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091B1 -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 Google Patents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091B1
KR101696091B1 KR1020150113637A KR20150113637A KR101696091B1 KR 101696091 B1 KR101696091 B1 KR 101696091B1 KR 1020150113637 A KR1020150113637 A KR 1020150113637A KR 20150113637 A KR20150113637 A KR 20150113637A KR 101696091 B1 KR101696091 B1 KR 10169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vement
frame member
main body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1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회전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연장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에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부재의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수단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이동전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평평한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구비되되, 회전 완료 이후에 상기 가이드면이 상기 대상물의 하부에 배치되게 제공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Apparatus for transfer and Unwind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에 관한 것이다.
산세 압연 공정(Picking line/Tandem Cold Mill)은 열간 압연된 코일의 표면에 생성된 산화성 스케일(Scale)을 염산 또는 황산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제거하여 연속 냉간 압연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와 같은 산세 압연 공정 중에는 페이오프 릴(Pay off reel)의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을 후공정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페이오프 릴을 회전시키며 코일을 풀러 스레딩 테이블(Threading table)을 통해 상기 코일을 후공정 설비로 공급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스레딩 테이블(300)은 페이오프 릴(200)의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C)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C)의 끝단부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스레딩 테이블(300)은 코일(C)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구동을 수행하기 위한 유압실린더(미도시) 등의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바디부(310)와, 상기 바디부(310)에 연계되어 코일(C)에 직접 접촉하고, 상기 코일의 단부를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헤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의 스레딩 테이블(300)의 헤드부(320)의 단부는 날카로운 형태를 띄고 있어서 스레딩 테이블(300)의 헤드부(320)가 코일(C)에 대하여 과하게 접촉된 경우에는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찍힘마크(20)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찍힘마크(20)는 표면불량의 일종으로서, 찍힘마크(20)가 발생한 스트립(S)이 후공정에 공급되어 냉간 압연될 경우 홀(Hole)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제품의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대상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대상물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상의 편의성 및 간편성이 높은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때, 최소한의 부품으로 장치를 구현하여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회전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연장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에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부재의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수단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이동전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평평한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구비되되, 회전 완료 이후에 상기 가이드면이 상기 대상물의 하부에 배치되게 제공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프레임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대상물에 접촉해제 시에 상기 프레임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권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출기는 외주에 대상물이 감긴 상태로 회전하게 제공되는 페이오프 릴;과, 상기 페이오프 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제공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스레딩테이블;및 상기 스레딩테이블의 헤드부에 설치되는 상기의 이동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페이오프 릴은, 상기 스레딩테이블 방향으로 회전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 특히, 코일을 후공정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연 공정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대상물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세 압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찍힘마크가 발생한 스트립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권출기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먼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이드 장치(100)는 대상물(도 4의 10)에 대하여 이동하게 구비되는 장치본체(110)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물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대상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20)과,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대상물에 접촉하는 완충수단(130) 및 상기 가이드수단과 상기 완충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을 이동시키게 제공되는 이동전환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130)이 상기 대상물에 접촉 완료 이후에 상기 가이드수단(120)이 상기 대상물에 접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수단(130)은 상기 대상물에 접촉시에 상기 대상물에 의해 상기 대상물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장치본체가 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완충수단(130)이 함께 이동하며, 어느 순간 상기 대상물의 표면에 완충수단(130)이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충수단(130)이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한 이후에도 장치본체(110)는 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을 진행함에 따라 상기 완충수단(130)은 대상물에 의해 밀리면서 대상물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충수단(130)이 대상물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가이드수단(120)이 회전 이동을 시작하고, 상기 가이드수단(120)은 회전하면서 점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물에 가까워진다. 가이드수단(120)과 완충수단(130)의 구체적인 이동 방법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가이드수단(120)은 평평한 가이드면(122)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121)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21)는 꼭짓점을 포함하는 삼각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120)의 단부는 뾰족한 쐐기형태를 띌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작업자 및 작업환경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한편, 완충수단(130)은 일측이 상기 장치본체(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충부재(132)에 연결되는 긴 막대형태의 프레임부재(131)와, 상기 프레임부재(131)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하는 완충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132)는 대상물의 표면에 찍힘, 긁힘 등의 결함을 남기지 않기 위하여 부드러운 곡면을 갖는 롤러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장치본체(110)는 상기 프레임부재(131)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1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재(111)와 상기 프레임부재(131)의 단부 사이에는 탄성수단(160)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는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110)에서 상기 프레임부재(131)의 이동경로 일측에는 감지수단(16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31)의 단부는 어느 순간 상기 감지수단(160)에 접촉하게 된다.
