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473Y1 -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7473Y1 KR200237473Y1 KR2019960025251U KR19960025251U KR200237473Y1 KR 200237473 Y1 KR200237473 Y1 KR 200237473Y1 KR 2019960025251 U KR2019960025251 U KR 2019960025251U KR 19960025251 U KR19960025251 U KR 19960025251U KR 200237473 Y1 KR200237473 Y1 KR 2002374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fe
- frame
- steel sheet
- lower knife
- cutt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hearing Machin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나이프를 고정시키고, 하부 나이프를 상부측으로 회동시켜 강판 용접부를 절단시킴으로서 강판의 모서리가 하부 나이프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부의 절단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서 후속공정인 사이드 트리밍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수 있도록 개선된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부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강판의 진입을 검지하는 센서 등을 구비한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부나이프가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하부 나이프의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부 나이프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나이프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는 한편, 상기 하부 나이프는 상부 나이프와 접촉되는 선단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강판의 진입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용접부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연공장에서 연속작업의 일환으로 전,후강판을 용접한 후 상기 용접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상부 나이프를 고정시키고, 하부 나이프를 상부측으로 회동시켜 강판 용접부를 절단시킴으로서 강판의 모서리가 하부 나이프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부의 절단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서 후속공정인 사이드 트리밍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수 있도록 개선된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강판의 생산라인에서는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냉연강판의 측면을 절단하는 사이드 트리머(Side Trimmer)가 갖춰지며, 이러한 사이드 트리머의 전방측에는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10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강판(S1)(S2)이 용접 연결되는 경우, 이러한 전,후강판(S1)(S2)은 그 폭차이로 인하여 이러한 상태로 사이트 트리머로 유입되면 정상적인 사이드 트리밍작업이 저해되고, 각종 롤과같은 설비등에 이러한 차이나는 부분이 손상을 가함으로서 작업중단 등의 사고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후강판(S1)(S2)사이의 폭차이를 용접부(W)에서 감소시키기 위하여 강판(S1)(S2)의 용접부 절단장치(100)가 상기 용접부(W)를 원호형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한편, 제1도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100)는 강판(S1)(S2)의 양측으로 서로 동일한 구조가 대향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의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상기 장치(100)는 ㄷ 형의 프레임(102)을 갖추고, 상기 프레임(102)의 하부측에는 활차(104)가 장착되며, 상기 활차(104)를 강판(S1)(S2)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106)를 후방측에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강판(S1)(S2)의 용접부(W)를 원형으로 절단하기 위한 상,하부 나이프(108a)(108b)를 갖는바, 상부 나이프(S1)(S2)는 ㄷ 형 프레임(102)의 상부측에 의치되고, 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12)를 갖고 있으며, 하부 나이프(108b)는 프레임(102)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2)의 내부로 강판(S1)(S2)이 유입된 것을 확인하는 센서(115)가 프레임(102)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하부 나이프(108a)(108b)에 의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용접부 절단장치(100)는 상,하부 나이프(108a)(108b)에 의하여 강판(S1)(S2)의 용접부(W)가 절단되는 경우, 강판(S1)(S2)의 양측 모서리가 ㄷ 형 프레임(102)의 내측에 적절하게 위치되어야 하지만 하부 나이프(108b)의 높이와 강판(S1)(S2)의 진행높이가 대략적으로 비슷하기 때문에 강판 용접부(W)의 모서리 부분이 조금만 휘어져 있어도 하부 나이프(108b)와 간섭되어 용접부 절단장치(100)의 진입이 불가능하고, 그에 따라서 절단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강판(S1)(S2)이 그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가지고 진입하고, 좌우측으로의 이동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용접부 절단장치(100)가 진입하여도 강판(S1)(S2)의 측방향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만일 용접부 절단장치(100)가 진입과정에서 걸려서 진입하지 못하면 강판(S1)(S2)의 절단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용접부(W)의 평탄도 불량으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이는 후속공정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함은 물론 각종 롤 등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의 평탄도가 불량하여도 하부 나이프에 의한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서 용접부의 원활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후속공정의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강판의 용접부부분이 원형으로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상,하부 나이프 12 : 프레임
