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470B1 - 스트립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470B1
KR101257470B1 KR1020110051120A KR20110051120A KR101257470B1 KR 101257470 B1 KR101257470 B1 KR 101257470B1 KR 1020110051120 A KR1020110051120 A KR 1020110051120A KR 20110051120 A KR20110051120 A KR 20110051120A KR 101257470 B1 KR101257470 B1 KR 10125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bending roll
plate
roll fram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779A (ko
Inventor
조영원
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47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벤딩 롤 프레임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벤딩 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가변부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며, 벤딩 롤 프레임의 패스라인으로 진행되는 스트립을 눌러주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는 전단부가 상향으로 휘어진 스트립을 눌러줌으로써, 하방 이동된 스트립이 벤딩 롤 프레임의 패스라인을 따라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 유도장치{INDUCEMENT DEVICE OF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단부가 상향되는 스트립을 눌러주어, 벤딩 롤 프레임을 통과하는 스트립이 벤딩 롤과의 충돌로 진행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립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무리 압연기를 통과한 스트립은 런아웃 테이블을 통과하여 냉각된 후 권취기에 의해 감겨 코일이 된다.
한편, 코일에 대한 형상교정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 코일을 풀어 스트립 상태로 형상교정기에 투입된다.
형상교정기를 통과한 스트립은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후 벤딩 롤 프레임에 투입된다. 이러한 벤딩 롤 프레임은 스트립을 파지하여 권취하는 설비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스트립의 전단부가 상향 굴곡되더라도 텐션 릴측의 패스라인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벤딩 롤 프레임 설비와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트립의 전단부를 눌러주는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벤딩 롤 프레임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며, 상기 벤딩 롤 프레임의 패스라인으로 진행되는 스트립을 눌러주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유압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고,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지지판; 및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스트립을 가압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롤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릴홀이 형성되는 릴돌기; 상기 롤러판에 장착되고 상기 릴홀에 대응되는 판홀이 형성되는 판돌기; 및 상기 릴홀과 상기 판홀을 관통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는 전단부가 상향으로 휘어진 스트립을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스트립이 벤딩 롤 프레임의 패스라인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단부와 설비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는 감지부의 스트립 위치 감지 여부에 따라 유압실린더부의 길이가 변화되므로, 자동화 설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는 고정바와 같은 핀결합에 의해 가압부가 벤딩 롤 프레임에 고정되므로, 가압부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에 대한 수리나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가 벤딩 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가 하강하여 스트립을 누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에서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에서 고정부의 판돌기가 릴돌기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에서 고정부의 판돌기가 릴돌기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가 벤딩 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가 하강하여 스트립을 누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에서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에서 고정부의 판돌기가 릴돌기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에서 고정부의 판돌기가 릴돌기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1)에는 가변부(10) 및 가압부(20)가 구비된다.
벤딩 롤 프레임(100)은 스트립(200)을 파지하여 권취하는 설비이다. 한편, 스트립(200)의 전단부는 상방향으로 휘어지는 경향을 갖는다.
이로 인해 스트립(200)이 벤딩 롤 프레임(100)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벤딩 롤 프레임(100) 내부 설비의 손상을 유발하므로, 스트립 유도장치(1)는 가이드롤(150)에 의해 이송되는 스트립(200)을 눌러주어 벤딩 롤(110)의 손상을 방지하고, 스트립(200)의 전단부를 패스라인으로 유도한다.
가변부(10)는 벤딩 롤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가압부(20)는 벤딩 롤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부(20)는 가변부(10)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변부(10)의 길이가 늘어나면, 가압부(20)는 회전되면서 하방 이동되어 벤딩 롤 프레임(100)의 패스라인으로 진행되는 스트립(200)을 눌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10)에는 감지부(11), 제어부(12) 및 유압실린더부(13)가 구비된다.
감지부(11)는 스트립(2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11)는 벤딩 롤 프레임(100)에 장착되거나, 가이드롤(150) 사이에 위치되어 스트립(2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신호를 주고받으며, 신호 경로 상에 스트립(200)이 위치되어 신호 수신이 불가할 경우 스트립(200)이 신호 경로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제어부(12)는 감지부(11)의 신호를 수신하여 유압실린더부(13)를 구동시킨다. 유압실린더부(13)는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길이가 가변된다.
따라서, 감지부(11)가 스트립(200)을 감지하면,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유압실린더부(13)의 길이가 늘어난다.
반대로, 감지부(11)가 스트립(200)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유압실린더부(13)의 길이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에는 결합판(21), 지지판(22) 및 롤러판(23)이 구비된다.
결합판(21)은 한 쌍의 가변부(10)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판(21)은 가변부(10)의 유압실린더부(13)에 각각 핀결합된다.
지지판(22)은 결합판(21)에 결합되고 벤딩 롤 프레임(10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지지판(22)에는 회전축(22a)이 구비되어 벤딩 롤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결합관(101)에 삽입된다.
결합판(21)과 지지판(22)은 일체로 성형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유압실린더부(13)와 결합되는 핀과 회전축(22a)은 축을 달리한다.
롤러판(23)은 결합판(21)에 결합되고, 스트립(20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어 스트립(200)을 가압한다. 이러한 롤러판(23)은 지지판(22)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롤러판(23)의 하부에는 롤러(23a)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트립(200)과 직접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에는 가압부(20)의 위치를 고정시켜 자체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24)가 더 구비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4)에는 릴돌기(31), 판돌기(32) 및 고정바(33)가 구비된다.
릴돌기(31)는 벤딩 롤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릴돌기(31)는 벤딩 롤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각 릴돌기(31)에는 릴홀(31a)이 형성된다.
판돌기(32)는 롤러판(23)에 장착된다. 이러한 판돌기(32)에는 릴홀(31a)에 대응되는 판홀(32a)이 형성된다.
고정바(33)는 릴홀(31a)과 판홀(32a)을 관통한다. 이러한 고정바(33)에 의해 롤러판(23)은 위치가 고정되어 이에 대한 수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롤러(150)에 의해 이동되는 스트립(200)은 전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벤딩 롤 프레임(100)의 패스라인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1 참조).
벤딩 롤 프레임(100)에는 유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10) 및 가변부(10)에 연결되고, 벤딩 롤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압부(20)가 구비된다.
이때, 가변부(10)의 감지부(11)가 스트립(200)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면, 유압실린더부(13)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유지하여, 이와 연결된 가압부(20)는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감지부(11)가 스트립(200)의 위치를 감지하면, 제어부(12)의 제어로 인해 유압실린더부(13)의 길이가 늘어난다(도 2 참조).
유압실린더부(13)의 길이가 늘어나면, 이와 연결된 결합판(21)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결합판(21)과 연결된 지지판(22)은 회전축(22a)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결합판(21)의 하방 이동에 의해 결합판(21)과 결합된 롤러판(23)이 하방 이동되어 스트립(20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롤러판(2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러(23a)는 스트립(200)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스트립(200)을 눌러 스트립(200)의 전단부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하면, 스트립(200)의 전단부가 벤딩 롤 프레임(100)의 패스라인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부 설비와의 접촉이 제한되어, 스트립(200)과 벤딩 롤(110)의 충돌에 의한 설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20)의 위치를 고정하여 이에 대한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릴홀(31a)과 판홀(32a)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판돌기(32)를 이동시킨 후 고정바(33)를 릴홀(31a)과 판홀(32a)에 삽입한다(도 5 참조).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가변부 11 : 감지부
12 : 제어부 13 : 유압실린더부
20 : 가압부 21 : 결합판
22 : 지지판 23 : 롤러판
24 ; 고정부 31 : 릴돌기
32 : 판돌기 33 : 고정바
100 : 벤딩 롤 프레임

