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077B1 - 코일 밴딩 머신 - Google Patents

코일 밴딩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077B1
KR100396077B1 KR10-1999-0039251A KR19990039251A KR100396077B1 KR 100396077 B1 KR100396077 B1 KR 100396077B1 KR 19990039251 A KR19990039251 A KR 19990039251A KR 100396077 B1 KR100396077 B1 KR 10039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kid
push rod
tip
b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481A (ko
Inventor
오승모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3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0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딩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코일 선단부가 코일 몸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밴드 스트랩에 의해 코일이 단단히 결속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밴딩 머신의 스키드 내부에 코일의 선단부를 밀어 몸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밀대와 밀대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상승되는 밀대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있는 코일 선단부가 코일 몸체에 밀착되는 구조로 된 코일 밴딩 머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일 밴딩 머신{COIL BANDING MACHINE}
본 발명은 압연공장의 각 세부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코일의 결속작업에 사용되는 코일 밴딩 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 선단을 단단히 결속할 수 있고 후공정에서 결속상태를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코일 밴딩 머신에 관한 것이다.
소둔 산세 공정 등을 거쳐 리코일러에 의해 감겨진 코일은 후공정 또는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보내기 위한 포장작업의 전단계로 코일의 결속작업을 거치게 되는 데, 이러한 코일의 결속작업에는 밴딩 머신이 사용된다.
코일의 결속작업은 후공정 및 완제품을 포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작업으로 밴딩 머신에 의해 코일이 단단히 결속되지 않으면, 코일의 선단부가 튀어나오거나 밴드 스트랩이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다음 작업을 진행하는 데 장애요인이 된다.
이러한 밴딩 머신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콘베이어(50)를 통해 옮겨지는 코일(100)이 코일스키드(61)에 안착되면 코일(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있는 원형가이드(62)를 통해 밴드 스트랩(63)이 코일(100)의 둘레를 따라 감겨져 코일(100)을 단단히 묶어 결속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코일을 콘베이어로 밴딩 머신에 옮기는 중에, 코일의 장력에 의해 외부로 벌어진 코일의 선단부가 밴딩 머신의 스키드에 걸리면서 코일이 이송대차로부터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코일 선단부가 코일 몸체에 밀착되지 않은 체 밴드 스트랩이 결속되게 되어, 코일 선단부가 스트랩 내에서 유동하면서 밴드 스트랩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제품을 포장하기 전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결속작업을 재차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후판의 경우 스트립의 두께가 4mm - 6mm에 이르기 때문에 코일 선단부를 코일 몸체에 밀착시키기 매우 힘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리코일러로부터 코일을 인출하기 전에 밴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코일의 선단부가 코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0) 선단부(101)는 밴딩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내측으로 원호를 이루며 절곡되어 코일(100)에 밀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밴딩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일의 선단부가 코일의 몸체에 완전히 밀착되어 후공정에서 작업자가 코일을 풀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밴딩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코일 선단부가 코일 몸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밴드 스트랩에 의해 코일이 단단히 결속될 수 있도록 된 코일 밴딩 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에 코일이 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밴딩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되어 밴딩된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키드 11 : 슬릿
20 : 밀대 21 : 고무판
30 : 밀대용 실린더 31 : 유도롤
33 : 가이드홀더 34 : 가이드축
41 : 실린더 42 : 피스톤 로드
43 : 터치바 44 : 감지센서
45 : 감지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밴딩 머신의 스키드 내부에 코일의 선단부를 밀어 몸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밀대와 밀대 승강수단을구비하여 상승되는 밀대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있는 코일 선단부가 코일 몸체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선단부가 코일 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 코일을 밴드 스트랩으로 묶어줄 수 있게 되어 코일을 단단히 결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코일(100)이 안착되는 스키드(10) 내측에 스키드(10) 상부에 형성된 슬릿(11)을 통해 상하 이동되어 코일(100)의 선단부(101)를 코일 몸체에 밀착시키도록 된 밀대(20)와, 이 밀대(2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대(20)의 상단면은 스키드(10)에 안착되는 코일(100)의 반경과 일치하거나 유사하게 내측으로 만곡시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스키드(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밀대용 실린더(30)로 이루어져 이 밀대용 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 설치된 밀대(20)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100)의 선단부(101)가 지나가는 스키드(10)의 측면에는 밑으로 경사져 설치된 유도롤(31)을 구비하여 이 유도롤(31)을 따라 코일(100)의 선단부(101)가 스키드(10)에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밀대용 실린더(30)의 작동을 제어하여 코일(100)의 크기에 따라 밀대(20)의 상승높이를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스키드(10)에 안착된 코일(100)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포지션 센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이 포지션 센서는 스키드(10)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실린더(41) 내부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피스톤 로드(42)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것으로, 실린더(41)가 신장되어 피스톤 로드(42) 선단에 부착 설치된 터치바(43)가 코일(100) 외경에 닿게 되면 상기 센서가 피스톤 로드(42)의 신장거리를 감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 머신은 