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971A -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971A
KR20040054971A KR1020020081526A KR20020081526A KR20040054971A KR 20040054971 A KR20040054971 A KR 20040054971A KR 1020020081526 A KR1020020081526 A KR 1020020081526A KR 20020081526 A KR20020081526 A KR 20020081526A KR 20040054971 A KR20040054971 A KR 2004005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mall
car
small coil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058B1 (ko
Inventor
김진식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0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압연라인에서 외경이 작은 소코일을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코일(C)의 외주면과 외접하는 터치롤(11)의 좌우양단에 조립되는 베어링블록(13a)(13b)과 스프링부재(14a)(14b)를 매개로 조립되는 지지대(12a)(12b)를 갖추어 상기 코일카(140)의 보조스키드(51)의 사각공(54)을 통하여 터치롤(11)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터치부(10); 상기 지지대(12a)(12b)의 장공(17a)(17b)에 좌우양단이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된 작동바(21)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22)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21)의 좌우양단과 연결대(23a)(23b)를 매개로 조립되는 수평바(24a)(24b)의 좌우양단에 작동대(25a)(25b)를 갖추며, 상기 작동대(25a)(25b)의 상부단에 상기 보조스키드(51)와 사각플레이트(52)의 안내공(51a)(52a)을 통하여 승하강되어 상기 소코일(C)의 외주면에 접하는 받침목(26a)(26b)을 갖추어 상기 코일카(140)의 내부공간(P)에 수용되는 승하강부(20); 상기 코일카(140)상에 올려진 소코일(C)외주면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코일카(140)의 좌우양측면에 배치되는 클램핑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강판을 압연제조하는 라인의 출측에서 표면결함이 발생된 강판만을 권취한 소단중의 외경이 작은 소코일을 코일카상에 안전하게 안착하고, 전도발생의 염려없이 트랜스퍼카측으로 소코일을 효율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AN APPARATUS FOR WITHDRAWING THE SAMLL COIL IN CONTINOUS ROLLING LINE}
본 발명은 연속압연라인에서 외경이 작은 소코일을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연속적으로 강판을 압연제조하는 라인의 출측에서 표면결함이 발생된 강판만을 권취한 소단중의 외경이 작은 소코일을 코일카상에 안전하게 안착하고, 전도발생의 염려없이 트랜스퍼카측으로 효율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선한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속압연라인은 압연재를 압연스탠드, 도유기 및 전단기 및 권취설비를 연속하여 경유하면서 최종적으로 강판완제품으로 생산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압연공정을 거치면서 압연제조되는 강판표면에는 각종 결함이 발생되고, 표면결함 부위가 코일 선,후단에서 심하게 발생되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강판의 표면결함부위는 강판진행라인에서 미리 제거작업을 실시하는데, 미처 완전하게 제거가 되지않는 부위는 출측공정인 전단기(120)에서 완전하게 제거된 후, 권취기(130)에 두루마리형태의 코일로 권취한다. 그리고, 권취된 코일은 코일카(140) 및 트랜스퍼 카(150)에 의해서 콘베어(160)로 보내져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연제조된 강판을 코일형태로 권취하는 작업중 코일표면에 발생되어진 결함을 각 전단기(120)에서 절단하여 제거할 때, 표면결함이 발생된 강판길이가 길고, 상기 전단기(120)에서 완전한 제거가 곤란하면, 출측의 권취기(130)에서 표면결함이 발생된 강판만을 별도로 권취하여 소단중의 코일(이하, 소코일이라함)(C)로 만든 다음,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카(140)의 상부면에 올려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카(140)이 상부면 중앙에 함물형성된 수용부에는 이에 안착되는 중량물인 코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터치롤(170)과, 그 좌우양단에 장착되는 베어링블록(171a)(171b)과 스프링 부재(172a)(172b)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터치롤(170)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사각케이스(173a)(173b)를 갖추어 구성한다.
