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938Y1 -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938Y1
KR200289938Y1 KR2019980028028U KR19980028028U KR200289938Y1 KR 200289938 Y1 KR200289938 Y1 KR 200289938Y1 KR 2019980028028 U KR2019980028028 U KR 2019980028028U KR 19980028028 U KR19980028028 U KR 19980028028U KR 200289938 Y1 KR200289938 Y1 KR 200289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opening
tip
roll
coil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701U (ko
Inventor
전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8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3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7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38Y1/ko

Links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지션롤에 안착된 소재 코일 선단부 틀어짐 현상 및 소재 코일의 테레스코프를 보정하므로써, 소재 코일의 선단부가 패스라인에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한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냉간 압연하기 위해 S,P,M 입측 설비에 소재 코일 선단부를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S,P,M 입측 설비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설치된 코일선단 유도 테이블과, 상기 코일선단 유도 테이블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횡방향의 오프닝롤 대기홈과 오프닝롤 작업홈이 마련된 코일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과, 상기 코일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의 오프닝롤 대기홈과 오프닝롤 작업홈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 코일의 선단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코일 인입 확인용 포토센서와, 상기 코일선단 전후진용 테이블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축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 끝단부에 설치된 오프닝 작업롤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오프닝 작업롤이 상기 코일선단 전후진용 테이블의 오프닝 대기홈 또는 오프닝 작업홈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면서 소재 코일 선단부를 일정하게 오프닝 작업하는 오프닝롤과, 상기 오프닝롤 작업홈 하부에 위치되어 소재 코일의 두께에 따라 오프닝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오프닝 조절장치와, 상기 코일 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에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 코일 선단부가 상기 코일 선단 유도 전 후진용 테이블의 중앙부로 이송되도록 보정해 주는 한 쌍의 푸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본 고안은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제철설비 열연 공장에서 압연 권취되어 나온 열연 코일(coil)을 냉각 야드(yard)에서 4~5일 완전히 냉각 시킨 후 냉간 압연을 하기 위해 S,P,M(4 High Skin Pass Mill) 입측 설비에 소재 코일 선단부 인입을 용이하게 하는 과정의 일부분으로서, 페이오프릴(Pay Off Reel)에 삽입한 후 테레스코프(Telescope)가 지거나 외권부가 틀어진 소재 코일 선단부를 패스라인의 중앙부로 유도한 후 소재 코일 선단부가 전진되면 이를 감지하여 선단코일 오프닝롤에 의해 소재 코일 선단부를 밴딩시켜 원활하게 S,P,M 워크롤에 인입할 수 있도록 한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설비 열연 공장에서 압연 권취되어 나온 열연 코일은 야드의 냉각장에서 4∼5일 정도 완전 냉각시킨 후 냉간 압연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B/C 단말기로 공급신호를 천정 기중기로 송신하면 상기 천정 기중기는 그 신호를 가지고, 야드의 냉각장에 있는 소재 코일을 S,P,M 입측에 설치된 콘베어상에 보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오프닝 설비의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콘베어상에 공급된 소재 코일(10)은 코일카에 의해 3블럭 작동 중 1블럭 운반되어 포지션롤(22)에 안착된다.
