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824B1 - 안전작업대 - Google Patents

안전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824B1
KR102255824B1 KR1020190153601A KR20190153601A KR102255824B1 KR 102255824 B1 KR102255824 B1 KR 102255824B1 KR 1020190153601 A KR1020190153601 A KR 1020190153601A KR 20190153601 A KR20190153601 A KR 20190153601A KR 102255824 B1 KR102255824 B1 KR 10225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body
inspection
inspected
support uni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훈섭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5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의 상측에 거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장치본체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점검대상물과 회전 접촉되면서 상기 장치본체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안전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작업대{Safety work table}
본 발명은 점검작업의 효율이 향상된 안전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종래의 롤의 점검작업 및, 연마 작업시 해당 롤의 롤러 테이블 가이드 커버(Roller Table Guide Cover) 및 모터 커버(Motor Cover) 등 안전로프 지그(Jig)를 설치하고 로프를 연결한 후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합판 여러 장을 직접 롤 상부에 안착시킨 후 안착시킨 그 합판 위에 올라가 롤의 점검작업 및, 연마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식의 경우는, 롤의 점검작업 및, 연마 작업을 위한 사전작업에 과도한 시간이 필요하고, 롤 구동을 위해 작업자의 철수 후 재 투입시 추락 및 전도, 화상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의 경우는, 작업자가 압연롤에 대한 점검 및 연마작업 시에는 작업자를 충분히 보호할 있는 안전시설물이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의 전반적인 점검 및 연마를 위해 롤을 회전할 필요가 있었다.
다만, 종래의 방식의 경우는, 작업자의 안전상의 문제 때문에 패널에서 자동구동방식이 아닌 롤러 테이블 기어(Roller Table Gear) 부분에 치구를 꽂아 회전시키는 수동회전방식이 적용되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종래의 방식의 경우는, 점검작업 및 연마 작업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고 작업자의 추락, 협착사고 등은 안전사고의 발생 및, 설비 고장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243132 Y1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점검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작업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회전하는 점검대상물 상에서 안정적으로 점검작업을 할 수 있는 안전작업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의 상측에 거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장치본체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점검대상물과 회전 접촉되면서 상기 장치본체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점검대상물은 원통형의 롤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부재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점검대상물의 폭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부가 설치되는 사이드구간; 및, 양측의 상기 사이드구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점검대상물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점검홀이 형성되는 센터구간;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각각의 상기 롤부재의 폭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쌍으로 이루도록 배치되는 안전작업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드구간은, 하부에 내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공간에는 점검대상물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터구간은, 점검대상물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점검홀; 및, 상기 점검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발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지지부는, 점검대상물과 접촉되도록 점검대상물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점검대상물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점검대상물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점검대상물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지지유닛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점검대상물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점검대상물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퀴부재; 및, 일측에 상기 제2 바퀴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장치본체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본체부의 테두리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난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하는 점검대상물 상에서 점검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회전하는 점검대상물 상에서 안정적으로 점검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작업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 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의 점검대상물의 직경에 따라 회전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작업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작업대는 장치본체부(100) 및, 회전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안전난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작업대는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의 상측에 거치되고, 상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장치본체부(100) 및,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점검대상물(R)과 회전 접촉되면서 상기 장치본체부(100)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의 상측에 거치되고, 상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을 한번에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는 장치본체부(100)가 강재 등으로 구성되면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장치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에 걸쳐서 설치되면서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의 하측에는 점검대상물(R)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의 사이드구간(110)과 센터구간(130)에 점검대상물(R)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에는 걸이구(170)가 형성되고, 걸이구(170)에 크레인 등의 결합되고, 크레인 등이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가 점검대상물(R)의 상측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점검작업이 진행되며, 점검작업이 종료되면 크레인이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를 점검대상물(R)의 상측에서 이탈시켜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지지부(200)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점검대상물(R)과 접촉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지지부(200)는 점검대상물(R)의 폭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에 걸쳐서 설치되고, 회전지지부(200)는 각각의 점검대상물(R)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점검대상물(R)은 원통형의 롤부재(R)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부(100)는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부재(R)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는 4개의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에 걸쳐서 설치되고, 각각의 점검대상물(R)에 회전지지부(200)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점검대상물(R)은 압연공정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압연롤일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는 강재 등으로 구성된 중량체로 제작되어,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는 장치본체부(100)가 복수 개의 롤부재(R)에 걸쳐서 설치되면서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달리, 안전작업대를 하나의 롤부재(R)에 설치될 경우에는, 롤부재(R) 상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는 안전작업대가 고정되지 않아 롤부재(R) 상에서 전도될 위험이 있는바, 별도로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필요하다는 점검작업을 위한 사전작업에 과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본체부(100)는, 점검대상물(R)의 폭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부(200)가 설치되는 사이드구간(110) 및, 양측의 상기 사이드구간(1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점검대상물(R)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점검홀(150)이 형성되는 센터구간(130)를 구비할 수 있다.
