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964A -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964A
KR20030022964A KR1020010055824A KR20010055824A KR20030022964A KR 20030022964 A KR20030022964 A KR 20030022964A KR 1020010055824 A KR1020010055824 A KR 1020010055824A KR 20010055824 A KR20010055824 A KR 20010055824A KR 20030022964 A KR20030022964 A KR 20030022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roll
cylinder
support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413B1 (ko
Inventor
박용호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5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4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6Pushing or forcing work into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기의 입측에 소재를 검출하도록 센서를 설치하고 그 센서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서 소재의 선단부가 압연기의 내부로 정확하게 삽입되게 안내할 수 있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재(S)를 안내하는 안내판(9)을 지지하도록 압연기(1)의 입측에 지지바(10)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바의 양측에는 제1실린더(14)에 의해서 승강되는 승강부재(15)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판의 일측 상부에는 지지바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바(16)를 매개로 설치된 제2실린더(17)에 의해서 승강되는 지지롤(19)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롤의 양단에는 승강부재가 승강됨에 따라 회동되도록 링크(20)가 마련되고, 상기 링크의 선단부에는 소재를 가압하는 가압롤(21)이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Start part guid apparatus of strip for 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이오프릴에 권취된 소재를 압연기의 내부로 삽입할 때 그 소재의 선단부가 압연기 및 주변설비에 간섭되지 않고 압연기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재의 선단부를 유도할 수 있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두께의 강판을 생산할 때에는 압연기에 소재를 통과시켜 소정의 두께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압연기의 일측에 소재가 감겨진 페이오프릴을 설치하고 그 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의 선단부를 압연기에 삽입하여 그 소재를 압연기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압연을 하며 상기 압연기에서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강판은 그 압연기의 타측에 설치된 텐션릴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연기로 소재를 압연하기 위하여 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의 선단부를 압연기로 삽입할 때 그 선단부가 상부 또는 하부로 변형되어 압연기의 압연롤 또는 주변설비와 간섭되면 설비의 파손은 물론 불량품이 생산되므로 선단부가 간섭되지 않고 유입될 수 있는 유도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기(1)의 입측 및 출측에는 소재(S)를 안내하도록 복수개의 입측 디플렉터롤(2)과 복수개의 출측 디플렉터롤(3)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연기(1)의 입측에는 소재(S)가 코일 형태로 감겨진 페이오프릴(4)이 설치되어 있으며 출측에는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강판을 코일 형태로 감을수 있는 텐션릴(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연기(1)의 배면에는 압연기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6)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배기관(6)의 단부에는 흡입력을 발생되는 흡입팬(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팬(7)은 모터(8)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재(S)를 압연할 때에는 소재(S)가 감겨진 페이오프릴(4)을 압연기(1)의 입측에 설치하고 출측에는 텐션릴(5)을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페이오프릴(4)에 감겨진 소재(S)를 풀면서 그 소재(S)의 선단부가 압연기(1)의 입측에 설치된 입측 디플렉터롤(2)에 안내되도록 삽입하고 있다.
상기 소재(S)의 선단부는 입측 디플렉터롤(2)에 안내를 받으면서 압연기(1)로 유입된 후 그 압연기(1)에 내장된 복수개의 압연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후 출측에 설치된 출측 디플렉터롤(3)에 안내를 받으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소재는 압연기(1)의 출측에 설치된 텐션릴(5)에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압연기(1)의 입측으로 유입되는 소재(S)의 선단부가 입측 디플렉터롤(2)에 의해서 안내되므로 그 선단부가 상부 또는 하부로 변형될 경우에는 압연기(1)로 유입되지 못하고 압연기(1) 내부에 설치된 압연롤 또는 주변설비에 간섭되어 파손되었다.
