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245B1 -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245B1
KR100775245B1 KR1020010043091A KR20010043091A KR100775245B1 KR 100775245 B1 KR100775245 B1 KR 100775245B1 KR 1020010043091 A KR1020010043091 A KR 1020010043091A KR 20010043091 A KR20010043091 A KR 20010043091A KR 100775245 B1 KR100775245 B1 KR 10077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oll
guide
induction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443A (ko
Inventor
조용탁
이동원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18Unwinding or uncoiling from reel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강판선단부를 유도하여 변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일측으로 상하방선회되는 고정테이블(11)에 대하여 전후진되는 확장테이블(13)을 갖추고, 상기 고정,확장테이블(11)(13)사이의 노출공간을 덮도록 신축가능한 이동플레이트(15)를 갖는 테이블부(10); 상기 확장테이블(13)상에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라인(31a)(31b)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에 좌우양단이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자석롤(32)을 전후진이동시키는 모터부재(33)를 갖추어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접하는 유도롤(34)과 전진이동된 자석롤(32)사이로 풀려지는 강판선단을 진입시켜 안내하는 유도부(30); 및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사이에 고정배치되는 튜브블록(52)을 감싸는 튜브부재(53)를 갖추고, 상기 튜브부재(53)를 덮는 탄성판(54)의 하단을 확장테이블(13)상에 상하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탄성판(54)을 통과한 강판을 감지하여 코일풀림을 정지시키는 센서부재(56)를 갖추어 풀림정지시 후진복귀되는 자석롤(32)로서 강판선단부를 상향변형시키는 변형부(50)를 포함하여 마크발생을 방지하고, 설비간섭에 의한 트러블을 방지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석롤, 가이드라인, 유도롤, 탄성판, 튜브부재

Description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AN APPARATUS FOR GUIDING AND TRANSFORMING THE TOP STRIP OF COIL}
도 1은 종래 코일선단부 유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3 ... 고정, 확장테이블 12,14 ... 제 1,2실린더
31a,31b ... 가이드라인 32 .... 자석롤
33 .... 모터부재 34 .... 유도롤
35a .... 이동휠 35b .... 이동블록
36a .... 활주베이스 36b .... 래크기어
36c .... 피니언기어 52 .... 튜브블록
53 .... 튜브부재 54 .... 탄성판
본 발명은 코일의 강판선단부를 유도하여 변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자석롤을 이용하여 코일선단부를 유도하고 고무튜브로서 선단부형상을 변형시켜 코일표면 및 설비에 손상을 주지 않고 효과적으로 강판선단부를 후고정 제조라인으로 투입할수 있도록 개선한 코일선단부 유도및 변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미도시된 페이오프릴을 이용하여 압연코일을 풀어서 다음공정으로 이송하는 공정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루마리형태로 강판이 권취된 압연코일(이하 코일이라함)은 권취구조상 풀려지는 강판이 아래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강판선단부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제 1실린더(4)와 제 2실린더(5)를 작동시킴으로써, 후단이 상하회동가능하게 조립된 고정테이블(8)에 전후진이동가능하게 조립된 확장테이블(7)를 전진인출하고, 그 선단의 필러나이프(6)를 상기 코일의 외권부 표면에 밀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코일을 미도시된 동력원에 의해서 일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코일외권부의 강판이 풀려지면서 상,하부안내롤(3)사이로 유도되어 후공정으로 안내이송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코일의 강판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필러나이프(6)를 코일의 외권부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접촉에 의하여 찍힘마크(M1)가 코일표면상에 발생하고, 또한 코일권취구조상 아랫방향으로 휘어진 강판 선단부에 의해 상기 확장테이블(7) 및 고정테이블(8)의 상부표면이 긁히면서 이물 및 불량부(M2)가 발생되어 덴트등의 결함을 발생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안내롤(3)표면의 러버부에 롤마 크(M3)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코일의 강판을 풀어서 후공정으로 안내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불량부에 의해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설비의 트러블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권취코일의 강판을 풀어서 후공정으로 안내이송하는 공정에서 강판선단부를 찍힘마크 및 롤마크의 발생없이 그리고 설비트러블 없이 안전하게 후공정으로 안내이송할수 있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코일의 강판선단부를 후공정으로 안내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측으로 상하방선회되는 고정테이블에 대하여 전후진되는 확장테이블을 갖추고, 상기 고정,확장테이블사이의 노출공간을 덮도록 신축가능한 이동플레이트를 갖는 테이블부;