그러나, 표면결함이 발생된 불량한 강판만을 권취한 소코일(C)은 정상적인 코일에 비하여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코일카(140)상에 올려진 소코일(C)은 상기 코일카(140)을 이용한 인출작업중 좌우로 흔들리면서 전도될 위험성이 매우 높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코일카(140)의 상부면에 각목(144)이 좌우양단에 장착된 보조스키드(142)을 수작업으로 올려놓은 다음, 그 위에 소코일(C)을 안착하여 트랜스퍼카(150)측으로 인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소코일(C) 인출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비자동화가 곤란하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자의 작업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속압연라인의 출측에서 표면결함이 발생된 강판만을 권취한 소단중의 외경이 작은 소코일을 코일카상에 안전하게 안착하고, 전도발생의 염려없이 트랜스퍼카측으로 소코일을 효율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압연라인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연속압연라인의 출측에 구비되는 코일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보조스키드가 장착되지 않은 코일카상에 소코일이 안착된 사시도,
b)는 보조스키드가 장착된 코일카상에 소코일이 안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에 채용되는 터치부와 승하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에 채용되는 터치부와 승하강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에 채용되는 클램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를 이용한 코일 인출작업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터치부 11 ..... 터치롤
12a,12b ... 지지대 13a,13b ... 베어링블록
20 ..... 승하강부 21 ..... 작동바
22 ..... 실린더부재 23a,23b ... 연결대
24a,24b ... 수평바 25a,25b ... 작동대
26a,26b ... 받침목 30 ..... 클램핑부
31a,31b ... 회전축 32,33 ... 구동,피동기어
33a .... 구동모터 34a,34b ... 브라켓
35a,35b ... 클램프 140 ..... 코일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연속압연라인의 권취기에서 소량의 강판을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한 외경이 작은 소코일을 코일카상에 안착하여 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코일의 외주면과 외접하는 터치롤의 좌우양단에 조립되는 베어링블록과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조립되는 지지대를 갖추어 상기 코일카의 보조스키드의 사각공을 통하여 터치롤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터치부;
상기 지지대의 장공에 좌우양단이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된 작동바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의 좌우양단과 연결대를 매개로 조립되는수평바의 좌우양단에 작동대를 갖추며, 상기 작동대의 상부단에 상기 보조스키드와 사각플레이트의 안내공을 통하여 승하강되어 상기 소코일의 외주면에 접하는 받침목을 갖추어 상기 코일카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승하강부;
상기 코일카상에 올려진 소코일외주면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코일카의 좌우양측면에 배치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에 채용되는 터치부와 승하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에 채용되는 터치부와 승하강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에 채용되는 클램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를 이용한 코일 인출작업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속압연라인에서 압연제조된 강판을 두루마리형태의 코일로 권취하고, 권취된 코일을 코일카상에 올려놓고 트랜스퍼카(150)측으로 인출할 때, 강판표면에 결함이 발생된 불량강판만을 권취하여 외경이 작은 소단중의 소코일(C)을 상기 코일카(140)상에 전도발생없이 안전하게 안착하여 인출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1)는 터치부(10), 승하강부(20) 및 클램핑부(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코일카(140)상에 안착되는 소코일(C)과 접촉되는 터치부(10)는 터치롤(11)과, 이를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지지대(12)로 구성되는바, 상기 소코일(C)과 외부면이 외접되는 터치롤(11)은 그 좌우양단에 베어링블록(13a)(13b)을 장착하고, 상기 베어링블록(13a)(13b)은 스프링부재(14a)(14b)을 매개로 하여 한쌍의 지지대(12a)(12b)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롤(11)은 상기 스프링부재(14a)(14b)의 탄성력에 의해서 항상 상방으로 탄력지지되며, 상기 코일카(140)상으로의 소코일(C)안착시 상기 스프링부재(14a)(14b)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수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2a)(12b)는 상기 코일카(140)의 내부공간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각 하부단에 체결부재(16b)가 체결되는 체결공(16a)을 복수개 관통형성한 고정플레이트(16)가 각각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2a)(12b)몸체에는 일정길이의 장공(17a)(17b)이 각각 관통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a)(12b)의 각 상부단에는 중량물인 소코일(C)의 안착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터치롤(11)과 