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246Y1 -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 Google Patents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246Y1
KR200164246Y1 KR2019950028856U KR19950028856U KR200164246Y1 KR 200164246 Y1 KR200164246 Y1 KR 200164246Y1 KR 2019950028856 U KR2019950028856 U KR 2019950028856U KR 19950028856 U KR19950028856 U KR 19950028856U KR 200164246 Y1 KR200164246 Y1 KR 200164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
tension
coil
br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385U (ko
Inventor
정광용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28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246Y1/ko
Publication of KR970016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3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2Brid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스트립의 초기 통판이나 스트립 파단 발생시 이를 복귀하기 위하여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적절한 형태의 가이드를 설치하여 설비 파손이나 안전사고 발생염려가 없이 신속하게 통판할 수 있도록한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텐션 브라이들 롤(100), (102), (104)과, 이 텐션 브라이들 롤(100), (102), (104)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코일(300)을 인입 하거나 인출하는, 엔트리 스누버 롤(120) 및 딜리버리 스누버 롤(110)을 포함 하는 구성의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10)와, 상기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50)와, 상기 상부 가이드(10)는 텐션 브라이들 롤(100), (102), (104)의 직경에 대응하여 원호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고 롤 점검용 발판(20)의 양측에 힌지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가이드(10)의, 양끝단을 규제하는 스토퍼(40)와, 이 스토퍼(40)는 대략 'ㄷ' 자형 단면을 가지며 안전핀(42)이 끼워지는 핀 구멍(44)과, 상기 상부 가이드 (10)와 발판(20)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체결 보울트(22) 및 체결 너트(24)의 용이설치를 위한 절개부(46)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50)의 일측은 고정대(70)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적어도 2개의 구동 실린더(80)에 의하여 상하 구동되며, 이 하부 가이드(50)의 원호면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가이드 롤(60)을 가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벨트로프로 코일을 구부 려서 묶는 과정에서 코일의 탄력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이 없고, 이로 인하여 작업성을 향상하여 인력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본 고안은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립의 초기 통판이나 스트립 파단 발생시 이글 복귀하기 위하여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적절한 형태의 가이드를 설치하여 설비파손이나 안전사고 발생염려가 없이 신속하게 통판할 수 있도록 한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에 관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0 4∼2.Omm 두께의 냉연코일은 스트립 초기통판이나 판의 파단을 복구할 때 로프를 이용하여 텐션 브라이들 롤에 가이드되도록 하였다.
제4도는 종래의 가이드 방식의 통판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이 도면에서 부호 100, 102, 104는 통판을 위해 진행되는 스트립에 장력을 가하는 텐션 브라이들 롤을 나타내며, 좌우측의 텐션 브라이들 롤(100)(104)상에는 로프(200)를 사이에 두고 진입측 스누버 롤(snubber roll)(110)과 인출측 스누버 롤(120)이 밀접하게 맞닿으면서 코일(300)을 가이드하고 있다.
부호 130은 상기 코일(300) 선단부를 로프(200)로 묶은 묶음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설비를 가동하면 상기 텐션 브라이들 롤(100)(102)(104)이 회 전하고 상기 인출측 스누버 롤(120)과 진입측 스누버 롤(110)이 하강하여 코일(300)을 밀착하면서 진행하므로써 초기 통판 또는 파단 복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장치에서는, 두 께가 비교적 두꺼운 코일(300)의 경우 상기 로프(200)로 코일(300)을 구부려서 묶는 과정에서 코일(300)의 자체탄력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복원되는 장력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었고 또 그 굽히기 공정이 매우 까다로웠다.
