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7507A -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7507A
KR20010027507A KR1019990039278A KR19990039278A KR20010027507A KR 20010027507 A KR20010027507 A KR 20010027507A KR 1019990039278 A KR1019990039278 A KR 1019990039278A KR 19990039278 A KR19990039278 A KR 19990039278A KR 20010027507 A KR20010027507 A KR 20010027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oll
stopper
cradle
coi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은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3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7507A/ko
Publication of KR2001002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인출시 발생하는 코일 말단부 튕겨짐 현상과 슬립 현상으로 인한 제품 결함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들롤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제공됨과 아울러 크레들롤들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크레들롤들 놓여진 코일로 업다운하기 위한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의 로드와 함께 업다운 가능하게 제공됨과 아울러 지지부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업다운 실린더가 업 작동하여 크레들롤에 코일이 놓여질 때 이 코일 말단부를 각각 눌러주기 위한 제1,제2누름롤과;
상기한 크레들롤 베이스와 결합되고,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가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롤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COIL END PART OF COIL CAR}
본 발명은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소둔산세공정에서 제품의 권취 작업도중 코일카로 인출시 발생하는 장애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코일 말단부가 권취될때 바닥에 튕겨지지 않게 되어 제품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고, 탄성 반력에 의하여 코일 말단부가 미끌려 나가지 않게 되어 작업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카(COIL CAR)는 소재의 장입과 제품의 인출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코일카를 이용한 제품 인출은 종래로부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스트립이 맨드릴에 권취되어 코일이 형성되고, 이 코일의 권취가 마무리되어 코일의 인출 작업을 시행할 때 코일 말단부가 홀드 다운롤을 벗어 나면서 바닥으로 튕겨져 코일의 말단부가 손상을 입게 된다.
그리고 코일카가 코일을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 후물재의 작업에서는 코일 자체의 탄성 반력에 의하여 귄취 반대 방향으로 밀려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코일 표면 긁힘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파이프를 코일과 크레들롤의 사이를 고여주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코일카를 받쳐 놓은 상태에서 코일 인출 작업을 수행할 시 코일 말단부를 제어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코일 말단부가 바닥을 때리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손상은 물론 작업의 위험성도 갖고 있다.
또한, 코일 말단부가 밀려 나가는 현상을 코일과 크레들롤의 사이로 단순히 파이프를 삽입하는 것으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파이의 고임 형태가 불안정하여 코일 인출시 작은 충격에도 파이프가 쉽게 빠지게 되고, 작업자 자신이 파이프를 코일 사이에 고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에도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인출시 발생하는 코일 말단부 튕겨짐 현상과 슬립 현상으로 인한 제품 결함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를 도시한 일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들롤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제공됨과 아울러 크레들롤들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크레들롤들 놓여진 코일로 업다운하기 위한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의 로드와 함께 업다운 가능하게 제공됨과 아울러 지지부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업다운 실린더가 업 작동하여 크레들롤에 코일이 놓여질 때 이 코일 말단부를 각각 눌러주기 위한 제1,제2누름롤과;
상기한 크레들롤 베이스와 결합되고,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가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롤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코일(1)을 크레들롤(3)에 안착하기 위하여 업 작동으로 코일카 몸체(4)를 상승시켜 주기 위한 코일카 실린더(5)를 구성한다.
상기한 크레들롤(3)과 크레들롤의 사이에는 상기한 코일(1)이 크레들롤(3)에 접촉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고 코일카 실린더(5)의 상승 작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감지센서(7)가 위치한다.
상기한 감지센서(7)의 작동 신호를 인가받아 코일(1)의 인출시 코일 말단부(9)의 튕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일(1)의 양측에서 코일 말단부를 잡아주기 위한 코일 말단부 누름수단이 제공된다.
상기한 코일 말단부 누름수단은 크레들롤 베이스(11)의 양측에 각각 제공됨과 아울러 크레들롤(3)들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크레들롤들 놓여진 코일로 업다운하기 위한 업다운 실린더(13)와;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13)의 로드(15)와 함께 업다운 가능하게 제공됨과 아울러 지지부재(17)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업다운 실린더가 업 작동하여 크레들롤(3)에 코일이 놓여질 때 이 코일 말단부(9)를 각각 눌러주기 위한 제1,제2누름롤(19)(20)과;
상기한 크레들롤 베이스(11)와 결합되고,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13)가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롤 케이스(21)를 포함한다.
상기한 롤 케이스(21)는 업다운 실린더(13)가 내장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롤 케이스의(21) 내측에는 업다운 실린더(13)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프레임(23)이 설치된다.
상기한 지지부재(17)는 업다운 실린더(13)의 로드(15)의 일단부에 크레들롤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크기로 결합되고, 이 지지부재(17)의 양측에는 제1,제2누름롤(19)(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5)이 설치된다.