포지션롤(22)에 안착된 소재 코일(10)은 S,P,M 워크롤에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소재 코일 선단부를 오프닝(Opening)하는 데, 이때 소재 코일(10) 선단부가 작업자(30)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포지션롤(22)을 구동하여 종래의 오프닝설비(20)에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 코일(10) 선단부는 소재 코일(10)의 외경에 가려 작업자가 볼 수 없기 때문에 오프닝 작업을 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야 확보가 불가능함에 따라 소재 코일(10) 외권부(12)에 찍힘이 발생되어 품질에 큰 영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재 코일(10)의 외권부(12)가 느슨하거나 심하게 테레스코프가 진 소재 코일 또는 째귀인 경우 오프닝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입측에 설치된 포지션롤(22)을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외권부(12) 틀어짐이 발생되어 종래의 오프닝 설비(22)에 인입이 불가하면 천정 기중기로 다시 반송처리하여 테레스코프가 진 부분까지 가스 절단을 한 후 다시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입이 가능하더라도 인입구와 소재 코일(10) 선단부와의 간섭에서 오는 째귀로 크롭쉬어(crop shear)로 전단 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여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제품의 생산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S,P,M 입측에 설치된 포지션롤에 안착된 소재 코일 선단부 틀어짐 현상 및 소재 코일의 테레스코프를 보정하므로써, 소재 코일의 선단부가 패스라인에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한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입구 간섭에서 오는 소재 코일 선단부의 전단을 줄임에 따라 제품의 생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프닝 설비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도테이블 본체, 11 : 유도테이블 프레,
12 : 유도테이블 상하 조절실린더, 13 : 유도테이블 슬라이드,
20 : 전 후진용 테이블, 21 : 오프닝롤 대기홈,
22 : 오프닝롤 작업홈, 23 : 유도테이블 전후진용 실린더,
24 : 포토센서, 25, 25` : 푸셔 플레이트,
30 : 오프닝롤, 31 : 오프닝 작업롤,
32 : 오프닝 작업암, 33 : 오프닝 모터,
34 : 오프닝 샤프트, 38 : 모터 받침부,
40 : 오프닝 조정장치, 41 : 오프닝롤 받침용 실린더,
42 : 오프닝롤 받침부, 50 : 소재 코일 선단부,
60 : 스누버롤, 70 : 터치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간 압연하기 위해 S,P,M 입측 설비에 소재 코일 선단부를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S,P,M 입측 설비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설치된 코일선단 유도 테이블과, 상기 코일선단 유도 테이블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횡방향의 오프닝롤 대기홈과 오프닝롤 작업홈이 마련된 코일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과, 상기 코일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의 오프닝롤 대기홈과 오프닝롤 작업홈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 코일의 선단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코일 인입 확인용 포토센서와, 상기 코일선단 전후진용 테이블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축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 끝단부에 설치된 오프닝 작업롤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오프닝 작업롤이 상기 코일선단 전후진용 테이블의 오프닝 대기홈 또는 오프닝 작업홈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면서 소재 코일 선단부를 일정하게 오프닝 작업하는 오프닝롤과, 상기 오프닝롤 작업홈 하부에 위치되어 소재 코일의 두께에 따라 오프닝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오프닝 조절장치와, 상기 코일 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에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 코일 선단부가 상기 코일 선단 유도 전 후진용 테이블의 중앙부로 이송되도록 보정해 주는 한 쌍의 푸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는 S,P,M의 패스라인과 연결된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 본체(10)와, 소재 코일 외경에 따라 전후진되어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유도할 수 있는 코일 선단유도 전, 후진용 테이블(20)과, 소재 코일 선단부(50)의 테레스코프 및 외권부 틀어짐 등의 불량이 발생되어 패스라인 진입이 불가능 한 것을 수정하는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pusher plate)(25)(25`)를 구비하며,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진입함에 따라 오프닝 작업을 할 수 있는 코일선단 오프닝롤(30)이 마련된다.
또한, 코일의 인장강도 및 두께에 따라 코일 선단 오프닝롤(30)의 푸시업(push up)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오프닝 조정장치(40)로 이루어진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가 마련된다.
주로 S,P,M 입측 소재코일 선단부(50)의 불량인 외권부 틀어짐 및 심하게 테레스코프 진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패스라인의 중앙부에 오도록 수정하는 푸셔 플레이트(25)(25`)가 구비된다.
또한, 오프닝 작업을 하는 코일 선단부 인입기구 구조는 코일 선단 유도테이블 본체(10)를 상하로 작동할 수 있는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 상하 조절실린더(12)와 코일 선단부 인입기구 전체를 지지하여 주는 코일 선단 유도테이블 프레임(11)과 코일 선단 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의 전진 및 후진을 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 슬라이드(13)로 구성된다.
