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621B1 -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621B1
KR100878621B1 KR1020020053689A KR20020053689A KR100878621B1 KR 100878621 B1 KR100878621 B1 KR 100878621B1 KR 1020020053689 A KR1020020053689 A KR 1020020053689A KR 20020053689 A KR20020053689 A KR 20020053689A KR 100878621 B1 KR100878621 B1 KR 10087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coil
sleeve
shape
scrap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925A (ko
Inventor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6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를 스크랩 코일로 부터 쉽게 분리하여 재사용토록 함으로서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루고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랩 코일이 상부측에 올려지는 복수의 크레들 롤들을 갖추고,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스크랩 코일을 슬리브로 부터 스크랩 코일이 풀리도록 하는 스크랩 풀림부; 상기 스크랩 풀림부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랩이 상부면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자석 컨베어 밸트를 가지며, 스크랩 코일의 형상을 측정하는 터치 롤러와 포지션 메터들을 복수개 구비하여 스크랩 코일의 형상을 측정하는 형상 측정부; 상기 형상 측정부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형상 교정롤들을 갖추고, 상기 형상 교정롤들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파형진 형상의 스크랩을 평탄한 형상으로 교정시키는 형상 교정부;및 상기 형상 교정부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스크랩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복수의 상,하 절단 나이프들을 갖는 스크랩 절단부;를 포함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53689
스크랩 코일, 슬리브, 컨베어 밸트, 형상 교정부,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Description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SLEEVE FROM SCRAP COIL}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갖춰진 스크랩 풀림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갖춰진 측방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갖춰진 형상 측정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갖춰진 형상 측정부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갖춰진 형상 교정부와 절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갖춰진 형상 교 정부의 상세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갖춰진 롤러 게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의 작동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a,5b.... 크레들 롤 10.... 스크랩 풀림부
14.... 베어링 블록 16.... 체인
22.... 포토센서(photo sensor) 28.... 회동판
32.... 유압 실린더 35.... 측방 지지부
38a,38b... 롤러가이드 44.... 서브모터
48.... 너트 블럭 56.... 레이저센서
59.... 서브모터 63.... 자석 컨베어 밸트
67a,67b.... 포지션 메터 70.... 형상 측정부
76.... 지지봉 80.... 서브모터
83.... 형상 교정롤 90.... 승/하강 모터
96.... 베어링 블록 102.... 가로대
110.... 지지바 112.... 가이드바
120.... 절단부 122a,112b...나이프
130.... 수직 베이스 140.... 롤러 게이트
142.... 받침롤러 200.... 콘트롤러
300.... 슬리브 310.... 스크랩 코일
312.... 지그(jig) 320.... 천정 크레인
본 발명은 냉연공장의 연속소둔 공정에서 발생된 스크랩 코일로 부터 슬리브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소재의 형상불량이나, 결함으로 인하여 연속라인을 정상적으로 통과시키기가 곤란한 코일형 스크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재활용을 하여야 하는 슬리브를 스크랩 코일로 부터 쉽게 분리하여 재사용토록 함으로서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루고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공장의 연속 소둔공정에서는 완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코일형 스크랩이 일정길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원통형 철제로 이루어진 슬리브(300)상에 감겨진 상태로 발생된다.