코일(100)이 운반되는 콘베이어의 좌우측으로 코일(100)이 안착되는 스키드(10)가 다수개 설치되는 데, 각 스키드(10) 윗면에 슬릿(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11)을 통해 밀대(20)가 스키드(1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밴드 스트랩은 통상 코일(100)의 중앙에 체결되는 바, 상기와 같이 모든 스키드(10)에 밀대(20)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코일(100)의 중앙부가 놓여지는 스키드(10)에만 밀대(20)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코일(100) 진입방향에 놓여진 최초의 스키드(10)에는 유도롤(31)이 설치되는 데, 스키드(10)에 경사져 부착 설치된 브라켓(32)에 다수개의 유도롤(3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코일(100)의 선단부(101)가 상기 유도롤(31)을 따라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스키드(10)에 안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키드(10) 내부에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밀대용 실린더(30)를 수직으로 고정 설치시키고, 밀대용 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는 밀대(20) 밑면에 연결 설치하여 밀대용 실린더(30)의 작동에 따라 밀대(20)가 스키드(10)의 슬릿(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밀대(20)의 밑면에는 가이드축(34)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축(34)은 스키드(10)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홀더(33)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밀대(20)는 코일(1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윗면을 만곡 형성시키고 이 만곡면에 고무판(21)을 부착시켜 밀대(20)에 의해 코일(100)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포지션 센서가 설치된 실린더(41)는 스키드(1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실린더(41)의 피스톤 로드(42)가 수직 상승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42)의 선단에는 터치바(43)를 설치하여 코일(100)의 외주면에 상기 터치바(43)가 닿게 되면 실린더(41)의 상승이 멈추면서 포지션 센서에 의해 피스톤 로드(42)의 상승높이가 감지되도록 한다.
또한 스키드(10) 내측면과 밀대(20)에는 각각 감지센서(44)와 감지편(45)을 설치하여 감지센서(44)에 감지편(45)이 감지되면서 밀대(2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로 된 코일(100) 밴딩 머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코일러에서 인출된 코일(100)은 코일카에 의해 대기지점으로 옮겨진 후 콘베이어에 의해 밴딩 머신으로 이동된다.
콘베이어 위에 놓여진 코일(100)은 그 선단부(101)가 코일(100) 외측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로, 콘베이어가 밴딩 머신의 스키드(10)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코일(100)의 선단부(101)는 스키드(10)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롤을 따라 유도된다.
따라서 유도롤(31)에 의해 코일(100) 선단부(101)가 스키드(10) 위로 부드럽게 안착되므로서, 스키드(10) 전면과 코일(100) 선단부(101)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콘베이어가 스키드(10) 사이로 완전히 진입하여 코일(100)이 밴딩 머신의 스키드(10)에 정확히 안착되게 되면 스키드(10) 내부에 설치된 밀대(20)를 상승시켜 코일(100) 선단부(101)를 코일(100)에 밀착시키게 되어 밴드 스트랩을 단단히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대(20)의 상승높이는 포지션 센서에 의해 결정되는 데, 코일(100)이 스키드(10)에 안착되면 상기 스키드(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41)를 상승 작동하여 피스톤 로드(42)를 코일(100)쪽으로 상승시킨다.
상기 피스톤 로드(42) 선단에는 터치바(4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터치바(43)가 코일(100)의 외주면에 닿게 되면 실린더(41)가 멈추고 이때까지 상승된 피스톤 로드(42)의 상승거리는 실린더(4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포지션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 포지션 센서의 신호에 따라 밀대용 실린더(30)의 상승높이가 결정되고, 상기 밀대(20)에 설치된 밀대용 실린더(30)가 상기 포지션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만큼 상승 작동하여 밀대(20)를 원하는 높이만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대(20)가 스키드(10)의 슬릿(11)을 통해 돌출되면서 코일(100) 외측으로 벌어져있는 코일(100) 선단부(101)를 밀어 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대(20)는 코일(100)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만곡되어 있어서 밀대(20)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0) 선단부(101)가 밀대(20)에 의해 원형으로 눌려 코일(100)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밴딩 머신을 작동하여 밴드 스트랩을 체결하여 주게 되면 밴드 스트랩이 코일(100)에 밀착되어 단단히 체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코일(100)에 밴드 스트랩을 체결한 후에는 밀대용 실린더(30)를 하강 작동시켜 밀대(20)를 스키드(10) 내부로 복귀시킨다. 상기 밀대(2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밀대(20)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편(45)이 스키드(1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44)에 감지되고 이 센서의 신호에 따라 밀대용 실린더(30)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밴딩 머신에 의하면, 코일의 선단부가 스키드에 걸려 이탈되는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밴딩 디바이스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밴드 스트랩을 단단히 체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코일 콘베이어대차를 통해 옮겨지는 코일이 코일스키드에 안착되면 코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있는 가이드를 통해 밴드 스트랩이 코일의 둘레를 따라 체결되어 코일을 묶어 결속시키는 구조로 된 밴딩 머신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에 슬릿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슬릿을 통해 상하 이동하여 코일의 선단부를 몸체에 밀착시키도록 된 밀대와, 이 밀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밴딩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상단면이 스키드에 안착되는 코일의 반경과 유사하게 내측으로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밴딩 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의 측면에는 아래쪽으로 경사져 코일의 선단부가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도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밴딩 머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에 안착된 코일의 외경을 측정하여 밀대의 상승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키드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피스톤 로드의 상승높이를 감지하는 포지션 센서가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코일과 접촉되는 터치바로 이루어진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밴딩 머신.
