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524Y1 -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524Y1
KR200167524Y1 KR2019990017884U KR19990017884U KR200167524Y1 KR 200167524 Y1 KR200167524 Y1 KR 200167524Y1 KR 2019990017884 U KR2019990017884 U KR 2019990017884U KR 19990017884 U KR19990017884 U KR 19990017884U KR 200167524 Y1 KR200167524 Y1 KR 200167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aped plate
support
wheel
dis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인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7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풀러를 이용하여 분해하고자 할 때 축상에서 휠이 빠져나오면서 작업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베이스 상의 다수의 수직 프래임 상단에 고정되는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커플링 받침부와, 상기 커플링 받침부에서 수평이동 가능하며, 마주하는 한쌍의 플래이트사이에 장착되어 상하이동 가능한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제 1받침부와, 상기 제 1받침부상에서 수평이동하며, 마주하는 수직 플래이트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제 2받침부를 포함하는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An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 wheel mounted to a shaft}
본 고안은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풀러를 이용하여 분해하고자 할 때 축상에서 휠이 빠져나오면서 작업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샤프트(축)에는 동력전달을 위하여 샤프트의 양단부 등에 휠 또는 기어 등이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는 휠 또는 기어 등은 정비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샤프트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샤프트에서 휠등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 풀러(feller)이다. 풀러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공구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풀러를 이용하여 휠이나 기어를 분리할 경우, 풀러에서 발생하는 반발력으로 인하여 샤프트 자체가 뒤틀리거나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풀러를 이용하여 샤프트상에서 휠이나 기어 등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베이스 상의 다수의 수직 프래임 상단에 고정되는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커플링 받침부와, 상기 커플링 받침부에서 수평이동 가능하며, 마주하는 한쌍의 플래이트사이에 장착되어 상하이동 가능한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제 1받침부와, 상기 제 1받침부상에서 수평이동하며, 마주하는 수직 플래이트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제 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 도 2(b)의 H 부분의 상세도.
도 3(b)는 도 2(b)의 W 부분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커플링 받침부 30: 제 1받침부
40: 제 2받침부 50,60: 상하이동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a) 도 2(b)의 H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3(b)는 도 2(b)의 W 부분의 상세도이다. 한편, 도 1에는 편의상 상하이동수단은 도시하지 않았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샤프트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축(12)상에는 커플링(11,13), 휠(10)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휠(10) 및 커플링(11,13)은 풀러에 의하여 분리되어진다.
본 고안은 베이스(22)상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커플링 받침부(20)와, 상기 커플링(11)을 지지하기 위한 제 1받침부(30)와, 상기 축(12)을 지지하기 위한 제 2받침부(40)와, 상기 제 1받침부(30) 및 제 2받침부(40)에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상하이동수단(50,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각각의 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커플링 받침부(20)는 베이스(22)와, 베이스(22)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프래임(24)과, 베이스(22)상에 마주하여 고정되는 레일(21)과, 다수의 프래임(24)상에 수상상태로 고정되는 V자형 플래이트(23)로 이루어져 있다.
제 1받침부(30)는 상기 레일(21)의 상부에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L 자형의 플래이트(31)가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L 자형 플래이트(31)의 하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롤러축(34b)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축(34b)의 양측단에는 롤러(34)가 장착되어 있다. 플래이트(31)사이에는 수평플래이트(33)가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양 플래이트(31)의 상부에는 V자형 플래이트(32)가 가교(架橋)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롤러(34)는 레일(21)의 상부에 안착된다. V자형 플래이트(32)는 후술되는 상하이동수단(5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V자형 플래이트(32)는 플래이트(31)에 형성된 개구(31a)상에서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후술되는 상하이동수단(6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마주하는 각 플래이트(31)의 내측벽에는 레일(44)이 설치된다.
제 2받침부(40)는 축(1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레일(44)상에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제 2받침부(40)의 상단에는 V자형 플래이트(43)고정되는데, V자형 플래이트(43)는 양 수직 플래이트(41)상단에 가교되어 장착되며, 양 수직 플래이트(41)의 개구(41a)상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V자형 플래이트를 개구(41a)의 안내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것은 상하이동수단(50)이다.
수직 플래이트(41)의 하부에는 롤러축(45b)가 횡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며, 롤러축(45b)의 양측단에는 롤러(45)가 장착되어 레일(44)상에서 수평이동하게 된다. 수직 플래이트(41)의 중간에는 플래이트(42)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하이동수단(60)은 상술한 플래이트(42,33)상에 수직으로 장착되는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플래이트(42,33)상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워엄스크류 잭(61)과, 워엄스크류잭(61)의 상하단에 장착되는 상하이동축(65)와, 워엄스크류 잭(61)에 수평상태로 고정되는 회전축(62)과, 상기 회전축(62)을 회전시켜 상기 상하이동축(65)을 상하로 움직이는 핸들(6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핸들(63)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이동축(65)이 움직이는 것은 워엄스크류잭(61)내부의 기어의 결합관계에 의하여 가능한데, 이러한 구조는 매우 공지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이동축(65)의 상단부는 상기 V자형 플래이트(3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상단에 V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이동축(65)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V자형 플래이트(32)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63), 롤러(34,45)에는 각각 베어링(64,45a,34a)가 장착되어 있으며, 베어링(64)이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베어링(64)의 외측에는 커버(62a)가 고정된다. 한편, 상하이동수단(50)은 상하이동수단(6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본 고안의 측면도로서, 수리를 위하여 분해를 요하는 축을 호이스트등을 이용하여 이동시킨다. 이후에 커플링(11)의 하부가 제 1받침부(30)의 V자형 플래이트(32)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축(12)의 하부가 제 2받침부(40)의 V자형 플래이트(43)상부에 위치시키고, 커플링(13)의 하부를 커플링 받침부(20)의 상부면에 있는 V자형 플래이트(23)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후에 핸들(63)을 회전시키면 상하이동축(65)이 각각의 V 자형 플래이트(32,43)을 상하로 이동시켜, 축과 커플링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휠(10)의 하부와 V자형 플래이트(23)사이에는 틈새(70)가 발생하게 되고, 풀러를 이 틈새로 넣어서 유압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축은 각각의 지지되는 부분(32,43,23)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고, 휠(10)을 축상에서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 1받침부(30)는 레일(21)상에서 수평이동하며, 제 2받침부(40) 또한 제 1받침부(30)상에서 수평이동 하기 때문에 축(12)나 휠(10)의 위치가 다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축 상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휠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도중에 작업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Claims (1)