코일선단 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은 소재 코일 외경 및 선단부 위치에 따라 전 후진 할 수 있도록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 전후진용 실린더(23)를 갖추며,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테이블 위에 안착되어 전진할 때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심하게 테레스코프가 지거나 외권부 틀어짐이 발생된 선단부는 패스라인 폭에 간섭되어 진입이 불가하므로, 패스라인 센터에 위치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드라이브측으로 치우친 선단부는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를 이용하여 수정하고, 워크 측으로 테레스코프 및 외권부가 틀어진 선단부는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를 이용하여 패스라인 중앙으로 위치되도록 유도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25`)는 플레이트가 전 후진시 코일 선단 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과의 언밸런스 및 이탈을 예방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양측면에 돌출부를 설치하여 코일 선단 전후진용 테이블(20)의 홈에 맞게 안착되므로써, 언밸런스 및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25`)의 플레이트의 두께는 8.0t~10t 정도로 두꺼운 재질을 사용하므로써, 수정시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플레이트와 실린더의 연결 부위는 튼튼하고, 견고하게 용접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코일 선단유도 전 후진용 테이블(20) 폭보다 크게 제작하므로써, 선단부 수정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맨드릴 구동으로 코일 선단부가 진입시 선단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코일 인입 확인용 포토센서(24)를 설치하여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코일 인입 확인용 포토센서(24)에 의해 검출되면, 선단부 진입이 20~25초 정도 정지되도록 전기적인 구성을 되어 운전자가 선단부 오프닝 작업시 정확한 길이로 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코일 선단 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에는 코일 선단 오프닝롤(30)이 대기 할 수 있는 코일 선단 오프닝을 롤 대기홈(21)과 오프닝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코일 선단 오프닝롤 작업홈(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일 선단 오프닝롤(30)이 1회 작동하여 선단부 밴딩을 마치고, 코일 선단 오프닝롤 대기홈(21)에 안착시 S,P,M 패스라인 보다 오프닝 작업롤(31)이 약간 위로 올라오게 되고,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원활하게 패스라인에 인입되도록 아이들롤 작용을 하게 된다.
코일 선단 오프닝롤(30)은 오프닝 작업롤(31)과 오프닝 작업암(32)으로 구성되며, 오프닝 작업롤(31)은 소재 코일 선단부(50) 하부 긁힌 흠을 예방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종류를 외피에 부착하여 형성된다.
코일 선단 오프닝 롤(30)이 원활하게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오프닝 할 수 있도록 구동 힘을 전달하는 오프닝 모터(33)와 오프닝 작업암(32)을 회전 할 수 있는 축과 연결되어 있는 오프닝 샤프트(34)로 되어 있으며, 오프닝 모터(33)의 샤프트와 오프닝 샤프트(34)의 연결을 보다 튼튼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샤프트 연결 볼트 너트(37)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터의 구동축 샤프트 끝 부분에는 오프닝 샤프트 고정 볼트 너트(35)로 체결되도록하여 보다 안전하게 오프닝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프닝 작업암(32)은 구동모터 샤프트 연결축에 튼튼하고도 견고하게 용접하여야 한다.
물론, 연결핀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나, 코일 선단부 인입기구에서는 튼튼하게 용접함을 원칙으로 한다.
구동을 전달하는 오프닝모터 받침부는 오프닝 모터(33)의 구동을 전달하는 오프닝 모터(33)를 흔들림 없도록 코일 선단 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 측면에 튼튼하게 용접하여야 하며, 또한 오프닝 모터(33)의 떨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모터 고정용 볼트 너트(36)로 튼튼하게 체결하여 주도록 한다.
코일 선단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속에 내장된 오프닝 조정장치(40)는 코일의 두께와 인장강도에 따라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두께 3.2t 이상재나 강도가 28㎏/㎟ 이상인 코일은 휨정도가 강하여 오프닝 조정장치(40)를 사용하지 않고 오프닝 작업을 할 수 있고, 그 이외의 코일은 연하여 너무 세게 오프닝하면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위로 치솟아 인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닝 조정장치(40)를 작동하여 사용한다.
