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053B1 - 케이블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053B1
KR100199053B1 KR1019910701845A KR910701845A KR100199053B1 KR 100199053 B1 KR100199053 B1 KR 100199053B1 KR 1019910701845 A KR1019910701845 A KR 1019910701845A KR 910701845 A KR910701845 A KR 910701845A KR 100199053 B1 KR100199053 B1 KR 100199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el
suspension arm
fram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667A (ko
Inventor
제에스케네이넨 베사
Original Assignee
쥬코 비르타, 약코 아산티
넥스트롬 홀댕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코 비르타, 약코 아산티, 넥스트롬 홀댕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쥬코 비르타, 약코 아산티
Publication of KR92070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푸는 장치로서, 수직프레임(1)과 프레임에 수직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2개의 지지대(4)로 구성되고, 각각의 지지대에는 하부끝단에서 릴 맞물림 수단을 가지는 수직이동 현가 아암이 제공한다.
이동무게를 감소시키기고, 변형된 릴의 중앙구멍들의 위치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고정된 지지대(4)는 현가 아암(5)의 상부위치에서 지지대를 통하여 현가 아암을 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받침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현가 아암(5)은, 고정된 지지대에 의하여 현가 아암의 하부 맞물림 위치에서 현가 아암의 축 방향으로 지지대에 대하여 현가 아암의 신축성 이동을 허용하고, 릴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수평흔들림 이동을 허용하는 스프링 부재(12)로서 지지된다.

Description

케이블 권취장치
본 발명은 케이블등을 권취하거나, 풀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릴의 축길이를 따라 수평적으로 서로 근접하거나 이탈하며, 상기 프레임상에 견고하게 수직적으로 장착된 2개의 지지대와 끝단부에 길의 중앙을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수단이 마련되고, 대형릴의 중앙과 소형릴의 중앙 사이의 높이차와, 대형릴의 승강거리의 거리의 합에 대응하는 거리를 지지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각각의 지지대에 장착된 현가 아암과, 현가 아암을 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수단과, 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특히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풀기 위한 케이블 공사에 사용되지만 이 장치는 로우프와 같이 다른 유사한 물건을 감은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장치의 목적은,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릴을 상승하는 것이다. 장치는 릴의 중앙구멍이나 릴의 대향면에 마련된 다른 승강수단으로부터 릴을 잡기 위한 맞물림핀을 구비한다.
릴은, 양쪽면상에 원래 대칭적이고, 중앙구멍은 동일한 수평축상에 정확하게 위치되지만, 릴과 특히 2개의 플랜지는 사용으로 손상과 변형될 수 있어, 승강된 릴은 기초가 되는 표면상에 똑바른 위치에 위치될 수가 없고 기울어져, 릴의 중심구멍은, 서로에 대하여 다른 높이로 위치된다.
기초가 되는 표면이 평탄하지 아니할 경우에도 동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권취기의 맞물림핀은 중앙구멍들 사이에서 높이의 차를 보정할 수 있어야만 한다.
또한, 권취기는 물론 다른 직경의 릴을 사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핀란드 특허 공보 제6,1012호(스위스 특허출원 제 763752호)는 장치의 프레임,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2개의 기둥에 의하여 지지된 수평비임에 고정된 지지대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현가 아암에 고정되는 맞물림핀을 포함하는 케이블 권취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지지대는, 수평비임에 이와 같이 고정되어 수평비임에 대하여 그들의 수직위치를 유지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임을 따라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다.
릴을 맞물리기 위하여, 현가 아암은 상승 및 하강될 수 있어 릴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충분히 바닥위치에서 올려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류의 케이블 권취기는 어떤 중요한 불이익을 가진다. 현가 아암용 지지대는 프레임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되므로, 현가 아암은 현가 아암의 맞물림핀이 릴의 중앙구멍에서 맞물리도록 밀어넣기 위하여 다소 긴 길이를 하강 해야만 한다.