센터구간(130)은 평판형의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센터구간(130)에는 점검대상물(R)에 대응되는 수의 점검홀(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이드구간(110)은, 하부에 내입공간(117)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공간(117)에는 점검대상물(R)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구간(110)은, 점검대상물(R)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부(200)가 배치되도록, 사이드구간(110)의 하부에는 내입공간(117)이 형성될 수 있다.
내입공간(117)에는 회전하는 점검대상물(R)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이 배치될 수 있다.
내입공간(117)은 사이드구간(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입공간(117)에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이 회전하는 점검대상물(R)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은 점검대상물(R) 상부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점검대상물(R) 상에서 장치본체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에는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고, 점검대상물(R)에 거치되도록 장치본체부(100)의 사이드구간(110)에는 복수 개의 내입공간(117)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내입공간(117)에 회전지지부(200)가 배치되고, 회전지지부(200)가 회전하는 점검대상물(R)과 접촉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내입공간(117)에는 점검대상물(R)의 상부영역의 일부가 내입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가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R)의 상측을 벗어나면서 이탈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입공간(117)은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점검대상물(R)은 호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입공간(117)은 점검대상물(R)의 둘레방향에 대응되게 회전지지부(200)의 배치하기 위한 공간인바, 반드시 내입공간(117)이 점검대상물(R)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점검대상물(R)의 상부가 호상의 단면을 가질 경우, 내입공간(117)은 점검대상물(R)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호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구간(110)에서 하부판(115), 경사판(113), 상부판(111), 경사판(113)이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판(111)과 상부판(111) 양측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판(113)에 의해 내입공간(11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터구간(130)은, 점검대상물(R)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점검홀(150) 및, 상기 점검홀(150)의 주변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발판(16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점검홀(150)은 센터구간(130)에 형성된 개방부분으로, 점검홀(150)을 통해 점검대상물(R)의 상측이 노출될 수 있다.
점검홀(150)은 점검대상물(R)의 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점검대상물(R)은 원통형의 롤부재(R)로 구성되고, 점검홀(150)은 롤부재(R)의 폭방향으로 장변이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점검홀(150)은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의 표면 등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센터구간(130)의 폭방향 전체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사이드구간(110)에는 회전지지부(200)가 설치되는바, 사이드구간(110)까지는 점검홀(150)이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는 점검홀(150)을 통해 점검대상물(R)의 점검 및, 연마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작업발판(160)은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점검작업을 하는 작업공간이다.
점검홀(150)의 주변에는 작업발판(160)이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업발판(160)에서 점검홀(150)을 통해 점검대상물(R)의 점검작업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는 작업발판(160)에 선 상태에서 점검홀(150)을 통해 점검대상물(R)에 대한 점검작업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점검홀(150)을 통해 점검대상물(R)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점검대상물(R)에 부착된 이물질의 연마작업 등을 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의 센터구간(130)에는 점검대상물(R)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점검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점검대상물(R)이 롤부재(R)인 경우, 롤부재(R)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직사각형 형상의 점검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작업자의 팔 및, 작업공구 등의 길이를 감안하여 롤부재(R)의 폭방향 전체의 길이보다 다소 작은 형태의 점검홀(15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지지부(200)는, 점검대상물(R)과 접촉되도록 점검대상물(R)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이 배치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의 사이드구간(110) 하부에는 내입공간(117)이 형성될 수 있다.
내입공간(117)에는 회전하는 점검대상물(R)의 상부영역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은 점검대상물(R) 상부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점검대상물(R)과 회전 접촉되면서 점검대상물(R) 상에서 장치본체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지지부(200)는, 3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이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면서 점검대상물(R)의 상부와 회전 접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지지유닛(200U)은,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고정되고, 점검대상물(R)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200U-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유닛(200U-1)은 장치본체부(100)에 회전축을 매개로 고정되고, 제1 지지유닛(200U-1)의 하부영역이 장치본체부(10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점검대상물(R)과 회전 접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지유닛(200U-1)은 장치본체부(100)의 저면에서 내입되도록 고정되는 제1 회전축과, 제1 회전축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장치본체부(100)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점검대상물(R)과 회전 접촉되는 제1 바퀴부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유닛(200U-1)은 장치본체부(10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과, 제1 회전축에 설치되어 점검대상물(R)과 회전 접촉되는 제1 바퀴부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회전지지유닛(200U)은,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점검대상물(R)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200U-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에는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유닛(200U-2)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에 3개의 제2 지지유닛(200U-2)이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면서 점검대상물(R)의 상부와 회전 접촉될 수 있다.
