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507A - 직물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507A
KR20010110507A KR1020000030956A KR20000030956A KR20010110507A KR 20010110507 A KR20010110507 A KR 20010110507A KR 1020000030956 A KR1020000030956 A KR 1020000030956A KR 20000030956 A KR20000030956 A KR 20000030956A KR 20010110507 A KR20010110507 A KR 20010110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abric
cylinder
roller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680B1 (ko
Inventor
강희수
Original Assignee
강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수 filed Critical 강희수
Priority to KR102000003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680B1/ko
Publication of KR2001011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4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 roll, e.g. to effect continuous advancement of web
    • B65H18/16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 roll, e.g. to effect continuous advancement of web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5Movable supporting means
    • B65H2301/41352Movable supporting means moving on linear path (including linear slot arrangement)
    • B65H2301/413526Movable supporting means moving on linear path (including linear slot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6Winding involving particular drive arrangement
    • B65H2301/41462Winding involving particular drive arrangement nip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를 설치한 가동체(10)를 본체(20) 상부에 안착시키되 가동체(10)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한 이송구(16)를 부설하여 모우터(21)에 의해 회전하며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축(22)에 이송구(16)를 결합하여 가동체(10)가 좌·우로 왕복할 수 있게 한 가동부(A)와; 가동체(10)에 안내봉(30) 형성하고 안내봉(30)에 끼워진 이동관(40)의 상부에 가이드설치판(42)을 형성하여 가이드설치판(42)에 설치된 가이드실린더(44)에 의해 말대가이드(50)가 진퇴가능케한 구성을 안내봉(3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한 말대고정부(B)와;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밀판(62)을 형성한 배출실린더(60)를 안내봉(30)에 설치하고 본체(20) 후방의 지지대(70) 상단부에 적재대(80)를 회동가능케 힌지결합하여 본체 일측의 승강실린더(82)로 적재대(8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한 직물배출부(C)로 구성하므로서 직물지의 권취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직물지의 양단부에 권취압력에 의해 생기는 얼룩을 방지하여 염색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권취가 완료된 직물지를 권취장치에서 쉽게 내릴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며 생산비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직물 권취 장치{Fabric take-up motion device}
본 발명은 직물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말대에 직물지가 감겨질 때 구동로울러의 구동력이 직물지에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직물이감겨질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고속 권취가 가능케하며 직물이 말대에 감겨질 때 구동로울러가 설치된 이동체를 좌·우 양측으로 흔들어서 말대에 직물지가 지그재그로 감겨지게 하므로서 말대에 감겨진 직물지의 양단부가 두꺼워져 직물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권취가 완료된 직물지를 회동이 가능한 적재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단기의 후방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권취장치는 검단기에서 검단이 완료된 직물지를 말대에 감아주는 장치로서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울러와 지지로울러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두 로울러 사이에 말대를 올려놓은 후 구동로울러를 회전시켜 말대에 직물지를 감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권취장치는 말대에 감겨지는 직물지의 외주면이 구동로울러와 지지로울러에 동시에 접하여 회전하게되는데 말대에 감겨지는 직물지의 양이 점차적으로 늘어나서 그 무게가 무거워지면 구동로울러의 구동력이 말대에 감겨지는 원단의 외주면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구동로울러와 직물지간에 미끄러짐이 자주 발생하게되며 이로인해 원단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못하여 직물지가 팽팽하게 잘 감겨지지 않거나 접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구동로울러의 회전을 저속으로 유지해야 하기때문에 고속 권취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말대에 직물지를 감을때 직물지를 일렬로 감기때문에 말대에 감겨진 원단의 양이 많아질 경우 원단의 양단부. 즉, 변사부분이 점차적으로 두꺼워져 권취압력에 의해 눌리게되면 염색된 직물지일 경우 눌린 부분의 색채가 옅어지는 얼룩이 발생하여 염색품질이 저할될 뿐 만 아니라 말대에 일정한 양의 권취가 완료된직물은 매우 무거운 중량체이기때문에 이를 권취장치에서 내리기 위해서는 소형지게차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이로인한 생산비, 인건비등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권취장치의 양측에 말대가이드를 설치하여 말대에 직물지가 감겨질 때 말대가이드에 의해 직물지의 외주면이 구동로울러에만 밀착되게 하므로서 구동로울러의 구동력이 말대에 감겨지는 직물지에 정확하게 전달되게 하며, 구동로울러가 설치된 가동체를 좌·우 양측으로 왕복시키므로서 진행중인 직물지가 좌·우로 흔들려 말대에 지그재그로 감겨지게 할 뿐 만 아니라 본체 후방에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는 적재대를 설치하여 권취가 완료된 직물지를 권취장치에서 쉽게 내릴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 예시도