릴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로 현가 아암이 상승후, 현가 아암은 다소 길게 남아 있다. 릴의 회전은 현가 아암에서 상단한 스트레스등 일으켜, 진동과 흔들림으로 되고 권치를 혼란시키고, 현가 아암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단점은 감은 동안 현가 아암의 흔들림을 막기 위하여, 현가 아암은 가능한한 적은 빈틈으로 지지대에서 축지지되어야만 한다. 이 결과, 현가 아암의 하단 끝단에 있는 맞물림핀은 하단위치에서 측면 방향으로 어느정도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맞물림핀은 손상이나 다른 이유로 원래 위치로부터 약간 이동된 중앙구멍을 찾을 수가 없다. 이와같은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케이블 권취장치는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현가 아암용 지지대가 개발되었다. 이와같은, 장치의 하나는 핀란드 특허 공보 제 60542 호(독일 특허 공보 27 13 866)에 공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직경의 릴을 핸들할 수 있고 릴의 중앙 구멍 사이에 적은 높이차를 보정할 수 있으나, 다소 복잡한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현가 아암용 지지대는 분리된 기둥상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고, 별도의 승강 및 하강기구가 또한 마련되는 것을 요구한다.
게다가, 맞물림핀이 설치된 2 개의 현가 아암은, 각각 잠금위치와 맞물림핀이 지지대에 대하여 수직으로 신축성 있게 움직일 수 있는 풀림위치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기계가 제공된다.
2개의 지지대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지지대와 함께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수평가로비임에 의해 연결된다. 릴의 사용시, 비교적 큰 중량을 움직이어야만 한다.
다른 단점은 지지대는 가로 비임에 의하여 연결되고,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할 수 없기 때문에, 릴 변형에 의한 중앙구멍 사이에 발생되는 높이차는 현가봉의 약간의 유연한 이동 내에서만 보정될 수 있다.
현가봉의 약간의 유연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스프링 레버 연결 구조는, 현가봉의 측면에 공간을 요구하고 릴 주위의 작업에 방해가 되는 지지대를 크게 만들어야만 한다.
종래의 장치에서 다른 문제점은 맞물림핀은 감는 위치에서 프레임에 단단하게 보장되지 아니한다. 현가봉의 지지대는 감는 위치에서 맞물림핀이 대향 입력을 받는 받침대가 마련된다.
그러나 지지대가 기둥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이므로, 작은 불리한 틈은 항상 지지대와 기둥 시이에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작동모터를 포함하는 현가봉은 지지대에 피보트 지지되게 고정되고, 기둥의 대향 슬라이드 표면에 대하여 눌러지는 2개의 슬라이드 베어링이 마련된 기초대위에 장착된다. 맞물림핀이 지지대의 받침대에 대하여 모우터가 동작 함으로써 눌려질 때, 기초대의 슬라이드 베어링이 기둥에 단단하게 맞물리기 위하여, 기초대를 기둥에 대하여 피보트하게 한다.
지지대와 기둥상이 빈틈을 제거하는 이와같은 방식에서는 구조가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된다. 또한, 다른 종류의 케이블 권취장치가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독일 특허 공보 제 1 474 238 호와 미국특허 공보 제 3 123 314 호에 릴 승강 아암은 릴의 측면에 위치한 수평 피보트 축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창착된 수평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릴 옆에 비교적 큰 마루 공간이 요구함으로서, 다른 제조 및 취급 장치가 연관하여 배치되는 것이 어렵다.
독일 특허 공보 제 25 19 020 호는, 릴 맞물림 수단용 지지대가 각각 분리된 기둥에 장착되어 지지대가 기둥위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문 형태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는 단순하나 지지대의 이동시 비교적 큰 무게가 이동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등을 감거나 푸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장치는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고, 다른 사이즈의 릴 뿐만 아니라 크게 변형된 릴도 간단하지만 안정된 구조로 취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며, 각각의 정지된 지지대는 현가 아암의 상부위치에서 지지대를 통하여 현가 아암을 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현가 아암은, 고정된 지지대의 위하여 현가 아암의 하부 맞물림 위치에서 현가 아암의 축 방향으로 지지대에 대하여 현가 아암의 신축성 이동을 혀용하고, 릴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수평흔들림 이동을 허용하는 스프링부재로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가 아암이 수직방향으로 비교적 긴 길이를 거쳐 하강되는 것이 허용되고, 상승된 감는 위치에서 지지대로써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맞물린 수단이 제공되는 사상에 기초을 하고 있다.
