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053Y1 - 슬리브(Sleeve)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리브(Sleeve)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53Y1
KR970007053Y1 KR2019940034522U KR19940034522U KR970007053Y1 KR 970007053 Y1 KR970007053 Y1 KR 970007053Y1 KR 2019940034522 U KR2019940034522 U KR 2019940034522U KR 19940034522 U KR19940034522 U KR 19940034522U KR 970007053 Y1 KR970007053 Y1 KR 970007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winding
sleeve
coil
scrap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324U (ko
Inventor
한병표
강영국
정명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4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053Y1/ko
Publication of KR960020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92Removing cores or mandrels from web roll after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슬리브(Sleeve)회수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 회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 회수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 3 도는 (가)도 및 (나)도는 종래의 슬리브 회수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제 4 도는 (가)도 및 (나)도는 종래의 원뿔형 슬리브 회수기에 의한 작업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몸체10a,10b : 경사면
12 : 장공(slot hole)14 : 가이드레일(guide rail)
30 : 슬리브 회전부32,36 : 브라켓(bracket)
35 : 지지봉40 : 공회전롤(idle roll)
50 : 스크랩 철판 권취부60 : 권취몸체
65 : 철판 권취통65C : 경사면
65d : 철판삽입홈67 : 나사축
70 : 모터72 : 벨트(Belt)
본 고안은 스크랩(Scrap) 처리되는 코일 제품으로부터 스틸슬리브(Steel sleeve)를 회수하기 위한 슬리브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틸 슬리브란, 코일제품의 중앙에 위치하는 원통형 파이프로써, 권취시의 철판(Strip) 장력에 의해 권취완료후 코일 내경이 찌그러지는 현상(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취된 코일은 압연중 코일 권취기에서 권취되어지는 철판이 끊어지는 경우, 권취중 결함발생하여 권취를 중단하는 경우, 석도금원판(Black plate)재의 주문저중율을 저하방지를 위한 제품용접시 그 처리를 위한 경우 등에 스크랩 처리되는데, 내측 스틸슬리브는 회수하여 재사용하고, 감겨있는 철판은 스크랩되어 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코일 스크랩처리를 위하여,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는바, 제 3 도의 (가)도에 도시된 것은 코일(100)을 바닥에 놓고 손이나 발로 굴려 철판(110)을 풀어내는 방법으로써 이는 스크랩 철판(110)의 길이가 길 경우에 핸드쉬어(hand shear)나 손가위등으로 적정 길이를 절단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을 받고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고, 제 3 도의 (나)도에 도시된 것은 코일(100)을 바닥에 놓고 철판(110) 단부에 구멍(110a)을 형성하고 사이 구멍(110a)으로 크레인의 후크(Hook)(120)를 걸어 상기 후크(120)를 상승시켜 철판(110)을 풀어내는 방법으로써 이는 철판(110)의 길이가 권상높이보다 길 경우에 적정길이를 절단후 다시 구멍(110a)을 형성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낮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 4 도에 도시된 것은 대략의 원뿔형 슬리브 회수기(200)를 와이어로프(210)를 이용하여 코일(100)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와이어로프(210)를 상승시켜 코일(100)을 직립시킨 상태에서 철판(110)을 풀어내는 방법으로써 이는 철판(110)을 풀 때 와이어로프(210)에 비틀림이 발생하고 코일(100)의 중량이 많이 나갈 경우에는 슬리브 회수기(200)와의 접촉부인 하단에 변형이 발생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틸 슬리브를 가지며 스크랩 처리되어질 코일의 철판을 일측에서 권취처리하여 코일 내측의 스틸 슬리브를 회수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없이 적은 인원으로 코일의 스크랩 처리가 가능토록 한 슬리브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일정간격 떨어져 회전가능토록 장착된 공회전롤과 상기 공회전롤사이의 일정높이에 탈착가능토록 장착된 지지봉과를 가지는 슬리브 회전부; 및 상기 슬리브 회전부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종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상에 미끄럼가능토록 장착된 복수개의 권취몸체는 나사축의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몸체의 상측 대향면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된 철판권취통은 각각의 단부에 철판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철판 권취통의 하나는 모터에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한 스크랩 철판권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회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0은 지지몸체로서, 상기 지지몸체(10)는 일측상부에 슬리브 회수부(30)를 갖추고, 타측 상부에 스크랩 철판 권취부(50)를 갖춘다.