오프닝 조정장치(40)는 오프닝롤 받침부(42)를 움직여 전 후진 할 수 있도록 오프닝롤 받침용 실린더(41)를 구비하며, 오프닝 작업롤의 밴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오프닝롤 받침대(42)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천정 기중기에 의해 입측에 공급된 소재 코일은 코일카 작동에 의해 맨드릴에 삽입되어 확대되면, 스누버롤(60)과 터치롤(70)이 하강되어 소재 코일 선단부(50)의 처짐을 예방하게 되며, 동시에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 본체(10)가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 상하 조절 실린더(12)에 의하여 상승된다.
상승된 코일 선단부 인입기구는 소재 코일 선단부(50)의 높낮이에 알맞게 조정하여 주고,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 전후진용 실린더(23) 작동에 의해 코일 선단 유도 전 후진용 테이블(20)이 전진되어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코일 선단 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 상부에 위치되도록 유도한다.
케이블 상부에 안착된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심하게 테레스코프가 지거나 외권부 틀어짐이 발생되어 패스라인에 진입이 불가능 한 소재 코일 선단부(50)는 테레스코프 및 외권부 틀어짐이 어느 방향으로 쏠려 있는 지 감지하여 코일 선단유도 전후진용 테이블(20)에 설치된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25`)를 이용하여 패스라인 중앙부로 위치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드라이버 쪽으로 쏠림현상이 발생되면,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를 이용하고, 워크 쪽으로 쏠림현상이 발생된 때에는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를 이용하여 수정 한다.
수정시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원활하게 수정하기 위해서는 스누버롤(60)을 상승 시킨 후 터치롤(70)만 사용하면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보다 쉽게 패스라인 중앙부로 유도할 수 있다.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25)(25`)는 소프트웨어 조작에 의해 한쪽 및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게하여 보다 쉽게 선단부 수정을 할 수 있다.
수정이 완료된 소재 코일 선단부(50)는 맨드릴 구동에 의해 코일 인입 확인용 포토센서(24)에 감지될 때까지 선단부가 진입된다.
코일 인입 확인용 포토센서(24)에 감지되면, 일시적으로 20~25초 정도 정지되며, 이때 작업자가 오프닝 모터(33)를 구동시켜 코일 선단 오프닝롤 대기홈(21)에 안탁되어 있던 코일 선단 오프닝롤(30)을 작동하여 코일 선단 오프닝롤 작업홈(22)까지 180。회전하여 오프닝 하게끔 된다.
이때, 작업자는 사전에 소재코일의 두께나 인장강도를 체크하여 오프닝 조정장치(40)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한다.
코일 선단 오프닝롤 작업홈(22)에서 오프닝 작업을 마친 코일 선단 오프닝롤 대기홈(21)에 안착하게 된다.
안착된 코일 선단 오프닝롤(30)은 아이들롤 작용을 하게끔 오프닝 작업롤(31)과 오프닝 작업암(32) 사이에 걸치도록 코일 선단 오프닝롤 대기홈(21) 테이블에 라운드를 준다.
