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763B1 - 스트립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763B1
KR101225763B1 KR1020100061951A KR20100061951A KR101225763B1 KR 101225763 B1 KR101225763 B1 KR 101225763B1 KR 1020100061951 A KR1020100061951 A KR 1020100061951A KR 20100061951 A KR20100061951 A KR 20100061951A KR 101225763 B1 KR101225763 B1 KR 101225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electromagnet
unit
hous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251A (ko
Inventor
박영국
이동규
이상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7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7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스트립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부와, 이송롤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스트립의 이송을 안내하는 사이드가이드부와,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스트립의 편향 이송을 보정하는 전자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송 방향을 보정할 수 있어 권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이 사이드가이드부와 접촉되는 빈도를 줄여 권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립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압연공정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의 소재를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으로 나뉜다.
압연기에 의해 얇은 판 형상으로 압연된 스트립은 후공정으로 보내기 전에 저장, 운반 기타 처리의 편리성을 위해 릴부재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어 보관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스트립이 사이드가이드부와 접촉되는 빈도를 줄여 권취 품질을 향상시키는 스트립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는: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스트립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의 이송을 안내하는 사이드가이드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의 편향 이송을 보정하는 전자석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석유닛은, 상기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전자석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과 상기 전자석부 사이에 간격을 두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이송롤러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송롤러부와 평행하게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전자석부의 작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및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측정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전자석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스트립의 이송 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가이드부는, 전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을 상기 이송롤러부의 중앙측으로 안내하는 경사가이드; 및 상기 경사가이드와 연결되고, 상기 경사가이드의 후측에 위치하는 평행가이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석유닛은 상기 평행가이드의 전방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 시 상기 전자석부가 상기 이송롤러부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석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비자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에 의하면,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송 방향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스트립과의 충돌에 의한 사이드가이드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설비 유지ㆍ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에 의하면,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송 방향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가이드부와의 충돌에 의한 스트립의 품질 저하를 억제하여 권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전자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전자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전자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트립이 중앙으로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스트립이 좌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스트립이 우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제어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전자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이송롤러부와 전자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전자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트립이 중앙으로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스트립이 좌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스트립이 우측으로 편향되어 진입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제어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철공장의 열간압연 공정에서 사상압연기(R)는 압연소재인 스트립(S)을 최종 압연한 후 이송롤러부(100)를 통해 스트립(S)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롤러부(100)는 사상압연기(R)의 마지막 스탠드의 스트립 추출속도에 맞게 회전되며, 스트립(S)은 핀치롤(P)을 거쳐 권취기(미도시)에서 권취되면서 최종적으로 열연코일로 생산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1)는 이송롤러부(100), 사이드가이드부(200), 위치측정부(300), 전자석유닛(400),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롤러부(100)는 사상압연기(R)에 의해 압연된 스트립(S)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롤러부(100)는 이송롤러(110)와 이송모터(111)를 구비한다.
이송롤러(110)는 일단이 제1사이드가이드(210)의 외측,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좌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제2사이드가이드(220)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송모터(111)는 이송롤러(110)의 일단과 연결되어 이송롤러(1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사이드가이드부(200)는 이송롤러부(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스트립(S)의 이송을 안내한다. 사이드가이드부(200)는 제1사이드가이드(210)와 제2사이드가이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사이드가이드(210)는 이송롤러(110)의 좌단측에 위치하고, 제1경사가이드(210a)와 제1평행가이드(210b)를 포함한다. 제2사이드가이드(220)는 이송롤러(110)의 우단측에 위치하고, 제2경사가이드(220a)와 제2평행가이드(220b)를 포함한다.
제1경사가이드(210a) 및 제2경사가이드(220a)는 제1사이드가이드(210) 및 제2사이드가이드(220)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제1경사가이드(210a) 및 제2경사가이드(220a)는 진입되는 스트립(S)을 중앙측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경사가이드(210a, 220a)의 간격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경사가이드(210a, 220a) 후단의 간격은 평행가이드(210b, 220b)의 간격과 동일하게 된다.
