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816B1 -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816B1
KR100797816B1 KR1020010084542A KR20010084542A KR100797816B1 KR 100797816 B1 KR100797816 B1 KR 100797816B1 KR 1020010084542 A KR1020010084542 A KR 1020010084542A KR 20010084542 A KR20010084542 A KR 20010084542A KR 100797816 B1 KR100797816 B1 KR 100797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rip
bending
cylinder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4400A (ko
Inventor
윤민호
김재관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8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된 코일의 엔드부에 의한 밴드절단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의 엔드부를 벤딩하는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는 스트립의 이동경로 상에서 스트립을 사이에 두고 상,하측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상,하측 실린더 중에서 어느 일측 실린더의 로드 끝에 연결되는 철부헤드; 및 상기 상,하측 실린더 중에서 나머지 타측 실린더의 로드 끝에 연결되고, 상기 철부헤드에 맞대응되는 요부헤드를 포함한다.
코일러, 코일 엔드부, 권취, 클립, 밴드

Description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Machine for bending ending part of co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의 전제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의 오버권취시 벤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의 언더권취시 벤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의 최초 스트립 진입시 통판을 유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오버벤딩부 13 : 지지플레이트
15 : 하측철부실린더 17 : 하측철부연결대
19 : 고정바 21 : 하측철부헤드
23 : 상측요부헤드 25 : 언더벤딩부
27 : 하측요부실린더 29 : 하측요부연결대
31 : 지지바 33 : 하측요부헤드
35 : 통판유도부 37 : 승하강실린더
39 : 통판유도블레이드
본 발명은 압연공정으로 생산된 코일의 엔드부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둔 산세 공정 등을 거쳐 리코일러에 의해 감겨진 코일은 후공정 또는 최종적으로 주문자에게 보내기 위한 포장작업의 전단계로 코일의 결속작업을 거치게 된다.
코일의 결속작업은 후공정 및 완제품을 포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작업으로 코일이 단단히 결속되지 않으면, 코일의 엔드부가 튀어나오거나 코일의 엔드부에 의해 밴드가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다음 작업을 진행하는 데 장애요인이 된다.
특히, 스트립 두께가 5-8mm에 이르는 후판의 경우, 밴드가 단단히 결속되었다 하더라도 코일 엔드부와 밴드와의 마찰 및 스트립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밴드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코일 풀림에 의한 설비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따라서 통상 리코일러에서 권취된 스트립 코일은 밴드를 감기 전에 스트립 선단에 골판지로 된 클립을 끼워주게 된다.
그러나 코일의 엔드부에 끼워진 클립이 찢겨지거나 일부 빠져 있는 상태가 발생될 경우 코일의 엔드부로 인하여 밴드가 절단되면서 코일이 풀려나가는 문제점 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코일이 풀리면서 코일의 날카로운 에지부분들에 의해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권취된 코일의 엔드부에 의한 밴드절단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의 엔드부를 벤딩하는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는 스트립의 이동경로 상에서 스트립을 사이에 두고 상,하측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상,하측 실린더 중에서 어느 일측 실린더의 로드 끝에 연결되는 철부헤드; 및 상기 상,하측 실린더 중에서 나머지 타측 실린더의 로드 끝에 연결되고, 상기 철부헤드에 맞대응되는 요부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립의 최초 진입시 통판을 유도하기 위해서, 스트립의 하측에 설치되는 승하강실린더와, 복수개의 통판유도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통판유도틀로 구성되는 통판유도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의 전제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입측 유도플레이트(1)와 출측 유도플레이트(3)의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코일 엔드부의 벤딩방향이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벤딩하게 되는 오버벤딩부(11)와, 코일 엔드부의 벤딩방향이 하방으로 오목하도록 벤딩하게 되는 언더벤딩부(25)와, 스트립(S)의 통판을 유도하는 통판유도부와, 복수개의 감지센서와 콘트롤패널을 이용하여 스트립(S)의 위치나 굽힘을 감지하는 감지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오버벤딩부(11)와 언더벤딩부(25)는 케이스(5)의 내부에 설치되는 데, 케이스(5)는 입측 유도플레이트(1)와 출측 유도플레이트(3)의 사이에 위치하며, 진행되는 스트립(S)을 기준으로 스트립(S)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지지플레이트(13)가 설치된다.
오버벤딩부(11)는 상측파트와 하측파트를 구분되어지며, 상측파트와 하측파트는 각각 요부헤드와 철부헤드를 포함하는 것만 차이가 날 뿐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하측파트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상측파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대체한다.