1개의 제2 지지유닛(200U-2)이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의 회전축의 상측에 배치되고, 2 개의 제2 지지유닛(200U-2)이 그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지지유닛(200U-2)은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종방향 가상선을 기준으로 가상선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4개의 회전지지유닛(200U)이 점검대상물(R)의 둘레방향에 배치되고 점검대상물(R)의 상부와 회전 접촉될 수 있고, 회전축을 통과하는 종방향 가상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2개의 제2 지지유닛(200U-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가 설치되는 점검대상물(R)의 직경은 상이할 수 있고, 점검대상물(R)의 직경에 따라 제2 지지유닛(200U-2)이 장치본체부(100)에서 높이가 조절되면서 점검대상물(R)과 접촉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의 직경이 작아질 경우는 복수 개의 제2 지지유닛(200U-2) 중 양측 단부영역에 배치된 제2 지지유닛(200U-2)이 하강하면서 제2 바퀴부재(230)가 작은 직경을 가지는 롤부재(R)의 둘레방향 외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의 직경이 큰 경우는 단부영역에 배치된 제2 지지유닛(200U-2)의 제2 바퀴부재(23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의 직경이 작은 경우는 단부영역에 배치된 제2 지지유닛(200U-2)의 제2 바퀴부재(23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지지유닛(200U-2)이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점검대상물(R)에 대해 복수 개의 제2 지지유닛(200U-2)이 점검대상물(R)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지지유닛(200U)은, 상기 장치본체부(100)에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점검대상물(R)과의 접촉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200U-2)으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가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롤부재(R)에 적용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설비의 운용효율이 향상되면서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200U)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장치본체부(100)에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점검대상물(R)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200U-2)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회전지지유닛(200U)은,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고정되고, 점검대상물(R)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200U-1) 및, 상기 제1 지지유닛(200U-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점검대상물(R)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200U-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200U-2)은 제1 지지유닛(200U-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점검대상물(R)의 직경에 따라 제2 지지유닛(200U-2)이 장치본체부(100) 상에서 승강되면서 점검대상물(R)과 접촉될 수 있다.
회전축을 통과하는 종방향 가상선을 기준으로 제1 지지유닛(200U-1)의 양측에 제2 지지유닛(200U-2)이 대칭되는 형태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지지유닛(200U-2)은, 점검대상물(R)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퀴부재(230) 및, 일측에 상기 제2 바퀴부재(230)가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2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퀴부재(230)는 점검대상물(R)인 롤부재(R) 등과 회전 접촉되는 바퀴형 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높이조절부재(250)는 외부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부재(251)로 구성되고, 장치본체부(100)를 관통하는 내부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50)는 회전되면서 장치본체부(100)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을 따라 스크류부재(251)가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부재(251)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블록(253)을 매개로 제2 바퀴부재(230)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스크류부재(251)를 회전시키는 회전치구(255)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치구(255)의 홀에 강재로드(미도시) 등이 끼워진 상태에서 강재로드(미도시)를 회전시켜 스크류부재(2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블록(253)과 스크류부재(251)는 서로 연결되되, 지지블록(253)과 스크류부재(251)의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스크류부재(251)의 회전은 지지블록(253)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높이조절부재(250)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는 실린더부재(미도시)로 구성되고, 실린더부재의 일측에 제2 바퀴부재(2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작업대는 상기 장치본체부(100)의 테두리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난간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난간부(300)는 평면 상에서 장치본체부(100)의 테두리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안전난간부(300)는 작업자가 점검대상물(R)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점검대상물(R)에 부착된 이물질의 연마작업 등을 할 때, 본 발명의 안전작업대의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안전난간부(300)는 평면 상에서 장치본체부(100)의 테두리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는 평면상에서 4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안전난간부(300)는 장치본체부(100)의 4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핸드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장치본체부 110: 사이드구간
111: 상부판 113: 경사판
115: 하부판 117: 내입공간
130: 센터구간 150: 점검홀
160: 작업발판 170: 걸이구
200: 회전지지부 200U: 회전지지유닛
200U-1: 제1 지지유닛 200U-2: 제2 지지유닛
