제2상지지대에 축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제2하지지대에 축지지되어 상기 소재와의 접촉 시 자유 회전하는 제2회전롤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상지지대 및 상기 제1하지지대는 상기 제1회전롤러를 축지지하는 베어링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2상지지대 및 상기 제2하지지대는 상기 제2회전롤러를 축지지하는 베어링을 각각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상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하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는, 전단부에 위치하는 제1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1경사가이드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가이드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평행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롤러는 상기 제1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1평행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는, 전단부에 위치하는 제2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2경사가이드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경사가이드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평행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롤러는 상기 제2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2평행가이드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회전롤러부에 의해 소재와 사이드가이드부의 접촉 시 충격량이 감소되므로 사이드가이드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설비 유지ㆍ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회전롤러부에 의해 소재와 사이드가이드부의 접촉 시 충격량이 감소되므로 사이드가이드부와의 충돌에 의한 소재의 품질 저하를 억제하여 권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제1사이드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소재가 좌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소재가 우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제1사이드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소재가 좌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소재가 우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철공장의 열간압연 공정에서 사상압연기(R)는 압연소재인 소재(S)를 최종 압연한 후 이송롤러부(100)를 통해 소재(S)를 후공정으로 이송한다.
이송롤러부(100)는 사상압연기(R)의 마지막 스탠드의 소재 추출속도에 맞게 회전되며, 소재(S)는 핀치롤(P)을 거쳐 권취기(미도시)에서 권취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열연코일로 생산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1)는 이송롤러부(100), 사이드가이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롤러부(100)는 사상압연기(R)에 의해 압연된 소재(S)를 후공정으로 이송한다. 이송롤러부(100)는 이송롤러(101)와, 이송롤러(101)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102)를 구비한다.
이송롤러(101)는 일단이 제1사이드가이드(210)의 외측, 즉 좌측(도 2 기준)에 배치되고, 타단은 제2사이드가이드(220)의 외측, 즉 우측에 배치된다.
이송모터(102)는 이송롤러(101)의 일단과 연결되어 이송롤러(10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송모터(102)의 구동에 의한 이송롤러(101)의 회전에 의해 소재(S)는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송롤러부(100)는 소재(S) 이송 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사이드가이드부(200)는 이송롤러부(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소재(S)의 이송을 안내한다. 사이드가이드부(200)는 제1사이드가이드(210)와 제2사이드가이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사이드가이드(210)는 이송롤러(101)의 좌단측(도 2 기준)에 위치하고, 제1경사가이드(210a)와 제1평행가이드(210b)를 포함한다.
제2사이드가이드(220)는 이송롤러(101)의 우단측에 위치하고, 제2경사가이드(220a)와 제2평행가이드(220b)를 포함한다. 즉, 제2사이드가이드(220)는 이송롤러(101)를 사이에 두고 제1사이드가이드(210)의 맞은편에 위치한다.
제1경사가이드(210a) 및 제2경사가이드(220a)는 제1사이드가이드(210) 및 제2사이드가이드(220)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제1경사가이드(210a) 및 제2경사가이드(220a)는 진입되는 소재(S)를 중앙측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경사가이드(210a, 220a)의 간격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경사가이드(210a, 220a) 후단의 간격은 평행가이드(210b, 220b)의 간격과 동일하게 된다.
제1평행가이드(210b) 및 제2평행가이드(220b)는 각각 제1경사가이드(210a) 및 제2경사가이드(220a)의 후단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가이드(210a, 220a)는 평행가이드(210b, 220b)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경사가이드(210a, 220a)는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평행가이드(210b, 220b)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사이드가이드(210)는 제1가이드베이스(211), 제1상지지대(212), 제1하지지대(213), 제1회전롤러(214)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베이스(211)는 소재(S)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롤러(10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소재(S)의 이송 시 소재(S)가 이송롤러(10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베이스(211)는 제1경사가이드(210a)와 제1평행가이드(210b)의 측판을 형성한다.
제1상지지대(212)는 제1가이드베이스(21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1상지지대(212)는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요(凹)부에 제1회전롤러(214)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제1회전롤러(214)를 축지지하는 베어링(212a)을 구비한다.
