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496B1 -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496B1
KR100775496B1 KR1020060111702A KR20060111702A KR100775496B1 KR 100775496 B1 KR100775496 B1 KR 100775496B1 KR 1020060111702 A KR1020060111702 A KR 1020060111702A KR 20060111702 A KR20060111702 A KR 20060111702A KR 100775496 B1 KR100775496 B1 KR 10077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plate
strip
tip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1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6Removing local dist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로에 권취시 강판선단부에 의해 강판표면에 발생되는 엔드마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강판의 선단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강판(S)이 이동하는 롤러테이블(100)의 단부 양측에 설치된 지지판(300)과, 상기 지지판(300)의 상단에 설치된 유도롤(311)과, 상기 유도롤(311)의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310)와, 상기 지지판(300)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판(320)과, 상기 고정판(320)의 양 측면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321)와, 상기 피니언 기어(321)에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331)가 양 측면에 설치된 승강부재(330)와, 상기 승강부재(330)를 이동시키도록 고정판(320)에 설치된 실린더(340)와, 상기 강판(S)의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성형되도록 승강부재(330)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판(35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강판, 권취, 선단부, 경사면, 엔드마크

Description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Top part pressing apparatus of strip}
도1은 일반적인 권취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 가압장치가 권취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 가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 가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강판 100 : 롤러테이블
300 : 지지판 310 : 베이스
311 : 유도롤 320 : 고정판
320 : 고정판 321 : 피니언 기어
330 : 승강부재 331 : 랙기어
340 : 실린더 350 : 가압판
360 : 안내수단 361 : 가이드봉
362 : 안내관 370 : 발광센서
371 : 반사판
본 발명은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로에 권취시 강판선단부에 의해 강판표면에 발생되는 엔드마크를 방지할수 있도록 강판의 선단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제조된 강판은 수요가가 요구하는 폭과 중량으로 출하하기 위해서 권취기(200)를 이용하여 두루마리형태의 코일로 권취되어 출하를 하고 있는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테이블(100)에 의해서 강판(S)이 이동되면, 상기 강판(S)은 권취기(200)에 설치된 권취롤(210)의 외측 둘레면에 두루마리형태의 코일로 권취되는 것이다.
한편, 강판(S)은 소정의 두께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롤(210)에 권취될 때 강판(S)의 선단부의 두께에 의해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루마리형태의 코일로 권취되는 강판(S)에 엔드마크가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엔드마크는 강판(S)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엔드마크가 발생된 강판(S)을 스크랩 처리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상기 엔드마크를 제거하기 위한 재 가공 공정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때에는 제조공정의 추가로 인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엔드마크를 제거하기 위해서 권취롤의 표면에 " V" 단면의 홈을 가공함으로써, 강판(S) 초기 권취시 그 선단부를 상기 홈에 유도 하는 장치도 제시되었으나 이는 상기 홈에 강판선단부를 유도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강판선단부를 테이퍼가공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절삭칩에 의한 덴트가 발생되고, 강판 표면의 도유 오일에 의한 오일 칩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판선단부에 완충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으나 부착된 테이프에 의해 후공정에서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권취기로 공급되는 강판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가압하여 강판의 선단부 단차로 인한 엔드마크를 방지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는 강판이 이동하는 롤러 테이블의 단부 양측에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설치된 유도롤과, 상기 유도롤의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 측면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가 양 측면에 설치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고정판에 설치된 실린더 와, 상기 강판의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성형되도록 승강부재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판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 가압장치가 권취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 가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 가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 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판(S)이 이동하는 롤러테이블(100)의 단부 양측에 지지판(3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300)의 상단에는 강판(S)의 선단부를 유도하는 유도롤(31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유도롤(311)의 일측에는 베이스(3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300)의 상단에는 고정판(3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320)의 양 측면에는 피니언 기어(3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00)의 상부에는 승강부재(33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승강부재(3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321)에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3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320)에는 상기 승강부재(330)를 이동시키는 실린더(3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330)의 저면에는 강판(S)의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성형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3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압판(350)이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안내수단(360)을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안내수단(360)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수단(360)은 가압판(350)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봉(361)과, 상기 가이드봉(361)이 끼워지도록 고정판(320)에 설치된 안내관(362)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강판(S)의 선단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부재(330)의 저면에는 발광센서(370)가 설치되고, 베이스(310)의 상면에는 발광센서(37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반사판(37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 상태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판(350)은 베이스(31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롤러테이블(100)의 상면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강판(S)의 선단부가 발광센서(370)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발광센서(370)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반사판(371)에 의해서 반사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강판(S)의 선단부가 진입됨을 감지하게 되고, 강판(S)의 이동을 정지하는 것이다.
상기 강판(S)이 정지되면, 실린더(340)가 작동되어 승강부재(33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승강부재(330)가 하부로 이동되면, 승강부재(330)의 양측면세 설치된 랙기어(331)에 기어 결합된 피니언 기어(321)가 회전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330)가 하부로 이동되면, 그 승강부재(330)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판(350)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가압판(350)이 하부로 이동되면, 그 가압판(35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S)의 선단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강판(S)의 선단부에는 소정각도 유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판(350)이 이동될 때 안내수단(360)의 가이드봉(361)은 가압판(350)과 함께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봉(361)은 고정판(320)에 설치된 안내관(36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압판(35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성형된후 롤러테이블(100)이 작동되어 강판(S)을 이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강판(S)은 권취기(200)에 설치된 권취롤(210)의 외측 둘레면에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되는 것이다.
이때 강판(S)의 선단부 두께 편차가 방지되므로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강판(S)의 엔드마크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판의 선단부를 소정의 경사면으로 가압 성형한 후 권취롤의 외측 둘레면에 권취하게 되므로 상기 강판의 선단부 두께 편차로 인한 엔드마크의 발생이 방지되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강판(S)이 이동하는 롤러테이블(100)의 단부 양측에 설치된 지지판(300)과, 상기 지지판(300)의 상단에 설치된 유도롤(311)과, 상기 유도롤(311)의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310)와, 상기 지지판(300)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판(320)과, 상기 고정판(320)의 양 측면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321)와, 상기 피니언 기어(321)에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331)가 양 측면에 설치된 승강부재(330)와, 상기 승강부재(330)를 이동시키도록 고정판(320)에 설치된 실린더(340)와, 상기 강판(S)의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성형되도록 승강부재(330)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판(3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30)의 저면에는 발광센서(370)가 설치되고, 베이스(310)의 상면에는 발광센서(37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반사판(371)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350)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봉(361)과, 상기 가이드봉(361)이 끼워지도록 고정판(320)에 설치된 안내관(362)으로 이루어진 안내수단(36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360)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등 간격으 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KR1020060111702A 2006-11-13 2006-11-13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KR10077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02A KR100775496B1 (ko) 2006-11-13 2006-11-13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02A KR100775496B1 (ko) 2006-11-13 2006-11-13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496B1 true KR100775496B1 (ko) 2007-11-12

