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12Y1 - 원단 테이크-업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테이크-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12Y1
KR200489312Y1 KR2020180000905U KR20180000905U KR200489312Y1 KR 200489312 Y1 KR200489312 Y1 KR 200489312Y1 KR 2020180000905 U KR2020180000905 U KR 2020180000905U KR 20180000905 U KR20180000905 U KR 20180000905U KR 200489312 Y1 KR200489312 Y1 KR 200489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ller
roller
sub
gea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옥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김옥환
여승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김옥환, 여승갑 filed Critical 김영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 롤러(fixing roller, 20A)와; 고정 롤러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접근 시 고정 롤러와의 사이로 연속 공급되는 원단(fabric, F)을 이송하는 가동 롤러(movable roller, 20B)와; 가동 롤러에 탄성을 부여하여 고정 롤러에 가동 롤러를 접근시키는 탄성력 제공 수단(30, 35)과; 고정 롤러와 가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어, 원단 이송을 위하여 가동 롤러가 고정 롤러에 접근된 상태로 회전 시에, 가동 롤러가 원단으로부터 가하여지는 반작용(reaction)으로 인하여 고정 롤러에 원단을 사이에 두고 자연적으로 밀착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fabric take-up apparatus, 3)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단 테이크-업 장치 {FABRIC TAKE-UP APPARATUS}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원단(천, fabric)을 주로 롤(roll) 형태로 감아서 수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테이크-업 장치(take-up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제직(weaving)으로 제조하는 직물(woven fabric)이나 제편(knitting)으로 제조하는 편성물(knitted fabric) 등의 원단(천, fabric)은 전용의 원단 제작 기계에서 연속적으로 생산되고, 이에 따라 원단 제작 기계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원단은 테이크-업 장치(take-up apparatus)를 이용하여 주로 롤(roll) 형태로 수거한 후 다음의 공정으로 이송된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업 장치는 한 쌍의 롤러(roller) 및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원단 제작 기계로부터의 원단은 한 쌍의 롤러 사이로 공급되며, 한 쌍의 롤러는 사이로 공급되는 원단을 회전운동을 하면서 마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또한, 테이크-업 장치는, 한 쌍의 롤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수거하는 원단 수취 유닛(fabric receiving unit)을 더 포함한다. 원단 수취 유닛은, 원단을 감아서 롤 형태로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도 있고, 다른 형태로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테이크-업 장치는, 한 쌍의 롤러에 의하여 원단(일례로, 두 겹으로 겹친 튜브 원단(tube fabric), 두꺼운 원단, 스판 원단(span fabric) 등일 수 있다.)을 이송 시, 원단에 마찰력(압력)을 너비방향으로 균일하게 가하지 못함에 따라 원단에 부분별(예를 들어, 너비방향의 양옆과 중간 부분)로 다른 크기의 텐션(tension)이 작용하기 때문에, 원단이 한 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자로 똑바로 이송되지 못하거나 접히거나 눌리거나 거꾸로 타고 오르거나 하면서 원단에 불규칙한 형상 또는 줄이 그어진 형상의 자국, 흠집 등이 발생되고, 이것이 원단 자체의 품질 저하로 이어지거나 재단과정에서 원단 손실을 초래하거나 원단의 염색 불량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롤러를 셋 이상 구비하고 이들 롤러에 원단을 걸어서 이송하는 방법이나 두 겹으로 겹친 튜브 원단을 한 겹으로 개폭하여 이송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롤러를 추가로 적용하거나 고가의 개폭 기계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여야 하거나 넓은 설치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원단을 이송하는 도중에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원단에 대한 압력)을 원단의 두께나 이송속도 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하기 때문에, 원단의 두께(T)가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G)에 비하여 작으면(T < G), 원단에 한 쌍의 롤러의 회전력이 불확실하게 전달(즉, 원단에 대한 마찰력이 감소)되어 원단 이송이 비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원단의 두께가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크면(T > G), 원단이 한 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구겨지거나 눌리거나 접히는 현상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4542호(2001.11.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5680호(2002.10.11.)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양한 원단(천, fabric)을 손상 없이 보다 정확하고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다이렉트(direct) 방식으로 연속으로 이송할 수 있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fabric take-up apparatus)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된 두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10)과;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제1 메인 롤러(first main roller, 20A)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 시 상측에서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의 사이로 연속으로 공급되는 원단 공급원(도면부호 1, 2 참조)으로부터의 원단(F)을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짝을 이루어 회전운동을 하면서 마찰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송하는 제2 메인 롤러(second main roller, 20B)와;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되도록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제공 수단(30, 35)과;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상기 제2 메인 롤러(20B) 중 적어도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비하여 하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이격되는 구성을 가진, 원단 테이크-업 장치(fabric take-up apparatus, 3)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는, 원단(F)을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력 제공 수단(30, 35)에 의하여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되고 상기 롤러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 시, 하측으로 이송되는 원단(F)으로부터 가하여지는 반작용(reaction)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원단(F)을 사이에 두고 자연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원단은 직물, 편성물, 부직포 등 각종 천(fabric)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는, 한 쌍의 레버(lever, 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버(40B)는,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양쪽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헤드(lever