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629B1 -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629B1
KR102139629B1 KR1020180088686A KR20180088686A KR102139629B1 KR 102139629 B1 KR102139629 B1 KR 102139629B1 KR 1020180088686 A KR1020180088686 A KR 1020180088686A KR 20180088686 A KR20180088686 A KR 20180088686A KR 102139629 B1 KR102139629 B1 KR 10213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le
case
arm
separation devic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464A (ko
Inventor
신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6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22D43/001Retaining slag during pour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진 및 후진 가능한 암과, 암의 일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장치에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패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와 상기 패들과 대향하는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패들이 변형되거나 용손되는 경우에도 배재장치로부터 패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Separation apparatus for padd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물 상부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배재장치의 패들을 분리할 수 있는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에는 탄소의 함유량이 많고 인(P), 황(S), 규소(Si)와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있어 탄소의 양을 줄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공정이 요구된다. 이때, 정련공정을 수행하기 앞서 용선 중 황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선예비처리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용선예비처리공정은 고로에서 출선된 용선을 용선예비처리설비로 이송하여 기계적 교반(Kanvara Reactor, 이하 "KR 공정")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용선예비처리공정, 예컨대 KR 공정은 혼선차에 의해 이송된 용선을 래들에 장입한 후 전배재, 기계적 교반 및 후배재를 거쳐 완료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적 교반은 임펠러를 이용하여 용선을 교반하면서 용선에 생석회(CaO), 형석 등을 포함하는 탈황제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용선이 교반되면서 투입되는 탈황제와 반응하여 용선 중 황 성분이 재화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재공정은 스키머라 불리우는 슬래그 배재장치를 이용하여 용선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그, 예컨대 고로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슬래그 배재장치는 용선이 수용된 용기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과, 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배재공정은 용선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고, 암을 전진시켜 용선 상부에 패들을 배치시킨 후, 암을 전후진시키는 동작을 수 회 반복하여 패들이 용선 상부에 떠있는 슬래그를 긁어 내어 용기 하부에 배치되는 슬래그 포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배재공정을 수행한 이후에는 패들에 다량의 슬래그가 부착되어 슬래그를 제대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패들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줄 필요가 있다. 그런데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패들이 변형되거나 패들을 교체하는데 필요한 연결 고리 등과 같은 구조물이 용손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패들을 암으로부터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패들을 암으로부터 분리할 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들과 슬래그는 다량의 철을 함유하고 있는데, 암에서 분리된 패들과 슬래그는 슬래그 포트에 담겨져 슬래그와 함께 폐기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0-0005163 U
본 발명은 변형되거나 용손된 경우에도 패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패들 분리장치는, 전진 및 후진 가능한 암과, 암의 일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장치에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패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와 상기 패들과 대향하는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면과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패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지면으로부터 이격 및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회전 가능한 휠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휠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패들 분리방법은, 전진 및 후진 가능한 암과, 암의 일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장치에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암의 전방에 상기 패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패들 분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 상기 패들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암과 상기 패들이 연결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암을 상대이동시켜 상기 패들을 상기 패들 분리장치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암으로부터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패들 분리장치의 이동을 방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패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암을 전진시키거나 상기 패들 분리장치를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암을 상기 패들 분리장치에서 회피시키는 과정; 상기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패들을 반출하여 고철 처리 장소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재장치의 패들을 암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패들이 변형되거나 용손되는 경우에도 배재장치로부터 패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주소, 패들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들 및 패들에 부착된 슬래그를 철원으로 제철공정에서 철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배재장치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배재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배재장치의 암에 패들을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배재장치의 암으로부터 패들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A-A'에 따른 패들 분리장치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배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배재장치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배재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배재장치의 암에 패들을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배재장치의 암으로부터 패들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A-A'에 따른 패들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재장치(300)는 래들(100) 내의 용선, 용강 등과 같은 용융물(10)의 상부에 떠있는 슬래그(20)를 슬래그 포트(200)로 떨어뜨려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슬래그(20)를 긁어내는 패들(330)과, 패들(330)을 지지하는 암(320) 및 암(320)과 연결되어 암(320)을 지지하는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암(32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암(320)의 단부에 연결된 패들(330)이 래들(100) 내 슬래그(20)를 슬래그 포트(200)로 긁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다.
