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176Y1 -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176Y1 KR200275176Y1 KR2020010039993U KR20010039993U KR200275176Y1 KR 200275176 Y1 KR200275176 Y1 KR 200275176Y1 KR 2020010039993 U KR2020010039993 U KR 2020010039993U KR 20010039993 U KR20010039993 U KR 20010039993U KR 200275176 Y1 KR200275176 Y1 KR 2002751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p
- cropping
- shear
- cut
- cobb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8936 Vitellaria paradox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1135917 Vitellaria paradox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Abstract
본 고안은 선재 생산 공정에서 중간사상 압연기를 통과한 소재를 사상 압연기에 인도하기 위해 소재의 선,후단부를 절단하는 시어 장치에 있어서 소재의 이상 절단으로 코블이 발생할 때 이를 효과있게 해소할 수 있는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시어 전단부에 설치된 파이프 스위치(7)가 다운 및 드라이브 사이드로 이동되어지면 시어 내부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가 상승작동되어 소재 가이드 롤러(1b)가 드라이브 사이드쪽으로 이동되어 소재를 테일부 컷팅 위치로 밀어 컷 나이프가 테일부를 절단할 수 있게 하는 소재 쉬프팅 장치(1)와, 테일부가 절단된 소재의 크롭을 감시하는 크롭 감시 센서(4)와, 시어 내부에 설치된 소재 가이드 플래이트(2a)를 에어 실린더(2b)에 의해 하부로 밀어 크롭 가이드 플레이트에 얹혀 있던 크롭을 하부 크롭 콘베어(5)로 낙하시키는 크롭 제거 장치(5)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재 생산 공정의 일환으로 중간사상 압연기를 통과한 소재를 사상 압연기에 안정적으로 인도하기 위해 파이프 스위치(PIPE SWITCH)와 시어(SHEAR)에 의해 소재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절단하는 시어 장치에 있어서 소재 코블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관련된 선재 크롭 시어에 있어서는 선단부 절단 날에 의한 소재의 선단부 절단과 후단부 절단 날에 의한 소재의 후단부 절단을 행하도록 시어 블래이드(BLADE)가 구성되어 있으나, 비정상시 선단부 절단날에 의해 소재의 후단부가 절단되어 잘린 크롭(CROP)이 소재의 진행속도에 의해 시어 후단의 가이드(GUIDE) 안으로 딸려 들어가 코블을 일으키게 되는 일이 발생하는 바, 본 고안은 소재의 후단부 절단 신호시 후단부 절단 날에 정확히 인도되도록 하는 소재 쉬프팅 장치와 잘린 소재를 감시하는 크롭 감시 센서(SENSOR) 및 잘린 소재가 시어에 들어갔을 시 제거하는 크롭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다음 소재의 선단부 진행시 크롭(CROP) 소재와 충돌을 예방하여 코블(COBBLE)을 방지하는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시어 장치에 있어서는 중간사상 압연기를 통과한 소재를 파이프 스위치가 업(UP)되어 워크 사이드(WORK SIDE)에 있을 때 소재의 선단부가 시어의 블레이드(BLADE)에 의해 절단될 수 있게 소재를 인도하여 소재의 선단부를 절단하여 사상 압연기에 원활한 치입이 되도록 하고, 소재의 후단부가 일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 파이프 스위치가 다운(DOWN)되고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로 절환되어 시어(SHEAR)의 후단부 블래이드에 의해 소재의 후단부가 절단되게 하는 방식으로, 비정상시 선단부 블레이드에 의해 소재의 후단부가 절단되어 소재가 시어 후단의 소재 가이드(GUIDE) 안으로 딸려 들어가 코블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6과 같이 선재 생산 공정의 일환으로 중간사상 압연기를 통과한 소재를 사상 압연기에 인도하기 위하여 소재의 선단과 후단을 자르는 시어 장치에서 선단부 절단 블레이드(9)에 의한 소재 선단부 절단과 소재의 후단부 절단 블래이드(10)에 의한 소재 후단부 절단시 선단부 절단 블레이드(9)에 의해 소재의 후단부가 절단되어 소재가 시어 후단에 설치된 소재 가이드 안으로 소재의 진행속도에 의해 딸려 들어가서 다음 소재의 선단부와 같이 가이드에 끼이거나 충돌하여 소재의 진행이 방해되어 코블이 발생하고, 다음 생산을 하기 위해서 코블 소재의 처리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및 처리 시간이 과다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있게 해소할 수 있는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장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쉬프팅 장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쉬프팅 장치 동작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크롭 제거 장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크롭 제거 장치 동작 사시도,
도6은 종래 장치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재 쉬프팅 장치 2 : 크롭 제거 장치
2a : 가이드 플래이트 2b : 에어 실린더
3 : 크롭 4 : 센서
5 : 크롭 콘베어 6 : 소재
7 : 파이프 스위치 8 : 시어
9 : 선단부 절단 블레이드 10 : 후단부 절단 블레이드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선재 제조공정에 있어서, 중간사상 압연기를 통과한 소재는 파이프 스위치에 의해 시어에 인도되어 사상 압연기로의 원활한 치입을 위해 선단부가 절단된 후 사상 압연기로 인도되어 압연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본 고안은 시어에서 소재의 후단부 절단 신호시 파이프 스위치 및 소재 쉬프팅 장치에 의해 소재가 정확히 후단부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될 수 있게 하고, 잘린 소재를 감시하는 크롭 감시 센서에서 소재의 절단을 감시하여 절단 완료신호 후에 크롭이 감지되지 않으면 잘린 소재가 이차적인 문제에 의해 시어 후단에 설치된 소재 가이드 안쪽으로 딸려 들어간 것으로 간주하여 크롭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잘린 소재를 하부에 설치된 크롭 콘베어(CROP CONVEYOR)로 떨어지게 하여 다음 소재의 코블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재 쉬프팅 장치(1)와, 크롭(CROP) 감시 센서(4) 및 크롭 제거 장치(2)로 이루어진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불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압연 소재(6)의 테일부가 시어의 크롭 셋팅(CROP SETTING)치만큼 절단되도록 하기 위하여 준비 동작인 시어 전단부에 설치된 파이프 스위치(7)가 다운(DOWN) 및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로 이동되어지면 시어내부에 설치된 소재 쉬프팅 장치(1)의 에어 실린더(1a)가 동작되어 소재 가이드 롤러(1b)가 드라이브 사이드쪽으로 이동되어 소재를 테일부 컷팅 위치로 밀어 컷 나이프가 소재의 테일부를 정확하게 자를 수 있게 구성, 작용된다.