도 1에는 이와 같이 슬리브(300)에 감겨진 스크랩 코일(310)을 슬리브(300)로 부터 분리시키는 기술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별도의 슬리브 분리 지그(jig)(312)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먼저 슬리브(300)로 부터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일정량의 스크랩(310)을 벗겨내고, 상기 슬리브(300)의 내측으로는 원형 구조의 상기 슬리브 분 리 지그(312)를 삽입한 다음, 슬리브(300)로 부터 돌출한 지그(312)의 상단부분을 천정 크레인(320)등으로 권상시켜서 스크랩 코일(310)의 자중에 의해서 슬리브(300)로 부터 스크랩 코일(310)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크랩 코일(310)과 슬리브(300)의 분리기술은 스크랩 코일(310)을 작업자가 슬리브(300)로 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매우 높은 관계로 작업을 기피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철제 슬리브(300)의 내측에 지그(312)를 삽입하고, 이를 크레인(320)으로 들어 올리는 작업도 중량물들을 처리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부하가 매우 큰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작업상의 이유로 인해서 스크랩 코일(310)이 감긴 슬리브(300)를 분리시켜 재활용하지 않고, 스크랩 코일(310)과 슬리브(300)를 모두 전량 스크랩으로 처리하게 됨으로서 냉연제품의 제조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분리작업을 무인 자동화로 안전하게 수행함으로써 철제 슬리브를 모두 스크랩 코일로 부터 분리 수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제조공정상의 원가절감을 이룸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형으로 감긴 스크랩 코일로 부터 슬리브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코일이 상부측에 올려지는 복수의 크레들 롤들을 갖추고,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크레들 롤상에서 스크랩 코일을 회전시켜 슬리브로 부터 스크랩 코일이 풀리도록 하는 스크랩 풀림부; 상기 스크랩 풀림부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랩이 상부면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자석 컨베어 밸트를 가지며, 스크랩 코일의 형상을 측정하는 터치 롤러와 포지션 메터들을 복수개 구비하여 스크랩 코일의 형상을 측정하는 형상 측정부; 상기 형상 측정부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형상 교정롤들을 갖추고, 상기 형상 교정롤들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파형진 형상의 스크랩을 평탄한 형상으로 교정시키는 형상 교정부;및 상기 형상 교정부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스크랩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복수의 상,하 절단 나이프들을 갖는 스크랩 절단부;를 포함하여 슬리브상의 스크랩 코일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1)는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 코일(310)을 슬리브(300)로 부터 자동으로 분리하고, 스크랩 코일(310)을 일정 크기로 절단배출시키며, 분리된 철제 슬리브(300)는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1)는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 코일(310)이 상부측에 올려지는 복수의 크레들 롤(5a)(5b)들을 갖추고,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7)를 구비하며, 상기 크레들 롤(5a)(5b)상에서 스크랩 코일(310)을 회전시켜 슬리브(300)로 부터 스크랩 코일(310)이 풀리도록 하는 스크랩 풀림부(10)를 갖는다.
상기 스크랩 풀림부(10)는 한쌍의 크레들 롤(5a)(5b)상에 코일형 스크랩 코일(310)을 크레인(320)을 이용하여 안착 시키면, 스크랩 코일(310)을 회전시켜주는 장치로서 베이스(12)상에서 회전가능한 두개의 크레들 롤(5a)(5b)과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7)를 구비한다.
상기 두개의 크레들 롤(5a)(5b)은 스크랩 코일(310)과 밀착이 잘되면서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로 만들어지고, 양측에 베어링블록(14)등으로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베어링 블록(14)은 대략 중앙으로 향하여 15°로 기울어진 베이스(base)(12)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레들 롤(5a)(5b)들은 베이스(12)의 상부측 일측에 마련된 모터(7)의 동력에 의하여 체인(16)이 회전하여 구동되며, 이를 위하여 일측의 롤(5b) 네크부에 스프로켓 휠(17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7)의 출력축에도 스프로켓(17b)이 설치되어 체인(16)으로 서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서 크레들 롤(5b)의 회전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모터(7)는 크레들 롤(5a)(5b)의 베이스(12)에 별도로 작은 베이스(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정된 통판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12)의 출측에는 가이드 테이블(guide table)(20)이 설치 되어 있고, 스크랩 코일(310)의 선단/후단부의 감지를 위하여 베이스(12)의 축측에는 포토센서(photo sensor)(2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랩 풀림부(10)에는 슬리브(300)로 부터 스크랩 코일(310)의 제거가 완료되면, 슬리브(300)가 베이스(12)의 타측에 마련된 슬리브 박스(26)로 자동으로 굴러가도록 베이스(12)의 일측이 회동판(28)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28)은 그 상부면에 하나의 크레들 롤(5a)을 장착한 것이고, 그 일측이 힌지축(30)에 의하여 45° 회전하도록 베이스(12)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판(28)의 하부에는 유압 실린더(32)가 양측에 2개가 설치된다.
상기 슬리브 박스(sleeve box)(26)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1 회에 4개를 동시에 이송하도록 슬리브(300) 4개가 들어갈 크기로 된 것이고, 상기 유압실린더(32)는 상하 승/하강시 힘의 분산을 위하여 그 상부가 회전축(32a)에 고정되어 상하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랩 풀림부(10)에는 스크랩 코일(310)의 외경이 작거나, 슬리브(300)로 부터 스크랩 코일(310)이 풀리면서 외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져서 대략 700mm 이하가 되면, 작은 직경의 스크랩 코일(310)을 지지하기 위한 측방 지지부(35)가 마련된다.