KR10-1999-0039251A 1999-09-14 1999-09-14 코일 밴딩 머신 KR10039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251A KR100396077B1 (ko) 1999-09-14 1999-09-14 코일 밴딩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251A KR100396077B1 (ko) 1999-09-14 1999-09-14 코일 밴딩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481A KR20010027481A (ko) 2001-04-06
KR100396077B1 true KR100396077B1 (ko) 2003-08-27

Family

ID=1961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251A KR100396077B1 (ko) 1999-09-14 1999-09-14 코일 밴딩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17B1 (ko) * 2000-11-21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KR100879353B1 (ko) * 2002-10-02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결속기
US20210221635A1 (en) * 2020-01-16 2021-07-22 Butech, Inc. High back coil car designed to facilitate automatic banding on the coil 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702B1 (ko) * 1999-12-10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 외경 측정부를 포함하는 슬리브 설치장치
KR100335032B1 (ko) * 1999-12-15 2002-05-03 고학봉 스트립 코일의 다단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011A (en) * 1980-04-08 1981-11-11 Nippon Steel Corp Coil transfer device
JPS5725229A (en) * 1980-07-24 1982-02-10 Aida Eng Ltd Device for positioning leading end of coil material
JPH08267134A (ja) * 1995-03-31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コイル結束解束装置及びコイル尾端エッジ保護金物
KR970016399U (ko) * 1995-10-14 1997-05-2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연코일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 안내장치
KR970027375U (ko) * 1995-12-26 1997-07-24 코일의 단부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011A (en) * 1980-04-08 1981-11-11 Nippon Steel Corp Coil transfer device
JPS5725229A (en) * 1980-07-24 1982-02-10 Aida Eng Ltd Device for positioning leading end of coil material
JPH08267134A (ja) * 1995-03-31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コイル結束解束装置及びコイル尾端エッジ保護金物
KR970016399U (ko) * 1995-10-14 1997-05-2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냉연코일을 밴딩하기 위한 밴드 안내장치
KR970027375U (ko) * 1995-12-26 1997-07-24 코일의 단부 검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17B1 (ko) * 2000-11-21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KR100879353B1 (ko) * 2002-10-02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결속기
US20210221635A1 (en) * 2020-01-16 2021-07-22 Butech, Inc. High back coil car designed to facilitate automatic banding on the coil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481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077B1 (ko) 코일 밴딩 머신
US4002332A (en) Automatic feed mechanism for power brake or the like
AU2002333329B2 (en)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hot-rolled pre-strips consisting of hot metal
US2937821A (en) Apparatus for coiling strip material
US3443607A (en) Wire straightener
KR200181432Y1 (ko) 스크랩 코일 권취기의 코일 풀림 방지장치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US6607158B1 (en) Unwinding apparatus
KR100737413B1 (ko)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864441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절단 장치
KR101990993B1 (ko) 미압연 강판 재활용 장치
KR20180048154A (ko) 코일 포장재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벤딩방법
KR100466417B1 (ko)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KR100815775B1 (ko) 코일표면의 밴드스크래치 방지용 패드부착장치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1277579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06409B1 (ko) 코일카의 소단중 미압연코일 인출장치
KR20030008443A (ko)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KR100467799B1 (ko) 스트립 코일 밴딩머신의 밴드 파손 방지용 클립 장착장치
KR200220520Y1 (ko) 코일 외권 엔드부 처짐방지장치
KR200216719Y1 (ko) 선재 코일 제품의 테그 부착장치
KR102617474B1 (ko) 코일용 패드부착 자동화시스템
KR101059154B1 (ko) 스트립 용접부의 쏠림 판별 장치
KR20040020664A (ko) 열연코일 내경 처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