head, 42)와; 상기 레버 헤드(42)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회전중심과 나란한 좌우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바디(lever body, 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는, 상기 한 쌍의 레버(40B)가 하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40B)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는,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에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 서브 롤러(second sub roller, 50B, 55B)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양쪽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레버 바디(44)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 6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와 접촉된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는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를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고,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는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를 지지하여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축방향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바디(44) 각각은 상기 베어링 블록(60B) 각각에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는,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레버 바디(44) 각각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력적 밀착 수단(7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는,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후방에서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제1 메인 롤러(20A)의 축방향 휨을 방지하는 제1 서브 롤러(first sub roller, 50A, 5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롤러(55A)와 상기 제2 서브 롤러(55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중간 부분의 외주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레버(40B)가 하측으로 회전 시 상기 한 쌍의 레버(40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레버(40B)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8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력 제공 수단(30)은 상기 레버 헤드(42) 각각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상기 제2 메인 롤러(20B) 중 적어도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를 회전시키는 상기 롤러 구동 수단은 모터(motor) 등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롤러 구동 수단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서브 롤러(50A, 55A)의 단부 및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서로 맞물린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및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된 모터(203) 및 상기 모터(203)의 축에 장착된 구동 기어(204)와; 상기 구동 기어(204)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또는 상기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205)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의 단부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서브 롤러(50A, 55A)의 단부 및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각각 맞물린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롤러 기어(206)와 맞물린 상기 제1 전동 기어(208)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맞물린 상기 제2 전동 기어(209)는 잇수가 각각 상기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에 비하여 적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된 두 사이드 프레임(10)과;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측에서 사이로 연속으로 공급되는 원단 공급원(도면부호 1, 2 참조)으로부터의 원단(F)을 서로 짝을 이루어 회전운동을 하면서 마찰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송하는 제1 메인 롤러(20A) 및 제2 메인 롤러(20B)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상기 제1 메인 롤러(20A)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20B) 각각에 대하여 후방에서 상기 제1 메인 롤러(20A)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롤러(20A)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와 각각 접촉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축방향 휨을 방지하는 제1 서브 롤러(50A, 55A) 및 제2 서브 롤러(50B, 55B)를 포함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3)가 제공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원단(천, fabric)을 손상됨이 없이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며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는 다이렉트형 원단 테이크-업 장치(direct type fabric take-up apparatus)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가 적용된 원단 제작 기계(환편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 3에 도시된 원단 이송 유닛을 도 3의 E 방향에서 본 구성도로, 도 4와 도 5는 각각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작동 해제 상태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주요 부분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주요 부분으로서 롤러 구동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고안은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원단을 주로 수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fabric take-up apparatus)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원단 제작 기계에 사실상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되어 원단 수거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본 고안의 실시예는 원단 제작 기계의 일종으로서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에 적용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에서, 원단이라 함은 예를 들어 직물(織物, woven fabric), 편성물(編成物, knitted fabric),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 등의 천(fabric)을 의미한다. 이하,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3)가 적용된 환편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는, 원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급사 장치(yarn feeding apparatus, 1), 급사 장치(1)로부터 원사를 공급받아 원단(F)을 제작하는 편성 장치(knitting apparatus, 2), 그리고 편성 장치(2)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원단(F)을 수거, 보관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3)를 포함한다.