제1평행가이드(210b) 및 제2평행가이드(220b)는 각각 제1경사가이드(210a) 및 제2경사가이드(220a)의 후단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가이드(210a, 220a)는 평행가이드(210b, 220b)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경사가이드(210a, 220a)는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평행가이드(210b, 220b)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측정부(300)는 사이드가이드부(200)의 전방에 위치한다. 위치측정부(300)는 사상압연기(R)에 의해 압연되어 이송되는 스트립(S)이 이송롤러부(100)의 정중앙으로 진입되는지를 측정한다.
즉, 위치측정부(300)는 스트립(S)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여 스트립(S)이 이송롤러부(100)의 정중앙으로 진입하는지,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진입하는지를 측정한다.
위치측정부(300)에 의해 스트립(S)이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진입된다고 측정되면 그에 따라 제어부(500)를 통해 전자석유닛(400)을 작동시켜 스트립(S)의 편향 진입을 보정한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석유닛(400)은 이송롤러부(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스트립(S)의 편향 이송을 보정한다. 전자석유닛(400)은 하우징(410), 회전롤러(420), 전자석부(430)를 포함한다.
하우징(410)은 이송롤러부(100)의 사이에 위치한다. 하우징(410)은 내측에 복수개의 전자석부(430)를 구비한다. 하우징(410)은 전자석부(430)의 작동 시 전자석부(430)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이송롤러부(100)의 작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전자석부(4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하우징(41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자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전자석부(430)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은 하우징(410)에 의해 차단되어 이송롤러부(10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전자석부(430)는 하우징(410)의 내측에 이송롤러부(100)와 평행하게 복수개가 구비된다. 전자석부(430)의 작동은 스트립(S)의 이송 방향에 따라 각각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전자석부(43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전자기력을 생성하며, 철심 코어와 이를 감싸는 코일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석부(430)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롤러(420)는 하우징(4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롤러부(10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전자석유닛(400)의 스트립(S)으로의 접근에 의해 스트립(S)이 전자석유닛(400)과 접촉되더라도 스트립(S)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회전롤러(420)는 스트립(S)과 전자석부(430)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도록 하우징(4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스트립(S)은 전자석부(430)에서 전자기력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경우에도 전자석부(43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원래의 이송이 방해받지 않는다.
전자석유닛(400)은 평행가이드(210b, 220b)의 전방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석유닛(400)은 위치측정부(300)와 평행가이드(210b, 220b)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를 통해 스트립(S)이 평행가이드(210b, 220b)측으로 진입하기 전에 스트립(S)의 일측 편향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일측 편향된 스트립(S)에 의한 평행가이드(210b, 220b) 내측면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2,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위치측정부(300)에서 전송되는 측정신호를 토대로 전자석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전자석부(430)를 스트립(S)의 이송 방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전자석부(430)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스트립(S)의 편향 이송을 보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상압연기(R)에 의해 압연된 스트립(S)은 이송롤러부(100)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사이드가이드부(200)는 스트립(S)이 이송롤러부(100) 상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스트립(S)의 양측 부분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사이드가이드부(200)에 의해 스트립(S)은 이송롤러부(1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위치측정부(300)는 사이드가이드부(200)측으로 진입하는 스트립(S)의 폭방향 위치를 감지하여 스트립(S)이 일측 방향으로 편향된 경우 제어부(500)를 통해 이를 보정하도록 한다.