도 5는 말대에 직물지가 지그재그로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말대고정부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말대가이드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9는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0, 도 11은 말대가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말대의 승강을 나타낸 부분단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직물지 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적재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물지 1a : 말대
10 : 가동체 11 : 감속모우터
12 : 구동로울러 13 : 지지로울러
14,14a : 안내로울러 15 : 감지센서
16 : 이송구 20 : 본체
21 : 모우터 22 : 회전축
30,30' : 안내봉 40,40' : 이동관
42,42' : 가이드설치판 44 : 가이드실린더
44a : 실린더로드 50,50',50'' : 말대가이드
52,52' : 승강부 54 : 수직안내벽
60 : 배출실린더 62 : 밀판
70 : 지지대 80 : 적재대
82 : 승강실린더 90 : 운반대
감속모우터(1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두 로울러 사이에 올려진 말대(1a)가 구동로울러(12)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직물지(1)가 말대(1a)에 감겨지도록 하는 공지의 직물 권취 장치에 있어서, 감속모우터(1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를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그 아래에는 안내로울러(14)와 위치 이동이 가능한감지센서(15)를 설치한 가동체(10)를 레일(23)이 설치된 본체(20) 상부에 안착시키되 가동체(10)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한 이송구(16)를 부설하여 모우터(21)에 의해 회전하며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축(22)에 상기의 이송구(16)를 나사결합하여 가동체(10)가 좌·우로 왕복할 수 있게 한 가동부(A)와;
가동체(10)의 전·후방에 안내봉(30) 형성하고 두 안내봉(30)에 수평으로 끼워진 이동관(40)의 상부에 가이드설치판(42)을 안내봉과 일체로 형성하고 가이드설치판(4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실린더(44)를 부설하여 가이드설치판(42)의 내측면으로 관통된 실린더로드(44a)의 단부에는 말대가이드(50)를 부착하되 말대가이드(50)는 승강부(52) 양측으로 수직안내벽(54)을 형성하고 말대가이드(50)의 중심이 구동로울러(12)쪽으로 치우쳐져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외주면이 지지로울러(13)에 접촉하지 않게 한 구성을 안내봉(3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한 말대고정부(B)와;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밀판(62)을 형성한 배출실린더(60)를 전방 안내봉(30)에 설치하고 본체(20) 후방에 형성된 지지대(70) 상단부에 적재대(80)를 회동가능케 힌지결합하여 지지대(70) 일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82)로 적재대(8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한 직물배출부(C)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서 가이드설치판(42)는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일측에만 이동관(40')을 형성하여 안내봉(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하며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말대가이드(50')는 상부가 구동로울러(12)쪽으로 기울어져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외주면이 지지로울러(13)에 접촉하지 않게하거나 첨부도면 도 9내지 도 10과 같이 말대가이드(50'')에 폐쇄형 승강부(52')을 형성하여 말대(1a)의 단부에는 부착된 로울러(101)가 승강부(52')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한 구성으로서 도 11은 연결판(101a)를 이용하여 2개의 로울러(101)를 승강부(52')에 끼워지게 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24'는 베어링이 내장된 축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검단기등을 지나서 공급된 직물지(1)가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본체(20) 전방의 안내로울러(14a)를 지나 가동체(10)의 구동로울러(12) 아래에 설치된 감지센서(15)를 통과한 후 다시 안내로울러(14)를 지나서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사이로 공급되어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간에 올려진 말대(1a)에 감겨지게 되는데 구동로울러(12)의 회전에 의하여 말대(1a)에 직물지(1)가 감겨질 때 본체(20)에 설치된 모우터(21)를 이용하여 수나사를 형성한 회전축(22)을 반복적으로 정·역회전시키면 가동체(10) 저면에 부설된 암나사를 형성한 이송구(16)가 수나사를 형성한 회전축(22)에 나사결합되어 있기때문에 가동체(10) 전체가 좌·우로 왕복하게되어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역시 좌·우로 흔들리기때문에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가 지그재그로 감겨지므로서 말대(1a)에 감겨진 직물지(1)의 단부에 두꺼워져 권취압력으로 인한 염색 직물지의 얼룩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 사이에 말대(1a)를 올려놓고 가이드설치판(42)에 설치된 가이드실린더(44)를 이용하여 말대가이드(50)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양측 