더불어 하강되는 베어링블록(14a)(14b)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접촉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센서(18a)(18b)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터치부(10)가 내부공간(P)에 수용되는 코일카(140)는 상부단에 보조스키드(51)와 사각플레이트(52)가 복수개의 체결부재(53)로서 체결되어 상하구조로 적층되고, 상기 보조스키드(51)에는 상기 터치롤(11)이 간섭없이 승하강되도록 사각공(54)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보조스키드(51)와 사각플레이트(52)의 테두리근방에는 후술하는 받침목(26a)(26b)이 승하강되도록 안내공(51a)(52a)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10)와 더불어 상키 코일카(140)의 내부공간(P)에 수용되는 승하강부(20)는 상기 지지대(12a)(12b)의 각 장공(17a)(17b)에 좌우양단이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작동바(21)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21)의 길이중앙에는 상기 작동바(21)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코일카(140)의 바닥면에 수직설치되는 실린더부재(22)의 로드선단을 연결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롤(11)의 베어링블록(13a)(13b)과 터치센서(18a)(18b)의 접촉시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부재(22)는 로드선단을 상승작동시켜 상기 작동바(21)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작동바(21)의 좌우양단에는 연결대(23a)(23b)를 매개로 하여 상기 작동바(21)의 좌우양측에 수평바(24a)(24b)가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24a)(24b)의 좌우양단에는 일정길이의 작동대(25a)(25b)의 하부단을 각각 수직하게 고정설치하며, 상기 작동대(25a)(25b)의 각 상부단에는 상기 보조스키드(51)와 사각플레이트(52)의 각 안내공(51a)(52a)을 통하여 승하강되어 상기 코일카(140)상에 올려지는 소코일(C)의 외주면과 접하는 받침목(26a)(26b)을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대(25a)(25b)의 각 상부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7a)(27b)에는 상기 안내공(51a)952b)의 내부면에 함물형성된 안내홈(51c)(52c)을 따라 원활하게 상하안내되도록 안내턱(27)을 돌출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목(26a)(26b)과 고정플레이트(27a)(27b)사이에는 상부면이 상기 코일(C)으로 하향경사진 받침목(26a)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도록 스프링부재(28a)(28b)를 장착한다.
한편, 상기 클램핑부(30)는 상기 코일카(140)상에 올려진 소코일(C)외주면 양측을 안전하게 클램핑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코일카(C)의 좌우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클램핑부(30)는 상기 코일카(140)의 좌우양측면에 함물형성된 수용부(30a)(30b)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축(31a)(31a)과, 상기 회전축(31a)(31b)중 어느 하나에 장차된 피동기어(32)와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33)를 갖는 구동모터(33a)와, 상기 회전축(31a)(31b)에 하부단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3a)의 정,역방향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상,하방선회되는 ㄷ자형 브라켓(34a)(34b) 및 상기 브라켓(34a)(34b)의 상부단에 핀부재(35)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소코일(C)의 외주면 양측에 접하는 클램프(35a)(35b)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1)를 이용하여 소코일(C)을 트랜스퍼카(150)측으로 인출하는 작업은 강판을 권취하는 권취기(130)에 본 발명의 장치(1)가 수용된 코일카(140)가 근접배치되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터치부(10)의 터치롤(11)은 코일카(140)의 상부면에 노출되고, 상기 승하강부(20)의 받침목(26a)(26b)은 안내공(51a)(52a)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부(30)의 클램프(35a)(35b)는 하강선회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강판연속압연라인의 권취기(130)에서 권취되는 코일중 강판표면에 결함이 발생된 강판만을 권취하여 정상적인 코일에 비하여 외경이 작고, 단중이 작은 소코일(C)이 상기 코일카(140)상에 안착되어 상기 터치롤(11)에 접해지면, 상기 터치롤(11)은 소코일(C)의 중량에 의해 베어링블록(13a)(13b)과 지지대(12a)(12b)사이에 장착된 스프링부재(14a)(14b)를 압축시키면서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블록(13a)(13b)의 하부면과 터치센서(18a)(18b)이 접해질 때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코일카(140)의 내부공간(P)에 배치된 승하강부(20)의 실린더부재(22)를 상승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22)의 로드선단의 상승과 더불어 작동바(21)가 상기 지지대(12a)(12b)의 장공(17a)(17b)을 따라 상승되면, 상기 작동바(21)의 좌우양단에 조립된 연결대(23a)(23b)과 연결되고, 상기 작동바(21)의 좌우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바(24a)(24b)도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연결대(23a)(23b)의 일단과 접하는 수평바(24a)(24b)의 좌우양단에 장착된 일정높이의 작동대(25a)(25b)가 직상부로 승강되면서 그 상부단에 장착된 받침목(26a)(26a)을 