  1. 베이스 상의 다수의 수직 프래임 상단에 고정되는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커플링 받침부와,
    상기 커플링 받침부에서 수평이동 가능하며, 마주하는 한쌍의 플래이트사이에 장착되어 상하이동 가능한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제 1받침부와,
    상기 제 1받침부상에서 수평이동하며, 마주하는 수직 플래이트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V자형 플래이트를 가지는 제 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KR2019990017884U 1999-08-26 1999-08-26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KR200167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884U KR200167524Y1 (ko) 1999-08-26 1999-08-26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884U KR200167524Y1 (ko) 1999-08-26 1999-08-26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524Y1 true KR200167524Y1 (ko) 2000-02-15

Family

ID=1958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884U KR200167524Y1 (ko) 1999-08-26 1999-08-26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5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851B1 (ko) * 2000-12-29 2003-03-04 한전기공주식회사 다축펌프 원통형 축 커플링 분해 조립장치
KR200450089Y1 (ko) * 2008-05-26 2010-09-02 주식회사 화영 대형 캠축의 캠 조립 장치
CN108406687A (zh) * 2018-05-14 2018-08-17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大化水力发电总厂 卧式水轮发电机主轴拆卸方法及拆卸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851B1 (ko) * 2000-12-29 2003-03-04 한전기공주식회사 다축펌프 원통형 축 커플링 분해 조립장치
KR200450089Y1 (ko) * 2008-05-26 2010-09-02 주식회사 화영 대형 캠축의 캠 조립 장치
CN108406687A (zh) * 2018-05-14 2018-08-17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大化水力发电总厂 卧式水轮发电机主轴拆卸方法及拆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79662A (ja) 金属製パイプ端に金属製フランジを溶接する装置
JP6041609B2 (ja) カップリングの抜取装置
KR200167524Y1 (ko) 축에 장착되어 있는 휠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CN201020709Y (zh) 一种管件升降压件机构
KR100967608B1 (ko) 다단펌프 수평 분해 및 조립용 작업대
JPS61128747A (ja) 電動機の分解,組立装置
KR100423429B1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CN115723070A (zh) 一种工件检修用检修台
JPH07308050A (ja) エレベータ用電動機の取外し組付け装置
CN209758967U (zh) 电控箱辅助安装的叉车头机构
JP3872475B2 (ja) ワーク回転装置
JP2001047375A (ja) ベアリング交換装置
KR200270251Y1 (ko) 유압탈착기
JP3751098B2 (ja) キャップシール除去装置
JPH10178765A (ja) 回転機器の分解、組立支援装置
CN210476093U (zh) 一种伺服轴承压机
JP2698289B2 (ja) ロール等回転機の軸受分解組立用装置
KR20020033272A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감속기 수리작업대
KR20040054971A (ko)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CN220161349U (zh) 一种钻孔深度可调的机械加工用钻孔设备
EP0106824B1 (en) Unit for handling of two-part tools
KR19980045945U (ko) 억지끼워 맞춤된 소형부품의 분해장치
CN209654950U (zh) 一种工业机器人用底座
KR100931654B1 (ko) 폭 압연용 에저롤의 쵸크 분해 및 조립 장치
KR200238076Y1 (ko) 소결광대차휠의분해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