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4078A -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4078A
KR20010114078A KR1020000034126A KR20000034126A KR20010114078A KR 20010114078 A KR20010114078 A KR 20010114078A KR 1020000034126 A KR1020000034126 A KR 1020000034126A KR 20000034126 A KR20000034126 A KR 20000034126A KR 20010114078 A KR20010114078 A KR 2001011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ok
wire rod
axis lin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시현
송준봉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3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4078A/ko
Publication of KR2001011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4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불량부가 시후크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시후크에 취부된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을 시후크로부터 취외하여 그 불량부에 대한 제거 및 교정작업 후 다시 시후크에 취부하는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대차; 상기 대차의 상부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롤; 상기 안내롤을 따라 상하강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받침봉에 안착된 선재코일의 일측편을 그 받침판으로 지지하게 되는 상하강프레임; 실린더에 의해 크랭크암이 편심회전되면 크랭크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그 상단의 지지롤이 상기 상하강프레임을 상하강시키게 되는 장축링크; 상기 대차에 결합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단의 지지롤이 상기 상하강프레임을 상하강시키게 되는 단축링크; 상기 장축링크와 단축링크의 하단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단축링크측에 형성된 그 요홀에 의해 상기 장축링크의 회전을 시차를 두고 상기 단축링크에 전달하게 되는 연결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재코일의 적재장치{Apparatus for loading wire coil}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시후크에 취부된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을 시후크로부터 취외하여 그 불량부에 대한 제거 및 교정작업 후 다시 시후크에 취부하는 선재코일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공장에서 압연, 냉각공정을 거쳐서 나선형의 링으로 생산되는 선재코일은 ㄷ자형의 시후크에 의해 제품검사, 트리밍(Trimming), 권취, 평량, 태그(Tag)부착공정을 차례로 거친 후 제품창고로 이송된다. 이때, 선재코일에는 그 보텀(Bottom)부에 압연공정에서 흠이 발생하거나, 냉각공정에서 권취불량이 발생되고, 그 불량부위가 시후크의 내측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선재코일의 불량부에 대한 제거 및 교정작업은 트리밍공정에서 하지만 선재코일의 불량부가 시후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불량부의 제거 및 교정은 시후크로부터 취출 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시후크에 걸려있는 선재코일은 미결속상태이기 때문에 취출이 불가능하고, 일단 권취기로 이동시켜 선재코일을 결속한 후 평량기를 거쳐 후크투후크(Hook To Hook)설비로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후크투후크설비에서 코일을 시후크로부터 취출 후, 줄걸이작업을 하여 지브크레인으로 들어 올리고 방향전환을 하게 된다. 이때, 그 불량부가 시후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방향전환된 선재코일은 다시 시후크에 걸어서 트리밍공정으로 보내지고, 트리밍공정에 도착한 코일은 먼저 결속밴드가 절단되고, 그 불량부위의 제거 및 교정 후 다음공정을 거쳐 제품창고로 보내진다.
이처럼 종래에는 그 불량부가 시후크의 내측에 위치하는 선재코일에 대한 불량부 제거 및 교정작업이 권취기에서 결속 후, 후크투후크설비에서 코일의 방향을 전환한 다음, 다시 전체 정정라인을 한바퀴 더 선회하여 진행된다.
