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151B1 -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151B1
KR100347151B1 KR1020010079667A KR20010079667A KR100347151B1 KR 100347151 B1 KR100347151 B1 KR 100347151B1 KR 1020010079667 A KR1020010079667 A KR 1020010079667A KR 20010079667 A KR20010079667 A KR 20010079667A KR 100347151 B1 KR100347151 B1 KR 100347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winding
wire
take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753A (ko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섭 filed Critical 유병섭
Priority to KR102001007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1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21C47/12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the guide moving parallel to the axis of the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66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by using specific means
    • B21C47/3475Fluid pressure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등의 선재를 판형상 또는 띠형상의 제품(이형선재)으로 연속적으로 압연하는 공정 중 또는 최종적으로 압연이 완료된 이형선재를 보빈에 치밀하게 감기도록 안내를 해주는 이형선재의 가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의 압연스탠드와 권취장치(2)의 권취보빈(20)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60)와; 상기 베이스(60)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부재(62)와; 상기 고정부재(62)의 선단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지지부재(64)와; 상기 지지부재(64)의 중앙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66)와; 상기 공압실린더(66)의 로드에 결합된 이동부재(68)와; 상기 이동부재(68)의 상면에 설치된 프레임(74)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형선재가 권취장치의 권취보빈에 감기기 전에 권취보빈의 중심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제대로 안내를 해 줄 수 있으므로 권취보빈이 이동을 하더라도 이형선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권취보빈에 치밀하게 차곡차곡 이형선재를 감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WIRE GUIDING APPARATUS OF A ROLLING MACHINE}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등의 선재를 판형상 또는 띠형상의 제품(이형선재)으로 연속적으로 압연하는 공정 중 또는 최종적으로 압연이 완료된 이형선재를 보빈에 치밀하게 감기도록 안내를 해주는 이형선재의 가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형선재의 압연공정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냉간공정으로서 단면이 원형인 선재를 압연을 하여 두께보다는 폭이 넓은 밴드 또는 띠형상의 이형선재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위와 같은 이형선재의 압연기를 보면, 통상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압연스탠드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롤 사이로 선재를 이송하면서 원형의 선재를 단면이 원형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이형선재(異形線材)로 만들어간다.
이 때, 상기 압연스탠드에 설치된 상하의 롤은 구동모터에 의해서 반대방향으로 구동하여 회전하면서 선재를 압연함과 동시에 선재에 이송력을 부여하고, 상기 압연스탠드의 양 측면에는 권취보빈을 구비하여 일측에 위치한 권취보빈은 선재를 감고 있다가 풀어주면 되는 것이고, 타측에 위치한 권취보빈은 압연이 되어 나오는 이형선재를 감아주게 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선재를 압연롤 사이로 여러 번 통과하도록 하여 조금 씩 압연가공을 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선재는 좌우를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여 권취보빈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위와 같은 압연기는 압연가공을 하는 선재가 굵은 경우에 압연롤과 선재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압연가공을 하기가 적당하지만, 권취과정에서 많은 부하를 받기 때문에 그 선재를 가이드하여 권취보빈으로 유도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압연스탠드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선재에 구동력을 주면서 감아주고, 선재를 감고 있다가 풀어주는 압연기의 권취장치(2)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권취장치(2)는 베드의 상면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 스크류(14)와; 상기 볼 스크류(14)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모터(16)와; 압연스탠드의 압연롤에서 연속적으로 압연이 되어 나오는 이형선재를 감아주는 권취보빈(20)과; 상기 권취보빈(20)에 축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해주거나 차단해줌과 동시에 권취보빈(20)의 회전속도를 압연스탠드의 압연속도와 동조해주는 클러치(22)와; 상기 클러치(22)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24) 및 모터(26)로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권취보빈(20)을 서서히 회전시킴과 동시에 베이스(12)를 서서히 수평이동을 시키면, 압연이 되어 나오는 이형선재(1)는 그 권취보빈(20)의 원통부(21) 한 곳에만 계속 감기는 것이 아니라, 그 권취보빈(20)의 원통부(40) 전면적에 걸쳐 골고루 감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권취장치의 경우에 압연스탠드와 권취장치의 사이에 간격이 있고, 권취장치의 권취보빈에서 압연스탠드로 이형선재를 풀어줄 때, 권취보빈에서 풀려나오는 이형선재의 위치가 계속 바뀌고, 압연스탠드에서 압연이 되어 나오는 이형선재를 권취보빈에 감아줄 때에도 권취보빈에 감기는 이형선재의 위치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이형선재가 제대로 가이드가 되지 않아 권취보빈에 치밀하게 권취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기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압연가공되는 선재를 풀어주고 감아주는 권취장치와 압연스탠드의 사이에 가이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이형선재가 권취보빈의 중심으로 제대로 가이드되어 이형선재가 권취장치의 권취보빈에 치밀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가 권취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형선재 2 : 권취장치 3 : 가이딩장치 20 : 권취보빈 60 : 베이스 62 : 고정부재 64 : 지지부재 66 : 공압실린더 68 : 이동부재 70 : 좌우 가이드롤러 72 : 가이드로드 74 : 프레임 76 : 상 가이드롤러
본 발명은 압연기의 압연스탠드와 권취장치(2)의 권취보빈(20)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60)와; 상기 베이스(60)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부재(62)와; 상기 고정부재(62)의 선단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지지부재(64)와; 상기 지지부재(64)의 중앙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66)와; 상기 공압실린더(66)의 로드에 결합된 이동부재(68)와; 상기 이동부재(68)의 상면에 설치된 프레임(74)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한 쌍의 좌우 가이드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이다.