말대가이드(50)의 간격을 말대(1a)의 길이만큼 좁힌 후 가동체(10) 하부에 설치된 감속모우터(11)를 작동시키면 구동로울러(12)가 회전하면서 말대(1a)를 회전시켜 말대(1a)에 직물지(1)가 감겨지게 되는데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양이 점차적으로 늘어나서 말대(1a)의 위치가 점점 높아지면 말대(1a)의 양단부가 말대가이드(50)의 내측에 형성된 승강부(52)로 투입되어 승강부(52)를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말대가이드(50)의 중심은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간의 중심에서 구동로울러(12)쪽으로 치우쳐 있기때문에 말대(1a)의 단부가 말대가이드(50)의 승강부(52)에 투입되어 상승함에따라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외주면은 지지로울러(13)와는 접하지 않고 구동로울러(12)에만 접하여 회전하게 되므로서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무게에 의해 직물지(1)와 구동로울러(12)가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렇게 직물지(1)의 외주면과 구동로울러(12)의 외주면이 강하게 밀착되면 그 만큼 감속모우터(1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로울러(12)의 구동력이 직물지(1)로 정확하게 전달되기때문에 직물지(1)와 구동로울러(12)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되며 이로 인하여 구동로울러(12)의 회전속도를 더 빠르게 하여도 말대(1a)에 직물지(1)가 정확하게 감겨지도록 하므로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권취작업이 가능케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설치판(42)은 가동체(10)의 전·후방에 형성된 안내봉(30)에 끼워져 있는 이동관(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직물지(1)의 넓이에 따라 달라지는 말대(1a)의 길이에 알맞게 이동관(40)의 위치 조정을 통하여 가이드설치판(42)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되며 구동로울러(12)쪽으로 중심이 치우져져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외주면이 지지로울러(13)에 닿지 않도록 하는 말대가이드는 첨부도면 도 9과 같이 말대가이드(50')의 상부가 구동로울러(12)쪽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직물지(1)의 외주면이 지지로울러(13)에 닿아서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며, 말대가이드에 형성된 승강부(52)는 첨부도면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상·하부로만 끼울 수 있는 폐쇄형으로 형성하고 말대(1a)의 단부에는 로울러(101)(101')을 부착하여 이 로울러(101)(101')를 승강부(52a)에 끼우게되면 말대(1a)가 보다 정밀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말대(1a)에 일정량의 직물지(1) 권취가 완료되어 이를 권취장치에서 내려야 할때는 먼저 말대(1a) 양측의 말대가이드(50)를 가이드실린더(44)를 이용하여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말대(1a)의 양단부를 말대가이드(50)의 승강부(52)에서 빠지게 한 후 전방의 안내봉(30)에 설치된 배출실린더(60)의 밀판(62)으로 말대(1a)에 감겨 있는 직물지(1)를 적재대(80)쪽으로 밀어주면 승강실린더(82)에 의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고 있으며 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재대(80)의 상부에 직물지(1)가 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적재대(80)에 직물지(1)를 올린 후 첨부도면 도 9와 같이 적재대(80)를 회동시키는 승강실린더(82)를 이용하여 적재대(80)를 서서히 아래로 내리면 본체(20) 일측의 지지대(70) 상단부에 힌지결합된 적재대(80)가 하향으로 회동하여 적재대(80) 단부가 운반대(90) 가까이까지 내려오게되면 직물지(1)를 쉽게운반대(90)로 옮겨 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말대에 직물지가 정확하게 감겨지도록 하므로서 직물지의 권취속도를 증가시켜 권취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직물지의 양단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으며 권취가 완료된 직물지를 권취장치에서 쉽게 내릴 수 있기때문에 작업이 편리하며 생산비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감속모우터(1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두 로울러 사이에 올려진 말대(1a)가 구동로울러(12)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직물지(1)가 말대(1a)에 감겨지도록 하는 공지의 직물 권취 장치에 있어서,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를 설치한 가동체(10)를 본체(20) 상부에 안착시키되 가동체(10)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한 이송구(16)를 부설하여 모우터(21)에 의해 회전하며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축(22)에 이송구(16)를 결합하여 가동체(10)가 좌·우로 왕복할 수 있게 한 가동부(A)와; 가동체(10)에 안내봉(30) 형성하고 안내봉(30)에 끼워진 이동관(40)의 상부에 가이드설치판(42)을 형성하여 가이드설치판(42)에 설치된 가이드실린더(44)에 의해 말대가이드(50)가 진퇴가능케한 구성을 안내봉(3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한 말대고정부(B)와;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밀판(62)을 형성한 배출실린더(60)를 안내봉(30)에 설치하고 본체(20) 후방의 지지대(70) 상단부에 적재대(80)를 회동가능케 힌지결합하여 본체 일측의 승강실린더(82)로 적재대(8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한 직물배출부(C)로 구성된 직물 권취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가동부(A)는 감속모우터(1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로울러(12)와 지지로울러(13)를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그 아래에는 안내로울러(14)와 위치 이동이 가능한 감지센서(15)를 설치한 가동체(10)를 레일(23)이 설치된 본체(20) 상부에 안착시키되 가동체(10)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고 저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한 이송구(16)를 부설하여 모우터(21)에 의해 회전하며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축(22)에 상기의 이송구(16)를 나사결합하여 가동체(10)가 좌·우로 왕복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직물 권취장치