제1상지지대(212)는 제1가이드베이스(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소재(S)와의 지속적인 접촉에 따른 제1회전롤러(214)의 파손 시 제1회전롤러(214)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1하지지대(213)는 제1가이드베이스(21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제1하지지대(213)는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요(凹)부에 제1회전롤러(214)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제1회전롤러(214)를 축지지하는 베어링(213a)을 구비한다.
제1하지지대(213)는 제1가이드베이스(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소재(S)와의 지속적인 접촉에 따른 제1회전롤러(214)의 파손 시 제1회전롤러(214)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1회전롤러(214)는 상단이 제1상지지대(212), 구체적으로는 베어링(212a)에 축지지되고, 하단이 제1하지지대(213), 구체적으로는 베어링(213a)에 축지지된다.
제1회전롤러(214)는 제1상지지대(212) 및 제1하지지대(213)에 의해 제2사이드가이드(220)를 바라보도록 축지지되고, 제1경사가이드(210a) 및 제1평행가이드(21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된다.
제1회전롤러(214)는 이송되는 소재(S)와 접촉되는 경우 자유 회전되어 소재(S)와 제1사이드가이드(210)의 접촉 마찰력을 줄여 소재(S)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제1사이드가이드(21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한다.
제2사이드가이드(220)는 제2가이드베이스(221), 제2상지지대(222), 제2하지지대(223), 제2회전롤러(224)를 포함한다.
제2가이드베이스(221)는 소재(S)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롤러(10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소재(S)의 이송 시 소재(S)가 이송롤러(10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가이드베이스(221)는 제2경사가이드(220a)와 제2평행가이드(220b)의 측판을 형성한다.
제2상지지대(222)는 제2가이드베이스(22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2상지지대(222)는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요(凹)부에 제2회전롤러(224)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제2회전롤러(224)를 축지지하는 베어링(222a)을 구비한다.
제2상지지대(222)는 제2가이드베이스(2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소재(S)와의 지속적인 접촉에 따른 제2회전롤러(224)의 파손 시 제2회전롤러(224)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2하지지대(223)는 제2가이드베이스(22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제2하지지대(223)는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요(凹)부에 제2회전롤러(224)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제2회전롤러(224)를 축지지하는 베어링(223a)을 구비한다.
제2하지지대(223)는 제2가이드베이스(2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소재(S)와의 지속적인 접촉에 따른 제2회전롤러(224)의 파손 시 제2회전롤러(224)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2회전롤러(224)는 상단이 제2상지지대(222), 구체적으로는 베어링(222a)에 축지지되고, 하단이 제2하지지대(223), 구체적으로는 베어링(223a)에 축지지된다.
제2회전롤러(224)는 제2상지지대(222) 및 제2하지지대(223)에 의해 제1사이드가이드(210)를 바라보도록 축지지되고, 제2경사가이드(220a) 및 제2평행가이드(22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된다.
제2회전롤러(224)는 이송되는 소재(S)와 접촉되는 경우 자유 회전되어 소재(S)와 제2사이드가이드(220)의 접촉 마찰력을 줄여 소재(S)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제2사이드가이드(22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상압연기(R)에 의해 압연된 소재(S)는 이송롤러부(100)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사이드가이드부(200)는 소재(S)이 이송롤러부(100) 상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소재(S)의 양측 부분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사이드가이드부(200)에 의해 소재(S)는 이송롤러부(1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소재(S)가 좌측으로 편향되어 사이드가이드부(200)로 진입하는 경우(도 6 참조) 소재(S)는 제1가이드베이스(211)와 충돌하기에 앞서 제1사이드가이드(2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회전롤러(214)와 접촉된다.
제1회전롤러(214)는 상하단이 베어링(212a, 213a)에 의해 축지지되므로 소재(S)와의 접촉 시 자유 회전이 일어난다. 이러한 제1회전롤러(214)의 회전에 의해 소재(S)와 제1사이드가이드(210)와의 충격력이 완화되므로 소재(S)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소재(S)가 우측으로 편향되어 사이드가이드부(200)로 진입하는 경우(도 7 참조) 소재(S)는 제2가이드베이스(221)와 충돌하기에 앞서 제2사이드가이드(22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회전롤러(224)와 접촉된다.