큰 수직 하강이동은 현가 아암이 상부 끝단에서 지지대에 피보트되면 현가 아암의 하부 끝단에서 릴의 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맞물림 수단의 비교적 넓은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프링 부재는 수직방향으로 현가 아암의 적은 유연한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현가 아암은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림 수단은, 릴의 잘못된 이치에 관계 없이 릴의 중앙구멍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움직이지 않는 고정지지대는 빈틈이 하나도 없다.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지지대가 사용되면, 빈틈의 발생을 피할 수가 없다.
이동할 수 있는 지지대에서 요구되는 수직미끄럼 베어링도 역시 제거된다. 따라서 맞물림 수단은 고정지지대에 의하여 프레임에서 완전히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웨덴 특허 공보 제 399864 호의 장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현가 아암용 지지대는 장치의 프레임에 수직으로 확고하게 고정되므로, 지지대의 수직이동을 위해 기계들이 필요하지 않다.
2개의 현가 아암은 각각 수직방향의 넓은 범위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변형된 중심구멍 또는 평탄하지 않은 표면에 위치된 릴 사이의 높이차를 보정하는 것은 쉽다.
릴을 지지하는 맞물림 수단은 릴의 직경에 상관없이 고정된 지지대의 고정된 받침대에 대하여 항상 상승되고, 릴은 항상 일정한 작업높이, 즉 인간공학적으로 적당한 위치에 위치하고, 따라서 소형릴일 때 매우 낮은 작업위치에서 작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지지대를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단단하고 안정된 지지 프레임이 달성된다. 맞물림 수단이 지지대에 단단하게 보장되므로, 다시말해 기둥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릴은 감는 위치에서 견고히 지지된다.
현가 아암은 하부끝단부에서 스프링 레버 장치는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지지대는 보다 가늘게되어, 예를들면, 케이블의 끝단을 릴로 삽입할 때, 릴 주위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수직 방향으로 현가 아암이 이동할 때 문 구조 프레임의 가로비임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이동되는 무게 적으며 문 프레임은 매우 안정적이다.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에서 대형릴 및 소형릴을 취급하는 경우 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제3도의 도면에 나타낸 케이블 권취장치는 2개의 지지기둥(2)과 ,다른 릴폭을 위하여 기둥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도시되지 아니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빔의 길이방향으로 축소 및 확장할 수 있는 연결 가로빔(3)으로 구성된 문 형상 프레임(1)으로 구성된다.
양쪽의 지지대에는 지지대상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나사봉(6)과,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으나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 맞물림봉(7)으로 구성된 수직 현가 아암(5)이 설치된다.
맞물림봉(7)은 나사봉에 나사맞춤되고, 이 하단부는 릴을 잡기 위해 릴(9)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게 맞물림핀(8)에 마련된다. 나사봉은 기어케이스를 통하여 모우터(11)에 연결된다. 기어케이스는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된 스프링(12)사에 보올죠인트(15)에 의하여 장착된다.
스프링은, 나사봉의 적은 수직신축이동을 허용하고, 죠인트는 가로빔(3)에 수직한 수직평면에서 흔들림 이동을 허용한다.
현가 아암의 나사봉 및 맞물림봉은 그의 길이가, 맞물림봉의 맞물림핀(8)이 대형릴(9')의 중앙구멍과 소형릴(9″)의 가운데 구멍 사이의 거리(A)에 걸쳐 수직으로 이동되고, 추가적으로 릴의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바닥(13)으로부터 릴을 충분히 상승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거리(B)를 이동할 수 있는 길이이다.