14 : 이동실린더 16 : 센서
20 : 힌지 22 : 경사면
24 : 유압 실린더 24a : 작동로드
24b : 몸체 S1,S2 : 전,후 강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부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강판의 진입을 검지하는 센서 등을 구비한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부나이프가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하부 나이프의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부 나이프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나이프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는 한편, 상기 하부 나이프는 상부 나이프와 접촉되는 선단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강판으로의 측방향 진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용접부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1)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나이프(10a)(10b)가 장착되는 ㄷ 형 단면의 프레임(12)을 갖추며, 상기 프레임(12)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4)를 프레임(12)의 후방측에 갖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의 내측에는 강판(S1)(S2)의 진입을 검지하는 센서(16)를 상,하부에 갖추고, 상기 프레임(12)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부나이프(10a)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12)의 내측면에는 수직벽(18)상에 하부 나이프(10b)의 하부일측이 힌지(20)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부 나이프(10b)의 타측은 상부 나이프(10a)와 접촉되는 선단부에 경사부(22)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부(22)는 제3도에서 하부 나이프(10b)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끝점부분(P1)이 하부 나이프(10b)의 중간점부분(P2)보다 하부측에 위치됨으로서 강판(S1)(S2)의 모서리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구조를 이루고, 제3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되면 상기 경사부(22)가 상부 나이프(10a)와 평행을 이루면서 그 사이의 강판 모서리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나이프(10b)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나이프(10b)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24)가 장착되는 바, 상기 유압실린더(24)는 작동로드(24a)의 선단부가 하부 실린더(10b)의 전방측 하부면에 힌지(26)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4)의 몸체(24b)하부측은 프레임(12)의 내측면 하부에 힌지(28)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35)는 유압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용접부 절단장치(1)는 유압실린더(24)의 작동로드(24a)가 몸체(24b)로 인입된 상태에서 하부나이프(10b)를 하향시키고(제3도의 점선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실린더(14)가 작동하여 ㄷ 형 프레임(12)이 강판(S1)(S2)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부 나이프(10b)의 경사부(22)는 강판(S1)(S2)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가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강판(S1)(S2)의 용접부 모서리가 불량한 경우에도 충돌되지 아니하고 용이하게 진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강판(S1)(S2)의 유입상태가 센서(16)에 의해서 검지되면, 상기 하부 나이프(10b)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24)가 구동되는 바, 이러한 유압실린더(24)는 작동로드(24a)가 몸체(24b)에서 상부측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하부나이프(10b)를 상부 나이프(10a)측으로 밀어 올리고, 이러한 하부 나이프(10b)의 상승작동은 상부 나이프(10a)와 상호 작용하여 용접부(W)를 원형으로 절단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강판(S1)(S2)은 그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가진 것이고, 좌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것이기 때문에, 정위치에서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하부나이프(10b)에 의해 상승되어 상부 나이프(10b)와 하부나이프(10b)사이에서 정확하게 절단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경사부(22)가 강판(S1)(S2)의 모서리에 선접촉하지만, 하부 나이프(10b)가 강판(S1)(S2)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강판(S1)(S2)은 정위치에서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하부나이프(10b)에 의해 똑바로 상승되어 정확하게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작업이 