Family

ID=3906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702A KR100775496B1 (ko) 2006-11-13 2006-11-13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64B1 (ko) 2011-03-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질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421135B1 (ko) * 2013-05-29 2014-07-22 주식회사 미래기연 금속판 권취장치
CN110103060A (zh) * 2019-05-13 2019-08-09 扬州市顺腾不锈钢照明器材有限公司 一种开平机用钢板输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14U (ja) 1982-07-28 1984-02-0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イル先端処理装置
JPH0466224A (ja) * 1990-07-04 1992-03-02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板の巻取り方法とその装置
JPH06182440A (ja) * 1992-12-15 1994-07-05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59507Y1 (ko) 1995-09-18 1999-10-15 이구택 냉연강판의 선단부 눌림자국 방지장치
KR20040101747A (ko) * 2003-05-26 2004-12-0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제품의 내권부 눌림마크 자동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14U (ja) 1982-07-28 1984-02-0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イル先端処理装置
JPH0466224A (ja) * 1990-07-04 1992-03-02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板の巻取り方法とその装置
JPH06182440A (ja) * 1992-12-15 1994-07-05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59507Y1 (ko) 1995-09-18 1999-10-15 이구택 냉연강판의 선단부 눌림자국 방지장치
KR20040101747A (ko) * 2003-05-26 2004-12-0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제품의 내권부 눌림마크 자동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64B1 (ko) 2011-03-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질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421135B1 (ko) * 2013-05-29 2014-07-22 주식회사 미래기연 금속판 권취장치
CN110103060A (zh) * 2019-05-13 2019-08-09 扬州市顺腾不锈钢照明器材有限公司 一种开平机用钢板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496B1 (ko)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US8391586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inspecting a coiled strip
KR101047578B1 (ko) 권취기 보조장치
KR100919220B1 (ko)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107442580B (zh) 一种用于板带轧制的自动上卷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745613A (zh) 一种铝卷生产的纠偏装置
KR20020050379A (ko) 코일 권취장치
KR20030028184A (ko) 코일의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20090030622A (ko) 산세 설비의 장력 조절장치
KR101009010B1 (ko)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20030050486A (ko) 강판의 표면형상 및 결함 검출장치
KR101758532B1 (ko) 압연기의 작업롤 지지장치
KR101011064B1 (ko) 루퍼카의 스트립 센터링 유도장치
KR101398888B1 (ko) 스트립 선단부 라운딩 장치
KR100784227B1 (ko) 코일에 공급되는 간지의 균등 삽입 유도장치
KR101031078B1 (ko) 미니밀 열연코일의 불량처리장치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CN115178718B (zh) 方坯连铸生产线及其生产工艺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2398278B1 (ko) 벤딩장치
JP6825599B2 (ja) 金属帯先端部の通板方法および装置
CN202642984U (zh) 一种测径装置
CN117761070A (zh) 一种电子元件存放载带质检设备及其方法
JP2006281248A (ja) サイドガイド
KR100904127B1 (ko) 코일걸림으로 인한 열연공정 중단 시 코일제거 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코일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