오버벤딩부(11)의 하측파트는 케이스(5)의 저면에 상방을 향해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측철부실린더(15)와, 이 복수개의 하측철부실린더(15)의 로드를 상호 연결시키는 하측철부연결대(17)와, 하측철부연결대(17)의 상면에 상기의 하측 지지플레이트(13)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바(19)와, 복수개의 고정바(19) 각각의 끝에 고정되는 하측철부헤드(21)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측파트에 대응되는 오버벤딩부(11)의 상측파트는 각각의 하측철부헤드(21)에 대응되는 상측요부헤드(23)가 상측의 고정바(19)에 각각 고정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한편, 언더벤딩부(25)도 상술한 오버벤딩부(11)와 마찬가지로 상측파트와 하측파트로 구분되어지며, 상측파트와 하측파트는 각각 철부헤드와 요부헤드를 포함하는 것만 차이가 날 뿐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언더벤딩부(25)의 하측파트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상측파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대체한다.
언더벤딩부(25)의 하측파트는 케이스(5)의 저면에 상방을 향해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측요부실린더(27)와, 이 복수개의 하측요부실린더(27)의 로드를 상호 연결되는 하측요부연결대(29)와, 하측요부연결대(29)의 상면에 상기의 하측 지지플레이트(13)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바(31)와, 복수개의 지지바(31) 각각의 끝에 고정되는 하측요부헤드(33)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측파트에 대응되는 언더벤딩부(25)의 상측파트는 각각의 하측요부헤드(33)에 대응되는 상측철부헤드(34)가 상측의 고정바(19)에 각각 고정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전술한 오버벤딩부(11)와 언더벤딩부(25)의 하측파트에서 도 2를 기준으로 하측요부연결대(29)가 설치된 위치가 하측철부연결대(17)의 설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통판유도부(35)는 케이스(5)의 저면에 설치되는 승하강실린더(37)와, 케이스(5)의 저면에 세워진 복수개의 가이드통(39)과, 복수개의 통판유도블레이드(41)가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37)에 의해 승하강되는 통판유도틀과, 이 통판유도틀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한 가이드통(39)에 삽입되는 가이드로드(43)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통(39)에는 승하강위치센서(39a)가 설치되어 통판유도부(35)의 승하강 위치를 감지하게 되며, 승하강위치센서(39a)는 후술하는 콘트롤패널에 연결된다.
감지부는 코일의 언더권취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45)와, 스트립(S)의 통과위치를 감지하는 출측위치감지센서(47)와, 벤딩장치 진입 전 위치를 감지하는 입측위치감지센서(49)와, 신호 전달을 지시하는 콘트롤패널(51)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실린더들에도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파악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콘트롤패널(5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오버권취되는 코일(Ca)의 경우를 살펴보면, 콘트롤패널(51)을 온으로 한 상태에서 시어(SH)를 통과하는 스트립(S)이 입측 유도플레이트(1) 위를 경유한 후 본 발명의 장치로 진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를 통과한 스트립(S)이 입측위치감지센서(49)와 출측위치감지센서(47)에 감지되고 근접센서(45)에 감지되지 않으면, 콘트롤패널(51)은 오버 권 취로 인식하게 된다.
계속 오버권취가 진행되던 중에 입측위치감지센서(49)에서 스트립(S)을 감지하지 못하면 권취라인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하측철부실린더(15)를 확장시켜 하측철부헤드(21)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측요부실린더(15a)를 확장하여 상측요부헤드(23)를 하강함으로써 스트립(S)의 엔드부 상하면을 프레스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S)의 엔드부에서는 상방으로 볼록한 홈이 형성된다.
하측철부실린더(15)와 상측요부실린더(15a)의 확장시 감지센서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감지되면 즉시 두 실린더들을 단축하고, 코일러(CR)를 회전하여 스트립(S)을 다시 권취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언더권취되는 코일(Cb)의 경우를 살펴보면, 콘트롤패널(51)을 온으로 한 상태에서 시어(SH)를 통과하는 스트립(S)이 입측 유도플레이트(1) 위를 경유한 후 본 발명의 장치로 진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를 통과한 스트립(S)이 입측위치감지센서(49), 출측위치감지센서(47) 및 근접센서(45)에 감지되면, 콘트롤패널(51)은 언더 권취로 인식하게 된다.