각각의 지지대의 하부위치는 맞물림봉이 상승된 권취위치에 위치될 때, 맞물림봉의 하부끝단이 안착하는, 아래쪽으로 개구된 지지대홈을 형성하는 받침대(14)가 고정된다.
릴을 권취하기 위하여, 양쪽 지지대의 맞물림핀은 취급되는 릴의 가운데 구멍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강되고, 이후 기둥은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어, 맞물림핀은 릴을 잡는다. 그후, 맞물림봉은 봉의 끝단부가 지지대에 제공된 받침대(14)의 홈에 봉의 하부 끝단부가 위치될때까지 모우터에 의하여 상승된다. 상승이동은, 먼저 스프링을 압축하고, 그후 홈내로 단단하게 맞물림봉을 당긴다.
다른 사이즈의 릴을 상승하기 위하여 맞물림봉은 지지대가 고정된 상태 동안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은 주목할만 하다. 따라서 움직이는 무게는 매우 적다. 프레임은 지지대가 지지대 기둥상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므로써 매우 안정적이다. 맞물림봉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므로, 맞물림핀은 수직방향으로 경사진 릴의 중앙구멍의 위치에 따라서 다른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모든 릴은 인체공학적인 작업높이로 상승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권취장치에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서 제3도까지에서의 동일한 부호과 대응하는 부분에 사용된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비해 지지대(4)는 프레임의 기둥(2)의 부분이고 기둥의 상부 연장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부분 (6),(7)에 의하여 형성된 현가 아암에서, 이동 가능한 부분(7)은 제1실시예와 약간 다르다. 지지대의 수직 프랜지에 대하여 접속되는 가이드 로울(10)은 부분(7)의 상부 끝단부에 배치되는 반면, 하부 끝단부에는, 제4도의 화살표에 의하여 나타낸 바와같이, 맞물림핀(8)의 축에 수직한 수직평면에서 부분(7)의 흔들림 이동을 허용하는 로울(17)이 마련된다.
이상과 관련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변형할 수 있다.
기둥에 지지대를 고정하는 대신에, 지지대는 분리된 모듈로써 문형상 프레임의 고정된 가로빔이나 상부지지 레일시스템에 장착될수 있어, 이러한 방식으로서 지지대는 가로빔이나 레일시스템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다른 필폭에 대응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릴 시스템은 권취장치의 프레임으로써 동작한다. 맞물림핀에 대신하여, 현가 아암에, 맞물림 갈고리 처럼 다른 종류의 맞물림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대가 프레임(제4도 및 제5도)에 의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지지기둥의 횡단면이 U 자 형상일 때, 현가 아암 및 동력수단은 기둥에 장착됨으로써 기둥은 지지대로써 동작한다.
현가 아암이 기둥을 연결하는 가로비임의 바로 아래의지지 기둥 내에 위치할 때, 릴의 중량에 의하여 기둥상에 미치는 굽힘토오크가 최소화될 수 있다. 기계적인 승강수단을 대신하여, 현가 아암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Claims (4)

  1.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에 수직적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릴(9)의 축방향의 폭에 따라 수평적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지지대(4)와; 각각의 지지대에 장착되고, 릴의 중앙구멍을 맞물기 위한 맞물림수단(8)이 하부 끝단에 제공되고, 지지대에 대하여 수직적 방향으로 대형릴(9')의 중앙구멍과 소형릴(9″)의 중앙구멍 사이의 높이차(A)와 대형릴(9')의 상승거리(B)의 합에 상응하는 거리를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현가 아암(5)과; 그리고 현가 아암을 수직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 수단(10,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등을 권취하거나 풀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된지지대(4)는 현가 아암(5)의 상부위치에서 지지대를 통하여 현가 아암을 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받침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현가 아암(5)은, 스프링부재(5)로써 고정된 지지대에 지지되고, 스프링 부재는 현가 아암의 맞물림 위치에서 지지대에 대하여 현가 아암의 축 방향으로 현가 아암의 신축적 이동을 허용하고, 릴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수평흔들림 이동을 형용하는 스프링 부재(12)로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의 상기 현가 아암(5)은, 서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2개의 봉 부분(6),(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봉 부분(7)에는, 릴(9)용 맞물림수단(8)이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봉 부분(6)은 지지대에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며, 동력수단(10),(1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아암(5)은 릴의 축에 수직한 수직 평면에서 현가 아암을 베어링상에서 흔들리는 것을 허용하는 베어링(15)으로써 지지대(4)에 의하여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아암(5)은 현가 아암을 수직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형용하는 스프링(12)으로 지지대(4)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KR1019910701845A 1989-06-13 1990-06-05 케이블 권취장치 KR100199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892889A FI83756C (fi) 1989-06-13 1989-06-13 Anordning foer lindning av en kabel.