원단 테이크-업 장치(3)는 편성 장치(2)의 하측(Z축방향의 하측)으로 배치되어, 편성 장치(2)로부터의 원단(F)은 원단 테이크-업 장치(3)에 상측방향에서 공급된다. 급사 장치(1)는 편성 장치(2)의 상측(Z축방향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급사 장치(1), 편성 장치(2) 등 환편기의 기본적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원단 테이크-업 장치(3)의 구성 및 작동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면, 원단 테이크-업 장치(3)는, 편성 장치(2)의 하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main frame, A), 메인 프레임(A)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편성 장치(2)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단(F)을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원단 이송 유닛(fabric transfer unit, B), 그리고 원단 이송 유닛(B)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F)(이하, 도면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을 수거, 보관하는 원단 수취 유닛(fabric receiving unit, C)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메인 프레임(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Y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의 간격(원단의 너비 이상)을 두고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두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10)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A)은, 두 사이드 프레임(10)의 하단 부분을 연결하는 바닥 프레임(bottom 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원단 수취 유닛(C)은 원단 이송 유닛(B)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A)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 수취 유닛(C)은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단 수취 유닛(C)은, 원단 이송 유닛(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롤(roll) 형태로 감아서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양쪽 단부가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 롤러 및 권취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motor) 등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단 수취 유닛(C)은 원단 이송 유닛(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박스(box) 등의 보관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이송 유닛(B)은 서로 짝을 이루어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측으로부터 사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단을 하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메인 롤러(first main roller, 20A)와 제2 메인 롤러(second main roller, 20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과 제2의 두 메인 롤러(20A, 20B)는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전후방향(X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모터 등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으로 회전된다.
서로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두 메인 롤러(20A, 20B) 중 제2 메인 롤러(20B)는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 및 접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메인 롤러(20B)는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 시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제1 메인 롤러(20A)와의 전후방향(X축방향) 간격이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제2 메인 롤러(20B)는 하측방향 및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이송 유닛(B)은 제2 메인 롤러(20B)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제공 수단(30)을 더 포함한다.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제공 수단(30)은 제2 메인 롤러(20B)를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접근시키도록 구성된다.
탄성력 제공 수단(30)에 의하면, 제2 메인 롤러(20B)는 평상시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접근되어 제1 메인 롤러(20A)에 접촉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된 제2 메인 롤러(20B)에 제2 메인 롤러(20B)가 제1 메인 롤러(20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2 메인 롤러(20B)는 탄성력 제공 수단(3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메인 롤러(20A, 20B) 사이로 원단을 공급한 이후, 제2 메인 롤러(20B)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제2 메인 롤러(20B)는 탄성력 제공 수단(3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접근되면서 제1 메인 롤러(20A)와의 사이의 원단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두 메인 롤러(20A, 20B) 사이에 원단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2 메인 롤러(20B) 또는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를 회전시키면, 원단은 하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접근된 제2 메인 롤러(20B)는 원단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원단은 그 두께에 상관 없이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원단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단에 구김, 말림, 접힘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이송 유닛(B)은 한 쌍의 레버(lever, 40B), 제1과 제2 서브 롤러(first and second sub roller, 50A, 50B), 한 쌍의 제2 베어링 블록(second bearing block, 60B), 제2 탄력적 밀착 수단(70B) 및 스토퍼(stopper, 80B)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레버(40B)는 두 사이드 프레임(10)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에 각각 좌우방향(Y축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서로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레버(40B)는 레버 헤드(lever head, 42) 및 레버 바디(lever body, 44)로 구성된다. 레버 헤드(42)는 제2 메인 롤러(20B)의 양쪽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레버 바디(44)는, 레버 헤드(42) 각각으로부터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제2 메인 롤러(20B)의 회전중심과 나란한 좌우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레버(40B)에 의하면, 제2 메인 롤러(20B)는 한 쌍의 레버(40B)가 각운동을 하는 방향에 따라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된다. 즉, 한 쌍의 레버(40B)가 하측으로 회전되면 제2 메인 롤러(20B)가 제1 메인 롤러(20A)와 이격되고, 반대로 한 쌍의 레버(40B)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제2 메인 롤러(20B)가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된다.