상기 확장테이블상에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라인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라인에 좌우양단이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자석롤을 전후진이동시키는 모터부재를 갖추어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접하는 유도롤과 전진이동된 자석롤사이로 풀려지는 강판선단을 진입시켜 안내하는 유도부; 및
상기 가이드라인사이에 고정배치되는 튜브블록을 감싸는 튜브부재를 갖추고, 상기 튜브부재를 덮는 탄성판의 하단을 확장테이블상에 상하유동가능하게 설치하 고, 상기 탄성판을 통과한 강판을 감지하여 코일풀림을 정지시키는 센서부재를 갖추어 풀림정지시 후진복귀되는 자석롤로서 강판선단부를 상향변형시키는 변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선단부 유도및 변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2 내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페이오프릴(미도시)에 끼워진 코일을 풀어서 상,하부안내롤(3)까지 안내할 때 강판선단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권취구조상 하향으로 굴곡된 강판선단부을 상향변형시켜 강판풀림작업을 타설비와의 간섭없이 안전하게 수행할수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1)는 테이블부(10), 유도부(30) 및 변형부(50)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테이블부(10)는 고정테이블(11), 확장테이블(13) 및 이동테이블(15)등으로 구성되는바, 상기 고정테이블(11)은 코일풀림시 제 1실린더(12)에 의해 상방선회되고, 코일풀림완료시 하방선회복귀되도록 후단 회전축(11a)을 지지대(11b)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확장테이블(13)은 상기 고정테이블(11)의 내부 좌우양측에 좌우양단의 안내홈이 전후진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그 후단과 로드선단이 연결되는 제 2실린더(14)를 상기 고정테이블(11)상에 위치고정한다.
이에 따라 코일풀림시에는 상기 제 2실린더(14)의 전진작동에 의해서 상기 확장테이블(13)의 선단을 코일 외주면 근방까지 근접시키고, 코일풀림완료시에는 후진복귀동작에 의해서 상기 확장테이블(13)을 고정테이블(11)내로 재진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테이블(11)의 후단과 상기 확장테이블(13)의 후단사이에는 코일선단부 안내작업시 벌어진 이들사이의 노출공간을 덮을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가능한 이동플레이트(15)를 갖추며, 상기 이동플레이트(15)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 2실린더(14)를 보호할수 있도록 외부이탈없이 차례로 신축가능하게 연속조립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부재(15a)(15b)(15c)로 구성되며, 그 좌우양측에는 상기 고정테이블(11)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에 이동휠(16)을 장착한 수직바(16a)를 갖추는 한편, 상기 확장플레이트(13)후단에 연결되는 최선단의 플레이트부재(15a)와 상기 고정테이블(11)의 후단에 연결되는 최후단의 플레이트부재(15c)에는 패스롤(17a)(17b)을 각각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권취된 코일로부터 풀려지는 강판을 후공정으로 안전하게 유도하는 유도부(30)는 상기 확장테이블(13)상에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라인(31a)(31b)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에는 좌우양단이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자석롤(32)을 갖추는 한편, 상기 자석롤(32)을 전후진작동시키는 모터부재(33)를 갖추고, 상기 확장테이블(13)의 선단에는 코일풀림시 전진작동되는 확장테이블(13)과 더불어 전진되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접하는 유도롤(34)을 갖춤으로써,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접하는 유도롤(34)과 전진이동된 자석롤(32)사이로 풀려져 유도된 강판선단부를 진입시켜 상기 코일의 풀림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선단은 최대전진시 상기 유도롤(34)보다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방으로 절곡형성되고, 후단은 최대후진시 후방으로 안내진행되는 강판의 패스라인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절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롤(34)의 좌우양단이 조립되는 아암(34b)에는 상기 유도롤(34)의 외주면과 접하여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자석롤(32)과 유도롤(34)사이로 진입안내된 강판선단부를 자력으로서 끌어당길수 있도록 베어링블록(34c)을 매개로 하여 보조자석롤(34a)의 