또 벨트로프(200)는 코일(300)에 대하여 "" 형으로 결속되기 때문에 당기는 힘이 스트립 양측에 가하여 지고 이에따라 양측에 편중된 당김력이 발생 하여 상기 텐션 브라이들 롤(100)(102)(104)의 가장자리에 파손이 발생하였으며, 설비구동중 상하동작과 회전이 병행되는 스누버 롤(110)(120)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었으며, 또한 그러한 위험성이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작업을 기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통판작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 은 스트립의 초기 통판과 스트립의 파단으로 인한 복귀를 하기 위하여 스트립을 가 이드 시킬 때 설비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방치하고 신속하게 통판할 수 있도록 한 텐 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 드는, 텐션 브라이들 롤과, 이 텐션 브라이들 롤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코일을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인출측 스누버 롤 및 진입측 스누버 롤을 포함하는 구성의 텐 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벤션 브라이들 롤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와, 상기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가이 드와, 상기 상부가이드는 텐션 브라이들 롤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원호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롤 점검용 발판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가이드 의 양끝단에 그 동작을 규제하도록 설치된 스토퍼는 안전핀이 끼워지는 핀 구멍과, 상기 상부 가이드를 발판에 힌지결합을 위한 체결 보울트 및 체결 너트가 결합되는 절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의 일측은 고정대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적어도 2개의 구동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 구동되며, 이 하부 가이드의 원호면을 따 라서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가이드 롤을 가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는, 통상의 텐션 브라이들 롤의 상하측에 상/하부 가이드를 장착하여 코일(스트립)의 원활한 통판을 유도하기 때문에, 로프로 코일을 구부려서 묶는 과정에서 코일의 탄력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이 없고, 이로 인하여 작업성을 향상하여 인력의 효 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가이드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가이드 20 : 롤 점검용 발판
22 : 체결 보울트 24 : 체결 너트
40 : 스토퍼 42 : 안전핀
44 : 핀 구멍 46 : 절개부
50 : 하부가이드 60 : 가이드 롤
80 : 구동 실린더 82 : 받침대
102 :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 100, 102, 104 : 텐션 브라이들 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 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와 그 정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 10은 상부가이드로써 코일에 적정의 장력을 가하면서 그 진행을 유도하는 다수의 텐션 브라이들 롤(100)(102)(104)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하부측에는 적어도 2개의 구동 실린더(80)에 의하여 상하 구동되는 하부가이드(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10)는 각 텐션 브라이들 롤(100)(102)(104)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원호면들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롤 점검용 발판(20)의 양측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2개의 텐션 브라이들 롤(100)(104)을 감싸듯이 설치되며, 상부 가이 드(10)의 양끝단 부근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토퍼(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40)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가이드(10)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부가이드(10)의 임의로운 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 상기 스토퍼(40)의 일측면에는 안전핀(42)이 끼워지는 핀 구멍(44)과 상 기 상부가이드(10)를 발판(20)에 힌지결합하기 위한 체결 보울트(22) 및 체결 너트(24)가 결합되는 절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단독으로 구성하여 상기 발판(20)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거나 발판(20)과 함께 일체로 된 것이라도 좋다. 중요한 것은 발판(20)에 고 정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10)의 운동을 규제하면 족하다.
상기 하부 가이드(50)는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하부측 외주면을 덮 는 형태로 배치되어 그 일측은 고정대(7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되 타측에는 구동 실린더(8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고정대(70)에는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외주면에 인접되게 다수의 가이드 롤(60)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82는 상기 구동 실린더(8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써 장치의 베이스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부호 302는 상기 코일(300)을 지지하는 지지판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스트립 형태의 코일(300)이 상기 지지판(302)상으로부터 장치로 이송되고, 상기 인출측 스누버 롤(120)과 텐션 브라이들 롤(104) 사이에 들어올 때에 이들은 회전구동하고 있으므로 상기 코일(300)의 선단이 빨려 들어가고 상부 가이드(10) 부위를 통과할때에 이 상부 가이드(10)에 의하여 원활하게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 측으로 가이드된다. 이어서 이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하부에는 하부 가이드(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하부 가이드(50)에 안내되어 코일(300)은 통판된다.
이 때, 상기 하부 가이드(50)는 구동 실린더(80)에 의하여 통판하기 위한 코 일의 두께에 따라 간격조절이 가능하여 하부 가이드(50)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가이 드 롤(60)은 상기 코일(300)이 통과시 할때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원활 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어서, 진입측 스누버 롤(110)과 텐션 브라이들 롤(100) 사이를 코일(300) 이 통과할 때에 통판은 완료된다.