상기 측방 지지부(35)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들 롤(5a)(5b)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하부에 설치된 한쌍의 롤러 가이드(roller guide)(38a)(38b)가 상승되어 직경이 작아진 스크랩 코일(310)과 슬리브(300)의 요동을 잡아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외경측정 포토센서(40)가 상기 베이스(12)의 측면 후방부에 설치되어 스크랩 코일(310)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직경이 700mm 이하로 되면 상기 측방 지지부(35)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 4도에 도시된 측방 지지부(35)는 직경이 작은 스크랩 코일(310)의 진동 방지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크레들 롤(5a)(5b)의 하부에 위치된 3개의 플레이트(Plate)(42a)(42b)(42c)를 갖는 것이고, 최상측의 플레이트(42a)상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롤러 가이드(38a)(38b)는 일측에 마련된 서브모터(44)의 동력으로 스크류 샤프트(46)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그 하단에 각각 너트블럭(48)들이 위치되어 나사결합된 것이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46)는 각각 중앙을 기준으로 오른 나사부와 왼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이들 오른 나사부와 왼나사부에 너트 블럭(48)이 결합됨으로서 상기 서브 모터(44)의 작동으로 롤러 가이드(38a)(38b)들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너트 블럭(48)의 양측으로는 큰 힘에도 안정적으로 슬리브(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중 L-M가이드(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38a)(38b)는 원통형의 슬리브 부재(52)가 베어링(미도시)을 통하여 축(54)에 끼워져서 상기 축(54)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 가이드(38a)(38b)의 상부에는 레이저센서(56)가 설치되어 있어 스크랩 코일(310)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있는 슬리브(300)의 폭을 측정한다.
상기 측방 지지부(35)는 롤러 가이드(38a)(38b)가 설치된 상단의 플레이트(42a)와 중앙의 플레이트(42b)는 볼트(bolt)(58)로서 고정되어 있으며, 상하 승/하강(up/down) 작동용 서브모터(59)가 가장 하부측 플레이트(42c)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모터(59)의 작동에 의해서 상단 플레이트(42a)와 중앙 플레이트(42b)가 승/하강시 진동을 방지 하기 위하여 가이드 바(guide bar)(60)들이 하단 플레이트(42c)의 사방에 고정되어 중간 플레이트(42b)의 양측면 사방모서리부의 구멍(60a)에 4개가 끼워 지지된다.
즉, 상기 측방 지지부(35)는 상부의 롤러 가이드(38a)(38b)들을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하단 플레이트(42c)의 중앙부에 서브모터(59)가 설치되고, 그 축에 스크류 샤프트(59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59a)의 선단이 중간 플레이트(42b)의 중앙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모터(59)의 정,역회전은 스크류 샤프트(59a)를 통하여 중간 플레이트(42b)와 상단 플레이트(42a)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스크랩 풀림부(10)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크랩 코일(310)이 상부면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자석 컨베어 밸트(63)를 가지며,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측정하는 터치 롤러(65a)(65b)와 포지션 메터(67a)(67b)들을 복수개 구비하여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측정하는 형상 측정부(70)를 갖는다. 상기 형상 측정부(70)는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컨베어 밸트(63)를 갖는 바, 이는 스크랩 코일(310)을 원활히 이동시켜주고 형상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고무자석들이 내장되어 자력을 유지하고, 일측에 모터(69)가 설치되어 상기 벨트(63)를 무한 궤도형상으로 구동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벨트(63)의 상부측으로는 벨트상에서 진행되는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베이스(72)의 양측에 수직대(74)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대(74)을 가로지르도록 지지봉(76)과 받침판(78)이 장착되며, 상기 받침판(78)의 상부에는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측정하는 포지션 메터(67a)(67b)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포지션 메터(67a)(67b)는 상기 지지봉(76)에 축(80a)이 연결된 서브모터(80)및, 터치롤러(65a)(65b)들에 상호작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판(78)상에 배치되는 포지션메터(67a)(67b)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200mm의 간격으로 두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지션 메터(67a)(67b)의 일측에서 나오는 피아노선(68)은 상기 지지봉(76)에 일체로 장착된 터치롤러(65a)(65b)의 상부측에 형성된 각각의 터치바(66)와 연결되어 터치바(66)의 승/하강 변위량을 상기 피아노선(68)을 통하여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치바(66)는 최대한 무게를 줄여 스크랩 코일(310)의 정확한 형상측정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가벼운 알류미늄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지지봉(76)에 일체로 키박음되어 결합된다. 즉, 일반적으로 알려진 키(key)를 이용한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터치바(66)는 지지봉(76)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76)을 일정각도 회동시켜주는 서브모터(80)는 일측 수직대(74)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76)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터치바(66)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터치 롤러(65a)(65b)들이 그 하부측을 이동하는 스크랩 코일(310)의 상부면에 놓이도록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형상 측정부(70)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형상 교정롤(83)들을 갖추고, 상기 형상 교정롤(83)들을 구동하는 모터(85)들을 구비하여 파형진 형상의 스크랩 코일(310)을 평탄한 형상으로 교정시키는 형상 교정부(82)를 갖는다.