이러한 종래작업은 정상적인 공정흐름을 방해하고, 별도의 작업자를 배치하여 재포장코일을 유도하게 되고, 각 공정마다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코일과 충돌 등의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그 불량부가 시후크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시후크에 취부된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을 시후크로부터 취외하여 그 불량부에 대한 제거 및 교정작업 후 다시 시후크에 취부하는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의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 2 : 구동바퀴
2-1 : 구동축 3 : 안내롤
4 : 상하강프레임 5 : 받침판
7 : 받침봉 9 : 연결링크
10 :장축링크 11 : 단축링크
12 : 지지롤 13 : 실린더
14 : 크랭크축 15 : 크랭크암
16 : 레일 19 : 모터
19-1 : 종동축 19-2 : 종동바퀴
20 : 선재코일 20-1 : 불량부위
21 : 시후크 22 : 결합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롤과; 상기 안내롤을 따라 상하강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받침봉에 안착된 선재코일의 일측편을 그 받침판으로 지지하게 되는 상하강프레임과; 실린더에 의해 크랭크암이 편심회전되면 크랭크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그 상단의 지지롤이 상기 상하강프레임을 상하강시키게 되는 장축링크와; 상기 대차에 결합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단의 지지롤이 상기 상하강프레임을 상하강시키게 되는 단축링크와; 상기 장축링크와 단축링크의 하단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단축링크측에 형성된 그 요홀에 의해 상기 장축링크의 회전을 시차를 두고 상기 단축링크에 전달하게 되는 연결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이고, 도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의 적재장치의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레일(16)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1)는 구동축(2-1)의 구동바퀴(2)와 종동축(19-1)의 종동바퀴(19-2)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구동축(2-1)에는 지지판(17)에 고정되는 모터(19)의 동력이 체인(18)에 의해 전달된다. 그리고, 대차(1)의 각모서리에는 안내롤(3)이 설치되어 있고, 상하강프레임(4)은 이 안내롤(3)을 따라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하강프레임(4)의 길이방향 일측편에는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20)을 받칠 수 있도록 받침판(5)이 수직에서 약간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받침판(5)에는 그 중앙부에 홈(5-1)이 형성되어 있어 시후크(21)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하프레임(4)의 폭양측편에는 받침봉(7)이 받침요크(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20)을 안착시키게 된다.
한편, 대차(1)의 폭양측에 크랭크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절곡상태의 장축링크(10)는 그 상단에 각각 지지롤(12)이 설치되어 있고, 이지지롤(12)은 장축링크(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프레임(4)을 밀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그리고, 대차(1)의 폭양측에 결합핀(2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절곡상태의 단축링크(11)는 그 상단에 각각 지지롤(13-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롤(12)은 단축링크(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프레임(4)을 밀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이때, 장축링크(10)와 단축링크(11)의 하단을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링크(9)는 단축링크측에 요홀(10-1)이 형성되어 있어 장축링크(10)의 2차회전시 장축링크의 회전력을 단축링크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대차(1)의 중앙측에 설치되는 실린더(13)는 그 로드가 크랭크암(15)에 연결되어 있고, 이 크랭크암은 크랭크축(14)의 중앙에 편심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13)가 일정한 스트로크로 1,2차 나누어 전후진작동되면 크랭크암(15)이 크랭크축(1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장축링크(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후크(21)에 취부된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20)에 있어서 그 코일불량부위(20-1)가 시후크의 내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바로 그 불량부위를 제거 및 교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4a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19)를 작동시켜 구동축(2-1)을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바퀴(2)가 구동되면서 시후크(21)의 선단측이 받침판(5)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대차(1)가 레일(16)을 따라 선재코일(20)의 하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13)를 1차 전진작동시키게 되면 크랭크암(15)이 밀리면서 크랭크축(1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장축링크(10)가 회전되면서 지지롤(3)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승되는 지지롤(3)에 의해 상하강프레임(4)의 한쪽이 들리게 되면 서 시후크(21)상의 선재코일(20)중 내측 즉 불량부위(20-1)측을 상승시키어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을 받침판(5)측으로 쏠리게 한다.
그리고, 도4c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13)를 2차 전진작동시키면 장축링크(10)가 회전되면서 연결링크(9)를 완전히 당기게 되어 단축링크(1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롤(12-1)이 상승되면서 상하강프레임(4)의 다른 한쪽을 들어올려 수평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처럼 상하강프레임(4)이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상승되면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20)은 시후크(21)상에서 들리면서 받침판(5)으로 경사지도록 눕혀지게 된다.