감지수단(160)은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레임부재(131)가 접촉한 경우에 이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감지수단과 상기 프레임부재(131)가 접촉한 신호를 감지하면 장치본체(110)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수단(160)은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작업자 및 작업환경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로 하여 가이드수단(120)과 완충수단(130)의 구체적인 이동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서 보이듯이, 상기 가이드수단(120)의 가이드부재(121)는 상기 장치본체(110)에 연결부재(144)로 연결된 기어축(143)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축(143)의 외면으로는 피니언기어(142)가 설치된다.
한편, 프레임부재(131)의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피니언기어(142)와 맞물리는 랙기어(1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는 서로 맞물려 구동할 수 있다.
장치본체(110)의 이동 초기 상태인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장치본체(110)가 대상물(10)의 표면에 대하여 이동을 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완충부재(132)가 대상물(1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 이후에도 장치본체(110)는 대상물(10)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계속하게 되고, 완충부재(132)는 페이오프 릴(미도시)에 고정된 대상물(10)에 의해 상기 대상물(10)의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132)의 후방에 연결된 프레임부재(131)가 브라켓부재(1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131)에 설치된 랙기어(141)와 이에 맞물린 피니언기어(142)가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42)에 연계된 가이드부재(121)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21)는 점차적으로 이동하여 대상물(10)의 표면에 가까워진다.
이때, 프레임부재(131)가 후퇴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131)의 단부에 연결된 탄성수단(160)도 함께 점차적으로 수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160)은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부재(131)의 이동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재(13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탄성수단(160)의 종류는 본 발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본체(110)가 이동을 계속하면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이동 중기 상태가 된다.
피니언기어(143)는 랙기어(141)를 따라 회전하여 프레임부재(131)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도달하고, 가이드부재(121)는 회전하여 평평한 가이드면(122)이 장치본체(110)의 일면과 점차 가까워진다.
이어, 장치본체(110)가 이동을 계속하여 도 6에 보이는 것과 같은 이동 말기 상태가 되면, 가이드부재(121)의 가이드면(122)이 장치본체(110)의 일면과 일 직선상에 놓인다. 그리하여 대상물(10)의 단무가 상기 가이드면(122)의 상부로 놓이게 된다.
이때, 프레임부재(131)의 단부는 감지수단(150)으로 제공되는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키고, 리미트스위치는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는 장치본체(110)의 이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대상물(10)을 상기 가이드부재(121)의 가이드면(122)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가이드면(122)은 대상물(10)을 하부에서 받치며 대상물(10)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대상물(10)이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장치본체(110)를 대상물(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완충부재(132)는 대상물(10)의 표면과 접촉이 해제되면서 프레임부재(131)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게 된다.
그러면, 프레임부재(131)의 타단부에 설치된 탄성수단(160)이 다시 신장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13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프레임부재(131)는 대상물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142)가 회전하며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142)에 연계된 가이드부재(121)는 다시 회전하며 점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물(10)의 표면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다시 도 4에 보이는 것과 같은 이동 초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 가이드 장치(100)를 구성하면 이동하는 장치본체(110)에 의하여 가이드수단(120) 및 완충수단(130)이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작업 없이도 대상물(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증대된다.
또한, 부드러운 곡면을 갖는 완충부재(132)가 가이드부재(121)보다 먼저 대상물에 접촉하므로,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물(10)의 표면에 찍힘, 흠집 등의 결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가이드 장치(100)를 포함하는 권출기를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권출기는 산세 압연 설비에서 코일을 후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권출기는 회전하게 제공되는 페이오프 릴(200)과, 상기 페이오프 릴의 외주에 감겨있는 코일(C)과, 상기 코일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제공되는 헤드부(320)와, 상기 헤드부(320)가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디부(310)를 포함하는 스레딩테이블(Threading table, 300) 및 상기 스레딩테이블의 헤드부(320)에 설치되는 에 설치되는 상기 이동 가이드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권출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 장치(100)의 상기 장치본체(110)는 상기 스레딩테이블의 헤드부(320)에 설치되어 이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선술한 대상물(10)은 산세 압연 설비의 코일(C)일 수 있다.