제1 서브 롤러(50A)는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후방에서 제1 메인 롤러(20A)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메인 롤러(20A)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제1 서브 롤러(50A)는 모터 등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롤러(50A)는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후방에서 제1 메인 롤러(20A)와 접촉하면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제1 메인 롤러(20A)를 지지하여 제1 메인 롤러(20A)에 회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축방향 휨을 방지한다. 즉, 원단 이송 도중 제1 메인 롤러(20A)에 축방향 휨이 발생되어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 사이, 특히 중간 부분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서브 롤러(50B)는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에 제2 메인 롤러(20B)와 나란하도록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서브 롤러(50B)는 모터 등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베어링 블록(60B)은 제2 서브 롤러(50B)의 양쪽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제2 서브 롤러(50B)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베어링 블록(60B)에는 제2 메인 롤러(20B)가 제2 서브 롤러(50B)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레버 바디(44)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2 베어링 블록(60B) 및 레버(40B)와 제2 베어링 블록(60B)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제2 메인 롤러(20B)는 제2 서브 롤러(50B)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한다.
제2 서브 롤러(50B)에 의하면,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에서 제2 메인 롤러(20B)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제2 메인 롤러(20B)를 지지하므로 제2 메인 롤러(20B)에 회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축방향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원단 이송 도중 제2 메인 롤러(20B)에 축방향 휨이 발생되어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 사이, 특히 중간 부분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제1 서브 롤러(50A)와 함께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 쌍의 레버(40B)에 있어서 레버 바디(44) 각각은 제2 베어링 블록(60B) 각각에 제2 메인 롤러(20B)가 제2 서브 롤러(50B)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예를 들어, 제2 서브 롤러(50B)에 대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이동 가능한 제2 메인 롤러(20B)와 위치가 고정된 제2 서브 롤러(50B)는 레버 바디(44)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이격되거나 접근된다.
서로 짝을 이루는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 및 제1 메인 롤러(20A)와 접촉하는 제1 서브 롤러(50A) 및 제2 메인 롤러(20B)와 접촉하는 제2 서브 롤러(50B)는 고무 등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로 피복될 수 있다.
제2 탄력적 밀착 수단(70B)은 레버 바디(44) 각각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제2 메인 롤러(20B)와 제2 서브 롤러(50B)가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제2 메인 롤러(20B)와 제2 서브 롤러(50B)를 접근시키는 역할을 행한다. 이러한 제2 탄력적 밀착 수단(70B)은 제2 메인 롤러(20B)가 레버 바디(44)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2 서브 롤러(50B)와 이격되면 압축되도록 적용된 코일 스프링(coil spring, 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력적 밀착 수단(70B)은, 그것의 코일 스프링(72)이 로드(rod, 74)의 외주에 삽입되고, 제2 베어링 블록(60B)에 접촉 가능한 제1 단부와 맞은편의 제2 단부를 가진 로드(74)에 있어서, 로드(74)의 제2 단부에 제1 조작레버(76)의 한쪽 단부가 Y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조작레버(76)를 들어 올려서 회전시키면 로드(74)가 제2 베어링 블록(60B)에 대하여 후진되고 코일 스프링(72)이 압축되면서 제2 베어링 블록(60B)과 로드(74)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어 발생된 간격만큼 레버(40B)가 이동됨으로써, 이동 가능한 제2 메인 롤러(20B)와 위치가 고정된 제2 서브 롤러(50B)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탄력적 밀착 수단(70B)에 의하면, 위치가 고정된 제2 서브 롤러(50B)는,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에서 제2 메인 롤러(20B)와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이렇게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제2 메인 롤러(20B)를 지지한다. 또, 제2 탄력적 밀착 수단(70B)에 의하면, 제2 메인 롤러(20B)를 규격(특히, 지름)이 다른 타입으로 교체하더라도, 다른 규격(지름)의 제2 메인 롤러(20B)를 제2 서브 롤러(50B)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제2 메인 롤러(20B)는 그 양쪽 단부가 각각 좌우 양쪽의 레버 헤드(4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관통된다. 제2 서브 롤러(50B)는 그 양쪽 단부가 각각 좌우 양쪽으로 배치된 베어링 블록(60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관통된다.
