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722B1 -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722B1
KR101511722B1 KR20130117388A KR20130117388A KR101511722B1 KR 101511722 B1 KR101511722 B1 KR 101511722B1 KR 20130117388 A KR20130117388 A KR 20130117388A KR 20130117388 A KR20130117388 A KR 20130117388A KR 101511722 B1 KR101511722 B1 KR 10151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upport plate
heigh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962A (ko
Inventor
이정익
박창진
정원용
민병찬
김형호
표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1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7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54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moving the slag from the surface of the melt
    • F27D3/1563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moving the slag from the surface of the melt by the use of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87Treatment of slags covering the steel bath, e.g. for separating slag from the molten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는 대상물을 지지해주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대상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부재,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정렬을 맞추어주는 정렬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 및 상기 정렬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 및 상기 정렬부재를 지지해주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대상물에 대한 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Supporing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해주는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용선작업을 할 때 레이들(ladle) 내부에 형성된 용강 상부에 슬래그(slag)가 생성된다. 이러한, 슬래그를 제거하지 않은 채 레이들 내부의 용강을 정련로에 투입하면 취련시간의 증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금속의 산화증대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들의 용강 상부에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해, 슬래그 배재기를 사용하여 레이들 상부에 떠있는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장기간 수행하면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arm)의 연결 플레이트와 패들(paddle)이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와 패들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줄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연결 플레이트의 교체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3명의 작업자가 한 조를 이루어 연결 플레이트를 교체했다. 즉, 두 명의 작업자가 연결 플레이트를 잡아주는 동안 다른 한 명의 작업자가 산소절단기나 용접기를 사용하여 연결 플레이트를 분리하거나 용접했다. 그러나, 연결 플레이트가 무겁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많고, 여러 인원이 교체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정비비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52643
본 발명은 작업자가 대상물에 대한 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는 대상물을 지지해주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대상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부재,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정렬을 맞추어주는 정렬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 및 상기 정렬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 및 상기 정렬부재를 지지해주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단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틸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과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정렬부재의 하부와 연결된다.
상기 틸트부재는 일측이 상기 기울기 조절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높이조절 부재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기울기 조절부재는, 소정면적을 가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부와 후단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바,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바와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바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 단부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바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상부바와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바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부에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는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꺾이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은 플레이트를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장치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지지장치를 상기 플레이트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지지장치를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있는 설비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절단하는 과정,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되는 설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새로운 플레이트를 상기 설비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장치를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지지장치의 높이를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로 맞추는 과정, 상기 지지장치의 기울기를 상기 플레이트의 기울기로 맞추는 과정, 및 상기 지지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맞추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설비는 슬래그 배재기의 연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의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장치는 높이조절 부재와 정렬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높이조절 부재와 정렬부재를 통해 지지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지지장치가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지지장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대상물이 높은 곳에 위치해 있거나 또는 기울어지거나 틀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지지장치가 대상물과 접촉하여 대상물을 지지해줄 수 있고, 작업자가 대상물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장치가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의 플레이트를 지지해주는 경우, 지지장치가 무거운 플레이트를 지지해주기 때문에, 한 명의 작업자가 플레이트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직접 플레이트를 잡고 교체작업을 진행했을 때보다 안전사고의 위험이 낮아지고, 정비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과 패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암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지장치가 슬래그 배재기의 연결암을 지지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대상물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장치는 대상물을 지지해주는 장치로서, 지지 플레이트와, 높이조절 부재, 정렬부재, 및 받침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과 패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지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슬래그 배재기(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래그 배재기(300)는 레이들(100) 내의 용선 또는 용강(10)의 상부에 떠있는 슬래그층(20)을 슬래그 포트(200)로 떨어뜨려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슬래그층(20)을 긁어내는 패들(330)과, 패들(330)과 연결되는 연결암(310), 및 연결암(310)과 연결되는 배재기 본체(350)를 포함한다. 이에, 배재기 본체(350)가 연결암(31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연결암(310)에 연결된 패들(330)이 레이들(100) 내 슬래그층(20)을 슬래그 포트(200)로 긁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다.
