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015B1 -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 - Google Patents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015B1
KR0142015B1 KR1019940007907A KR19940007907A KR0142015B1 KR 0142015 B1 KR0142015 B1 KR 0142015B1 KR 1019940007907 A KR1019940007907 A KR 1019940007907A KR 19940007907 A KR19940007907 A KR 19940007907A KR 0142015 B1 KR0142015 B1 KR 014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heet
suction
bel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시 우에다
히데토시 이시하라
코이치 진노
키미하루 후지하시
카즈오 키타지마
토시오 핫토리
히로유키 아사오카
Original Assignee
코오노 미찌아끼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124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5739B2/ja
Application filed by 코오노 미찌아끼,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코오노 미찌아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015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재치대의 표편견인궤도면의 포가장자리쪽의 반정도의 면에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덕트를 설치해서 이루어진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로서, 포편재치대의 위쪽의 고정부재에 장착된 유닛대와, 동유닛대의 고정축상에서 회동하는 작동레버와, 동작동레버에 설치되고, 단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밸트를 동시에 구동, 정지하는 작용을 가지는 브레이크롤러와, 상기 작동레버를 작동하는 공기압작동기와, 컨베이어벨트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인입된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된 동작정지유닛을 나란히 배치한 구조의 포편재치대, 및 각 벨트동작정지유닛마다에 상기 센서가 발하는 포편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공기압작동기에 지령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재치대상에 포편이 놓여지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주행하기 시작할 때, 상기 각 벨트동작정지유닛마다에 센서가 발하는 포편통과검출신호를 받아서 단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벨트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이것을 정지시킴에 의한 포편의 자세제어기능을 부가한 직사각형포편의 전개장치이다.

Description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사각형상 포편전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포편재치대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포편재치대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포편전개장치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편의 모서리 분출노즐기구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노즐기구의 정면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동작정지유닛부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재치대의 측면단도,
제8도는 제7도의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재치대의 벨트동작정지유닛의 사시도,
제9도는 제7도의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재치대의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흡인컨베이어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기구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흡인컨베이어의 상세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0도의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기구의 작용의 제1예를 표시하는 포편의 흐름전개평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기구의 작용의 제2예를 표시하는 포편의 흐름전개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행롤러장착부이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G~G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사행롤러의 작동설명도,
제17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사행롤러의 작동설명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개판과 포편측면 가장자리부센서의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한 전개판을 작동하는 구동유닛의 사시도,
제20도는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로 처리되는 변형포편의 전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재치대와 전개판과 포편측면가장자리부센서의 평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인구멍부 전개판의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부 인입라인보정기구의 사시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인입라인보정기구의 전개평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인입라인보정기구의 제2예의 사시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인입라인보정기구의 제2예의 전개평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인컨베이어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기구의 사시도,
제28도는 종래의 직사각형상포편전개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제29도는 제28도의 평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A~A 단면도,
제31도는 제29도에 있어서의 요부의 사시도,
제32도는 제28도에 있어서의 제31도와 작동상태를 달리하는 요부의 사시도,
제33도는 직사각형상포편전개장치로 처리되는 직사각형상포편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시트16:파지구,
17:클립25:가이드레일,
27:클립의 파지해제기구35:재치대,
36:블록형앞가장자리부46:평벨트,
47:흡인덕트49:광전센서,
50:제어장치80:사행롤러,
92:측면가장자리부검출센서101:오목형앞가장자리부,
102:노즐박스103:노즐,
104:송기관105:가이드판,
110:가이드박스112:전개판,
115:수평구동유닛118:볼나사,
119:모터134,136:광전센서,
161:가이드롤러162:공기압작동기,
164:작동레버165,166,168:구면베어링,
170, 171:광전센서175:2단공기압작동기,
180:벨트동작정지유닛181:유닛대,
182:고정축183:작동레버,
184:텐션풀리187:공기압작동기,
188:광전센서190:브레이크롤러,
201: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02:흡인벨트컨베이어,
203:흡인덕트205:브레이크부서어보모터,
211: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12:흡인벨트,
213:흡인덕트220:브레이크부서어보모터,
본 발명은 시트등의 직사각형상포편을 현수의 상태로부터 펴서 넓히는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사각형상 포폄의 모서리의 한끝변을 파지하여 재치대위를 견인해서, 포편의 일변을 전개하는 장치는 일본국 특개평 4-9198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지만, 이것을 제28도 내지 제3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8도 내지 제32도에 표시한 종래의 전개장치는, 예를 들면 제33도에 표시한 시트등의 직사각형상포편(Y)의 전개를 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재를 전후, 좌우, 상하로 조립해서 전후방향으로 상당한 길이(처리해야 할 직사각형상 포편 Y의 긴 변측의 전체길이보다 상당히 긴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 입체형의 프레임(1)과, 동프레임(1)의 상부의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전후방향으로 진퇴이동가능한 이동체(2)와, 동이동체(2)에 있어서의 수평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 떨어진 두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직사각형상 포편(Y)의 1개의 모서리(C1)과 그에 인접하는 가장자리부(Ya)의 일부(Ya')를, 각각 착탈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포편모서리용 유지수단(22) 및 포편가장자리부용유지수단(23)과, 이동체(2)를 프레임앞부분포편유지위치(P)로부터 프레임뒷부분의 포편인입위치(Q)까지의 범위에서 진퇴시키는 이동체구동장치(3)와, 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 뒤쪽으로 인입되는 직사각형상포편(Y)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재치대(4)와, 동재치대(4)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베이어(5)와, 동컨베이어(5)를 정, 역각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컨베이어구동장치(6)와, 직사각형상포편(Y)의 가장자리정렬측측면가장자리부(Yb)를 검출하는 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상포편(Y)의 끝가장자리부(Yc)를 검출하는 끝가장자리부검출기(72)와, 이 전개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10)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다.