좌우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롤(32)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을 따라 외부이탈없이 활주이동될수 있도록 이동휠(35a)을 각각 갖추고, 좌우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이동블록(35b)은 한쌍의 수직안내대(35c)사이에 상하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이동블록(35b)의 하단은 이를 하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35d)를 매개로 하여 고정블록(35e)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35e)은 상기 확장테이블(13)의 좌우양측에 설치된 활주베이스(36a)에 전후진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된 래크기어(36b)의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래크기어(36b)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36c)는 상기 모터부재(33)의 구동축에 연결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재(33)는 상기 고정테이블(11)의 좌우양단에 볼트부재(33b)로서 고정설치되는 모터베이스(33a)상에 고정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실린더(14)의 전진작동에 의하여 상기 확장테이블(13)은 고정테이블(11)로부터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전진될 때, 상기 래크기어(36b)는 고정테이블(11)에 고정된 모터부재(33)의 피니언기어(36c)와 기어물림되어 위치고정된 반면에, 이에 조립된 활주베이스(36a)는 확장테이블(13)과 더불어 전진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재(33)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36c)가 정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상기 래크기어(36b)는 활주베이스(36a)를 따라 전진활주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자석롤(32)도 상향절곡형성된 선단에 정지될 때까지 가이드라인(31a)(31a)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유도롤(34)의 상방까지 전진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도롤(34)과 자석롤(32)사이로 진입안내되어 후방으로 유도된 강판선단부를 일시 정지시켜 상향변형시키는 변형부(50)는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사이에 고정배치되는 튜브블록(52)을 갖추고, 상기 튜브블록(52)은 상기 확장테이블(13)상의 브라켓(51a)에 볼트부재(51b)로서 고정되는 판블록(52a)과 삽입블록(52b)으로 분할가능하게 조립구성된다.
이러한 튜브블록(52)에는 이를 에워싸 감싸고, 공기주입구(53a)를 가지며, 탄성력을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튜브부재(53)를 갖추며, 상기 튜브부재(53)에는 그 상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탄성판(54)을 확장테이블(13)상에 상하유동가능하게 갖춘다. 이러한 탄성판(54)의 하단에 볼트부재(54a)로서 조립되는 판브라켓(54b)과 상기 확장테이블(13)상에 장착된 고정구(55a)와의 사이에는 상기 튜브부재(53)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밀착되는 탄성판(54)을 하방으로 탄력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55)를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판(54)의 후방측 확장테이블(13)의 상부면에는 상기 탄성판(54)을 통과한 강판선단부를 감지하고, 감지시 상기 코일의 풀림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56)를 장착하고, 그 후방에는 코일풀림중단에 의한 강판정지시 상기 모터부재(33)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후진복귀되는 자석롤(32)로서 강판선단부를 상향변형시킨후 후방으로 재진행되는 강판선단부을 안내할수 있도록 패스롤(57)을 장착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도시된 페이오프릴에 코일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에 감겨진 강판을 후공정으로 진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실린더(12)를 전진작동시켜 하방선회된 초기상태를 갖고 있던 고정테이블(11)을 상방으로 일정각도 상승시킨 다음, 제 2실린더(14)를 전진작동시키면, 상기 고정테이블(11)에 조립된 확장테이블(13)이 전진되어 그 선단부에 장착된 유도롤(34)이 먼저 코일의 외주면에 찍힘발생없이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전진되는 확장테이블(13)의 활주베이스(36a)에 조립된 래크기어(36b)는 고정테이블(11)에 고정설치된 모터부재(33)의 피니언기어(36c)에 기어물림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래크기어(36b)에 대하여 활주베이스(36a)는 확장테이블(13)과 더불어 전진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테이블(13)의 가이드라인(31a)(31b)의 상방절곡된 선단에 초기에 배치되어 있던 자석롤(32)은 상기 확장테이블(13)의 전진작동에 관계없이 정지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상기 자석롤(32)의 상하높이변화는 수직안내대(35c)에 조립된 이동블록(35b)에 의해서 보상된다.