상기 형상 교정부(82)는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하부 교정 롤(83)들과, 이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5)및 상기 교정롤(83)중에서 상부측에 위치된 상부 롤 유니트(87)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모터(90)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교정롤(83)은 하부에 설치된 3개의 롤이 고정 베이스(92)상에 설치 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롤(83)의 양측면에는 베어링 블록(94)을 장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유지되고, 상기 롤(83)들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85)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롤(83)들은 그 외면에 크롬 도금을 한 철제롤(still roll)로 이루어다.
한편, 상기 교정롤(83)중에서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 롤 유니트(87)는 2개의 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일체형 베어링 블록(96)들을 사용하고 일측에는 각각 서브 모터(85)가 장착되어 구동되며, 상부측의 롤(83)들은 도 8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부측 롤(83)들의 사이사이에 배치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 유니트(87)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모터(9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승/하강 모터(90)는 상기 베어링 블럭(94)들이 장착되는 양측 프레임(100)의 상단을 이어주는 가로대(102)상에 장착된 것으로서, 그 축(90a)은 기어박스(106)를 통하여 상기 가로대(102)의 하부측으로 그 나사축(108)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108)은 가로대(102)의 하부측에서 상기 상부롤 유니트(87)의 베어링 블럭(96)을 이어 주는 지지바(110)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하강 모터(90)의 작동은 기어박스(106)를 통하여 나사축(108)을 회전시키고, 이는 상기 지지바(11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부 롤 유니트(87)를 승하강시키 며, 상기 상부 롤 유니트(87)는 승하강시의 회전및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 블럭(96)으로 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12)가 상기 수직 프레임(100)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형상 교정부(82)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스크랩 코일(310)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복수의 상,하 절단 나이프(122a)(122b)들을 갖는 스크랩 절단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절단부(120)는 스크랩 코일(310)을 쉬트(sheet)형태로 절단하여 주는 장치로서, 이는 상부에는 고정 나이프(122a)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나이프(122b)가 설치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베이스(130)상에 설치된 L-M가이드(132) 면을 따라 유압실린더(125)의 힘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되면서 그 사이에서 스크랩 코일(310)을 절단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120)의 후류측에는 절단된 스크랩 코일(310)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홈(135a)이 파여진 베이크 라이트 판(bakelite)(135)과, 롤러 게이트(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 게이트(140)는 절단부(120)의 출측에서 다수개의 받침 롤러(142)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받침 롤러(142)들이 장착된 고정판(145)의 일측을 경사 실린더(147)가 각도 조정하여 받침롤러(142)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모터(7)(44)(59)(69)(80)(85)(90)들과, 실린더(32a)(125)(147)같은 구동원과 센서(22)(40)(56)(67a)(67b)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자동제어하는 콘트롤러(2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1)는 먼저 스크랩 코일(310)의 내권부에 결함이나 형상불량이 확인되어 정상작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페이오프릴(POR)(미도시)에서 인출하여 크레인(320)을 이용하여 크레들 롤(5a)(5b)상에 안착시키면 작업 준비가 완료된다.