배재기 본체(350)는 주행바퀴(미도시)와 실린더(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배재기 본체(350)는 주행 레일(미도시) 상에 배치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351)가 후술될 연결암(310)과 연결되어 연결암(31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재기 본체(350)의 작동으로 연결암(310)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이와 연결된 패들(330)의 이동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암(310)은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단부가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암(310)의 단부가 굴절되었기 때문에, 연결암(310)의 단부가 레이들(100) 내 슬래그 층(20)을 긁어내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연결암(310)의 단부에는 연결 플레이트(315)가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315)는 산소 절단기를 사용하여 연결암(3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용접기를 사용하여 연결암(310)과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연결 플레이트(315)는 소정면적을 가지고 있고,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315)는 후술될 패들(3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암(310)이나 연결 플레이트(315)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315)를 연결암(31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하거나 접합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들(330)은 'ㄱ' 모양으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들(33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연결부(33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331)의 내부에는 연결 플레이트(315)의 돌출되는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315)의 돌출되는 부분을 패들(330)의 연결부(331)에 삽입하고, 연결 플레이트(315)의 돌출되는 부분과 연결부(331)가 중첩되는 부분을 체결볼트(316)를 관통시켜 패들(330)이 연결 플레이트(3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패들(330)은 연결 플레이트(315)가 접합된 연결암(310)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암(310)이 이동하면 연결암(3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패들(330)의 형상이나 구조, 연결 플레이트(315)와 연결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슬래그 배재기(310)를 사용하면 패들(330)과 연결 플레이트(315)가 마모되기 때문에 교체해줄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지지장치(500)의 구조와 사용되는 영역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지지장치(500)가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310)에 접합된 연결 플레이트(315)를 지지하는 경우로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장치(500)는 대상물을 지지해주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대상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51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부재(520),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의 정렬을 맞추어주는 정렬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520) 및 상기 정렬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520) 및 상기 정렬부재를 지지해주는 받침대(550)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510)는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15)가 접촉하고 안착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진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510)의 단부에는 지지 플레이트(510)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 부재(512)가 하나 이상이 형성되거나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연결 플레이트(315)가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미끄럼방지 부재(512)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플레이트(510)의 형상이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높이조절 부재(520)는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5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 부재(520)는 제1 프레임(522a)과, 제2 프레임(522b), 제3 프레임(522c), 제4 프레임(522d), 조정바(524), 및 핸들(5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522a)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이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체결된다. 제2 프레임(522b)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일단이 제1 프레임(522a)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정렬부재의 상부와 체결된다. 제3 프레임(522c)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이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체결된다. 제4 프레임(522d)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일단이 제3 프레임(522c)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정렬부재의 상부와 체결된다. 즉, 제1 프레임(522a), 제2 프레임(522b), 제3 프레임(522c), 제4 프레임(522d)은 마름모 모양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조정바(524)는 긴 막대모양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조정바(524)는 제2 프레임(522b)이 제1 프레임(522a)에 연결되는 부분과 제4 프레임(522d)이 제3 프레임(522c)이 연결되는 부분을 관통한다. 핸들(526)은 조정바(524)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핸들(526)을 돌리면 조정바(52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526)을 통해 조정바(524)를 돌리면, 제2 프레임(522b)이 제1 프레임(522a)에 연결되는 부분과 제4 프레임(522d)이 제3 프레임(522c)에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리 변화로 높이조절 부재(520)의 높이가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즉, 핸들(526)을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522a,522b,522c,522d)들과 체결된 지지 플레이트(510)와 정렬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지지 플레이트(5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이조절 부재(520)의 형상이나 구조,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 부재(5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정렬부재는 기울기 조절부재(530)를 포함하고, 틸트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조절부재(530)는 지지 플레이트(5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울기 조절부재(530)는 연결부재(535)와, 상부바(531), 하부바(532)를 포함하고, 지지바(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535)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소정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바(531)는 연결부재(535)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부바(531)의 끝단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구멍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바(532)는 받침대(550)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은 