본체(310)는 주행바퀴(미도시)와 구동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체(310)는 주행 레일(미도시) 상에 배치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340)가 암(3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체(310)의 작동으로 암(320)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이와 연결된 패들(3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암(320)은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단부가 굴절되어 형성되는 암 몸체(321)와, 암 몸체(321)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 플레이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암 몸체(321)는 단부가 굴절되었기 때문에, 암 몸체(321)의 단부가 래들(100) 내 슬래그(20)를 긁어내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2)는 암 몸체(321)의 단부에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322)는 산소 절단기를 사용하여 암 몸체(32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용접기를 사용하여 암 몸체(321)와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연결 플레이트(32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있고,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322)는 후술될 패들(330)과 연결하기 위한 제1관통구(3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구(324)는 연결 플레이트(322)에서 돌출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암 몸체(321)나 연결 플레이트(3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패들(330)은 'ㄱ' 모양으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들 몸체(331)와, 패들 몸체(33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32)의 내부에는 연결 플레이트(322)의 돌출되는 부분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슬릿(332a)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32)에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336)를 체결하기 위한 제2관통구(3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구(334)는 패들(330)과 연결 플레이트(322)를 결합했을 때 제1관통구(32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336)를 제2관통구(334)와 제1관통구(324)에 삽입하여 패들 몸체(331)를 연결 플레이트(322)에 고정시킴으로써 패들(330)과 암(32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패들 몸체(331)에는 패들(330)를 암(3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체결고리(338)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고리(338)는 연결부재(332)의 외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고리(338)에는 쇠사슬이나 와이어 등과 같은 견인부재(340)가 연결될 수 있다. 체결고리(338)는 용접 등을 통해 패들 몸체(33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들(330)을 암(320)에 연결하는 경우, 패들(330)를 소정 위치에 배치시킨 후 암(320)을 후진시켜 연결 플레이트(322)의 돌출되는 부분이 패들 몸체(331)의 연결부재(332)에 형성되는 슬릿(332a)에 삽입되도록 하고, 고정부재(336)를 제2관통구(334)와 제1관통구(324)에 삽입하여 패들(330)을 연결 플레이트(322)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패들(330)은 연결 플레이트(322)가 접합된 암(320)과 연결될 수 있고, 암(320)이 이동하면 암(3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배재장치(300)를 사용하면 패들(330)과 연결 플레이트(322)가 마모되고, 패들(330)에 다량의 슬래그가 부착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패들(330)을 교체해줄 필요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패들(330)을 암(3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체결고리(338)에 쇠사슬이나 와이어 등과 같은 견인부재(340)를 연결하고, 고정부재(336)를 제1관통구(324)과 제2관통구(334)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견인부재(340)의 일측은 체결고리(338)에 연결하고, 타측은 다른 주변 설비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암(320)을 전진시키면 연결 플레이트(322)가 패들(330)의 연결부재(332)의 슬릿(332a)으로부터 빠져나가면서 패들(330)이 암(320)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패들(330)은 슬래그 포트(200)로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슬래그 배재 시 견인부재(340)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고리(338)가 용손되거나 패들(330)이 변형되는 경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암(320)으로부터 패들(330)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암(320)에서 패들(330)을 분리한 경우, 분리된 패들(330)이 슬래그 포트(200)로 떨어져 슬래그와 함께 처리되기 때문에 다량의 철을 함유하는 슬래그와 패들(330)이 버려지게 되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들(330)이 변형되거나 체결고리(338)가 용손된 경우에도 암(320)으로부터 패들(33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패들(330)을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들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암에서 패들을 분리할 때 체인 등과 같은 견인부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패들은 체결고리를 포함할 수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A-A'에 따른 플레이트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장치는, 내부에 패들(33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 및 후면이 개방되는 (410)와, 케이스(410)의 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420) 및 케이스(4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들 분리장치는 패들(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460)와, 지지부재(46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는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양측면 및 전면을 포함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패들(33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41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은 패들(330)은 물론, 패들(330)에 부착된 슬래그, 예컨대 부착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의 높이는 적어도 패들(33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410)의 전면은 양측면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암(320)에서 패들(330)을 분리하기 위해, 패들(330)을 케이스(410)의 전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암(320)을 전진시켜야 하는데, 이때 전면에 많은 충격이 가해져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면은 양 측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패들(330)을 분리하기 위해 암(320)을 전진시키는 경우, 암(320)이 주변 설비에 부딪히거나 암(320)과 패들(330)에 부착된 부착물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 측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전면의 높이를 양측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경우, 패들(330) 분리를 위해 암(320)이 이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 예컨대 