운전자는 콘트롤러(200)의 스위치를 온(On) 하면, 제 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들 롤 구동용 모터(7)가 작동되고, 체인(16)이 회전하면서 크레들 롤(5a)(5b)이 회전하여 크레들 롤(5a)(5b)상에 안착된 스크랩 코일(310)이 회전하면서 스크랩 코일(310)의 개방된 선단부가 선/후단부 감지 센서(22)에 위치되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포토센서(22)에 의해서 선단부가 감지되면, 콘트롤러(200)는 자석 밸트(63)의 모터(69)를 동작시켜 컨베어 밸트(63)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크레들 롤(5a)(5b)의 연속적인 회전과 자석 컨베어 밸트(63)의 부착력으로 인하여 상기 스크랩 코일(310)의 선단은 콘베어 벨트(63)를 따라서 이동되며, 형상 측정부(70)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200)는 형상 측정부(70)의 모터(80)를 동작시켜 터치 롤러(65a)(65b)들이 벨트(63)상의 스크랩 코일(310)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스크랩 코일(310)의 휘어진 형상을 따라서 2개의 터치 롤러(65a)(65b)들이 회전하면서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에 따라 터치바(66)들이 흔들리게 되고, 이들은 포지션 메터(67a)(67b)의 피아노선(68)의 움직을 초래하여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파고)가 포지션 메터(67a)(67b)에 의해서 측정된다.
이러한 측정값은 콘트롤러(200)에서 2개의 측정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파고의 량을 형상 교정부(82)로 전송하게 되고, 스크랩 코일(310)의 파고의 양에 따라 형상 교정부(82)는 상부 롤 유니트(87)가 구동모터(90)에 의하여 +3mm에서 -3mm까지 승/하강이 되도록 위치조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롤(83)들이 회전됨으로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스크랩 코일(310)의 요철된 형상을 평탄하게 교정하는 것이다.
즉, 콘트롤러(200)는 이와 같이 형상 교정부(82)의 롤(83)들이 구동되도록 하여 스크랩 코일(310)들의 형상이 일정하게 교정된 상태로 절단부(120)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단부(120)에서는 일정크기로 절단되도록 유압 실린더(125)가 작동되어 하부 나이프(122b)가 승하강되며, 대략 1m의 길이로 절단되는 스크랩 코일(310)은 10장을 절단할 때 마다, 롤러 게이트(140)의 승하강 실린더(147)가 작동되면서 받침롤러(142)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스크랩 박스(210)내에 골고루 쌓이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어 스크랩 코일(310)이 쉬트로 절단되어 점차적으로 스크랩 코일(310)의 외경이 작아져서 외경이 700mm 이하가 되면, 스크랩 풀림부(10)의 측면 후단부에 설치된 외경측정 포토센서(24)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콘트롤러(200)에 송신하면 상기 콘트롤러(200)는 크레들 롤(5a)(5b) 하부의 롤러 가이드(38a)(38b) 상부에 부착된 슬리브 폭 측정 레이저센서(56)가 폭 측정을 하도록 롤러 가이드(38a)(38b) 이동용 서브모터(44)가 작동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 센서(56)가 부착된 롤러 가이드(38a)(38b)가 오픈(open)되면서 슬리브(300)의 폭을 측정하면, 콘트롤러(200)에서 이를 연산하여 상기 슬리브(300) 폭보다 10mm 더 오픈(open)된 후 정지되도록 한다.
이후, 측방 지지부(35)의 모터(59)가 작동되어 롤러 가이드(38a)(38b)가 상승되도록 하고, 롤러 가이드(38a)(38b)의 중앙부가 슬리브(300)의 양측단부 위치까지 상승(up)된 후 정지되도록 한다. 이후, 모터(44)의 작동으로 신호를 받아 롤러 가이드(38a)(38b)가 10mm 내측으로 이동되면, 롤러 가이드(38a)(38b)가 상기 슬리브(300)의 양측단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직경이 작은 스크랩 코일(310)과 슬리브(300)가 크래들 롤(5a)(5b)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슬리브(300)의 좌우 요동을 측방향에서 지지하여 스크랩 코일(310)이 크래들 롤(5a)(5b) 상에서 이탈을 방지하여 준다.