계속 언더권취가 진행하던 중에 입측위치감지센서(49)에서 스트립(S)을 감지하지 못하면 권취라인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하측요부실린더(27)를 확장시켜 하측요부헤드(33)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측철부실린더(27a)를 확장하여 상측철부헤드(27)를 하강함으로써 스트립(S)의 엔드부 상하면에서 프레스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S)의 엔드부에서는 하방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하측요부실린더(27)와 상측철부실린더(27a)의 확장시 감지센서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감지되면 즉시 두 실린더들을 단축하고, 코일러(CR)를 회전하여 스트립(S)을 다시 권취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측위치감지센서(49)와 출측위치감지센서(47)에 스트립(S)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트립(S)이 본 장치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로서 스트립(S)의 통판을 위하여 승하강실린더(37)가 확장하여 통판유도틀을 상승시켜 입측 유도플레이트(1)와 동일면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진입하는 스트립(S)의 선측이 통판유도되어 코일러(CR)에 진입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의 엔드부를 코일의 바깥쪽으로 볼록하도록 벤딩함으로써 코일의 엔드부에 끼워진 클립이 찢겨지거나 일부 빠져 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코일의 엔드부가 밴드에 닿지 않기 때문에 밴드가 절단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클립의 상태에 관계없이 코일이 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의 날카로운 에지부분들에 의해 작업중인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2)

  1. 스트립을 권취하는 라인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이동경로 상에서 스트립을 사이에 두고 상,하측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상,하측 실린더 중에서 어느 일측 실린더의 로드 끝에 연결되는 철부헤드; 및
    상기 상,하측 실린더 중에서 나머지 타측 실린더의 로드 끝에 연결되고, 상기 철부헤드에 맞대응되는 요부헤드
    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의 하측에 설치되는 승하강실린더와 복수개의 통판유도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통판유도틀로 구성되는 통판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트립의 최초 진입시 통판을 유도하는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2. 삭제
KR1020010084542A 2001-12-24 2001-12-24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KR100797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542A KR100797816B1 (ko) 2001-12-24 2001-12-24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542A KR100797816B1 (ko) 2001-12-24 2001-12-24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400A KR20030054400A (ko) 2003-07-02
KR100797816B1 true KR100797816B1 (ko) 2008-01-24

Family

ID=3221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542A KR100797816B1 (ko) 2001-12-24 2001-12-24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445B1 (ko) * 2001-10-17 2006-03-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통판성을 고려한 냉연강판의 엔드마크 발생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645B1 (ko) * 1999-08-12 2002-01-04 방효봉 프레스 성형용 금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645B1 (ko) * 1999-08-12 2002-01-04 방효봉 프레스 성형용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400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816B1 (ko) 코일 엔드부 벤딩장치
KR200181432Y1 (ko) 스크랩 코일 권취기의 코일 풀림 방지장치
EP0992650A2 (en) Flexible door
KR100864441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절단 장치
KR100396077B1 (ko) 코일 밴딩 머신
KR101659684B1 (ko) 슬라이딩 방식의 덮개를 구비한 롤 포밍 장치
KR20090095252A (ko) 코일 리프터의 코일 에지부 파손 방지장치
KR102159094B1 (ko) 스트립코일용 간지 안내장치
KR100408694B1 (ko)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JPS6142652Y2 (ko)
KR100779711B1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200207670Y1 (ko) 냉연코일의 스트립 테일 꺾임 방지장치
KR200164246Y1 (ko)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KR200205998Y1 (ko) 코일권취기의 스트립 선단부 휨장치
CN220765982U (zh) 一种造纸机的防护装置
KR100467799B1 (ko) 스트립 코일 밴딩머신의 밴드 파손 방지용 클립 장착장치
KR19990040392U (ko) 텐션릴에 권취된 코일 앤드부의 자동 제어장치
CN213745781U (zh) 一种地铁行车调度员身份识别装置
KR100417689B1 (ko) 스트립 선단에 의한 압연롤 손상 방지 장치
KR200180819Y1 (ko) 천정 크레인 집게의 집음 감지장치
KR100825301B1 (ko) 스트립 루핑설비의 루프 와이어 파단시 비상제동장치
JP3382720B2 (ja) 電線の延線工法及び延線用金車装置
KR200295484Y1 (ko) 업컷시어절단시편뒤틀림방지장치
CN220411138U (zh) 一种钢卷包装内护板卷曲辅助设备
CN217616860U (zh) 一种侧开式导槽及具有该侧开式导槽的轧钢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