위에서 실린더로서는 공압실린더(66)의 예를 들었으나, 유압실린더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재(68)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64)의 측면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가이드로드(72)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우 가이드롤러(70)가 결합된 프레임(74)의 상측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좌우 가이드롤러(70)와 직각으로 설치된 상 가이드롤러(76)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딩장치가 권취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에 있어서, 베이스(60)의 상측으로는 고정부재(62)의 하단이 수직으로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고정부재(62)의 상단은 지지부재(64)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64)의 중앙부에는 공압실린더(66)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공압실린더(66)에는 호스(7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66)의 로드에는 그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68)가 결합되어 있고, 그 이동부재(68)의 상측에는 수직으로 프레임(74)이 설치되어 있고, 그 프레임(74)의 내측으로는 수직으로 한 쌍의 좌우 가이드롤러(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위에서 실린더로서는 공압실린더(66)의 예를 들었으나, 유압실린더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부재(68)의 양 측면에는 상단이 그 이동부재(68)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64)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가이드로드(72)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공압실린더(66)의 상하운동을 양 측면에서 가이드하면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74)의 상단에는 상기 좌우 가이드롤러(70)와 직각으로 상 가이드롤러(7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좌우 가이드롤러(70)는 그 사이를 지나가는 이형선재(1)를 좌우방향으로 구속하여 이형선재(1)가 그 좌우 가이드롤러(70)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면서 안내를 하고, 상기 상 가이드롤러(76)는 상기 한 쌍의 좌우 가이드롤러(70) 사이를 지나가는 이형선재(1)를 상방향에서 구속하여 이형선재(1)가 그 좌우 가이드롤러(76)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면서 안내를 한다.
상기 상 가이드롤러(76)는 회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최초 이형선재(1)를 좌우 가이드롤러(70)에 집어넣을 때는 우측으로 회동시켜 열어놓고, 이형선재(1)를 좌우 가이드롤러(70) 사이로 넣은 다음에는 다시 좌측으로 회동시켜 닫아놓는다.
상기한 이형선재의 가이딩장치(3)는 상기한 권취장치(2)와 압연스탠드 사이 양 측면에 설치하는 것인데, 먼저 그 권취장치(2)의 작동관계를 살펴보고 가이딩장치(3)와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권취장치(2)의 권취보빈(20)이 회전하면서 수평 이동하는 구조를 설명하면, 베이스(12)의 상면의 일측에는 감속기(24) 및 모터(26)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감속기(24)의 출력 축에는 상기 권취보빈(20)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해주거나 차단해주는 클러치(2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22)에는 축(48)이 결합되어 있어 그 축(48)은 상기 권취보빈(20)의 축(44)과 연결된다.
상기 클러치(22)가 연결되어 있으면, 모터(26)의 동력이 권취보빈(20)으로 전달되어 이 경우 그 권취보빈(20)은 구동력을 가지면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클러치(22)가 차단되어 있으면, 모터(26)의 동력이 권취보빈(20)으로 전달되지 않아 이 경우 그 권취보빈(20)은 제자리에서 공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2)가 수평이동을 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2)의 하면에는 고정부재(50)가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부재(50)에는 볼 스크류(14)가 관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있고, 그 볼 스크류(14)의 선단은 감속기가 일체로 결합된 감속기모터(16)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모터(16)가 회전을 하면, 상기 볼 스크류(14)가 회전을 하여 상기 베이스(12)를 수평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권취장치(2)의 베이스(1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상기 권취보빈(20)을 회전시키면 이형선재(1)는 그 권취보빈(20)에서 풀려 나오거나 그 권취보빈(20)에 감기게 되는데 그 권취보빈(20)의 원통부(40) 전체에 이형선재(1)가 골고루 감기도록 하기 위하여 권취보빈(20)이 수평이동을 하므로 이형선재(1)를 제대로 가이드를 하지 않을 경우 권취보빈(20)에 제대로 감기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딩장치(3)를 권취보빈(20)과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하고, 공회전하는 권취보빈(20) 즉, 이형선재(1)가 풀려나오는 위치에 있는 가이딩장치(3)는 공압실린더(66)의 로드를 내려 이형선재(1)가 가이딩장치(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압연스탠드로 가도록 하고, 이형선재(1)를 감는 위치에 있는 가이딩장치(3)는 공압실린더(66)의 로드를 올려 이형선재(1)가 가이딩장치(3)의 좌우 가이드롤러(70)의 사이를 지나도록 하여 안내를 해주는 것이다.즉, 필요할 경우 가이딩장치(3)를 상승시켜 이형선재(1)가 그 좌우 가이드롤러(70)의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하고, 동시에 상 가이드롤러(76)는 이형선재(1) 상 방향에서 가이드하여 이형선재(1)가 상방향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형선재가 권취장치의 권취보빈에 감기기 전에 권취보빈의 중심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제대로 안내를 해 줄 수 있으므로 권취보빈이 이동을 하더라도 이형선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권취보빈에 치밀하게 차곡차곡 이형선재를 감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압연기의 압연스탠드와 권취장치(2)의 권취보빈(20)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60)와; 상기 베이스(60)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부재(62)와; 상기 고정부재(62)의 선단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지지부재(64)와; 상기 지지부재(64)의 중앙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66)와; 상기 공압실린더(66)의 로드에 결합된 이동부재(68)와; 상기 이동부재(68)의 상면에 설치된 프레임(74)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한 쌍의 좌우 가이드롤러(70)를 포함하는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68)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64)의 측면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가이드로드(72)를 더 포함하는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가이드롤러(70)가 결합된 프레임(74)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좌우 가이드롤러(70)와 직각으로 설치된 상 가이드롤러(76)를 더 포함하는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66)를 대신하여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KR1020010079667A 2001-12-15 2001-12-15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KR100347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67A KR100347151B1 (ko) 2001-12-15 2001-12-15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67A KR100347151B1 (ko) 2001-12-15 2001-12-15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753A KR20020023753A (ko) 2002-03-29
KR100347151B1 true KR100347151B1 (ko) 2002-08-03