210: 제1 바퀴부재 230: 제2 바퀴부재
250: 높이조절부재 251: 스크류부재
253: 지지블록 255: 회전치구
300: 안전난간부 R: 점검대상물, 롤부재

Claims (11)

  1. 복수 개의 점검대상물의 상측에 거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장치본체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점검대상물과 회전 접촉되면서 상기 장치본체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점검대상물은 원통형의 롤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부재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점검대상물의 폭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부가 설치되는 사이드구간; 및,
    양측의 상기 사이드구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점검대상물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점검홀이 형성되는 센터구간;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각각의 상기 롤부재의 폭방향 양측 단부영역에 쌍으로 이루도록 배치되는 안전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구간은,
    하부에 내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공간에는 점검대상물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구간은,
    점검대상물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점검홀; 및,
    상기 점검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발판;을 구비하는 안전작업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점검대상물과 접촉되도록 점검대상물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회전지지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점검대상물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으로 구비되는 안전작업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점검대상물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으로 구비되는 안전작업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점검대상물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지지유닛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점검대상물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제2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안전작업대.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점검대상물에 회전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바퀴부재; 및,
    일측에 상기 제2 바퀴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장치본체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안전작업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의 테두리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난간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작업대.
KR1020190153601A 2019-11-26 2019-11-26 안전작업대 KR10225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01A KR102255824B1 (ko) 2019-11-26 2019-11-26 안전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01A KR102255824B1 (ko) 2019-11-26 2019-11-26 안전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824B1 true KR102255824B1 (ko) 2021-05-25

Family

ID=7614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601A KR102255824B1 (ko) 2019-11-26 2019-11-26 안전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8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246Y1 (ko) * 1995-10-14 2000-01-15 이구택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KR200203849Y1 (ko) * 2000-06-26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압연스탠드의 롤표면 검사장치
KR200243132Y1 (ko) 1997-06-04 2001-11-30 이구택 압연롤 교체를 위한 롤센터조정 및 표면검사장치
KR20040087029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직경 확대가 가능한 브러쉬 롤 장치
KR20150073341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246Y1 (ko) * 1995-10-14 2000-01-15 이구택 텐션 브라이들 롤 스트립 통판용 가이드
KR200243132Y1 (ko) 1997-06-04 2001-11-30 이구택 압연롤 교체를 위한 롤센터조정 및 표면검사장치
KR200203849Y1 (ko) * 2000-06-26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압연스탠드의 롤표면 검사장치
KR20040087029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직경 확대가 가능한 브러쉬 롤 장치
KR20150073341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3527C (en) Pallet cutting machine
KR102255824B1 (ko) 안전작업대
KR100428531B1 (ko) 로터의 지지장치
JPS63185548A (ja) 円形断面の細長い工作物の末端から余分の材料を自動的または半自動的に除去する装置
KR20180037549A (ko) 선박 기관실용 크레인 수리를 위한 비상 접근용 대차
KR100782682B1 (ko) 압연롤 회전장치
JP6362571B2 (ja) 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用治具
KR20040054971A (ko)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KR102030159B1 (ko) 압연 코일 검사 장치
JPH08132307A (ja) 姿勢調整機構付旋回架台
KR100804945B1 (ko) 롤의 넥크부 정도 유지장치
KR100566660B1 (ko) 압연롤 쵸크 회전장치
KR100825329B1 (ko) 백업롤용 오토클램프 자동 장탈착장치
CN216265875U (zh) 一种检修支撑装置及动车组齿轮箱齿轮检修装置
KR20040105887A (ko) 롤 연삭기
KR100742883B1 (ko) 분해용 유압너트 정비장치
KR20060074035A (ko) 알루미늄 용접 비드 드레싱장치
KR101368941B1 (ko) 백업롤 교환장치
KR101511722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KR20220000146U (ko) 용접지그장치
KR100508649B1 (ko) 비·유·알 쵸크착탈장치
KR970007053Y1 (ko) 슬리브(Sleeve)회수장치
KR20230001349U (ko) 안전밸브 디스크 랩핑 장치
KR101665290B1 (ko) 선박 기관실용 크레인 수리를 위한 비상 접근용 대차
JPS63216646A (ja) ロ−ルチヨツク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