상기한 롤 케이스(21)의 내측에는 프레임(2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가이드바 케이스(27)가 결합되고, 상기한 지지부재(17)에는 가이드바 케이스(27)에 형성된 가이드공(29)에 업다운 가능하게 삽입되어 업다운 실린더(13)의 업다운 작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바(31)가 결합된다.
상기한 제1,제2누름롤(19)(20)의 양측에는 제1,제2누름롤이 업다운될 때 또는 이 제1,제2누름롤이 코일(1)에 의하여 눌릴때 공기의 압력차를 감지하기 위한 포지션센서(33)(35)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크레들롤(3)을 회전시켜 이 크레들롤에 올려져 있는 코일(1)의 말단부(9)가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 나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코일(1)을 인출하기 적정한 위치에 놓여지도록 코일 말단부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위치교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위치교정수단은 크레들롤 베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감속기(40)에 의하여 감속되면서 구동축(37)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39)과;
상기한 구동축(37)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구동부재(41)와 동력전달부재(43)에 의하여 연결되고, 크레들롤 축(45)의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어 이 구동모터(39)의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크레드롤(3)을 코일 말단부(9)가 밀려 나가려는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힘으로 역회전시켜 주기 위한 피동부재(47)와; 상기한 코일 말단부(9)가 인출에 적정한 위치에 놓여지면 구동모터(39)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스토퍼수단은 크레드롤(3) 중간부에 크레드롤 축(45)을 중심으로 형성된 일정한 크기의 스토퍼축(49)과;
상기한 스토퍼축(49)의 하부에는 이 스토퍼축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스토퍼부재(51)와;
상기한 스토퍼부재(51)에는 스토퍼축(49)을 고정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재를 밀어 올려주기 위한 실린더부재(53)와;
상기한 스토퍼부재(51)의 일면에는 구동모터(39)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이 스토퍼부재(51)의 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5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피동부재(47)와 크레들롤(3)의 사이에는 이 피동부재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주기 위한 베어링(57)이 설치된다.
상기한 크레들롤 베이스(11)에는 구동부재(41)와 피동부재(47)를 동력전달부재(43)로 연결하기 위한 구멍(59)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토퍼부재(51)의 일면에는 실린더부재(53)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 실린더부재의 업다운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61)를 삽입하는 가이드 케이스(63)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코일(1)이 텐션릴(65)에 감기게 되면, 코일 말단부(9)가 홀드 다운롤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코일카 실린더(5)가 업 작동하여 코일카 몸체(4)를 상승시켜 주고, 상기한 크레드롤(3)이 코일(1)에 접촉하게 되어 감지센서(7)가 이를 감지한다.
상기한 감지센서(7)가 코일(1)의 접촉을 감지하면, 제어부(67)에 의하여 코일카 몸체(4)의 상승이 정지됨과 아울러 업다운 실린더(13)가 업 작동하여 가이드바(31)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지지부재(17)를 상승시켜 주고, 제1,제2누름롤(19)(20)은 롤 케이스(21) 및 가이드 케이스(27)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상기한 지지부재(17)의 상승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제1,제2누름롤(19)(20)이 코일(1)에 접촉하게 되어 코일의 양측을 받치게 되며, 따라서 제1,제2누름롤(19)(20)이 코일 말단부(9)를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텐션롤(65)이 회전을 하면, 코일(1)의 말단부(9)가 제1누름롤(19) 또는 제2누름롤(20)을 누르게 되고, 이 누름롤을 지지하고 있는 업다운 실린더(13)가 코일 말단부(9)의 탄성에 의하여 아래로 밀려 내려올 때 포지션센서(33)가 포지션센서(35)와의 위치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한 실린더부재(53)를 업 작동시켜 스토퍼부재(51)를 스토퍼축(49)에 밀착시키고, 크레드롤(3)의 회전을 정지시켜 준다.
이때, 상기한 코일(1)의 두께가 일정한 크기 이상인 후물재의 경우에는 코일카 몸체(4)가 도 3과 같이 업 작동을 하게 되면 감지센서(7)가 이를 감지하게 되어 코일카 몸체(4)가 정지하게 되고, 제어부(67)가 상기한 정지신호를 인가받아 업다운 실린더(13)가 업 작동시키게 되어 제1,제2누름롤(19)(20)이 코일 말단부(9)의 양측을 받치게 된다.
반면, 상기한 코일(1)의 두께가 일정한 크기 이하의 박물재인 경우에는 코일 말단부(9)가 제1,제2누름롤을 눌러주더라도 후물재 경우 만큼의 힘이 없어므로 포지션센서(33)(35)가 그 차이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스토퍼부재(51)의 업 작동이 없기 때문에 박물재에서는 불필요한 동작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도 1과 같이 상기한 코일(1)이 크레드롤(3)에 놓이게 되면, 이 코일은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 때문에 코일 말단부(9)가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크레드롤(3) 사이에 빠지게 되므로 코일 말단부(9)가 코일을 인출하기 부적절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한 크레드롤 베이스(11)의 하부에 위치한 구동모터(39)가 구동되어 감속기(40)를 거쳐 구동축(37)을 회전시켜 주고, 상기한 구동축은 구동부재(41) 및 동력전달부재(43)에 의하여 피동부재(47)를 회전시켜 준다.