이루어진 용접부(W)의 조각은 하부측의 벨트 콘베이어(미도시)로 낙하되어 제거되고, 상기 하부 나이프(10b)는 유압실린더(24)에 의하여 하강되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 나이프(10a)가 프레임(12)의 내측면 상부에 견고히 고정되고, 이에 대하여 하부 나이프(10b)가 유압실린더(24)에 의해서 상부 나이프(10a)측으로 이동되어 강판(S1)(S2)의 용접부(W)를 절단하며, 특히 하부나이프(10b)의 선단부에는 강판(S1)(S2)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22)가 형성됨으로서 강판(S1)(S2)의 모서리부분 평판도가 불량하여도 하부 나이프(10b)에 걸리지 아니하고 프레임(1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원활하게 절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강판 용접부(W)의 원활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후속공정의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강판(S1)(S2)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설비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 상,하부 나이프(10a)(10b)와 상기 나이프가 장착되는 프레임(12)을 갖추며, 상기 프레임(12)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4)와 상기 프레임(12)의 내측으로 강판(S1)(S2)의 진입을 검지하는 센서(16) 등을 구비한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부나이프(10a)가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2)의 내측면에는 하부 나이프(10b)의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부 나이프(10b)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나이프(10b)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24)가 장착되는 한편, 상기 하부 나이프(10b)는 상부 나이프(10a)와 접촉되는 선단부에 경사부(22)를 형성하여 강판(S1)(S2)으로의 측방향 진입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용접부(W)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용접부 절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5251U KR200237473Y1 (ko) | 1996-08-22 | 1996-08-22 |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5251U KR200237473Y1 (ko) | 1996-08-22 | 1996-08-22 |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1729U KR19980011729U (ko) | 1998-05-25 |
KR200237473Y1 true KR200237473Y1 (ko) | 2001-11-22 |
Family
ID=5397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5251U KR200237473Y1 (ko) | 1996-08-22 | 1996-08-22 |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747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7486B1 (ko) * | 2011-03-16 | 2014-03-26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노치 나이프를 이용한 폭 변경 구간을 갖는 강판의 연결부위 가공방법 및 가공설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1629B1 (ko) * | 2002-12-28 | 2009-10-15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트립 폭 편차 제거장치 |
-
1996
- 1996-08-22 KR KR2019960025251U patent/KR20023747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7486B1 (ko) * | 2011-03-16 | 2014-03-26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노치 나이프를 이용한 폭 변경 구간을 갖는 강판의 연결부위 가공방법 및 가공설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1729U (ko) | 1998-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721507B2 (ja) | バリ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KR200204905Y1 (ko) | 주행강판의 사이드 가이드장치 | |
KR200237473Y1 (ko) |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 |
KR102120698B1 (ko) | 용접와이어 절단장치 | |
KR101235753B1 (ko) | 사이드 트리머의 스크랩에지리본 분리유도장치 | |
KR100878669B1 (ko) | 스트립 에지 스크랩 권취장치 | |
KR100321024B1 (ko) | 강판용접부 자동타격 및 스케일 제거장치 | |
JPS6116014Y2 (ko) | ||
KR100721861B1 (ko) | 환도 통과 스트립 유도장치 | |
KR100542539B1 (ko) | 스트립 용접부 홀 가공장치 | |
KR100775484B1 (ko) | 스트립 용접용 에지부 절단장치 | |
KR0146801B1 (ko) | 슬라브 절단설 자동제거장치 | |
KR100908701B1 (ko) | 시트 전단라인의 시트 콘베이어 승하강장치 | |
KR200184376Y1 (ko) | 연속소둔 스트립 용접용 웰더전극의 마모방지용 가이드장치 | |
KR20020047784A (ko) | 강판절단기의 랩보상 장치 | |
KR200260899Y1 (ko) | 서브머지드 아아크 용접기의 자동 모따기 장치 | |
JPH0753827Y2 (ja) | 電縫管製造設備におけるビードリムーバ | |
KR100865313B1 (ko) | 냉연강판 초극박재 롤러쉬어 자동 컷팅장치 | |
KR20000012076U (ko) | 강판절단기용 스크랩 처리장치 | |
KR101444138B1 (ko) | 회전식 강판 절단장치 | |
KR200275176Y1 (ko) |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 |
JPH0445770Y2 (ko) | ||
KR200182471Y1 (ko) | 밴드 스크랩 자동제거장치 | |
JPH09314229A (ja) | 金属ストリップの溶接部位置検出用穴の形成方法および そのためのくぼみ形成装置 | |
KR101125813B1 (ko) | 런아웃테이블의 불량테일 스트립 절단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