받침대(55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바(531)에 형성된 구멍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바(532)에서 상부바(531) 내로 삽입되는 부분은 상부바(531) 구멍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5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바(531)의 타단에는 레버(53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533)를 돌리면 상부바(531)가 회전하면서 상부바(531) 내 하부바(532)의 삽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레버(533)를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535) 전단부와 후단부에 구비되는 상부바(531)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조절하면, 연결부재(535)가 기울어질 수 있고, 이와 연결된 높이조절 부재(520)와 지지 플레이트(510)도 연결부재(535)를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535)의 좌우 단부에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바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550)에는 상기 상부바와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바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535)의 전후 기울기뿐만 아니라 좌우 기울기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535)와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510)도 연결부재(535)를 따라 전후좌우로 기울기가 조정되어, 지지 플레이트(510)를 대상물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정렬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기울기 조절부재(530)의 구조나 형상,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조절부재(53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바(540)는 연결부재(535)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연결부재(535)와 연결되고 타단이 받침대에 연결된다. 즉, 지지바(54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바 본체(542)와, 지지바 본체(542)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하여 꺾이도록 설치되는 회전부(541)를 포함한다. 이에, 지지바(540)는 연결부재(535)를 지지해줄 수 있고, 연결부재(535)가 상부바(531)와 하부바(532)를 통해 기울어지더라도 연결부(541)가 연결부재(535)의 이동에 따라 꺾여 연결부재(535)를 지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540)의 구조와 형상,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틸트부재가 높이조절 부재(520)와 기울기 조절부재(530)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틸트부재의 일측은 기울기 조절부재(530)에 고정되고, 타측은 높이조절 부재(520)와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틸트부재의 타측과 연결된 높이조절 부재(520)와 지지 플레이트(510)가 틸트부재에 의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510)와 접촉시키려는 대상물이 틀어져 있어도, 틸트부재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510)를 회전시켜 지지 플레이트(510)가 용이하게 대상물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틸트부재의 구조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받침대(550)는 지지 플레이트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550)는 정렬부재의 하부와 연결되며 소정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받침대(550)는 정렬부재를 지지할 수 있고, 이와 연결된 높이조절 부재(520)와, 지지 플레이트(510)를 지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받침대(550)의 형상이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지지장치(500)의 형상이나 구조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생략되거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암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 교체방법은, 플레이트를 지지장치(500)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지지장치(500)를 상기 플레이트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지지장치(500)를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있는 설비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절단하는 과정,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되는 설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새로운 플레이트를 상기 설비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설비는 철강공정에서 사용되는 슬래그 배재기의 연결암(310)일 수 있고, 플레이트는 연결암(310)과 결합되어 있는 연결 플레이트(315)일 수 있다.
슬래그 배재기를 사용하다가 연결 플레이트(315)가 마모되면 교체해줄 필요가 있다.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310)의 연결 플레이트(315)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 플레이트(315)에 연결된 패들을 분리해야 한다. 연결 플레이트(315)와 패들을 연결시켜주는 체결볼트를 풀어주고 연결 플레이트(315)의 돌출된 부분을 패들의 연결부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와 같이 연결암(310)을 이동시켜 연결 플레이트(315)를 지지장치(500)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는, 지지장치(500)를 연결 플레이트(315)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도 4b와 같이 핸들(526)을 통해 높이조절 부재(5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높이조절 부재(520)와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510)가 연결 플레이트(315)와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510)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기울기 조절부재(530)의 레버(533)를 통해 연결부재(535) 전단부와 후단부의 상부바(531)와 하부바(5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연결 플레이트(315)가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연결부재(535) 전단부와 후단부의 상부바(531)와 하부바(532)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연결부재(535)의 기울기가 변화할 수 있고, 이와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510)의 기울기도 조절하여 지지 플레이트(510)와 연결 플레이트(315)의 기울기를 맞추어 지지 플레이트(510)가 연결 플레이트(315)와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315)가 틀어져 있다면 틸트부재를 이용하여 연결 플레이트(315)와 지지 플레이트(510)의 정렬을 맞출 수 있다. 즉, 틸트부재가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연결된 높이조절 부재(520)와 지지 플레이트(510)가 틸트부재의 회전을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연결 플레이트(315)의 위치가 틀어져 있어도 틸트부재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510)를 좌나 우로 회전시켜 지지 플레이트(510)를 연결 플레이트(315)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315)가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315)가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이 되면, 도 4c와 같이 절단기(50)를 사용하여 연결암(310)과 연결 플레이트(315)가 접합되는 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도 4d와 같이 핸들(526)을 통해 높이조절 부재(520)의 높이를 낮추어 지지 플레이트(51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연결암(310)은 지지 플레이트(510) 상측에 그대로 위치해 있고, 연결 플레이트(315)는 연결암(310)으로부터 분리되어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510)와 함께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315)를 지지 플레이트(510)로부터 꺼내어 별도로 처리할 수 있다.