이동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여유 공간은 이동 공간의 상부에 전면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420)는 케이스(410)에 연결되어 케이스(4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420)는 케이스(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케이스(41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도어(420)는 케이스(410)의 양측면 하부에 제1힌지(422)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패들(330)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수용 공간을 폐쇄하고, 패들(330)을 수용 공간으로 진입시키거나 분리된 패들(330)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수용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패들 분리 시 배재장치(3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410)에는 이동부재(4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430)은 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케이스(4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패들 분리 시 패들(330)을 케이스(410) 내부의 수용 공간에 배치시킨 후 암(320)을 전진시켜 암(320)으로 패들(33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암(320)이 전진하면 패들(330)이 케이스(410)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케이스(410) 전체가 암(32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들(330)이 암(3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410)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패들(330) 분리 시 암(32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케이스(410)가 이동하지 않도록 케이스(410)를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440)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440)는 이동부재(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430)나 케이스(4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0)의 이동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4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토퍼(440)는 케이스(410)의 외측 전면에 제2힌지(442)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스토퍼(440)는 패들(330)을 교체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스(4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패들(33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지면에 접촉하여 케이스(410)를 지지함으로써 케이스(4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450)는 케이스(410)에 구비되어 패들(330) 분리 시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패들(330), 즉 슬래그가 부착된 패들(3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은 패들(330)에 부착되는 슬래그의 크기 또는 부피를 고려하여 패들(33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암(320)으로부터 패들(330)을 분리되었을 때 패들(330)이 수용공간 내부에서 떨어져서 케이스(410)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4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패들(3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패들(3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 내에서 패들(33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암(32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케이스(410)에 충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승강부(450)는 케이스(410) 내부, 즉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승강대(452)와, 케이스(410) 외부에서 승강대(452)와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승강대(45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4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 내부에는 패들(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46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460)는 승강대(452)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승강대(452)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암(320)에서 분리된 패들(330)은 케이스(410)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데, 이때 지게차의 포크로 지지부재(460)를 들어올려 패들(330)과 함께 케이스(410)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460)는 패들(330)에 부착된 슬래그가 떨어져 케이스(410) 내부 공간과 승강대(452)를 오염시키는 것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6은 패들을 분리하기 위해 패들 분리장치를 준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암에서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을 암에서 분리된 패들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들 분리방법은, 배재장치(300)의 일측에 패들 분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과, 케이스(410)의 내부 공간에 패들(330)을 삽입하는 과정과, 암(320)과 패들(330)이 연결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암(320)을 상대 이동시켜 암(320)에서 패들(330)을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들 분리장치를 이동시켜 배재장치(300)의 일측에 배치한다. 여기에서 배재장치(300)의 일측이라 함은 패들(330)이 연결된 암(320)의 단부 측을 의미할 수 있으며, 패들 분리장치는 패들(330)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패들 분리장치를 배재장치(300)의 일측에 배치한 후,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440)를 회전시켜 지면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도어(420)를 회전시켜 케이스(410) 내부의 수용공간을 개방한다.
이후,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320)을 전진, 즉 패들 분리장치 측으로 이동시켜 패들(330)을 케이스(41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킨다.
패들(330)이 케이스(41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20)를 회전시켜 수용공간을 폐쇄한다.
다음,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50)의 구동기(454)를 작동시켜 승강대(452)를 상승시킨다. 승강대(452) 상부에는 지지부재(4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460)는 승강대(452)와 함께 이동하면서 패들(3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460)와 패들(330)이 접촉하면 구동기(454)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패들(330)이 지지부재(460)에 의해 지지되면, 패들(330)과 암(320)을 연결하고 있는 고정부재(336)를 제거하고,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320)을 전진시켜 패들(330)을 분리한다. 암(320)이 전진하면, 패들(330)은 수용공간 내에서 케이스(410)의 전면에 접촉하게 되고, 케이스(410)는 스토퍼(44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암(320)의 전진에 의해 암(320)의 연결 플레이트(322)가 패들(33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332)로부터 빠지면서 암(320)에서 패들(330)을 분리할 수 있다. 암(320)에서 패들(330)이 분리되면, 암(320)을 후진시켜 케이스(410)로부터 회피시킨다.