상기 슬리브 회수부(30)는 복수개의 공회전롤(idle roll)(40)을 가지는데, 상기 공회전롤(40)은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위치하고, 브라켓(Bracket)(32) 매개로 지지몸체(10)에 대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32)은 보울트 부재(31) 및 너트부재(31a)를 매개로 지지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횡방향의 장공(slot hole)(12)으로 장착된다.
상기 공회전롤(40)사이에 지지봉(35)을 설치하는데, 상기 지지봉(35)은 지지몸체(10)에 대해 종방향으로 공회전롤(40) 보다 더 상부측으로 지지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봉(35)의 양측단부는 지지몸체(10)에 보울트 부재(37)를 매개로 고정된 브라켓(32)의 상부측에 장착된다.
상기 스크랩 철판 권취부(50)는 지지몸체(10)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미끄럼 가능토록 형성된 복수개의 권취몸체(60)를 가지고, 상기 권취몸체(60)는 그 상부측 대향면에 각각 철판 권취통(65)을 회전가능토록 장착하며, 하부측은 나사축(67)에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나사축(67)은 그 중앙의 좌우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67a)(67b)을 형성하고, 나사축(67)의 일단부에는 핸들(handle)(67c)이 장착되며, 상기 나사축(67)의 양단부는 지지몸체(10)에 장착된 베어링블럭(Bearing block)(16)으로 지지된다.
상기 권취몸체(60)에 형성된 고정축(61)에 베어링(65a)을 매개로 장착되고, 중공부(65b)를 가지며 외주면의 내측단부는 경사면(65c)을 형성함은 물론 내측단부에 길이방향의 철판 삽입홈(65d)을 형성한 철판 권취통(65)의 하나는, 권취몸체(60) 측 외주면에 V형 홈(65e)을 형성하여 V벨트(72)를 매개로 모터(70)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70)는 권취몸체(60)에 고정되어 일체로 거동토록 된다.
상기 지지몸체(10)는 슬리브 회수기(30)와 스크랩 철판 권취부(50)의 외측으로 형성된 경사면(10a)(10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경사면(10a)(10b)은 각각 지지몸체(10)의 단부측으로 하향경사됨은 당연하다.
상기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며, 스크랩 철판(91)이 감겨있는 코일(90)을 크레인(Crand)(미도시) 또는 지지몸체(10)의 경사면(10a)을 이용하여 슬리브 회수기(30), 즉 공회전롤(40) 상부에 얹는다. 이때 공회전롤(40)의 간격은 코일(90)의 크기에 부합하는 적정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간격 조절은 브라켓(32)을 지지몸체(10)에 형성된 장공(12)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지지봉(35)은 공회전롤(40)상에 코일(90) 내측의 슬리브(92)를 관통하여 브라켓(36)에 장착되어 작업중 코일(90)이 정상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스크랩 철판(91)의 폭에 부합하는 철판권취통(65)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핸들(67c)을 회전시키면, 나사축(67)의 서로 다른 나사산(67a)(67b)에 각각 나사결합된 권취몸체(60)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고, 따라서 스크랩 철판(91)의 단부의 양측을 철판 권취통(65)의 철판 삽입홈(65d)에 적절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완료한 후에 모터(70)을 회전시켜 스크랩 철판(91)을 권취하면, 코일(90)에 권취되어 있던 스크랩 철판(91)은 스크랩 철판 권취부(50)에서 권취되어 슬리브 회수부(30), 보다 엄밀하게는 지지봉(35)에는 슬리브(92)만이 남아 회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랩 철판 권취부(50)의 철판 권취통(65)에 감겨진 스크랩 철판(91)을 철판 권취통(65)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는, 모터(70)를 정지한 후 핸들(67c)을 회전시켜철판 권취통(65) 간격을 멀게 하면 철판 권취통(65)은 그 외주면단부가 경사면(65c)이기 때문에 권취된 스크랩 철판(91)은 철판 권취통(65)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어 하부로 낙하하고, 상기 낙하된 스크랩 철판(91)의 권취된 코일은 경사면(10b)을 따라 그 처리장소로 이동되는 것이다.