Claims (5)

  1. 벤딩 롤 프레임에 장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며, 상기 벤딩 롤 프레임의 패스라인으로 진행되는 스트립을 눌러주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고,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스트립을 가압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롤러판; 및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벤딩 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릴홀이 형성되는 릴돌기;
    상기 롤러판에 장착되고 상기 릴홀에 대응되는 판홀이 형성되는 판돌기; 및
    상기 릴홀과 상기 판홀을 관통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스트립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유압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51120A 2011-05-30 2011-05-30 스트립 유도장치 KR10125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20A KR101257470B1 (ko) 2011-05-30 2011-05-30 스트립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20A KR101257470B1 (ko) 2011-05-30 2011-05-30 스트립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79A KR20120132779A (ko) 2012-12-10
KR101257470B1 true KR101257470B1 (ko) 2013-04-23

Family

ID=4751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120A KR101257470B1 (ko) 2011-05-30 2011-05-30 스트립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96B1 (ko) * 2013-06-27 2015-03-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교정기
CN111532733A (zh) * 2020-04-26 2020-08-14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防止角钢腿部划伤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81B1 (ko) * 2012-12-21 2014-09-24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소재 선단부 상향 방지장치
KR101421135B1 (ko) * 2013-05-29 2014-07-22 주식회사 미래기연 금속판 권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416U (ko) * 1997-12-23 1999-07-15 이구택 열연 스트립 선단부의 상향 휨 교정 장치
KR20000009076U (ko) * 1998-10-30 2000-05-25 이구택 스트립 선단부 교정장치
KR20030022964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KR20050017273A (ko) * 2003-08-12 2005-02-2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416U (ko) * 1997-12-23 1999-07-15 이구택 열연 스트립 선단부의 상향 휨 교정 장치
KR20000009076U (ko) * 1998-10-30 2000-05-25 이구택 스트립 선단부 교정장치
KR20030022964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KR20050017273A (ko) * 2003-08-12 2005-02-2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96B1 (ko) * 2013-06-27 2015-03-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교정기
CN111532733A (zh) * 2020-04-26 2020-08-14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防止角钢腿部划伤的方法
CN111532733B (zh) * 2020-04-26 2021-06-1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防止角钢腿部划伤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79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470B1 (ko) 스트립 유도장치
CN103950779B (zh) 一种转塔分切机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JP2006263779A (ja) 熱間圧延設備のサイドガイド制御方法
CN102019305B (zh) 一种带钢处理线宽度可变对中控制装置
KR100803972B1 (ko)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1246257B1 (ko)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KR101225770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1641978B1 (ko) 간지 주름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지 주름방지방법
JP5780118B2 (ja) 熱間圧延鋼帯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巻取制御装置
KR20170074306A (ko) 스트립 권취 장치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1225763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0864441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절단 장치
KR101421814B1 (ko) 권취유도장치
KR101204835B1 (ko) 스트립 장력 발생장치
KR101281887B1 (ko) 토치 직렬 결합형 용접 와이어 교정 장치
KR101320147B1 (ko) 스트립 사행 치입 방지용 사이드 안내부 자동 조절 장치
JP5240587B2 (ja) 鋼帯の通板方法
KR101193858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593068B1 (ko) 슬리팅 필름 권취방법 및 슬리팅 필름 권취장치
KR100426721B1 (ko) 권취기의 간지 삽입장치
KR101623262B1 (ko) 자성 밴드를 이용한 코일 권취 시스템
CN215657053U (zh) 一种钢卷带头定位装置
CN212687053U (zh) 全自动跑马带卷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