또는 선단부가 변형된 상태의 소재(S)가 압연기(1)를 통과하여 압연될 경우에는 불량품이 생산되어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연기의 입측에 소재를 검출하도록 센서를 설치하고 그 센서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서 소재의 선단부가 압연기의 내부로 정확하게 삽입되게 안내할 수 있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가 설치된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소재1 : 압연기
9 : 안내판9a : 통공
10 : 지지바11 : 반사판
12 : 고정바13 : 소재 검출용 센서
14 : 제1실린더15 : 승강부재
16 : 연결바17 : 제2실린더
19 : 지지롤20 : 링크
21a : 유도홈21 : 가압롤
22 : 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는 소재를 안내하는 안내판을 지지하도록 압연기의 입측에 지지바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바의 양측에는 제1실린더에 의해서 승강되는 승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판의 일측 상부에는 지지바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바를 매개로 설치된 제2실린더에 의해서 승강되는 지지롤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롤의 양단에는 승강부재가 승강됨에 따라 회동되도록 링크가 마련되고, 상기 링크의 선단부에는 스트립을 가압하는 가압롤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가 설치된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연기(1)의 입측에 설치된 입측 디플렉터롤(2)과 압연기(1)의 사이에 지지바(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바(10)의 하단부에는 입측 디플렉터롤(2)을 통과한 소재(S)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10)의 상단 타측에는 고정바(12)가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바(12)의 하단부에는 소재(S)가 유입됨을 검출하기 위한 소재 검출용 센서(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판(9)상에는 소재 검출용 센서(13)가 설치된 직 하방에 위치되게 통공(9a)이 형성되고 있고 그 통공(9a)의 저면에는 소재 검출용 센서(13)에서 발생되는 센싱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1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10)의 양측에는 승강부재(15)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되, 그 승강부재(15)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바(10)의 측면에는 안내홈(10a)이 형성되고 승강부재(15)에는 안내홈(10a)에 삽입되는 안내돌기(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0)의 상측에는 제1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1실린더(14)의 로드(14a)는 승강부재(15)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그 승강부재(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10)의 상단 일측에는 연결바(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연결바(16)의 단부에는 제2실린더(17)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그 제2실린더(17)의 로드(17a)에는 지지롤(19)이 수용된 하우징(1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린더(14)와 제2실린더(17)의 외측 둘레면에는 각 실린더의 하강을 출하기 위한 제1센서(23) 및 제2센서(24)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제1센서(23) 및 제2센서(24)는 제1실린더(14) 및 제2실린더(17)의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제1실린더(14) 또는 제2실린더(17)가 작동하여 그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이 센서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되면 제1센서(23) 또는 제2센서(24)가 각각 검출하여 해당 실린더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8)의 양측에는 링크(20)의 중앙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링크(20)의 일단에는 가압롤(21)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가압롤(21)이 설치된 일단과 중앙부의 사이에는 입측 디플렉터롤(2)에 의해서 안내되는 소재(S)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소재 유입 검출용 센서(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크(20)의 타단은 승강부재(15)와 함께 승강되도록 승강부재(15)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롤(21)의 일측에는 그 가압롤(21)이 소재(S)와 접촉시 소재(S)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모터(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롤(21)의 외측 둘레면에는 소재(S)가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은 상태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경사를 갖는 유도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의 작동상태 측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을 하기 위한 소재(S)가 입측 디플렉터롤(2)의 상부로 유입되어 링크(20)에 설치된 소재 유입 검출용 센서(25)가 소재(S)를 검출하게 되면 제1실린더(14) 및 제2실린더(17)가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1실린더(14) 및 제2실린더(17)가 동시에 작동되면 승강부재(15) 및링크(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실린더(14)의 로드(14a)에 설치된 승강부재(15)는 그 승강부재(15)에 형성된 안내돌기(15a)가 지지바(10)에 형성된 안내홈(10a)에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게되므로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제2실린더(17)의 로드(17a)에 설치된 하우징(18)과 그 하우징(18)의 양단에 설치된 링크(20)도 승강부재(15)와 함께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실린더(14)와 제2실린더(17)가 작동되면 그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고 그 피스톤을 제1실린더(14)와 제2실린더(17)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된 제1센서(23) 및 제2센서(24)에 각각 검출되면 제1실린더(14) 및 제2실린더(17)는 정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제2실린더(17)에 의해서 하강된 하우징(18)에 내장된 지지롤(19)은 입측 디플렉터롤(2)의 상측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실린더(14)와 제2실린더(17)가 정지된 후 제2실린더(17)는 정지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14)는 역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1실린더(14)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링크(20)의 타단은 승강부재(15)와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링크(2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롤(19)이 설치된 하우징(18)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링크(20)의 일단에 설치된 가압롤(21)은 소재(S)가 입측 디플렉터롤(2)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롤(21)이 하강된 후 소재(S)를 가압하면 그 가압롤(21)의 일단에 설치된 모터(22)가 작동되며 가압롤(21)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가압롤(21)은 소재(S)를 이동시킴은 물론 가압롤(21)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유도홈(21a)에 의해서 상기 소재(S)는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재(S)의 선단부가 입측 디플렉터롤(2)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그 