물론, 슬리브 회수부(30)에 있는 슬리브(92)는 지지봉(35) 제거후 경사면(10a) 등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바, 상기 슬리브(92)에는 그 회수작업중에 어떠한 변형도 발생하지 않아 슬리브 회수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크랩처리 되어질 코일의 스크랩 철판을 일측에서 권취함으로써 타측에서는 슬리브만이 자동회수되기 때문에, 스크랩 철판과 슬리브의 재생처리가 빠른 시간에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키고 수작업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하며 슬리브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실용상의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일정간격 떨어져 회전가능토록 장착된 공회전롤(40)과, 상기 공회전롤(40)사이의 일정높이에 탈착가능토록 장착된 지지봉(35)과를 가지는 슬리브 회전부(30); 및
    상기 슬리브 회전부(3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져 종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4)상에 미끄럼가능토록 장착된 복수개의 권취몸체(60)는 나사축(67)의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67a)(67b)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몸체(60)의 상측 대향면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된 철판권취통(65)은 각각의 단부에 철판 삽입홈(65d)을 형성하며, 상기 철판 권취통(65)의 하나는 모터(70)에 벨트(72)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한 스크랩 철판 권취부(50);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회수장치.
KR2019940034522U 1994-12-19 1994-12-19 슬리브(Sleeve)회수장치 KR970007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522U KR970007053Y1 (ko) 1994-12-19 1994-12-19 슬리브(Sleeve)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522U KR970007053Y1 (ko) 1994-12-19 1994-12-19 슬리브(Sleeve)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324U KR960020324U (ko) 1996-07-18
KR970007053Y1 true KR970007053Y1 (ko) 1997-07-15

Family

ID=1940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522U KR970007053Y1 (ko) 1994-12-19 1994-12-19 슬리브(Sleeve)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0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324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13428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der Verpackungsendbereiche einer Materialbahnrolle
KR970007053Y1 (ko) 슬리브(Sleeve)회수장치
KR100514791B1 (ko) 코일 권취장치
DE3625054C2 (de)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Aufwickeln einer Bahn in einer Doppeltragwalzen-Wickelmaschine und Doppeltragwalzen-Wickel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213111745U (zh) 一种便于对布料张紧度进行调节的纺织用卷辊
KR100984396B1 (ko)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DE2159114C3 (de) Bandwalzanlage für das Kaltwalzen von Folien, wie Aluminiumfolien
KR100408695B1 (ko) 권취기의 스트립 미끄러짐 방지장치
KR200164246Y1 (ko)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KR200163530Y1 (ko) 패스라인롤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0944440B1 (ko) 루프 타워의 루퍼 와이어 로프 교환장치
US4270684A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 steel or the like
DE2314507A1 (de) Verfahren zum ueberfuehren der aus einer bandlaengsteilanlage austretenden spaltbaender zu einer verarbeitungsanlage, z.b. zu einer rohrschweissanlage, und vorrichtungen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KR100347151B1 (ko)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KR102255824B1 (ko) 안전작업대
KR200223820Y1 (ko) 가열로의 허스 스크래퍼용 리프트장치
DE3150901A1 (de)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graten und noppen an reifen unterschiedlicher dimension"
CN214217649U (zh) 防拉扯损伤落布装置
CN211768780U (zh) 一种滚涂机自动上料机械手
KR200155893Y1 (ko) 강판 안내판의 안전장치
KR20040054971A (ko)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CH618139A5 (en) Winding appliance for winding a web-shaped sheet-like structure onto a winding core
KR102030159B1 (ko) 압연 코일 검사 장치
KR200196321Y1 (ko) 스트립 인출장치
AT227507B (de) Vorrichtung zum Aus- und Einbauen der Walzen von Richtmaschinen, insbesondere Blech- und Schienenricht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