제2회전롤러(224)는 상하단이 베어링(222a, 223a)에 의해 축지지되므로 소재(S)와의 접촉 시 자유 회전이 일어난다. 이러한 제2회전롤러(224)의 회전에 의해 소재(S)와 제2사이드가이드(220)와의 충격력이 완화되므로 소재(S)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소재 가이드 장치 100 : 이송롤러부
200 : 사이드가이드부 210 : 제1사이드가이드
211 : 제1가이드베이스 212 : 상지지대
213 : 하지지대 214 : 제1회전롤러
220 : 제2사이드가이드 224 : 제2회전롤러

Claims (7)

  1.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재의 이송 시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면에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는 사이드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가이드부는, 제1사이드가이드; 및
    상기 이송롤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에 대향되는 제2사이드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는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에 대향되는 내측면에 제1회전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는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에 대향되는 내측면에 제2회전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는, 제1가이드베이스;
    상기 제1가이드베이스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상지지대;
    상기 제1가이드베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하지지대; 및
    상단이 상기 제1상지지대에 축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제1하지지대에 축지지되어 상기 소재와의 접촉 시 자유 회전하는 제1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지지대 및 상기 제1하지지대는 상기 제1가이드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는, 제2가이드베이스;
    상기 제2가이드베이스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상지지대;
    상기 제2가이드베이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하지지대; 및
    상단이 상기 제2상지지대에 축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제2하지지대에 축지지되어 상기 소재와의 접촉 시 자유 회전하는 제2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지지대 및 상기 제1하지지대는 상기 제1회전롤러를 축지지하는 베어링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2상지지대 및 상기 제2하지지대는 상기 제2회전롤러를 축지지하는 베어링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지지대 및 상기 제2하지지대는 상기 제2가이드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가이드는, 전단부에 위치하는 제1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1경사가이드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가이드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1평행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롤러는 상기 제1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1평행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가이드는, 전단부에 위치하는 제2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2경사가이드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경사가이드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평행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롤러는 상기 제2경사가이드 및 상기 제2평행가이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KR1020100050140A 2010-05-28 2010-05-28 소재 가이드 장치 KR10122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140A KR101225777B1 (ko) 2010-05-28 2010-05-28 소재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140A KR101225777B1 (ko) 2010-05-28 2010-05-28 소재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679A KR20110130679A (ko) 2011-12-06
KR101225777B1 true KR101225777B1 (ko) 2013-01-23

Family

ID=4549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140A KR101225777B1 (ko) 2010-05-28 2010-05-28 소재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45B1 (ko) * 2015-06-18 2017-01-09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드 가이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219A (ja) * 1983-03-30 1984-10-11 Kawasaki Steel Corp コイラ−エントリ−サイドガイドの制御方法
JPS60145218A (ja) * 1984-01-06 1985-07-31 Sumitomo Metal Ind Ltd ダウンコイラ用サイド・ガイドの制御方法
JPH0647423A (ja) * 1992-08-05 1994-02-22 Sumitomo Metal Ind Ltd サイドガイ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219A (ja) * 1983-03-30 1984-10-11 Kawasaki Steel Corp コイラ−エントリ−サイドガイドの制御方法
JPS60145218A (ja) * 1984-01-06 1985-07-31 Sumitomo Metal Ind Ltd ダウンコイラ用サイド・ガイドの制御方法
JPH0647423A (ja) * 1992-08-05 1994-02-22 Sumitomo Metal Ind Ltd サイド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679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9750A (ko) 슬래브 가공 방법 및 장치
KR20110130680A (ko) 스트립 가이드 장치
KR101225777B1 (ko) 소재 가이드 장치
KR101225770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330543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20090113062A (ko) 열연강판의 이송 가이드장치
JPS5921696B2 (ja) 鋼スラブ押出し鋳造装置、特に彎曲スラブ押出し鋳造装置用の支持ロ−ラ機構
KR101225763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204836B1 (ko) 소재 이송장치
JP6047657B2 (ja) 連続鋳造機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30002439A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320119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101330541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225778B1 (ko) 소재 이송장치
KR20130002429A (ko) 스트립 이송장치
JP4980742B2 (ja) 棒材用搬送装置
KR20110130678A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325305B1 (ko) 스크랩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51295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246315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120109B1 (ko) 스트립 이송 장치
KR101277541B1 (ko)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101204844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310830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101246254B1 (ko) 브랜딩 리클레이머용 가이드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