선단부가 안내판(9)을 통과하게 되면 고정바(12)에 설치된 소재 검출용 센서(13)에서 발생되는 센싱신호는 통공(9a)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11)에 의해서 반사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소재 검출용 센서(13)는 소재(S)의 유입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소재 검출용 센서(13)가 소재(S)의 유입을 검출하게 되면 제2실린더(17)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도 4와 같이 링크(20) 및 입측 디플렉터롤(2)에 접촉된 지지롤(19)과 가압롤(21)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때 가압롤(21)을 회전시키는 모터(22)가 정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재를 소정의 두께로 압연하기 위하여 그 소재의 선단부를 압연기의 내부로 유입시킬 때 상기 소재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입측 디플렉터롤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선단부가 압연기 내부의 압연롤 및 주변설비에 간섭으로 인한 설비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소재는 그 소재를 가압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가압롤에 형성된 유도홈에 의해서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중앙으로 유입되므로 편심에 의한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재(S)를 안내하는 안내판(9)을 지지하도록 압연기(1)의 입측에 지지바(10)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바의 양측에는 제1실린더(14)에 의해서 승강되는 승강부재(15)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판의 일측 상부에는 지지바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바(16)를 매개로 설치된 제2실린더(17)에 의해서 승강되는 지지롤(19)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롤의 양단에는 승강부재가 승강됨에 따라 회동되도록 링크(20)가 마련되고, 상기 링크의 선단부에는 소재를 가압하는 가압롤(21)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타측에는 고정바(12)가 설치되고 그 지지바의 하단부에는 소재 검출용 센서(13)가 설치되며 안내판에는 통공(9a)이 형성되고 그 통공의 하부에는 반사판(1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의 일측에는 그 가압롤을 회전시키는 모터(22)가 설치되고 가압롤의 둘레면에는 소재가 편심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경사를 갖는 유도홈(21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KR1020010055824A 2001-09-11 2001-09-11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KR100737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824A KR100737413B1 (ko) 2001-09-11 2001-09-11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824A KR100737413B1 (ko) 2001-09-11 2001-09-11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964A true KR20030022964A (ko) 2003-03-19
KR100737413B1 KR100737413B1 (ko) 2007-07-09

Family

ID=2772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824A KR100737413B1 (ko) 2001-09-11 2001-09-11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4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72B1 (ko) * 2001-10-29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1257470B1 (ko) * 2011-05-30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유도장치
KR101298709B1 (ko) * 2011-07-28 2013-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399864B1 (ko) * 2012-04-26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선단부 평탄화 장치
KR101435071B1 (ko) * 2012-06-28 2014-08-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101443095B1 (ko) * 2012-10-29 2014-09-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상향 교정장치
KR101523965B1 (ko) * 2014-03-28 2015-06-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형상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359A (en) * 1974-05-06 1977-04-26 The Steel Company Of Canada, Limited Method of hot rolling metal strip
JPS59159201A (ja) * 1983-03-02 1984-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鋼板の連続焼入れライン
JPS60111713A (ja) * 1983-11-21 1985-06-18 Hitachi Ltd 圧延機における入側案内装置
JPH09155434A (ja) * 1995-11-30 1997-06-17 Kawasaki Steel Corp 水切りロール
KR200289938Y1 (ko) * 1998-12-30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72B1 (ko) * 2001-10-29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1257470B1 (ko) * 2011-05-30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유도장치
KR101298709B1 (ko) * 2011-07-28 2013-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399864B1 (ko) * 2012-04-26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선단부 평탄화 장치
KR101435071B1 (ko) * 2012-06-28 2014-08-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101443095B1 (ko) * 2012-10-29 2014-09-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상향 교정장치
KR101523965B1 (ko) * 2014-03-28 2015-06-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형상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413B1 (ko)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73571U (zh) 烟用接装纸复卷机
KR100737413B1 (ko)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JP3285810B2 (ja) サイドガイド装置
KR100803972B1 (ko)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200201122Y1 (ko) 광휘소둔로의 댄스롤 상하 유동장치
KR100775466B1 (ko)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KR100775496B1 (ko)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KR100396077B1 (ko) 코일 밴딩 머신
KR100864441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절단 장치
KR100962975B1 (ko) 스트립교정시스템
KR101887823B1 (ko) 엘리베이터 루퍼가 설치된 슬리팅 라인
KR100475535B1 (ko) 코일형 냉연제품의 엔드마크 방지용 페이퍼심블자동취부장치
JP4774647B2 (ja) 樹脂フィルムの製造装置
KR101059154B1 (ko) 스트립 용접부의 쏠림 판별 장치
JP4396340B2 (ja) 圧延ラインにおける鋼板欠陥の検出方法
KR20200065969A (ko) 수직 소둔로 벽체 유지보수장치
JPH0532135B2 (ko)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20030022972A (ko) 압연 소재의 선단부 안내장치
CN2744436Y (zh) 带头控制装置
KR101008440B1 (ko) 페이퍼 언와인드 장치
CN219216909U (zh) 一种大型卷材放卷用双底辊承托装置
KR20020043701A (ko) 벨트래퍼의 코일 초기권취 자동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