또한, 상기 전진되는 확장테이블(13)의 후단과 상기 고정테이블(11)의 후단사이의 노출공간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이동플레이트(15)에 의해서 덮어짐으로써 상기 제 2실린더(14)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연속하여 전진된 유도롤(34)이 코일의 외주면에 접할 때 상기 모터부재(33)의 구동축을 정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이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36c)와 기어물림된 래크기어(36b)는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활주베이스(36a)를 따라 전진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크기어(36b)의 선단에 연결된 자석롤(32)도 이동휠(35a)의 유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하형절곡된 후단에서 상향절곡된 선단측으로 위치이동되기 시작하여 그 선단에 이르러 정지되면, 상기 자석롤(32)는 자력을 코일측으로 미칠수 있도록 코일의 외주면에 근접되는 지점까지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롤(34)이 코일의 외주면에 접하고, 상기 자석롤(32)이 유도롤(34)상에 위치될 때, 페이오프릴에서 상기 코일을 풀림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강판선단부를 풀면, 풀려진 강판선단부는 근접해 있는 자석롤(32)의 자력에 의해서 들어올려지고, 들어올려진 강판선단부는 상기 풀림회전되는 코일에 접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유도롤(34)과 상기 자석롤(32)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진입된 강판선단부는 상기 유도롤(34)의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되는 보조자석롤(34a)측으로 자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끌어당겨져 인도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보조자석롤(34a)측으로 유도된 강판선단부는 상기 코일의 풀림작동에 의해서 일정압력의 공기가 공기주입구(53a)를 통하여 주입된 상태의 튜브부재(53)의 상부에 위치된 탄성판(54)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판(54)을 통과하던 강판선단부가 상기 탄성판(54)의 후방에 설치된 센서부재(56)에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코일의 풀림회전은 일시 중단되어 상기 강판선단부는 상기 탄성판(54)상에 올려진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재(56)의 감지신호에 의한 코일풀림의 중단과 동시에 모터부재(33)측으로 역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구동신호가 전달되어 피니언기어(36c)가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이에 기어물림된 래크기어(36b)는 상기와 반대로 후방으로 후진복귀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도롤(34)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라인(31a)(31b)의 선단에 위치되어 있던 자석롤(32)이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을 따라 후방으로 후진복귀될 때, 일정공기가 주입되어 일정압력이 주어진 튜브부재(53)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력지지되고 있는 탄성판(54)의 상부를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판(54)의 상부면에 올려져 있는 강판선단부는 후방진행되는 자석롤(32)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려져 권취구조상 하향굴곡된 선단부가 상향굴곡되어 통판이 용이하도록 교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석롤(32)은 수직안내대(35c)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이동블록(35b)에 좌우양단이 회전가능학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후단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강판선단부를 상향굴곡변형시키는 교정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모터부재(33)의 역방향 회전구동에 의해 후진복귀하면서 탄성판(54)의 상부에서 강판선단부를 변형시킨 자석롤(32)은 패스롤(57)를 지나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후단에 이르러 정지되며, 이때, 상기 자석롤(32)은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하향절곡된 후단이 상기 패스롤(57)보다 아래에 위치되기 때문에, 강판의 패스라인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강판진행시 패스라인롤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롤(32)의 후진복귀작동에 의해서 선단부의 형상이 변형된 강판은 상기 자석롤(32)의 후진복귀작업완료후 풀림방향으로 재구동되는 코일의 풀림회전력에 의해서 상,하부안내롤(3)측으로 이동되어 그 사이로 진입된 다음, 후공정으로 안내이동된다.