도 7(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보조스키드(51)와 사각플레이트(52)의 안내공(51a)(52a)을 통하여 상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22)의 상승작동시 상기 코일카(140)의 상부로 노출되는 받침목(26a)(26b)은 상기 코일카(14)상에 올려지는 소코일(C)의 좌우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부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받침목(26a)(26b)은 그 하부면과 고정플레이트(27a)(27b)사이에 장착된 스프링부재(28a)(28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소코일(C)의 외주면에 확고히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외경이 정상적인 코일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소코일(C)의 이송시 좌우흔들림이 곤란하도록 하부외주면에 받침목(26a)(26b)을 밀착시키는 상기 승하강부(20)의 승하강작동과 더불어, 상기 모터부재(33a)(33b)을 정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그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33)과 피동기어(32)의 기어물림에 의해서 상기 피동기어(32)를 갖는 회전축(31a)이 회전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카(140)의 수용부(30a)(30b)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축(31a)(31b)이 상기 구동모터(33a)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코일카(140)측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하강선회된 브라켓(34a)(34b)를 상방으로 180°선회작동시킨후 정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방으로 선회된 브라켓(34a)(34b)의 상단에 장착된 호형단면상의 클램프(35a)(35b)가 상기 소코일(C)의 외부면 양측에 밀착되면서 그 외주면 하부에 밀착되는 받침목(26a)(26b)과 더불어 상기 소코일(C)의 좌우흔들림이 곤란하도록 위치고정한다.
또한, 상기 받침목(26a)(26b) 및 클램프(35a)(35b)에 의해서 소코일(C)을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카(140)를 트랜스퍼카(150)측으로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실린더부재(22)의 하강복귀 및 상기 클램핑부(30)의 언클램핑작동에 의해서 소코일(C)로 받침목(26a)(26b)과 클램프(35a)(35b)를 이격시킨 후 상기 소코일(C)을 트랜스퍼카(150)상으로 이송하고, 상기 소코일(C)이 이송된 코일카(140)는 상기 권취기(130)측으로 다음 코일을 안착하도록 복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권취기(130)에서 권취완료된 소코일(C)을 안전하게 인출하는 장치(1)를 갖는 코일카(140)는 2가지 작업모드로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그주 한가지는 상술한 바와같이 외경크기가 작은 소코일(C)을 인출하는 작업 방법이고, 또다른 한가지는 정상적으로 권취완료된 코일을 인출하는 작업방법이 있다.
이러한 정상적으로 권취완료되어 코일카(140)를 이용한 이송시 전도사고의 염려가 없는 코일의 정상적인 인출작업은 코일안착시 하강되는 베어링블록(13a)(13b)과 터치센서(18a)(18b)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의해서 살린더부재(22)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받침목(26a)(26b)의 상승작동과 상기 클램프(25a)(35b)의 상방선회는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코일 인출작업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상적인 코일에 비하여 외경크기가 작고 중량이 가벼운 소코일의 안착시 받침목을 상승시키고, 클램프를 클램핑작동시켜 코일카의 이송중 소코일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하여 코일인출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소코일을 인출하는 작업시간 및 작업자의 작업부담을 줄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소코일의 이송중 전도를 예방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연속압연라인의 권취기(130)에서 소량의 강판을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한 외경이 작은 소코일(C)을 코일카(140)상에 안착하여 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코일(C)의 외주면과 외접하는 터치롤(11)의 좌우양단에 조립되는 베어링블록(13a)(13b)과 스프링부재(14a)(14b)를 매개로 조립되는 지지대(12a)(12b)를 갖추어 상기 코일카(140)의 보조스키드(51)의 사각공(54)을 통하여 터치롤(11)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터치부(10);
    상기 지지대(12a)(12b)의 장공(17a)(17b)에 좌우양단이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된 작동바(21)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22)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21)의 좌우양단과 연결대(23a)(23b)를 매개로 조립되는 수평바(24a)(24b)의 좌우양단에 작동대(25a)(25b)를 갖추며, 상기 작동대(25a)(25b)의 상부단에 상기 보조스키드(51)와 사각플레이트(52)의 안내공(51a)(52a)을 통하여 승하강되어 상기 소코일(C)의 외주면에 접하는 받침목(26a)(26b)을 갖추어 상기 코일카(140)의 내부공간(P)에 수용되는 승하강부(20);