또한, 테일부가 잘린 소재의 크롭은 하부에 설치된 크롭 콘베어(5)상으로 떨어지는데,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감시 센서(4)에 의해 크롭이 감지되지 않으면 시어 내부에 설치된 크롭 제거장치(2)의 소재 가이드 플레이트(2a)를 에어실린더(2b)에 의해 하부로 밀어 가이드 플래이트(2a)에 얹혀 있던 크롭(3)을 하부 크롭 콘베어(5)로 낙하시켜 다음 소제의 톱(TOP)부가 진행될 때 톱부와 부딪혀 진행되지 못하고 코블이 발생하는 것을 제거하도록 구성, 작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는 중간사상 압연기에서 압연된 소재의 후단부를 후단부 절단 블레이드에 의해 정확하게 절단하고, 이차적인 문제점에 의해 선단부 절단 블레이드에 의해 소재의 후단부 절단시 유발되는 코블 소재의 처리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과 처리 시간의 과다 소요 및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시어 전단부에 설치된 파이프 스위치(7)가 다운 및 드라이브 사이드로 이동되어지면 시어 내부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가 상승작동되어 소재 가이드 롤러(1b)가 드라이브 사이드쪽으로 이동되어 소재를 테일부 컷팅 위치로 밀어 컷 나이프가 테일부를 절단할 수 있게 하는 소재 쉬프팅 장치(1)와, 테일부가 절단된 소재의 크롭을 감시하는 크롭 감시 센서(4)와, 시어 내부에 설치된 소재 가이드 플래이트(2a)를 에어 실린더(2b)에 의해 하부로 밀어 크롭 가이드 플레이트에 얹혀 있던 크롭을 하부 크롭 콘베어(5)로 낙하시키는 크롭 제거 장치(5)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9993U KR200275176Y1 (ko) | 2001-12-24 | 2001-12-24 |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9993U KR200275176Y1 (ko) | 2001-12-24 | 2001-12-24 |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176Y1 true KR200275176Y1 (ko) | 2002-05-13 |
Family
ID=7311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9993U KR200275176Y1 (ko) | 2001-12-24 | 2001-12-24 |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17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9426B1 (ko) | 2009-04-23 | 2011-11-02 | 주식회사 포스코 | 압연소재 가이드 장치 |
-
2001
- 2001-12-24 KR KR2020010039993U patent/KR2002751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9426B1 (ko) | 2009-04-23 | 2011-11-02 | 주식회사 포스코 | 압연소재 가이드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6060028A (ja) | サイドトリム装置、サイドトリム方法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 |
EP2627189B1 (de) |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maschinellen bearbeiten von in reihe geförderten fleischteilen sowie mittels der vorrichtung durchgeführtes verfahren | |
KR200275176Y1 (ko) | 선재 크롭 시어 소재 코블 방지 장치 | |
CN109420795B (zh) | 一种厚板头部第一刀剪切定位装置及其控制方法 | |
CN207606347U (zh) | 一种棒材定尺剪切头时的尾钢自动加长装置 | |
US2010007151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ividing metal strip | |
JP2010247292A (ja) | 反り抑制装置及び該反り抑制装置を用いた金属板の製造方法 | |
US3605538A (en) | Device for positioning plate for cutting by a crosscut shear | |
JP6435589B2 (ja) | 金属製品用曲げ機および対応する曲げ方法 | |
JP3695240B2 (ja) | 条鋼製品の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 |
KR20200024995A (ko) | 금속판재의 절단설 제거장치 | |
CN219026098U (zh) | 一种防止卡钢的剪体结构 | |
CN214321966U (zh) | 轴承棒料自动去尾料装置 | |
KR100544428B1 (ko) | 코일밴드 자동 제거장치 | |
US4302995A (en) | Apparatus for blanking metal sheet having parts of welded connection | |
US3534648A (en) | Shears for parting continuously-cast billets | |
KR100883750B1 (ko) | 미스 롤 방지장치 및 방법 | |
JP2007268619A (ja) | サイドトリミング装置 | |
KR100328950B1 (ko) | 선재의 불량부 제거장치 | |
KR101040784B1 (ko) | 다목적 버제거장치 | |
JP2023019683A (ja) | トリム屑検出装置およびトリム屑の検出方法 | |
KR101533975B1 (ko) | 버 제거가 가능한 스토퍼 | |
KR20010046366A (ko) | 일방향 슬라브 절단설 제거방법 | |
DE2526207A1 (de) | Vorrichtung zum trennen von werkstuecken | |
KR200182471Y1 (ko) | 밴드 스크랩 자동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42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