FI89-2889 1989-06-13
FI89-892889 1989-06-13
PCT/FI1990/000150 WO1990015771A1 (en) 1989-06-13 1990-06-05 A cable ree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667A KR920702667A (ko) 1992-10-06
KR100199053B1 true KR100199053B1 (ko) 1999-06-15

Family

ID=852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845A KR100199053B1 (ko) 1989-06-13 1990-06-05 케이블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242127A (ko)
EP (1) EP0477212B1 (ko)
JP (1) JP2708959B2 (ko)
KR (1) KR100199053B1 (ko)
CN (1) CN1020575C (ko)
AT (1) ATE110689T1 (ko)
CA (1) CA2056628A1 (ko)
DE (2) DE477212T1 (ko)
DK (1) DK0477212T3 (ko)
ES (1) ES2063358T3 (ko)
FI (1) FI83756C (ko)
WO (1) WO19900157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04B1 (ko) 2023-06-08 2023-10-12 이수영 자동 광케이블 정렬 권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7131A1 (de) * 1990-08-28 1992-03-05 Stolberger Maschf & Co Kg Vorrichtung zum auf- und abwickeln von kabeln auf eine kabeltrommel
FI88908C (fi) * 1991-09-03 1993-07-26 Maillefer Nokia Holding Anordning foer en transportvagn foer att transportera ett cylindriskt foeremaol till en spolmaskin
US5320295A (en) * 1991-09-03 1994-06-14 Nokia-Maillefer Holding S.A. Device for a displacing carriage for displacing a cylindrical body into a winding machine
FI88604C (fi) * 1991-11-27 1993-06-10 Maillefer Nokia Holding Anordning foer hantering av cylindriska, med centerhaol foersedda kroppar
US5246180A (en) * 1991-12-23 1993-09-21 Southwire Company Reel support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adjustment
ATA110593A (de) * 1993-06-07 1999-07-15 Rosendahl Masch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zum bewickeln einer kabeltrommel
FI104710B (fi) 1998-11-12 2000-03-31 Nextrom Holding Sa Sovitelma kaapelin tai vastaavan kelaamiseksi
ES2183699B1 (es) * 2000-11-28 2004-09-01 Bicc General Cable, S.A. Contenedor de bobina de cable, apilable, con dispositivo para levantar y girar la bobina.