또한, 제 2실린더(14)의 후진복귀작동에 의해서 전진된 확장테이블(13)은 고정테이블(11)내로 재진입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후단에 있던 자석롤(32)은 후진복귀되는 확장테이블(13)의 이동에 대해서 정지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상태에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선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테이블(13)의 후진복귀가 완료되면 제 1실린더(12)의 후진작동에 의해서 고정테이블(11)을 하방선회하여 전체설비를 다운시킴으로써, 다음 강판선단부의 유도 및 변형작업시까지 작업대기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외주면 근방까지 전진이동된 자석롤의 자력에 의해서 풀려지는 강판선단부를 유도하고,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자석롤이 공기압에 부여된 튜브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탄성판상을 통과하면서 정지된 강판선단부를 통판이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굴곡변형시킴으로써, 코일로부터 유도된 강판선단부를 후공정까지 타설비와의 간섭없이 안전하게 유도하여 안내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강판선단부 유도시 발생되는 강판찍힘마크, 롤마크등과 같은 불량부 및 이로 인한 덴트결함등을 방지하여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수 있음은 물론, 설비트러블을 방지하여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코일의 강판선단부를 후공정으로 안내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측으로 상하방선회되는 고정테이블(11)에 대하여 전후진되는 확장테이블(13)을 갖추고, 상기 고정,확장테이블(11)(13)사이의 노출공간을 덮도록 신축가능한 이동플레이트(15)를 갖는 테이블부(10);
    상기 확장테이블(13)상에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라인(31a)(31b)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에 좌우양단이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자석롤(32)을 전후진이동시키는 모터부재(33)를 갖추어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접하는 유도롤(34)과 전진이동된 자석롤(32)사이로 풀려지는 강판선단을 진입시켜 안내하는 유도부(30); 및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사이에 고정배치되는 튜브블록(52)을 감싸는 튜브부재(53)를 갖추고, 상기 튜브부재(53)를 덮는 탄성판(54)의 하단을 확장테이블(13)상에 상하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탄성판(54)을 통과한 강판을 감지하여 코일풀림을 정지시키는 센서부재(56)를 갖추어 풀림정지시 후진복귀되는 자석롤(32)로서 강판선단부를 상향변형시키는 변형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15)는 외부이탈없이 차례로 신축가능하게 연속조립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부재(15a)(15b)(15c)로 구성되며, 그 좌우양측에는 상기 고정테이블(11)의 상부면을 따라 구름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에 이동휠(16)을 장착한 수직바(16a)를 갖추고, 최선,후단의 플레이트부재(15a)(15c)에 패스롤(17a)(17b)을 각각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의 선단은 최대전진시 상기 유도롤(34)보다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방으로 절곡형성되고, 후단은 최대후진시 후방으로 안내진행되는 강판의 패스라인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절곡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롤(34)의 좌우양단이 조립되는 아암(34b)에는 상기 유도롤(34)의 외주면과 접하여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자석롤(32)과 유도롤(34)사이로 진입안내된 강판선단부를 자력으로서 끌어당겨 유도할수 있도록 베어링블록(34c)을 매개로 하여 보조자석롤(34a)의 좌우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롤(32)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라인(31a)(31b)을 따라 외부이 탈없이 활주이동될수 있도록 이동휠(35a)을 각각 갖추고, 좌우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이동블록(35b)은 한쌍의 수직안내대(35c)사이에 상하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이동블록(35b)의 하단은 이를 하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35d)를 매개로 하여 고정블록(35e)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35e)은 상기 확장테이블(13)의 좌우양측에 설치된 활주베이스(36a)에 전후진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된 래크기어(36b)의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래크기어(36b)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36c)는 상기 모터부재(33)의 구동축에 연결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블록(52)은 상기 확장테이블(13)상의 브라켓(51a)에 볼트부재(51b)로서 고정되는 판블록(52a)과 삽입블록(52b)으로 분할가능하게 조립구성되고, 공기주입구(53a)를 갖는 상기 튜브부재(53)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판(54)은 그 하단에 볼트부재(54a)로서 조립되는 판브라켓(54b)과 상기 확장테이블(13)상에 장착된 고정구(55a)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판(54)을 하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55)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KR1020010043091A 2001-07-18 2001-07-18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KR10077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091A KR100775245B1 (ko) 2001-07-18 2001-07-18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091A KR100775245B1 (ko) 2001-07-18 2001-07-18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443A KR20030008443A (ko) 2003-01-29