아울러, 장치본체(110)는 헤드부(32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헤드부(320) 자체가 될 수도 있으나, 이는 작업자 및 작업환경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며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S : 스트립 C : 코일
10 : 대상물 20 : 찍힘마크
100 : 이동 가이드 장치 110 : 장치본체
111 : 브라켓부재 120 : 가이드수단
130 : 완충수단 140 : 이동전환수단
150 : 감지수단 160 : 탄성수단
200 : 페이오프 릴 300 : 스레딩테이블
310 : 바디부 320 : 헤드부

Claims (7)

  1.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회전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연장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에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부재의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수단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이동전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평평한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구비되되, 회전 완료 이후에 상기 가이드면이 상기 대상물의 하부에 배치되게 제공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이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프레임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대상물에 접촉해제 시에 상기 프레임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이드 장치.
  7. 외주에 대상물이 감긴 상태로 회전하게 제공되는 페이오프 릴;
    상기 페이오프 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제공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스레딩테이블; 및
    상기 스레딩테이블의 헤드부에 설치되는 제1항,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페이오프 릴은,
    상기 스레딩테이블 방향으로 회전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출기.
KR1020150113637A 2015-08-12 2015-08-12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KR10169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37A KR101696091B1 (ko) 2015-08-12 2015-08-12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637A KR101696091B1 (ko) 2015-08-12 2015-08-12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091B1 true KR101696091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637A KR101696091B1 (ko) 2015-08-12 2015-08-12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0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600B1 (ko) 2018-08-31 2019-01-07 소순민 단조성형기의 원재료 공급장치
KR101915599B1 (ko) 2018-08-31 2019-01-07 소순민 원재료 공급장치를 이용한 단조성형방법
CN110775683A (zh) * 2019-11-05 2020-02-11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一种卡洛塞尔卷取机自动倒卷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621U (ko) * 1996-08-09 1998-05-15 추호석 코일 피더 라인용 코일 유도장치
KR20030008443A (ko) * 2001-07-18 2003-01-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KR101008116B1 (ko) * 2003-08-05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압착마크 방지용 냉연코일의 스트립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621U (ko) * 1996-08-09 1998-05-15 추호석 코일 피더 라인용 코일 유도장치
KR20030008443A (ko) * 2001-07-18 2003-01-2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선단부 유도 및 변형장치
KR101008116B1 (ko) * 2003-08-05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압착마크 방지용 냉연코일의 스트립 유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600B1 (ko) 2018-08-31 2019-01-07 소순민 단조성형기의 원재료 공급장치
KR101915599B1 (ko) 2018-08-31 2019-01-07 소순민 원재료 공급장치를 이용한 단조성형방법
CN110775683A (zh) * 2019-11-05 2020-02-11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一种卡洛塞尔卷取机自动倒卷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091B1 (ko) 이동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출기
CN105016111A (zh) 全自动片材收卷装置
UA9399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мот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 ha намоточную оправку
JP2010519060A5 (ko)
EP2277640B1 (en) Carousel reel facility
CN104670986A (zh) 一种波纹管半自动卷管机
JPWO2015128968A1 (ja) リール支持装置
US3970259A (en) Device for applying adhesive tape to a wire coil
KR101732982B1 (ko) 압연기의 워크롤 교환 장치
JP3148557U (ja) アンコイラ
KR20170074306A (ko) 스트립 권취 장치
US3060991A (en) Machine for joining strips of great length and more particularly for manufacturing radiator fins and similar applications
US3266280A (en) Coil threading mechanism
US2331392A (en) Article-charging machine
US11103908B2 (en) Coiled material passing device and coiled material passing method
JP2010260681A (ja) タッチロール又はニアロールの移動制御方法及びウェブ巻取装置
KR200181432Y1 (ko) 스크랩 코일 권취기의 코일 풀림 방지장치
US3761034A (en) Paper feeding device
US2963237A (en) Roller wrapper machine
US3321949A (en) Strip-reeling apparatus comprising a belt coiler
JP2016049538A (ja) 板金材送出装置
JP2502021Y2 (ja) 金属帯の巻取時における巻シワ及び巻緩み防止装置
TW201318950A (zh) 樹脂製薄膜捲之捲尾處理裝置與捲尾處理方法、具備以其處理方法形成之捲尾之樹脂製薄膜捲、其樹脂製薄膜捲製品
US2348258A (en) Billy roll
KR100863742B1 (ko) 양방향 랩핑이 가능한 텐션릴용 벨트랩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