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679B1 - 코일 형상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형상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679B1
KR102045679B1 KR1020180075007A KR20180075007A KR102045679B1 KR 102045679 B1 KR102045679 B1 KR 102045679B1 KR 1020180075007 A KR1020180075007 A KR 1020180075007A KR 20180075007 A KR20180075007 A KR 20180075007A KR 102045679 B1 KR102045679 B1 KR 10204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ounting portion
coil shape
shape correction
tele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7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시 코일의 텔레스코프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받침대와, 중간에 고정된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받침대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비임을 구비한 시소부; 상기 비임 위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코일이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비임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비임을 기울이게 하는 승강부; 및 상기 비임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충돌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형상 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SHAPE OF COIL}
본 발명은 권취시 코일의 텔레스코프 형상을 교정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 중 텐션 릴(Tension Reel)을 이용하여 코일을 권취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설비의 상태, 원재료의 결함 등에 기인하여 코일의 내권이 돌출되어 텔레스코프(telescope)를 형성하거나, 반대로 외권이 돌출되어 텔레스코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권취시 코일에 텔레스코프가 발생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코일제품에 대한 품질 저하 및 수요자의 불만을 초래하므로, 텔레스코프가 발생된 코일은 수요자에게 인도하기 전에 텔레스코프를 교정하는 교정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프를 교정하는 종래의 교정방법은, 그 내권이 돌출되거나 외권이 돌출되어 텔레스코프가 발생한 코일을 운반용 차량에 의해 텔레스코프 교정장치로 이동한 후, 교정장치에 구비된 양쪽 실린더가 코일의 양 측부를 압축하여 텔레스코프를 교정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코일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교정장치의 설치 환경이 좁고 부하가 작아 텔레스코프의 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2017-0021567 A
이에 본 발명은 권취시 코일의 텔레스코프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는, 받침대와, 중간에 고정된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받침대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비임을 구비한 시소부; 상기 비임 위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코일이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비임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비임을 기울이게 하는 승강부; 및 상기 비임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비임의 최대 경사각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충격면을 포함한 충돌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두꺼워서 텔레스코프를 교정할 수 없었던 코일도 텔레스코프가 해소되어 제품의 품질 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 중 거치부 상에 코일이 놓인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 중 거치부 상에 코일이 놓인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는 받침대(11)와, 중간에 고정된 회전축(12)을 매개로 하여 받침대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비임(13)을 구비한 시소부(10); 비임 위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코일(1)이 안착되는 거치부(20); 비임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비임을 기울이게 하는 승강부(30); 및 비임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충돌지지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시소부(10)는 설비의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받침대(11)를 구비한다. 이 받침대는 대략 U자 형상부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비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에는 회전축(12)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관통홀(1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소부(10)는 받침대(11) 상에서 회전축(12)에 의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비임(13)을 구비한다. 회전축은 비임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비임에 고정된다. 이러한 비임은 금속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비임(13)의 회전축(12)과 받침대(11)의 관통홀(14) 사이에는 원활한 상대회전을 위해 베어링 또는 부싱 등과 같은 회전지지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부(20)는 그 상면에 코일(1)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오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1)이 놓이게 되는 거치부(20)의 상면 또는 오목면에는 거치부의 미끄럼이동시 코일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질로 된 마찰부재(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재는 거치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20)는 비임(13) 위에서 부드럽고 신속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시소부(10)의 비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치부의 하면 또는 하부쪽 측면에는 예컨대 볼이나 롤러와 같은 복수의 구름부재(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구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주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레일(15)이 비임에 형성되고, 이 안내레일에 상응한 단턱홈(22)이 거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거치부(20)와 시소부(10)의 비임(13) 사이에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직선형 볼베어링(linear motion ball bearing) 등과 같은 선형 이동기구가 채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형 이동기구는 무거운 하중의 코일(1)이 놓인 거치부를 원활하게 미끄럼이동시키는 데에 바람직하다.
승강부(30)는 시소부(10)의 비임(13)에 기울기를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승강부로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임의 양측 단부 아래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31)를 갖춘 액츄에이터가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로는 유체압식 실린더 또는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30)의 배치와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소부(10)의 비임(13)을 기울일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배치와 구성도 무방하다.