오프닝 작업을 마친 소재 코일 선단부(50)는 패스라인 진행방향으로 진입하므로써, 모든 코일 선단부 인입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의하면, S,P,M 입측에 설치된 포지셔너롤에 안착된 소재 코일 선단부(50)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워 소재 코일 외권부 찍힘에 따른 품질사고를 예방하고, 포지셔너롤 구동으로 외권부 풀어짐현상으로 외권부 틀어짐 및 소재 코일 테레스코프가 심한 것에 의해 작업지연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인입구 간섭에서 오는 소재 코일 선단부(50) 불량 전단을 감소하므로써, 제품의 생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압연 권취되어 나온 소재 코일의 외경이 심하게 테레스코프 지거나 야드 냉각장에서 2단 코일에 의해 짱구 또는 소재 코일 포장밴드 풀림이 발생되어 외권부가 느슨해지면, 종래 오프닝 설비로는 도저히 오프닝 할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맨드릴 삽입후에도 패스라인 폭에 간섭되어 패스라인 진입이 불가능 한 것을 본 고안에서는 코일 선단 푸셔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패스라인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유도한 후 오프닝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프닝 조정장치가 밴딩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어 소재 코일 선단부가 지나치게 상향 또는 하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프닝 모터의 구동에 의해 코일 선단 오프닝롤이 180。 회전하여 오프닝하며,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아이들롤 작용을 하므로써, 소재 코일 선단부가 보다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냉간 압연하기 위해 S,P,M 입측 설비에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S,P,M 입측 설비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설치된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10)과;
    상기 코일 선단 유도 테이블(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횡방향의 오프닝롤 대기홈(21)과 오프닝롤 작업홈(22)이 마련된 코일 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20)과;
    상기 코일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20)의 오프닝롤 대기홈(21)과 오프닝롤 작업홈(22)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 코일의 선단부(50)의 위치를 감지하는 코일 인입 확인용 포토센서(24)와;
    상기 코일 선단 전후진용 테이블(20)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33)와 상기 구동모터(33) 축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아암(32)과, 상기 아암(32) 끝단부에 설치된 오프닝 작업롤(31)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33)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오프닝 작업롤(31)이 상기 코일 선단 전후진용 테이블(20)의 오프닝 대기홈(21) 또는 오프닝 작업홈(22)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면서 소재 코일 선단부(50)를 일정하게 오프닝 작업하는 오프닝롤(30)과;
    상기 오프닝롤 작업홈(22) 하부에 위치되어 소재 코일의 두께에 따라 오프닝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오프닝 조절장치(40)와;
    상기 코일 선단 전 후진용 테이블(20)에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 코일 선단부(50)가 상기 코일 선단 유도 전 후진용 테이블(20)의 중앙부로 이송되도록 보정해 주는 한 쌍의 푸셔 플레이트(25)(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KR2019980028028U 1998-12-30 1998-12-30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KR200289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028U KR200289938Y1 (ko) 1998-12-30 1998-12-30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028U KR200289938Y1 (ko) 1998-12-30 1998-12-30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701U KR20000014701U (ko) 2000-07-25
KR200289938Y1 true KR200289938Y1 (ko) 2002-11-18

Family

ID=6950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028U KR200289938Y1 (ko) 1998-12-30 1998-12-30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45B1 (ko) * 2001-07-18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KR100737413B1 (ko) * 2001-09-11 2007-07-09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KR100775466B1 (ko) * 2001-09-11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KR101647216B1 (ko) * 2014-12-22 2016-08-10 주식회사 포스코 멘드렐에 권취되는 스트립의 벤딩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701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7626C (en) Equipment for coiling and uncoiling hot-rolled hot-metal pre-strips
KR200289938Y1 (ko)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CN108994093A (zh) 一种轧机激光防偏装置
US3381906A (en) Apparatus for feeding paper into successive convolutions of metal coils and method therefor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CN213505146U (zh) 钢带对中纠偏装置
CN212684771U (zh) 口罩耳带定长供料装置
CN219401667U (zh) 一种热轧无缝方管的生产线轧辊装置
GB1434438A (en) Plant for pulling hot-rolled strip from a coil thereof and for straightening said strip
KR100520045B1 (ko) 코일외경 측정장치 및 코일외경 측정값에 의한 코일장입방법
KR20020040148A (ko) 코일내경부 처짐방지장치
CN217665500U (zh) 出口导板台装置
KR950010894B1 (ko) 텐션릴(Tension Reel) 자동권취 제어장치
CN210824114U (zh) 一种钢带上下料设备
KR101268933B1 (ko) 냉연강판 권취장치
JPH1071525A (ja) 管端保護リングの製造装置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KR100506410B1 (ko)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KR100467799B1 (ko) 스트립 코일 밴딩머신의 밴드 파손 방지용 클립 장착장치
JPH0615355A (ja) 金属板コイルのコイル巻き不揃い修正方法
CN211539031U (zh) 开卷夹送穿辊装置及钢卷入口开卷输送系统
KR20100053207A (ko) 권취된 선재코일 커버장치
KR100815707B1 (ko) 입측 소재 터닝 장치
CN115945519A (zh) 一种调整带钢卷取外圈塔形的方法
CN115958061A (zh) 一种调整带钢卷取内外圈塔形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