Family

ID=1971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667A KR100347151B1 (ko) 2001-12-15 2001-12-15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95B1 (ko) 2012-06-11 2012-11-07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텐션 패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60A (ko) * 2002-08-23 2004-02-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도어의 원격 개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9570265B (zh) * 2018-11-28 2020-12-08 重庆市润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键合丝生产用导丝机械
KR102454255B1 (ko) * 2022-04-21 2022-10-12 김형태 롤러 가이드 조절용 레스트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95B1 (ko) 2012-06-11 2012-11-07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텐션 패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753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88C (zh) 制作新月形面包卷的方法和设备
US53703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ling a wound web roll
CN1210116C (zh) 热轧薄钢带的方法及其装置
JP4677186B2 (ja) 高温の金属から成る熱間圧延された粗ストリップの巻取り及び巻戻しをするための装置
RU2004102685A (ru) Моталка для тонких полос с роликом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лоскости
KR100347151B1 (ko)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JPH06320214A (ja) 連続伸線圧延方法及びその装置
CN202415858U (zh) 经向弹性织物卷绕装置
KR100406416B1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KR20020040148A (ko) 코일내경부 처짐방지장치
KR20020040705A (ko) 이형선재의 연속압연장치
JP2968409B2 (ja) ローラレベラ
CA2371486A1 (en) Method and device in the process of reeling up a paper web
CN220925846U (zh) 一种翻布机
JP4416532B2 (ja) ワイヤロープ巻取装置
KR100466417B1 (ko)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RU2131316C1 (ru) Разматыватель рулонов ящичного типа
JPH0871646A (ja) 連続鋼帯の蛇行矯正装置
JPH0540041Y2 (ko)
KR0126972Y1 (ko) 선재압연용 소재 콘트롤 장치
KR20010112150A (ko) 이형선재의 연속압연장치
KR100939264B1 (ko) 냉연코일 초박판 스트립의 버클 방지장치
RU178433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дотвращени распушивани рулонов полосы
KR20080002009U (ko) 실험용 냉간압연장치
KR20010027507A (ko)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19

Effective date: 200312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128

Effective date: 2005052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16

Effective date: 2006120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