KR100775245B1 true KR100775245B1 (ko) 2007-11-12

Family

ID=2771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091A KR100775245B1 (ko) 2001-07-18 2001-07-18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10B1 (ko) 2003-08-12 2011-01-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72B1 (ko) * 2001-10-29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1012835B1 (ko) * 2003-06-25 2011-02-08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 설비의 강판 선단 안내장치
KR101008116B1 (ko) * 2003-08-05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압착마크 방지용 냉연코일의 스트립 유도장치
CN102652964B (zh) * 2012-05-04 2014-08-06 中国重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带钢轧制的磁力导辊穿带引料装置
KR101696091B1 (ko) * 2015-08-12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926A (en) * 1979-07-27 1981-02-25 Hitachi Ltd Rolling apparatus
JPS56141913A (en) * 1980-04-08 1981-11-05 Nippon Steel Corp Guiding device for changing coiler from one to another without interrupting coiling work
US4432221A (en) * 1980-09-30 1984-02-21 Barten Ernst H Rolling mill with conveying means for strip and foil materials
JPS5992119A (ja) * 1982-11-16 1984-05-28 Nippon Steel Corp 鋼帯コイルの巻戻し案内装置
JPS63188425A (ja) * 1987-01-28 1988-08-04 Hitachi Ltd ストリツプ尾端巻取案内装置
JPH05123744A (ja) * 1991-10-29 1993-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の巻取り装置
KR19980033621U (ko) * 1996-12-09 1998-09-05 김종진 선재 코일의 곡선부 유도장치
KR19990010621U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KR200175196Y1 (ko) * 1999-09-29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선재코일 유도장치
KR20000010619U (ko) * 1998-11-24 2000-06-15 이구택 코일소재 안착유도장치
KR20000014701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926A (en) * 1979-07-27 1981-02-25 Hitachi Ltd Rolling apparatus
JPS56141913A (en) * 1980-04-08 1981-11-05 Nippon Steel Corp Guiding device for changing coiler from one to another without interrupting coiling work
US4432221A (en) * 1980-09-30 1984-02-21 Barten Ernst H Rolling mill with conveying means for strip and foil materials
JPS5992119A (ja) * 1982-11-16 1984-05-28 Nippon Steel Corp 鋼帯コイルの巻戻し案内装置
JPS63188425A (ja) * 1987-01-28 1988-08-04 Hitachi Ltd ストリツプ尾端巻取案内装置
JPH05123744A (ja) * 1991-10-29 1993-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の巻取り装置
KR19980033621U (ko) * 1996-12-09 1998-09-05 김종진 선재 코일의 곡선부 유도장치
KR19990010621U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압축기 히터 검사장치
KR20000010619U (ko) * 1998-11-24 2000-06-15 이구택 코일소재 안착유도장치
KR20000014701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KR200175196Y1 (ko) * 1999-09-29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선재코일 유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10B1 (ko) 2003-08-12 2011-01-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443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245B1 (ko)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CA2457626C (en) Equipment for coiling and uncoiling hot-rolled hot-metal pre-strips
CN108016933A (zh) 一种智能热缩管分卷设备及方法
JP3989006B2 (ja) 巻き箔材を加工する機械のための巻き箔材の支持及び駆動用モジュール
CN211812682U (zh) 一种金属卷材放置架
KR200181432Y1 (ko) 스크랩 코일 권취기의 코일 풀림 방지장치
CN212049974U (zh) 一种收线机的自动换盘码盘装置
CN112247011A (zh) 一种用于新能源车牌制造的流水线
KR100423872B1 (ko) 코일 내경 그립부 교정장치
CN219565665U (zh) 一种膜材架结构
KR102617474B1 (ko) 코일용 패드부착 자동화시스템
ITFI950079A1 (it) Apparecchiatura per l'avvolgimento in bobina di un nastro di carta, in particolare ma non esclusivamente carta non tesa,in uscita, da una
CN213353546U (zh) 一种用于新能源车牌制造的流水线
CN112390061A (zh) 一种精密卷到卷自动化上下料装置
JP3099544B2 (ja) 伸線巻取装置
CN216376725U (zh) 一种倾斜桌面卧式检测绕卷平台
KR20010027507A (ko)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CN210526989U (zh) 酒盒外包装烫金机用烫金卷材收放卷机
CN214455865U (zh) 一种用于卷膜自动展开缠绕和收卷的设备
JP4382977B2 (ja) コイル材の矯正装置
CN220181310U (zh) 一种自动贴标机
KR100925607B1 (ko) 탄성 측정이 가능한 고무 슬리브 교체 장치
JP2000190040A (ja) アンコイラのブレ―キ制御装置
KR950010894B1 (ko) 텐션릴(Tension Reel) 자동권취 제어장치
KR200178766Y1 (ko) 스트립 자동 벤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