이때, 모터(19)를 작동시켜 대차(1)를 레일(16)을 따라 후진시키게 되면 받침봉(7)과 받침판(5)에 적재된 선재코일(20)이 시후크(21)로부터 자연스럽게 취외되고, 시후크로부터 선재코일이 완전히 취외되면 대차(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선재코일의 불량부위(20-1)에 대한 제거 및 교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불량부위(20-1)가 제거 및 교정되면 다시 대차(1)를 움직이어서 선재코일(20)을 시후크(21)에 취부한 후, 실린더(13)를 1차 후진작동시키면 장축링크(10)에 의해 지지롤(12)이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하강프레임(4)이 경사지면서 선재코일(20)이 시후크(21)의 내측으로 쏠리게 되고, 실린더(13)의 2차 후진작동이 이루어지면 연결링크(9)에 의해 단축링크(11)가 회전되면서 지지롤(12-1)이 하강되어 상하강프레임(4)을 수평상태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선재코일(20)은 시후크(21)에 완전히 취부된 상태가 되고, 선재코일과 받침봉(7) 사이가 이격되어 대차(1)의 취외가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은 시후크에 취부된 미결속상태의 선재코일에 대한 불량부위의 제거 및 교정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모터(19)의 구동에 의해 레일(16)을 따라 이송되는 대차(1);
    상기 대차(1)의 상부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롤(3);
    상기 안내롤(3)을 따라 상하강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받침봉(7)에 안착된 선재코일(20)의 일측편을 그 받침판(5)으로 지지하게 되는 상하강프레임(4);
    실린더(13)에 의해 크랭크암(15)이 편심회전되면 크랭크축(14)과 함께 회전되면서 그 상단의 지지롤(12)이 상기 상하강프레임(4)을 상하강시키게 되는 장축링크(10);
    상기 대차(1)에 결합핀(2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단의 지지롤(12-1)이 상기 상하강프레임(4)을 상하강시키게 되는 단축링크(11);
    상기 장축링크(10)와 단축링크(11)의 하단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단축링크(11)측에 형성된 그 요홀(10-1)에 의해 상기 장축링크(10)의 회전을 시차를 두고 상기 단축링크(11)에 전달하게 되는 연결링크(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KR1020000034126A 2000-06-21 2000-06-21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KR20010114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26A KR20010114078A (ko) 2000-06-21 2000-06-21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26A KR20010114078A (ko) 2000-06-21 2000-06-21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4078A true KR20010114078A (ko) 2001-12-29

Family

ID=1967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26A KR20010114078A (ko) 2000-06-21 2000-06-21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407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347B1 (ko) * 2002-08-01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적재장치용 코일 검출수단
KR100895083B1 (ko) * 2002-09-13 2009-04-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자중으로 작동되는 코일붕괴 방지장치
KR101258520B1 (ko) * 2010-12-20 2013-04-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KR102045679B1 (ko) * 2018-06-28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형상 교정장치
KR20200073791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카
KR102308298B1 (ko) * 2020-08-31 2021-10-0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권취 교정설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347B1 (ko) * 2002-08-01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적재장치용 코일 검출수단
KR100895083B1 (ko) * 2002-09-13 2009-04-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자중으로 작동되는 코일붕괴 방지장치
KR101258520B1 (ko) * 2010-12-20 2013-04-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KR102045679B1 (ko) * 2018-06-28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형상 교정장치
KR20200073791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카
KR102308298B1 (ko) * 2020-08-31 2021-10-0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권취 교정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78867B (zh) 电解铜钢带自动拆捆系统
CN212531757U (zh) 一种收线机
CN201284190Y (zh) 钢卷套筒吊运装置
KR20010114078A (ko)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CN106276394B (zh) 一种铝型材上排设备中铝线自动缠绕机组及其控制方法
CN110862021A (zh) 一种自动化数控行走起吊设备
CN204079017U (zh) 全自动挂布、凉布机
CN208165336U (zh) 一种钢管打包机
CN111807146A (zh) 一种钢筋收线机
CN216996203U (zh) 一种叉壁式棒材搬运工装
CN209929134U (zh) 绕制变压器用的升降旋转装置
KR100829805B1 (ko) 코일 포장용 회전장치
JP5319144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入替装置およびベルト入替方法
KR100519473B1 (ko)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CN104276427A (zh) 全自动挂布、凉布机
JPS6056584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セグメントの吊り上げ装置
KR100514799B1 (ko) 냉연공정용 롤의 교체장치
CN214359891U (zh) 一种新能源电站建设用吊装平台
CN215941065U (zh) 活套内托辊换辊装置及水平活套系统
CN211055558U (zh) 一种钢卷包装线的塑料袋供料装置
CN216911588U (zh) 一种带液压翻转高架放线架
CN103398866A (zh) 钢卷取样固定装置
CN212245964U (zh) 一种跨度可调整的提梁机
KR100890799B1 (ko) 대경 선재코일의 형상 정리용 유니트
CN216509609U (zh) 可转动的大麦仁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