한편, 스크랩 코일(310)이 슬리브(300)로 부터 분리되어 선/후단 감지 센서(22)가 스크랩 코일(310)의 후단부를 검출하면 상기 콘트롤러(200)는 각각의 구동원들을 차례로 정지시키며, 각각의 장치는 홈 포지션으로 위치하고, 크레들 롤(5a)(5b)의 일측에 마련된 업다운 실린더(32)가 하강되어 회동판(28)을 외측으로 경사시킴으로서 슬리브(300)를 박스(222)로 굴러가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들 롤(Cradle roll)상에 스크랩 코일(310)을 크레인으로 안착시키면, 외경 측정센서의 외경 측정값에 따라 스크랩 코일(310) 외경이 작아지면 롤러 가이드(38a)(38b)가 상승되어 스크랩 코일(310)의 좌우 요동을 교정하는 상태에서 풀리도록 한다. 그리고,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형상 측정부(70)에서 측정하여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파고,파장)의 정도에 따라 형상 교정부(82)가 자동으로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평탄하게 한 후, 절단부(120)에서 이들 시트형으로 절단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랩 코일(310)이 제거된 슬리브(300)는 그 반대측으로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300)를 스크랩 코일(310)로 부터 쉽게 분리하여 재사용토록 함으로서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루고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6)

  1. 코일형으로 감긴 스크랩 코일(310)로 부터 슬리브(300)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측으로 상기 스크랩 코일(310)이 올려지는 복수의 크레들 롤(5a)(5b)들이 구비되고, 상기 크레들 롤(5b)을 회전시키는 모터(7)가 구비되어 상기 크레들 롤(5a)(5b) 위에 얹혀지는 스크랩 코일(310)을 회전시켜 슬리브(300)로 부터 스크랩 코일(310)이 풀리도록 하는 스크랩 풀림부(10);
    상기 스크랩 풀림부(10)의 후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크랩 코일(310)이 상부면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자석 컨베어 밸트(63)를 가지며,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측정하는 터치 롤러(65a)(65b)와 포지션 메터(67a)(67b)들을 복수개 구비하여 스크랩 코일(310)의 형상을 측정하는 형상 측정부(70);
    상기 형상 측정부(70)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형상 교정롤(83)들을 갖추고, 상기 형상 교정롤(83)들을 구동하는 모터(85)를 구비하여 파형진 형상의 스크랩 코일(310)을 평탄한 형상으로 교정시키는 형상 교정부(82);및
    상기 형상 교정부(82)의 후류측에 위치되어 스크랩 코일(310)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복수의 상,하 절단 나이프(122a)(122b)들을 갖는 스크랩 절단부(120);를 포함하여 슬리브(300)상의 스크랩 코일(310)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 롤(5a)(5b)들은 베이스(12)의 상부측 일측에 마련된 모터(7)의 동력에 의하여 체인(16)이 회전하여 구동되며, 이를 위하여 일측의 롤(5b) 네크부에 스프로켓 휠(17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7)의 출력축에도 스프로켓(17b)이 설치되어 체인(16)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서 크레들 롤(5b)의 회전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풀림부(10)에는 스크랩 코일(310)의 외경이 작아지면스크랩 코일(310)과 슬리브(300)의 요동을 잡아줄 수 있도록 측방 지지부(35)가 마련되며, 상기 측방 지지부(35)는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모터(44)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고, 서브모터(59)의 작동에 의해서 승하강 가능한 롤러 가이드(38a)(38b)들을 구비하여 스크랩 코일(310)과 슬리브(300)의 측방을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메터(67a)(67b)는 그 일측에서 나오는 피아노선(68)이 터치롤러(65a)(65b)의 상부측에 형성된 각각의 터치바(66)와 연결되어 터치바(66)의 승/하강 변위량을 상기 피아노선(68)을 통하여 감지하고, 상기 터치바(66)는 최대한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알류미늄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지지봉(76)에 키를 이용한 결합방식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교정부(82)는 다수개의 상하부 교정 롤(83)들과, 이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5)및 상기 교정롤(83)중에서 상부측에 위치된 상부 롤 유니트(87)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모터(90)들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모터(90)는 베어링 블럭(94)들이 장착되는 양측 프레임(100)의 상단을 이어주는 가로대(102)상에 장착되며, 그 축(90a)은 기어박스(106)를 통하여 상기 가로대(102)의 하부측으로 그 나사축(108)이 연장되어 상기 상부롤 유니트(87)의 베어링 블럭(96)을 이어 주는 지지바(110)에 나사결합되어 상부롤 유니트(87)의 승하강을 이루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20)의 후류측에는 다수개의 받침 롤러(142)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받침 롤러(142)들이 장착된 고정판(145)의 일측을 경사 실린더(147)가 각도 조정하여 받침롤러(142)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롤러 게이트(140)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KR1020020053689A 2002-09-06 2002-09-06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KR10087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689A KR100878621B1 (ko) 2002-09-06 2002-09-06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689A KR100878621B1 (ko) 2002-09-06 2002-09-06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925A KR20040021925A (ko) 2004-03-11