한편,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40)의 일측면에는 안전핀(42)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이 안전핀(42)을 설치하거나 빼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10)의 폭을 조절하여 두께가 다른 코일(300)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는, 통상의 텐 션 브라이들 롤의 상하측에 상/하부 가이드를 장착하여 코일(스트립)의 원활한 통 판을 유도하기 때문에, 로프로 코일을 구부려서 묶을 때 코일의 탄력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이 없고, 이로 인하여 작업성을 향상하여 인력의 효 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텐션 브라이들 롤(100)(102)(104)과 그 외주면에 밀착되어 코일(30)을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인출측 스누버 롤(120) 및 진입측 스누버 롤(110)을 구비한 스트립 통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상측에 설치되어 각 텐션 브라이들 롤(100)(102)(104)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원호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고 롤 점검 발판(20)의 양측에 힌지결합된 상부 가이드(10)와, 상기 센터 텐션 브라이들 롤(102)의 하측에 설치되어 그 일측은 고정대(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되 타측은 적어도 2개의 구동실린더(80)에 의해 상하구동 되는 하부가이드(50)와, 상부 가이드(10)의 양끝단을 규제하도록 발판(20)에 힌지결합되어 양측면에 안전핀(42)이 끼워지는 핀 구멍(44)을 구비하되 그 하부측에 힌지결합을 위한 체결 보울트(22) 및 체결 너트(24)가 조립되는 절개부(46)를 구비한 스토퍼(40)와, 이 하부 가이드(50)의 원호면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가이드 롤(60)을 포 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KR2019950028856U 1995-10-14 1995-10-14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KR200164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56U KR200164246Y1 (ko) 1995-10-14 1995-10-14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56U KR200164246Y1 (ko) 1995-10-14 1995-10-14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85U KR970016385U (ko) 1997-05-23
KR200164246Y1 true KR200164246Y1 (ko) 2000-01-15

Family

ID=1942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856U KR200164246Y1 (ko) 1995-10-14 1995-10-14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24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369B1 (ko) * 2001-07-12 2007-06-28 주식회사 포스코 브라이드롤의 통판장치
KR100805061B1 (ko) * 2001-10-24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브라이들롤 강판 패싱장치
KR100960388B1 (ko) 2003-04-29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브라이들롤의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KR102255824B1 (ko) * 2019-11-26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작업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369B1 (ko) * 2001-07-12 2007-06-28 주식회사 포스코 브라이드롤의 통판장치
KR100805061B1 (ko) * 2001-10-24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브라이들롤 강판 패싱장치
KR100960388B1 (ko) 2003-04-29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브라이들롤의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KR102255824B1 (ko) * 2019-11-26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85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29086A (ja) 連続的に繊維を切断する改良型チョッパ及びその方法
KR200164246Y1 (ko)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DE3916740A1 (de) Textilmaschine mit verstellbarer anpresswalzenanordnung
KR20090065653A (ko) Sts 냉연코일의 선단 안내장치
JP3336106B2 (ja) 鋼板巻取装置における間紙挿入装置
KR200196321Y1 (ko) 스트립 인출장치
DE19614404C1 (de) Einfachschlag - Verseilmaschine mit offenem Verseilrotor
KR100829807B1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967715B1 (ko) 스트립 부착 간지 제거장치
US3687391A (en) Apparatus for handling rolls of thin metal strips
CN217732277U (zh) 一种放料机用预导引组件及放料机
DE10393021T5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führen einer Bahn bei dem Aufrollen einer Papierbahn oder Kartonbahn
KR200278270Y1 (ko) 간지자동인출장치
KR200155893Y1 (ko) 강판 안내판의 안전장치
JP3774659B2 (ja) パス切替え装置
JP2696579B2 (ja) ベルトラッパー
JP2005531474A (ja) 巻き取り機
WO2021128372A1 (zh) 一种板料废边丝处理装置
KR100815882B1 (ko) 후프 권취기의 코일 텐션유지 및 유도장치
KR20050017273A (ko)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970004757Y1 (ko) 용접기 크램프의 베이커라이트(Bakelite) 마모방지장치
KR20010027505A (ko) 후프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KR970007053Y1 (ko) 슬리브(Sleeve)회수장치
JP6825599B2 (ja) 金属帯先端部の通板方法および装置
KR100822965B1 (ko)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