FI124956B (fi) * 2011-01-31 2015-04-15 Valmet Technologies Inc Välirullain ja menetelmä kuiturainan rullaamiseksi
US9079745B2 (en) 2011-03-01 2015-07-14 Southwire Company, Llc Pay-off assembly
FI20115809A0 (fi) * 2011-08-19 2011-08-19 Maillefer Sa Sovitelma teleskooppista laitteistoa varten
US9758340B1 (en) * 2013-10-08 2017-09-12 Southwire Company, Llc Capstan and system of capstans for use in spooling multiple conductors onto a single reel
CN103879838B (zh) * 2014-03-06 2016-08-17 安徽德力电热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放线用入料挡护装置
US9731921B2 (en) 2014-07-02 2017-08-15 The Boeing Company Web roll handling and loading system
US9586785B2 (en) * 2014-12-25 2017-03-07 Innovo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Ltd Apparatus for unwinding flexible cables on seabeds and method for loading a reel of flexible cable on said apparatus
CN106494941A (zh) * 2016-12-04 2017-03-15 重庆永富电线电缆有限公司 电缆卷绕装置
CN110733935A (zh) * 2019-10-25 2020-01-31 韦莲芳 一种电缆卷筒支撑架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4904A (en) * 1929-04-22 1932-08-30 Goss Printing Press Co Ltd Web roll supporting mechanism
DE1038453B (de) * 1957-03-22 1958-09-04 Eisen & Stahlind Ag Kabelaufwickelvorrichtung
US3123314A (en) * 1960-03-28 1964-03-03 bruestle
US3276711A (en) * 1964-01-23 1966-10-04 Merrill D Martin Unwind stand for web rolls
FR1597764A (ko) * 1968-12-10 1970-06-29
SE392185B (sv) * 1976-03-19 1977-03-14 Ericsson Telefon Ab L M Rullningsanordning for lina, kabel e d
SE399864B (sv) * 1976-03-29 1978-03-06 Skaltek Ab Anordning for upptagning eller avrullning av kabel, lina, vajer eller dylikt
FR2573738A3 (fr) * 1984-11-29 1986-05-30 Rosendahl Masch Gmbh Dispositif d'enroulement, destine a l'enroulement de cables ou de cordes
DE3517696A1 (de) * 1985-05-17 1986-11-20 Paul Troester Maschinenfabrik, 3000 Hannover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kaben auf kabeltrommeln
GB2214532B (en) * 1988-01-29 1992-01-02 Autoreel Limited Cable drum handl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04B1 (ko) 2023-06-08 2023-10-12 이수영 자동 광케이블 정렬 권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3756B (fi) 1991-05-15
DE69012123T2 (de) 1994-12-22
ES2063358T3 (es) 1995-01-01
FI892889A (fi) 1990-12-14
WO1990015771A1 (en) 1990-12-27
EP0477212A1 (en) 1992-04-01
CA2056628A1 (en) 1990-12-14
JPH05504537A (ja) 1993-07-15
DE477212T1 (de) 1994-06-16
KR920702667A (ko) 1992-10-06
ATE110689T1 (de) 1994-09-15
JP2708959B2 (ja) 1998-02-04
CN1048012A (zh) 1990-12-26
EP0477212B1 (en) 1994-08-31
US5242127A (en) 1993-09-07
DK0477212T3 (da) 1994-10-03
FI892889A0 (fi) 1989-06-13
CN1020575C (zh) 1993-05-12
DE69012123D1 (de) 1994-10-06
FI83756C (fi) 199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053B1 (ko) 케이블 권취장치
FI60542B (fi) Anordning foer upptagning eller avrullning av kabel lina vajer eller dylikt
US5301770A (en) Adjustable work platform assembly
JPH1087263A (ja) 物品吊り具
US5425511A (en) Apparatus for reeling
GB2028721A (en) Stretching fabrics
CN110803433B (zh) 货架装置和装载组件
JP6544794B2 (ja) 昇降式上下二段駐輪装置
JP4330611B2 (ja) ケーブルドラム支持装置
KR102492833B1 (ko) 이송대차 장치
JP2538191Y2 (ja) 荷重取扱装置
JP2010247917A (ja) エレベータ機器の揚重装置
JP2512341B2 (ja) 油圧エレベ―タの試験装置
SU1717526A2 (ru) Стреловой кран
JP2553704Y2 (ja) 昇降ベッド補助脚の自動脚出し装置
JPH0431165Y2 (ko)
JP2001261290A (ja) 昇降機
SU1342871A1 (ru) Аутригер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й машины
JPS6015399A (ja) 荷揚機
JPH11199176A (ja) 昇降装置
JPH11292458A (ja) ドラムハンドリング用吊り具
SU952720A1 (ru)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уб
JPH1045378A (ja) 重量物の吊上げ装置
EP0464209A1 (en) Hoisting device
JPH08231197A (ja) テーブルリフト装置のメンテナ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