충돌지지부(40)는 비임(13)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승강부(30)에 의해 기울어진 비임을 따라 거치부(20) 상에서 미끄럼이동하는 코일(1)의 텔레스코프(2)로 인해 돌출한 부분과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지지부는 설비의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충돌지지부(40)에서 비임(13)의 단부에 인접한 측면, 즉 코일(1)의 텔레스코프(2)와의 충격면(41)은 대략 비임의 최대 경사각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써, 충격면은 대략 코일의 측면과 평행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코일이 충격면에 충돌할 때, 코일의 텔레스코프 이외의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돌지지부(40)의 충격면(41)은 그 외측 방사상으로 확장한 연장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연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충돌지지부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코일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는, 코일(1)을 크레인 등에 의해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거치부(20)의 위치를 비임(13) 상에서 고정시키는 스토퍼(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50)로는 적어도 일측 충돌지지부(4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51)를 갖춘 액츄에이터가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로는 유체압식 실린더 또는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스토퍼(50)의 작동로드(51)가 충돌지지부(40)를 관통하여 신축되어 거치부(20)와 접촉되게 하거나, 한 쌍의 스토퍼가 충돌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면서 거치부(20)의 양측방으로 돌출한 돌출부(미도시)에 작동로드가 작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형상 교정장치로 텔레스코프(2)를 가진 코일(1)을 반입할 때에는, 먼저 시소부(10)의 비임(13)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승강부(30)의 작동로드(31)를 동일하게 신장시켜 비임의 레벨을 수평하게 맞춘다. 이어서, 스토퍼(50)의 작동로드(51)를 신장시켜 거치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예컨대 크레인 등으로 코일을 거치부 상에 안착시킨다.
코일(1)이 안착되면, 스토퍼(50)의 작동로드(51)는 수축된다. 이어서, 일측 승강부(30)의 작동로드(31)는 더욱 신장되게 하고 타측 승강부(30)의 작동로드(31)는 수축되게 하여, 시소부(10)의 비임(13)을 기울어지게 한다.
이때, 기울어진 비임(13)에 의해 거치부(20) 상에 놓인 코일(1)의 자중이 경사면 아래로 향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거치부가 기울어진 비임을 따라 경사면 아래로 미끄럼이동한다.
무거운 코일(1)이 놓인 거치부(20)는 구름부재(21) 또는 선형 이동기구 등에 의해 비임(13)의 기울기에 따라 비임 위를 부드럽고 신속하게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비임(13)을 따라 거치부(20)와 함께 미끄럼이동하여 내려온 코일(1)은 일측 충돌지지부(40)의 충격면(41)과 충돌하여 그 운동에너지만큼 충격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충격으로 인해, 코일(1)에서 텔레스코프(2)에 의해 돌출된 부분, 예컨대 내권부가 조금씩 밀려들어간다.
한편, 일측 승강부(30)의 작동로드(31)는 수축되게 하고 타측 승강부(30)의 작동로드(31)는 완전히 신장되게 하여 시소부(10)의 비임(13)을 반대로 기울어지게 하면, 거치부(20) 상에 놓인 코일(1)은 타측 충돌지지부(40) 쪽으로 미끄럼이동하면서 그 충격면과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으로 인해, 코일(1)에서 텔레스코프(2)에 의해 돌출된 부분, 예컨대 외권부가 조금씩 밀려들어간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양측 승강부(30)를 반대로 작동시키면, 이로 인한 비임(13)의 기울기에 따라 거치부(20) 상에 놓인 코일(1)이 비임의 어느 일측 단부에 인접한 충돌지지부(40)와 충돌하면서 그 텔레스코프(2)를 조금씩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각 승강부(30)의 작동로드(31)의 스트로크를 조정하여 시소부(10)의 비임(13)이 갖게 되는 기울기를 변경하면, 코일(1)이 충돌지지부(40)와 충돌할 때 생기는 충격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코일(1)을 반입할 때와 마찬가지로, 텔레스코프를 교정한 코일(1)을 본 발명의 코일 형상 교정장치로부터 반출할 때에는, 시소부(10)의 비임(13)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승강부(30)의 작동로드(31)를 동일하게 신장시켜 비임의 레벨을 수평하게 맞춘다. 이어서, 스토퍼(50)의 작동로드(51)를 신장시켜 거치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예컨대 크레인 등으로 코일을 거치부로부터 제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두꺼워서 텔레스코프를 교정할 수 없었던 코일도 시소부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가속된 자중에 텔레스코프가 해소되어 제품의 품질 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코일 2: 텔레스코프
10: 시소부 13: 비임
20: 거치부 21: 구름부재
30: 승강부 40: 충돌지지부
50: 스토퍼

Claims (9)

  1. 받침대와, 중간에 고정된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받침대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비임을 구비한 시소부;
    상기 비임 위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코일이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비임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비임을 기울이게 하는 승강부; 및
    상기 비임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비임의 최대 경사각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충격면을 포함한 충돌지지부
    를 포함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면에 상기 코일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오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오목면에는 탄성재질로 된 마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하면 또는 하부쪽 측면에는 복수의 구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비임 사이에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직선형 볼베어링(linear motion ball bearing) 중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비임의 단부 아래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를 갖춘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상기 비임 상에서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일측 충돌지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작동로드를 갖춘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형상 교정장치.