도 7,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측정부(300)가 스트립(S)의 정중앙 이송을 감지한 경우 위치측정부(300)는 이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스트립(S)의 이송 방향을 보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500)는 전자석유닛(400)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스트립(S)의 정중앙 이송은 그대로 유지된다.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측정부(300)가 스트립(S)의 좌측 편향을 감지한 경우 위치측정부(300)는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제어부(500)는 이를 토대로 전자석부(430)를 작동시켜 스트립(S)의 편향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스트립(S)의 좌측 편향에 대응하여 하우징(410)의 우측 2개의 전자석부(430)만을 작동시켜, 우측 전자석부(430)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으로 스트립(S)을 우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스트립(S)의 좌측 편향을 보정한다. 이때 전자석부(430)는 스트립(S)이 해당 전자석부(430)를 통과한 경우 작동이 정지되어 스트립(S)의 이송 시 전자기력이 스트립(S)의 이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위치측정부(300)가 스트립(S)의 우측 편향을 감지한 경우(도 9, 도 10 참조) 제어부(500)는 하우징(410)의 좌측 2개의 전자석부(430)만을 작동시켜, 좌측 전자석부(430)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으로 스트립(S)을 좌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스트립(S)의 우측 편향을 보정한다. 이때 전자석부(430)는 스트립(S)이 해당 전자석부(430)를 통과한 경우 작동이 정지되어 스트립(S)의 이송 시 전자기력이 스트립(S)의 이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스트립 이송장치 100 : 이송롤러부
200 : 사이드가이드부 300 : 위치측정부
400 : 전자석유닛 410 : 하우징
420 : 회전롤러 430 : 전자석부

Claims (9)

  1.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스트립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의 이송을 안내하는 사이드가이드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의 편향 이송을 보정하는 전자석유닛;
    상기 사이드가이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및
    상기 위치측정부로부터 측정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전자석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유닛은, 상기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전자석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과 상기 전자석부 사이에 간격을 두는 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이송롤러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이송롤러부와 평행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전자석부의 작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립이 편향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 복수개 나열된 상기 각 전자석부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전자석부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스트립의 편향 이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가이드부는, 전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립을 상기 이송롤러부의 중앙측으로 안내하는 경사가이드; 및
    상기 경사가이드와 연결되고, 상기 경사가이드의 후측에 위치하는 평행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유닛은 상기 평행가이드의 전방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 시 상기 전자석부가 상기 이송롤러부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석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비자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이송장치.
KR1020100061951A 2010-06-29 2010-06-29 스트립 이송장치 KR101225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51A KR101225763B1 (ko) 2010-06-29 2010-06-29 스트립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51A KR101225763B1 (ko) 2010-06-29 2010-06-29 스트립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51A KR20120001251A (ko) 2012-01-04
KR101225763B1 true KR101225763B1 (ko) 2013-01-23

Family

ID=4560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951A KR101225763B1 (ko) 2010-06-29 2010-06-29 스트립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027B1 (ko) * 2013-01-28 2018-03-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핀 합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합성 방법
KR102075212B1 (ko) * 2017-12-21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2417A (ja) * 1988-01-26 1989-08-02 Nkk Corp 熱間圧延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28113A (ja) * 1993-05-17 1994-11-29 Kawasaki Steel Corp 剪断シートの搬送方法
JPH06339726A (ja) * 1993-05-31 1994-12-13 Kawasaki Steel Corp サイドガイドの制御方法
JPH11221609A (ja) * 1998-02-06 1999-08-17 Nippon Steel Corp 鋼板の蛇行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板の蛇行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2417A (ja) * 1988-01-26 1989-08-02 Nkk Corp 熱間圧延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28113A (ja) * 1993-05-17 1994-11-29 Kawasaki Steel Corp 剪断シートの搬送方法
JPH06339726A (ja) * 1993-05-31 1994-12-13 Kawasaki Steel Corp サイドガイドの制御方法
JPH11221609A (ja) * 1998-02-06 1999-08-17 Nippon Steel Corp 鋼板の蛇行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板の蛇行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51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930B1 (ko) 슬래브 가공 방법 및 장치
KR101317481B1 (ko) 코일 포장용 밴드 절단 장치
KR101225763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6825A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330543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204836B1 (ko) 소재 이송장치
JPH0797637A (ja) ホットストリップのためのリール炉
KR101257470B1 (ko) 스트립 유도장치
KR101204835B1 (ko) 스트립 장력 발생장치
KR20130002429A (ko) 스트립 이송장치
KR20110130680A (ko) 스트립 가이드 장치
KR101225778B1 (ko) 소재 이송장치
KR101225777B1 (ko) 소재 가이드 장치
KR101330541B1 (ko) 스트립 이송장치
JPH11319948A (ja) 中間圧延材の矯正装置
KR101204839B1 (ko)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101159776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20110130678A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4350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93858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225796B1 (ko) 소재의 상향 방지 장치
KR20130023683A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1250A (ko) 소재 장력 발생장치
KR20120032854A (ko) 스트립의 상향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