여기에서, 두 사이드 프레임(10)에는 제2 메인 롤러(20B)가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때 및 제2 메인 롤러(20B)가 제2 서브 롤러(50B)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때 제2 메인 롤러(20B)의 양쪽 단부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된다. 즉, 두 사이드 프레임(10)에서 제2 메인 롤러(20B)의 양쪽 단부가 관통된 각각의 부분은 제2 메인 롤러(20B)가 레버(40B)와 함께 각운동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을 가지는 개구로 형성되는 것이다.
탄성력 제공 수단(30)은 코일 스프링(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력 제공 수단(30)의 코일 스프링(32)은, 레버 바디(44) 각각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레버 바디(44)에서 레버(40B)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후방 부분에 상측 단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사이드 프레임(10)에 하측 단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2 메인 롤러(20B)에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한 쌍의 레버(40B)가 하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인장되고 제2 메인 롤러(20B)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다.
스토퍼(80B)는 제2 메인 롤러(20B)가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한 쌍의 레버(40B)가 하측으로 회전 시 한 쌍의 레버(4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레버 바디(44)와 접촉되어 한 쌍의 레버(40B)의 회전운동에 따른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토퍼(80B)는 레버 바디(44)와 접촉되는 접촉면(82)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탄성력 제공 수단(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레버 바디(44)의 하측에는 링크(link, 33)의 한쪽 단부가 Y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33)의 다른 쪽 단부에는 수나사부재(34)의 한쪽 단부가 결합되며, 수나사부재(34)의 외주에는 탄성력 제공 수단(30)의 코일 스프링(32)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32)의 길이방향 양쪽은 스톱 블록(stop block, 35)과 너트(36)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며, 스톱 블록(35)은 수나사부재(34)의 한쪽에 고정되고, 너트(36)는 수나사부재(34)의 다른 쪽에 나사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80B)에는 조작레버(37)의 한쪽 단부가 Y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조작레버(37)의 다른 쪽에는 수나사부재(34)의 다른 쪽 끝을 지지하는 걸고리(38)가 Y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걸고리(38)를 들어 올려서 회전시킨 후 조작레버(37)를 들어 올려서 회전시키면, 탄성력 제공 수단(30)의 코일 스프링(32)의 탄성력 부여 작용을 해제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40A는 한 쌍의 고정체이고, 60A는 한 쌍의 제1 베어링 블록이며, 70A는 제1 탄력적 밀착 수단이다. 한 쌍의 고정체(40A)는 한 쌍의 레버(40B)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체(40A)는 고정체 헤드 및 고정체 바디를 가지는바, 고정체 헤드에는 제1 메인 롤러(20A)의 양쪽 단부가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한 쌍의 제1 베어링 블록(60A)은 제1 서브 롤러(50A)의 양쪽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두 사이드 프레임(10) 각각에 고정된다. 고정체 바디 각각은 제1 베어링 블록(60A) 각각에 제1 메인 롤러(20A)가 제1 서브 롤러(50A)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탄력적 밀착 수단(70A)은 제1 메인 롤러(20A)가 제1 서브 롤러(50A)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고정체 바디 각각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제1 메인 롤러(20A)를 위한 한 쌍의 고정체(40A), 한 쌍의 제1 베어링 블록(60A) 및 제1 탄력적 밀착 수단(70A)은, 제2 메인 롤러(20B)를 위한 한 쌍의 레버(40B), 한 쌍의 베어링 블록(60B) 및 제2 탄력적 밀착 수단(70B)과 비교하여 볼 때, 제1 메인 롤러(20A)는 고정된 구성을 가지는 것에 대하여 제2 메인 롤러(20B)는 각운동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라는 점이 상이할 뿐, 기타 구성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살펴본 바와 같은 원단 테이크-업 장치(3)는, 원단을 연속으로 이송하는 때, 가동 롤러(movable roller)인 제2 메인 롤러(20B)가 탄성력 제공 수단(30)의 작용에 의하여 고정 롤러(fixing roller)인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됨과 아울러 구동원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 때, 연속으로 공급되는 원단은 제1과 제2 메인 롤러(20A, 20B)가 가하는 작용(마찰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송되고, 각운동 가능한 제2 메인 롤러(20B)는 하측으로 이송되는 원단(F)으로부터 가하여지는 반작용(reaction)으로 인하여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되어 제1 메인 롤러(20A)에 원단(F)을 사이에 두고 긴밀히 밀착된다. 이러한 반작용에 따른 제2 메인 롤러(20B)의 밀착력은 원단 이송속도를 가속하면 증가되고 원단 이송속도를 감속하면 감소되므로 제2 메인 롤러(20B) 또는 제1과 제2 메인 롤러(20A, 20B)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요구의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3), 두 겹으로 겹친 튜브 원단(tube fabric), 두꺼운 원단, 스판 원단(span fabric) 등 다양한 원단을 전반적으로 보다 균일한 압력(마찰력)에 의하여 손상됨이 없이 일자로 똑바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제1과 제2 서브 롤러(55A, 55B)의 형상이 다소 상이하다.