    상기 코일카(140)상에 올려진 소코일(C)외주면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코일카(140)의 좌우양측면에 배치되는 클램핑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a)(12b)의 각 상부단에는 베어링블록(14a)(14b)의 하부면과의 접촉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센서(18a)(18b)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25a)(25b)의 각 상부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7b)에는 상기 안내공(51a)952b)의 내부면에 함물형성된 안내홈(51c)(52c)을 따라 원활하게 상하안내되도록 안내턱(27)을 돌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목(26a)(26b)과 고정플레이트(27b)사이에는 상부면이 상기 코일(C)으로 하향경사진 받침목(26a)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도록 스프링부재(28a)(28b)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30)는 상기 코일카(140)의 좌우양측면에 함물형성된 수용부(30a)(30b)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축(31a)(31a)과, 상기 회전축(31a)(31b)중 어느 하나에 장차된 피동기어(32)와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33)를 갖는 구동모터(33a)와, 상기 회전축(31a)(31b)에 하부단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3a)의 정,역방향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상,하방선회되는 ㄷ자형 브라켓(34a)(34b) 및 상기 브라켓(34a)(34b)의 상부단에 핀부재(35)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소코일(C)의 외주면 양측에 접하는 클램프(35a)(35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KR1020020081526A 2002-12-20 2002-12-20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KR10094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26A KR100946058B1 (ko) 2002-12-20 2002-12-20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26A KR100946058B1 (ko) 2002-12-20 2002-12-20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971A true KR20040054971A (ko) 2004-06-26
KR100946058B1 KR100946058B1 (ko) 2010-03-09

Family

ID=3734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526A KR100946058B1 (ko) 2002-12-20 2002-12-20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29B1 (ko) * 2013-03-04 2014-11-03 이문희 산업용 구조물의 유압 잭 업 장치 및 상기 유압 잭 업 장치에 적용되는 승강 유압 실린더의 하부 받침 유닛
KR20160023938A (ko) 2014-08-21 2016-03-0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인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637B1 (ko) * 2014-10-22 2016-1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전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17433B1 (ko) * 2016-12-02 2018-1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5718A (ja) * 1990-07-17 1992-03-10 Kawasaki Steel Corp コイルの転倒防止方法及びコイルカーのコイル転倒防止装置
KR960002068Y1 (ko) * 1993-05-21 1996-03-14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폭 조절이 가능한 코일 받침장치
KR19990041737U (ko) * 1998-05-25 1999-12-27 이구택 코일인출장치
KR100506409B1 (ko) 2000-12-23 2005-08-0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카의 소단중 미압연코일 인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29B1 (ko) * 2013-03-04 2014-11-03 이문희 산업용 구조물의 유압 잭 업 장치 및 상기 유압 잭 업 장치에 적용되는 승강 유압 실린더의 하부 받침 유닛
KR20160023938A (ko) 2014-08-21 2016-03-0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058B1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3583A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KR100946058B1 (ko)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JPH0361541B2 (ko)
JPH03230097A (ja) 横型多管式熱交換器における管束の引出及び押込装置
JP2008141891A (ja) ケーブル昇降装置
KR100883494B1 (ko) 압연스탠드의 소경롤 교환장치
JPH07308050A (ja) エレベータ用電動機の取外し組付け装置
JP4718056B2 (ja) 鋼材搬送装置
JP2914193B2 (ja) 圧延用ロール軸受け箱の旋回防止装置
KR100467039B1 (ko) 스크랩 슬리브 코일의 슬리브 자동분리장치
KR102255824B1 (ko) 안전작업대
CN219747293U (zh) 一种管坯修磨装置
KR200167524Y1 (ko)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JPH047296A (ja) ロール吊り上げ装置およびロール吊り上げ方法およびロール組み替え方法
JP3028870B2 (ja) 圧延機におけるワークロールのチョックを脱着する装置
CN211469065U (zh) 用于包装袋卷膜的可移动提升装置
CN216375115U (zh) 一种机床包装装置
JPH08118008A (ja) 柱総組立装置
KR0119023Y1 (ko) 보조적치대 자동이송장치
KR960008484Y1 (ko) 베어링 인출장치
KR100928826B1 (ko) 텐션 레벨러롤 자동 교체장치
KR100775229B1 (ko) 압연롤 시프팅장치
JPH0533482Y2 (ko)
JP3072678B2 (ja) カレンダロールの交換装置
JP2585975B2 (ja) アンカープレート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