KR100878621B1 true KR100878621B1 (ko) 2009-01-15

Family

ID=3732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689A KR100878621B1 (ko) 2002-09-06 2002-09-06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756A (ko) * 2015-06-19 2016-12-28 (주)우선기업 슬리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16B1 (ko) * 2012-02-14 2018-08-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판재 슬리팅 모사 장치
CN112828071B (zh) * 2020-12-30 2022-12-27 东莞市海洛实业有限公司 一种冲床生产用余料回收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9800U (ko) * 1990-05-11 1991-12-1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리드코일용 스크랩코일 공급장치
JPH07290143A (ja) * 1994-04-22 1995-11-07 Nippon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の巻取り・巻戻し装置に付帯するスリーブの交換設備
KR970007053U (ko) * 1995-07-06 199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업 이송장치
KR19980014814U (ko) * 1996-09-03 1998-06-25 김종진 코일 슬리브 자동 분리장치
KR200186061Y1 (ko) * 1999-12-27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철제 슬리브와 코일의 분리장치
KR20000014371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코일 내부의 슬리브 분리장치
KR20010027507A (ko) * 1999-09-14 2001-04-06 이구택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KR20010103234A (ko) * 2000-05-08 2001-11-23 이구택 스트립 형상 교정기의 폭방향 두께 편차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9800U (ko) * 1990-05-11 1991-12-1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리드코일용 스크랩코일 공급장치
JPH07290143A (ja) * 1994-04-22 1995-11-07 Nippon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の巻取り・巻戻し装置に付帯するスリーブの交換設備
KR970007053U (ko) * 1995-07-06 199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업 이송장치
KR19980014814U (ko) * 1996-09-03 1998-06-25 김종진 코일 슬리브 자동 분리장치
KR20000014371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코일 내부의 슬리브 분리장치
KR20010027507A (ko) * 1999-09-14 2001-04-06 이구택 코일카의 코일 말단부 위치 교정장치
KR200186061Y1 (ko) * 1999-12-27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철제 슬리브와 코일의 분리장치
KR20010103234A (ko) * 2000-05-08 2001-11-23 이구택 스트립 형상 교정기의 폭방향 두께 편차 교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756A (ko) * 2015-06-19 2016-12-28 (주)우선기업 슬리팅 장치
KR101705057B1 (ko) * 2015-06-19 2017-02-09 (주)우선기업 슬리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925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22816A (en) Coil cradle
KR100878621B1 (ko) 스크랩 코일과 슬리브의 자동분리장치
US3942784A (en) Dual sheet piling machine
KR101235753B1 (ko) 사이드 트리머의 스크랩에지리본 분리유도장치
KR100761748B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구간내 피딩테이블의스트립 유도장치
KR200446135Y1 (ko) 절단기 칼날 교체용 장치
CN112605162A (zh) 风阀叶片全自动滚压成型装置
KR101125813B1 (ko) 런아웃테이블의 불량테일 스트립 절단장치
KR20010114078A (ko)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US4208164A (en) Bar cut-off feeding machine
CN219620445U (zh) 一种自动切卷机的收卷机构
KR200290265Y1 (ko) 압연 롤 센터 자동 조절장치
JPH0650850U (ja) スタッカ装置
JP2676129B2 (ja) 延反機に於ける解反装置
KR200164873Y1 (ko) 철근절단용콘베어의철근이송장치
KR100909687B1 (ko) 사이드트리머의 반곡 교정장치
CN117023227B (zh) 一种钢带表面酸洗设备的送料装置以及送料方法
KR100878691B1 (ko) 루퍼 캐리지의 강판사행 조정장치
CN219986803U (zh) 钢带修边设备
CN219009794U (zh) 一种市政公路施工用物料提升装置
KR0123901Y1 (ko) 루우핑 타워의 뱅크 레벨 조정 장치
JPH0653289B2 (ja) 形鋼の圧延装置
JP3981606B2 (ja) 麺帯裁断装置
JPH0929319A (ja) エッジング圧延機のガイド装置
KR200237473Y1 (ko)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