마모된 연결 플레이트(315)를 분리한 후 교체할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암(3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분리시키는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먼저,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 교체할 연결 플레이트를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526)을 통해, 높이조절 부재(5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 안착된 교체할 연결 플레이트의 높이를 연결암(310)의 위치로 맞추고, 정렬부재를 통해 연결암(310)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진 위치만큼 지지 플레이트(510)의 위치를 조정하여 연결 플레이트가 연결암(310)에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연결 플레이트와 연결암(310)의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용접할 수 있다. 이에, 연결 플레이트와 연결암(310)이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장치(500)를 이용하여 연결 플레이트(315)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면 사람이 아닌 지지장치(500)가 연결 플레이트(315)를 지지해주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낮아지고 정비비도 절약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지지장치가 슬래그 배재기의 연결암을 지지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는 다양한 대상물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00: 슬래그 배재기 310: 연결암
315: 연결 플레이트 500: 지지장치
520: 높이조절 부재 530: 기울기 조절부재
550: 받침대

Claims (12)

  1. 대상물을 지지해주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대상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부재;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정렬을 맞추어주는 정렬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 및 상기 정렬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 및 상기 정렬부재를 지지해주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단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틸트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과 연결되고,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정렬부재의 하부와 연결되는 지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틸트부재는 일측이 상기 기울기 조절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높이조절 부재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부재는, 소정면적을 가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부와 후단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바,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바와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바를 포함하는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 단부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바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상기 상부바와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바가 설치되는 지지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부에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는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꺾이도록 설치되는 지지장치.
  10.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의 연결 플레이트를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지지장치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지지장치를 상기 연결 플레이트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지지장치를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으로부터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절단하는 과정;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결합되는 상기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새로운 연결 플레이트를 상기 슬래그 배재기 연결암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교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를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지지장치의 높이를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로 맞추는 과정, 상기 지지장치의 기울기를 상기 플레이트의 기울기로 맞추는 과정, 및 상기 지지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맞추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교체방법.
  12. 삭제
KR20130117388A 2013-10-01 2013-10-01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KR10151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388A KR101511722B1 (ko) 2013-10-01 2013-10-01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388A KR101511722B1 (ko) 2013-10-01 2013-10-01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62A KR20150038962A (ko) 2015-04-09
KR101511722B1 true KR101511722B1 (ko) 2015-04-13

Family

ID=5302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388A KR101511722B1 (ko) 2013-10-01 2013-10-01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629B1 (ko) * 2018-07-30 2020-07-30 주식회사 포스코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944A (ja) * 1985-12-02 1994-02-22 Du Pont Merck Pharmaceut Co 経口投与のための鎮痛剤
JPH0728953A (ja) * 1993-07-08 1995-01-31 Nec Corp 文字検出装置
JP2000273522A (ja) * 1999-03-26 2000-10-03 Nisshin Steel Co Ltd 溶融金属用容器の底部所要部の交換装置
KR200301057Y1 (ko) 1998-05-08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침적노즐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944A (ja) * 1985-12-02 1994-02-22 Du Pont Merck Pharmaceut Co 経口投与のための鎮痛剤
JPH0728953A (ja) * 1993-07-08 1995-01-31 Nec Corp 文字検出装置
KR200301057Y1 (ko) 1998-05-08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침적노즐 투입장치
JP2000273522A (ja) * 1999-03-26 2000-10-03 Nisshin Steel Co Ltd 溶融金属用容器の底部所要部の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62A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3100B (zh) 对头焊缝自动修磨装置
CN107366214B (zh) 用于联接地面加工机的机架与工作装置的方法、地面加工装置和用于该方法的连接设备
KR101842883B1 (ko) 격자지보 자동용접장치
TWI480217B (zh) 上下輥筒之分離取出裝置
KR101511722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KR101708908B1 (ko) 비계용 발판 제조용 용접장치
CN112705888A (zh) 焊接机器及相关方法
KR101567752B1 (ko) 비계용 수직비계봉 용접장치
KR101538781B1 (ko) 압연롤 베어링블럭 탈부착장치
CN203887668U (zh) 一种钢板板边除锈打磨装置
CN109128389A (zh) 一种铝棒剥皮机
KR101581658B1 (ko) 타이어 교체용 자동차 리프트 장치
KR102080121B1 (ko) 회전구조를 갖는 곡면대상물용 웰드작업장치
JP2008137140A (ja) グラインダ保持装置
KR101636729B1 (ko) 포트롤 안전 조립장치
EP3741591A1 (en) Tyre-changing machine, particularly for large wheels
KR101035897B1 (ko) 철판 절단 및 용접기능을 갖는 기능성 용접기
JP2005511306A (ja) 管溶接スタンドにおけるロール交換方法および装置
KR20110103007A (ko) 철도차량의 루프패널용 용접장치
JP6935316B2 (ja) トロリ線の接続部研磨装置
KR20170024398A (ko) 인쇄롤 탈부착 장치
KR101702446B1 (ko) 금속 소재의 절단부 절삭 장치
KR101044760B1 (ko) 플래쉬버트 용접기 전극 교체 장치
KR101676166B1 (ko) 고소 중량물 교체장치
KR101711152B1 (ko) 자동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