상기한 피동부재(47)는 동력전달부재(43)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코일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크레드롤(3)을 임의 회전시켜 주고 코일 말단부(9)를 크레드롤(3)의 회전만으로 코일을 인출할 수 있는 정상위치에 놓이게 한다.
상기와 같이 코일 말단부(9)가 정상 위치에 놓이게 되면, 작업자가 크레드롤(3)의 임의 회전을 정지시켜 줌과 아울러 제어부(67)를 제어하여 스토퍼부재(51)를 상승시켜 준다.
상기한 스토퍼부재(51)가 상승됨에 따라 이 스토퍼부재가 스토퍼축(49)에 밀착하게 되고, 이 스토퍼축(49)에 연결된 크레드롤 축(45)이 코일(1)이 밀리는 힘에 의하여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스토퍼부재(51)가 상승하게 되면, 감지센서(55)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9)의 구동을 정지시켜 크레드롤(3)이 더이상 역회전을 하지 않도록 하여 코일의 인출 준비를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코일 인출시 발생하는 코일 말단부 튕겨짐 현상과 슬립 현상으로 인한 제품 결함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크레들롤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제공됨과 아울러 크레들롤들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크레들롤들 놓여진 코일로 업다운하기 위한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의 로드와 함께 업다운 가능하게 제공됨과 아울러 지지부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업다운 실린더가 업 작동하여 크레들롤에 코일이 놓여질 때 이 코일 말단부를 각각 눌러주기 위한 제1,제2누름롤과;
    상기한 크레들롤 베이스와 결합되고, 상기한 업다운 실린더가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롤 케이스를 포함하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롤 케이스의 내측에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바 케이스와, 상기한 지지부재에는 결합되고 가이드바 케이스에 삽입되어 업다운 실린더의 업다운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를 더욱 포함하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제2누름롤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1,제2누름롤이 업다운될 때 또는 이 제1,제2누름롤이 코일에 의하여 눌릴때 공기의 압력차를 감지하기 위한 포지션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크레들롤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한 구동축상에 결합된 구동부재와 동력전달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크레들롤 축의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어 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크레드롤을 코일 말단부가 밀려 나가려는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주기 위한 피동부재와;
    상기한 코일 말단부가 인출에 적정한 위치에 놓여지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크레드롤 중간부에 크레드롤 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일정한 크기의 스토퍼축과;
    상기한 스토퍼축의 하부에는 이 스토퍼축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스토퍼부재와;
    상기한 스토퍼부재에는 스토퍼축을 고정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재를 밀어 올려주기 위한 실린더부재와;
    상기한 스토퍼부재의 일면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이 스토퍼부재의 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토퍼부재의 일면에는 실린더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 실린더부재의 업다운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를 삽입하는 가이드 케이스가 결합되는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KR1019990039278A 1999-09-14 1999-09-14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KR20010027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278A KR20010027507A (ko) 1999-09-14 1999-09-14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278A KR20010027507A (ko) 1999-09-14 1999-09-14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07A true KR20010027507A (ko) 2001-04-06

Family

ID=1961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278A KR20010027507A (ko) 1999-09-14 1999-09-14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75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156B1 (ko) * 2002-06-11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외권부 결함 방지용 유도 테이블장치
KR100878621B1 (ko) * 2002-09-06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156B1 (ko) * 2002-06-11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외권부 결함 방지용 유도 테이블장치
KR100878621B1 (ko) * 2002-09-06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412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oll medium lifting device
KR20150011186A (ko) 솔더링 와이어 공급 장치
JPH06106895A (ja) ロール紙供給装置のテンション機構
KR20010027507A (ko)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KR100775245B1 (ko)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KR100408694B1 (ko)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347151B1 (ko)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EP2669229B1 (en) Package discharging device and yarn winding machine
KR100475535B1 (ko) 코일형 냉연제품의 엔드마크 방지용 페이퍼심블자동취부장치
KR100423872B1 (ko) 코일 내경 그립부 교정장치
CN220076757U (zh) 一种无纺布卷包装膜缠绕装置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JP3542743B2 (ja) 電動ロー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100979041B1 (ko) 슬리브 중심조정 인입장치
CN214527169U (zh) 可升降卷材放卷机
KR200235012Y1 (ko) 수직형코일테레스코프수정장치
KR200203592Y1 (ko) 스트립의 쏠림 교정장치
CN211338186U (zh) 一种自动调节张紧力的复卷装置
CN218114436U (zh) 一种单盘检品复卷机
KR100792757B1 (ko)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US523614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rapping up articles, particularly bobbins provided with electrical winding, with tape
KR20010110507A (ko) 직물 권취 장치
JPS61145077A (ja) ジヤンパ−線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