이후,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40)를 회전시켜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패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소로 케이스(410), 즉 패들 분리장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20)를 회전시켜 내부공간을 개방한다. 다음,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의 포크를 케이스(41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진입시켜 지지부재(460)를 들어올려 패들(330)을 케이스(410)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케이스(410) 외부로 반출된 패들(330)은 고철을 처리하는 장소로 이송한 후 제철공정에서 철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가공하거나,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암(320)을 이동시켜 패들(330)을 분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패들(330)을 이동시켜 암(320)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들 분리장치의 이동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패들 분리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암(320)에서 패들(33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재장치의 암으로부터 패들을 분리하면, 패들에 견인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고리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분리된 패들은 제철공정에서 철원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철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암 110 : 브라켓
120 : 패들 130 : 와이어

Claims (14)

  1. 전진 및 후진 가능한 암과, 암의 일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장치에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패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와 상기 패들과 대향하는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패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패들 분리장치.
  2. 전진 및 후진 가능한 암과, 암의 일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장치에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상기 패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와 상기 패들과 대향하는 일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지면으로부터 이격 및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패들 분리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면과 양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하는 패들 분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패들 분리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패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패들 분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패들 분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패들 분리장치.
  8. 삭제
  9. 청구항 2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회전 가능한 휠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휠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패들 분리장치.
  10. 전진 및 후진 가능한 암과, 암의 일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패들을 포함하는 배재장치에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암의 전방에 상기 패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패들 분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
    상기 패들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시키는 과정;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패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과정; 및
    상기 암과 상기 패들이 연결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암을 상대이동시켜 상기 패들을 상기 패들 분리장치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암으로부터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패들 분리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패들 분리장치의 이동을 방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들 분리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패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부재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들 분리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암을 전진시키거나 상기 패들 분리장치를 후진시키는 패들 분리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패들을 분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암을 상기 패들 분리장치에서 회피시키는 과정;
    상기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패들을 반출하여 고철 처리 장소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패들 분리방법.
KR1020180088686A 2018-07-30 2018-07-30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KR10213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86A KR102139629B1 (ko) 2018-07-30 2018-07-30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86A KR102139629B1 (ko) 2018-07-30 2018-07-30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64A KR20200013464A (ko) 2020-02-07
KR102139629B1 true KR102139629B1 (ko) 2020-07-30

Family

ID=6957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686A KR102139629B1 (ko) 2018-07-30 2018-07-30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6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426Y1 (ko) * 1995-06-30 1998-07-15 김만제 배재기의 소판 분리장치
US6251493B1 (en) 1996-04-08 2001-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ibration and shock attenuating articles and method of attenuating vibrations and shocks therewith
KR19980014666U (ko) * 1996-09-02 1998-06-25 김종진 용선 배재기의 소판 취부장치
KR200278282Y1 (ko) * 1998-08-24 2002-07-18 이구택 배재기 소판 제거장치
KR20120051288A (ko) * 2010-11-12 2012-05-22 (주)성진씨앤씨 슬래그 제거용 스키머 플레이트
KR101511722B1 (ko) * 2013-10-01 2015-04-13 주식회사 포스코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레이트 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64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189B1 (ko) 용선의 처리 방법
KR102139629B1 (ko) 패들 분리장치 및 패들 분리방법
JP5292870B2 (ja) 取鍋内スラグの再利用方法
KR101729081B1 (ko) 소형부품의 자동도금장치
CN203076575U (zh) 一种浇注装置
JP6650020B2 (ja) 溶銑処理装置
JP4728716B2 (ja) 溶銑の脱硫方法及び溶銑の脱硫設備
KR101927768B1 (ko) 용융물 처리 장치 및 용융물 처리 방법
CN116213657A (zh) 一种合金出炉、浇铸、破碎、冷却及打包系统
JP2003166010A (ja) Krインペラー付着物除去装置及び方法
CN111842869B (zh) 一种钢水集成处理装置及其系统
CN107406897B (zh) 铁液处理方法以及装置
KR20210000182A (ko) 슬래그 처리 장치, 슬래그 처리 설비 및 용선 처리 방법
JPH01176040A (ja) 溶銑脱硫滓より地金を回収する方法
KR102239248B1 (ko) 경동 장치 및 용융물 처리 방법
KR102092749B1 (ko) 원료 공급장치
JP4673622B2 (ja) 製錬炉へのアノード投入方法および投入装置
JP3516443B2 (ja) 溶銑スラグ回収設備
US4072505A (en) Method of slagging molten metal
KR101602835B1 (ko) 용융금속 정련장치 및 그 정련방법
JP2017115172A (ja) 溶銑処理方法及び溶銑処理装置
CN112176149B (zh) 液态金属精炼装置、液态金属冶炼系统及精炼方法
JPH11193412A (ja) 精錬炉から発生するスラグ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S6217117A (ja) 溶鋼処理装置
KR20160144535A (ko) 전기로 루프의 이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