  3. 상기 1항에 있어서, 말대고정부(B)는 가동체(10)의 전·후방에 안내봉(30) 형성하고 두 안내봉(30)에 수평으로 끼워진 이동관(40)의 상부에 가이드설치판(42)을 안내봉과 일체로 형성하고 가이드설치판(4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실린더(44)를 부설하여 가이드설치판(42)의 내측면으로 관통된 실린더로드(44a)의 단부에는 말대가이드(50)를 부착하되 말대가이드(50)는 승강부(52) 양측으로 수직안내벽(54)을 형성하고 말대가이드(50)의 중심이 구동로울러(12)쪽으로 치우쳐져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외주면이 지지로울러(13)에 접촉하지 않게 한 구성을 안내봉(3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직물 권취장치
  4. 상기 1항에 있어서, 직물배출부(C)는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밀판(62)을 형성한 배출실린더(60)를 전방 안내봉(30)에 설치하고 본체(20) 후방에 형성된지지대(70) 상단부에 적재대(80)를 회동가능케 힌지결합하여 지지대(70) 일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82)로 적재대(8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직물 권취장치
  5. 상기 1항에 있어서, 가이드설치판(42)는 일측에만 이동관(40')을 형성하여 안내봉(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직물 권취장치
  6. 상기 1항에 있어서, 말대가이드(50')는 상부가 구동로울러(12)쪽으로 기울어져 말대(1a)에 감겨지는 직물지(1)의 외주면이 지지로울러(13)에 접촉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직물 권취장치
  7. 상기 1항에 있어서, 말대가이드(50'')는 폐쇄형 승강부(52')을 형성하고 말대(1a)의 단부에는 로울러(101)(101')를 부착하여 로울러(101)(101')가 승강부(52')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직물 권취장치
KR1020000030956A 2000-06-07 2000-06-07 직물 권취 장치 KR10035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56A KR100355680B1 (ko) 2000-06-07 2000-06-07 직물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56A KR100355680B1 (ko) 2000-06-07 2000-06-07 직물 권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507A true KR20010110507A (ko) 2001-12-13
KR100355680B1 KR100355680B1 (ko) 2002-10-11

Family

ID=4592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56A KR100355680B1 (ko) 2000-06-07 2000-06-07 직물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6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22Y1 (ko) * 2009-05-27 2009-10-16 우한윤 트레버스를 가지는 라셀기용 와인더
KR100922480B1 (ko) * 2009-05-26 2009-10-21 권인영 사일리지용 네트 권취장치
CN112777392A (zh) * 2020-12-25 2021-05-11 安徽富美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生产线的口罩面折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12Y1 (ko) 2017-12-28 2019-05-31 김영수 원단 테이크-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480B1 (ko) * 2009-05-26 2009-10-21 권인영 사일리지용 네트 권취장치
KR200446322Y1 (ko) * 2009-05-27 2009-10-16 우한윤 트레버스를 가지는 라셀기용 와인더
CN112777392A (zh) * 2020-12-25 2021-05-11 安徽富美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生产线的口罩面折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5680B1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9148B1 (en) Tire chuck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 tire
KR100355680B1 (ko) 직물 권취 장치
KR200186051Y1 (ko)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KR20010064200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브레이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0107062A (ko) 직물 권취 장치
CN212529006U (zh) 一种冷转移印花机
CN211888447U (zh) 一种改良的管材拉伸机
KR101915600B1 (ko) 단조성형기의 원재료 공급장치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KR100331966B1 (ko) 염색된 직물의 직물권취장치
KR100487775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빌리롤 조정장치
CN214217649U (zh) 防拉扯损伤落布装置
KR100792745B1 (ko) 권취기의 강판 유도장치
CN218465071U (zh) 一种压延不锈钢带的收卷下卷一体机
KR20030020047A (ko) 롤연마기의 샌딩블록 우드 교환장치
CN219341091U (zh) 一种用于开幅卷布机抬布装置
CN219195288U (zh) 一种编织袋圆织机的布卷调节装置
JP4223790B2 (ja) ストレッチ包装機
JPH08141905A (ja) ベルトサンダー機
JP2742647B2 (ja) 均圧クッション装置の防塵装置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CN113501368A (zh) 一种放卷设备及簇绒机
KR100748131B1 (ko) 코일 내경부 지지용 슬리브의 예열 장치
KR0156043B1 (ko) 권사용 보빈튜브의 직경교정장치
KR101544096B1 (ko) 실타래 성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실타래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