제1과 제2 서브 롤러(55A, 55B)는 중간 부분의 외주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된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가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서서히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와 나머지 부분 사이에 외주 크기 차이에 의하여 턱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과 제2 서브 롤러(55A, 55B)의 형상에 의하면, 제1 메인 롤러(20A)나 제2 메인 롤러(20B)에 축방향 휨이 발생되어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 사이, 특히 중간 부분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9,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주요 부분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낸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제2 메인 롤러(20B) 또는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가 각운동 방식이 아닌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원단을 탄력적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점이 상이하다.
두 사이드 프레임(도 2, 도 3의 도면부호 10 참조)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블록(slide block, 100)이 각각 일정 거리 슬라이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메인 롤러(20B)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블록(100)에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어 한 쌍의 슬라이드 블록(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되거나 접근된다. 물론, 제2 메인 롤러(20B)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블록(100)에 각각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제공 수단(35)에 의하여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접근된 상태로 유지되고, 원단 이송 시 반작용에 의하여 제1 메인 롤러(20A)에 원단을 사이에 두고 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메인 롤러(20B)는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 시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제1 메인 롤러(20A)와의 전후방향(X축방향) 간격이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제1 메인 롤러(20A)도 제2 메인 롤러(20B)와 마찬가지로 일정 거리 슬라이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가 접근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 사이에 원단이 공급되어 제1 메인 롤러(20A)와 제2 메인 롤러(20B)가 원단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단 테이크-업 장치의 주요 부분으로서 롤러 구동 수단의 구성을 예시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제시된 롤러 구동 수단은, 제1과 제2 메인 롤러 및 제1과 제2 서브 롤러를 회전시키는 것이며,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구동 수단은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제2 서브 롤러 기어(202), 모터(203), 구동 기어(204), 감속 기어(205),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제2 메인 롤러 기어(207),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를 포함한다.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제2 서브 롤러 기어(202), 모터(203), 구동 기어(204) 및 감속 기어(205)는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즉, 다른 하나와 마주 보는 내측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제2 메인 롤러 기어(207),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는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의 외측(즉, 어느 하나와 마주 보는 내측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및 제2 서브 롤러 기어(202)는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관통된 제1 서브 롤러(50A, 55A)의 단부 및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서로 맞물린다.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및 제2 서브 롤러 기어(202)는 피치원과 잇수가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203)는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및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에 비하여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구동 기어(204)는 모터(203)의 모터 축에 장착된다.