KR1020180075007A 2018-06-28 2018-06-28 코일 형상 교정장치 KR10204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07A KR102045679B1 (ko) 2018-06-28 2018-06-28 코일 형상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07A KR102045679B1 (ko) 2018-06-28 2018-06-28 코일 형상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679B1 true KR102045679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07A KR102045679B1 (ko) 2018-06-28 2018-06-28 코일 형상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67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925Y1 (ko) * 1999-08-31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빌렛트의 레벨조정장치
KR20010114078A (ko) * 2000-06-21 2001-12-29 이구택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JP2002137728A (ja) * 2000-11-02 2002-05-14 Teito Rapid Transit Authority 荷物運搬装置
KR100375841B1 (ko) * 1999-12-29 2003-03-15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KR20070000228U (ko) * 2007-02-01 2007-02-22 김응욱 철강재 크롭 이송 대차
KR20100043877A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삼우에코 곡선 주행이 가능한 코일카
KR20110000410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코일용 이송 장치
KR101153781B1 (ko) * 2010-12-01 2012-06-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트레이 구조체 및 제품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925Y1 (ko) * 1999-08-31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빌렛트의 레벨조정장치
KR100375841B1 (ko) * 1999-12-29 2003-03-15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모터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대차
KR20010114078A (ko) * 2000-06-21 2001-12-29 이구택 선재코일의 적재장치
JP2002137728A (ja) * 2000-11-02 2002-05-14 Teito Rapid Transit Authority 荷物運搬装置
KR20070000228U (ko) * 2007-02-01 2007-02-22 김응욱 철강재 크롭 이송 대차
KR200438039Y1 (ko) * 2007-02-01 2008-01-14 김응욱 철강재 크롭 이송 대차
KR20100043877A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삼우에코 곡선 주행이 가능한 코일카
KR20110000410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코일용 이송 장치
KR101153781B1 (ko) * 2010-12-01 2012-06-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트레이 구조체 및 제품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82B1 (ko)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장치
JP5011361B2 (ja) タイヤ試験機
JP2011167705A (ja) コイル搬送台車及びコイルの搬送方法
KR102045679B1 (ko) 코일 형상 교정장치
KR100199053B1 (ko) 케이블 권취장치
KR20060093303A (ko) 스테이지장치 및 갠트리형 스테이지장치 및 스테이지장치의제어방법
JP2019099112A (ja) 精密機器用の組立・検査台車
KR101917433B1 (ko)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KR101879063B1 (ko)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FR2956106A1 (fr) Vehicule elevateur pour le positionnement d'une charge en hauteur
KR10126127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렬 지그
US20170363516A1 (en)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JP2023501519A (ja) シャフト内で変位および固定するための取付フレーム
KR102228912B1 (ko) 롤 이송용 운반장치
JP202000709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098466B1 (ko) 간격 보정 방법
US20170022037A1 (en) System for holding cabinets in place during installation
FR3099407B1 (fr) Tambour expansible pour la conformation de bandages pneumatiques comprenant un dispositif extenseur a parallélogramme pour le maintien de la tringle
KR20210047569A (ko) 선박 화물창 내의 단열재 리프팅 장치
CN114178344A (zh) 热轧卷筒外支撑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63696B1 (ko) 레이저 용접장치
US20020027221A1 (en) Motorized support jack
JP6259008B2 (ja) コイルリフター
CN219296997U (zh) 一种长形结构件用的调正设备
CN113879971B (zh) 一种用于运输机货舱电动吊车限制摆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