감속 기어(205)는 구동 기어(204)의 회전력을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또는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감속 기어(205)는 복수로 구비되고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에 구동 기어(204)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속 기어(205)는, 제1 서브 롤러 기어(201)에 맞물린 제1 감속 기어, 제1 감속 기어와 동축으로 장착된 제2 감속 기어, 제2 감속 기어와 맞물린 제3 감속 기어, 그리고 제3 감속 기어와 동축으로 장착된 상태로 구동 기어(204)와 맞물린 제4 감속 기어를 포함하고, 제1 감속 기어의 잇수가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에 비하여 적고, 제2 감속 기어의 잇수가 제1 감속 기어보다는 많되 제2 서브 롤러 기어(202)보다는 적으며, 제3 감속 기어의 잇수가 제2 감속 기어에 비하여 적고, 제4 감속 기어의 잇수가 제3 감속 기어 및 구동 기어(204)보다는 많되 제2 감속 기어보다는 적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제2 메인 롤러 기어(207)는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에 각각 관통된 제1 메인 롤러(20A)의 단부 및 제2 메인 롤러(20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다.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제2 메인 롤러 기어(207)는 피치원과 잇수가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는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에 각각 관통된 제1 서브 롤러(50A, 55A)의 단부 및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각각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맞물린다. 제1 메인 롤러 기어(206)와 맞물린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맞물린 제2 전동 기어(209)는 잇수가 각각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에 비하여 적도록 구성된다.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는 피치원과 잇수가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 구동 수단은, 모터(203)를 작동시키면, 구동 기어(204)가 회전되고, 구동 기어(204)의 회전력이 감속 기어(205)에 의하여 감속 상태로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또는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에 전달되어, 서로 맞물린 제1 서브 롤러 기어(201)와 제2 서브 롤러 기어(202)가 회전된다(도 11a 참조). 물론, 이에 의하면, 제1 서브 롤러(50A, 55A) 및 제2 서브 롤러(50B, 55B)가 회전된다.
다음, 제1 서브 롤러(50A, 55A) 및 제2 서브 롤러(50B, 55B)가 회전됨에 따라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가 회전되고,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와 각각 맞물린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제2 메인 롤러 기어(207)가 함께 회전된다(도 11b 참조). 이 때, 제1 메인 롤러(20A) 및 제2 메인 롤러(20B)는 제1 서브 롤러(50A, 55A) 및 제2 서브 롤러(50B, 55B)에 비하여 감속된 상태로 서로 별개로 회전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 : 사이드 프레임
20A : 제1 메인 롤러
20B : 제2 메인 롤러
30, 35 : 탄성력 제공 수단
40A : 고정체
40B : 레버
50A, 55A : 제1 서브 롤러
50B, 55B : 제2 서브 롤러
60A : 제1 베어링 블록
60B : 제2 베어링 블록
70A : 제1 탄력적 밀착 수단
70B : 제2 탄력적 밀착 수단
80B : 스토퍼
F : 원단

Claims (8)

  1. 삭제
  2.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사이드 프레임(10)과;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제1 메인 롤러(20A)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 시 상측에서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의 사이로 연속으로 공급되는 원단 공급원(도면부호 1, 2 참조)으로부터의 원단(F)을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짝을 이루어 회전운동을 하면서 마찰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송하는 제2 메인 롤러(20B)와;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되도록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제공 수단(30, 35)과;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상기 제2 메인 롤러(20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 수단과;
    한 쌍의 레버(40B)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는,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비하여 하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이격됨으로써, 원단(F)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탄성력 제공 수단(30, 35)에 의하여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 시, 하측으로 이송되는 원단(F)으로부터 가하여지는 반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원단(F)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40B)는,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양쪽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헤드(42)와; 상기 레버 헤드(42)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회전중심과 나란한 좌우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바디(44)로 구성되어,
    상기 제2 메인 롤러(20B)는 상기 한 쌍의 레버(40B)가 하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40B)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접근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3).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에 대하여 후방에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 서브 롤러(50B, 55B)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양쪽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에 각각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레버 바디(44)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 블록(60B)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와 접촉된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를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고,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가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축방향 휨을 방지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3).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바디(44) 각각은 상기 베어링 블록(60B) 각각에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에 대하여 이격되고 접근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단 테이크-업 장치(3)는, 상기 제2 메인 롤러(20B)가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레버 바디(44) 각각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력적 밀착 수단(70B)을 더 포함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3).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에 대하여 후방에서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의 축방향 휨을 방지하는 제1 서브 롤러(50A, 55A)를 더 포함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3).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롤러(55A)와 상기 제2 서브 롤러(55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중간 부분의 외주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크도록 형성된,
    원단 테이크-업 장치(3).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동 수단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서브 롤러(50A, 55A)의 단부 및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서로 맞물린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및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된 모터(203) 및 상기 모터(203)의 축에 장착된 구동 기어(204)와;
    상기 구동 기어(204)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서브 롤러 기어(201) 또는 상기 제2 서브 롤러 기어(202)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205)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메인 롤러(20A)의 단부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20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상기 두 사이드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서브 롤러(50A, 55A)의 단부 및 상기 제2 서브 롤러(50B, 55B)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각각 맞물린 제1 전동 기어(208) 및 제2 전동 기어(209)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롤러 기어(206)와 맞물린 상기 제1 전동 기어(208)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와 맞물린 상기 제2 전동 기어(209)는 잇수가 각각 상기 제1 메인 롤러 기어(206) 및 상기 제2 메인 롤러 기어(207)에 비하여 적은,
    원단 테이크-업 장치(3).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40B)가 하측으로 회전 시 상기 한 쌍의 레버(40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레버(40B)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80B)를 더 포함하는,
    원단 테이크-업 장치(3).
KR2020180000905U 2017-12-28 2018-02-28 원단 테이크-업 장치 KR2004893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11 2017-12-28
KR20170006811 2017-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12Y1 true KR200489312Y1 (ko) 2019-05-31

Family

ID=6665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05U KR200489312Y1 (ko) 2017-12-28 2018-02-28 원단 테이크-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1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016A (ja) * 1991-12-30 1993-07-27 Nippon Densan Corp 回転処理装置
KR200254542Y1 (ko) 1999-02-13 2001-11-26 최형권 환편기용 편직물인출롤러 구동장치
KR100355680B1 (ko) 2000-06-07 2002-10-11 강희수 직물 권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016A (ja) * 1991-12-30 1993-07-27 Nippon Densan Corp 回転処理装置
KR200254542Y1 (ko) 1999-02-13 2001-11-26 최형권 환편기용 편직물인출롤러 구동장치
KR100355680B1 (ko) 2000-06-07 2002-10-11 강희수 직물 권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960598A1 (it) Gruppo convogliatore di materiale in strisce.
US4825622A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d feeding web material
KR102414066B1 (ko) 섬유 레잉 기계
IT201600087583A1 (it) Apparecchiatura per il trasferimento e la rotazione di un oggetto
US20080289551A1 (en) Multiple needle 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sewing large-area sewing material
KR200489312Y1 (ko) 원단 테이크-업 장치
JP2013034975A (ja) ローラ清掃装置
IT8322829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manipolazione di materiale tipo tessuto
US3850424A (en) Fabric folding device for laying-up machines in the ready-made garment industry
KR100287246B1 (ko) 띠형부재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1805B1 (ko) 현가장치의 에어스프링용 벨로우즈 제조장치
EP1911572B1 (en) Rubber sheet joining apparatus and method
CA23038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strands
KR100353139B1 (ko) 슬리터 리와인더
CN214655619U (zh) 一种汽车内饰件缝纫装置
US9222204B2 (en) Fabric roll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20120016708A (ko) 산업용 격자 구조물의 제직장치
GB2077787A (en) Material feed means in a folding machine
CN102877224B (zh) 缝纫机拖布装置
JP2011246196A (ja) エンドシール装置及び同エンドシール装置を備えた自動包装機
KR0142015B1 (ko)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
JP2015199213A (ja) 帯状部材の巻付け方法および装置
EP2902351B1 (en) Fabric roll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ITUD20010150A1 (it) Dispositivo per il tensionamento contemporaneo su quattro lati di materiali tessili durante la trapuntatura/ricamatura in continuo su macchi
US5144731A (en) Automatic lap piecin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