프레임(1)의 상부에는, 그 좌우방향의 중간위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을 향해서 1본의 가이드레일(11)이 장착되어 있으며, 동가이드레일(11)에 의해 이동체(2)가 프레임전후방향으로 진퇴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이동체(2)의 전후방향이동범위는, 제2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이동체(2)가 프레임앞부분에 있어서 각 유지수단(22),(23)으로 직사각형상포편(Y)를 유지할 수 있는 포편유지위치(P)로부터, 제3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이동체(2)가 프레임뒷부분에 있어서 직사각형상포편(Y)를 완전하게 재치대(4)상에 인입할 수 있는 포편인입위치(Q)까지의 범위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2)는, 좌우방향으로 사람의 어깨폭정도의 길이(40~60cm정도의 길이)를 가진 평판(20)에 의해 형성되고, 이 평판(20)의 좌우양측부에는 각각 아래를 향해 굽은 현수판(21),(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현수판(21),(21)의 앞끝부분에는 각각 하나씩 포편유지용의 유지수단(22),(2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앞부분쪽으로부터 보아서, 우측에 위치하는 유지수단(22)이 포편모서리(C1)의 유지용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유지수단(23)이 포편가장자리부유지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유지수단(22),(23)에는, 각각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클립식의 에어척이 채용되고 있다.
이동체구동장치(3)는, 프레임(1)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켓(32),(32)와, 동작스프로켓(32),(32) 사이에 장착된 끝이 있는 체인(33)과, 한쪽의 스프로켓(32)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체인(33)의 한끝은 앞쪽스프로켓(32)에 감긴 후에 이동체(2)에 고정되고, 동체인(33)의 다른쪽 끝은 뒤쪽스프로켓(32)에 감긴 후에 이동체(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이동체구동장치(3)는, 모터(31)에 의해 스프로켓(32)을 우회전 혹은 좌회전시킴으로써, 이동체(2)를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재치대(4)는, 각유지수단(22),(23)의 진퇴높이위치보다 약간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재치대(4)는, 전후방향으로 비교적 짧은 길이의 앞쪽대판(41)과, 동일쪽대판(41)의 뒤끝 근방위치에 있어서 수평좌우방향으로 진퇴주행가능한 컨베이어(5)를 가지고 있다. 컨베이어(5)는, 좌우 한쌍의 로울(51),(51)사이에 합계 4본을 1조로 하는 벨트(52),(52)를 감아서 구성되어 있으며, 동각벨트(52),(52) 사이에는 적당한 간격(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벨트(52),(52)의 상면쪽주행부는, 뒤쪽대판(43)의 상면쪽의 근방위치에서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 구동장치(6)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61)에 의해, 스프로켓 및 체인을 개재해서 컨베이어(5)의 한쪽(좌측)의 로울(51)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는, 직사각형상포편(Y)가 프레임안쪽에 인입될 때, 컨베이어설치부분에 있어서 직사각형상 포편의 가장자리정렬측 측면가장자리부(Yb)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광전관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 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는, 뒤쪽대판(43)상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의 프레임앞부분쪽으로부터 첫번째의 벨트(52)와, 두 번째의 벨트(52)와의 사이의 간격(S)내에서, 또한 포편모서리용 유지수단(22)이 통행하는 위치의 거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검지부를 위쪽으로해서 설치되어 있다.
끝가장자리부검출기(72)에는 광전관이 사용되고 있어, 직사각형상포편(Y)의 끝가장자리부(Yc)가 재치대(4)상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의 프레임앞부분쪽 끝부분에 다가올때, 동끝가장자리부(Yc)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동끝가장자리부 검출기(72)는, 뒤쪽대판(43)상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의 프레임앞부분쪽 끝부분의 근방에서, 또한 이동체(2)의 좌우방향의 거의 중간부가 통행하는 위치의 거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검지부를 위쪽으로 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 및 끝가장자리부검출기(72)는, 각각 포편의 검출상태 또는 비검출상태의 구별을 판정하고, 이 검출신호가 제어기(10)를 향해서 발신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기(10)는 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컨베이어구동장치(6)에 대해서 컨베이어(5)를 정,역 어느쪽인가의 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끝가장자리부검출기(72)로부터의 포편끝가장자리부검출신호를 받아서, 이동체구동장치(3)에 대해서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가 포편비검출상태에 있을때(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의 바로 위쪽에 포편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컨베이어구동장치(6)에 대해서 컨베이어(5)의 상면쪽이 측면가장자리부압출방향(좌로부터 우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동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가 포편검출상태에 있을 때에는, 동컨베이어구동장치(6)에 대해서 컨베이어(5)의 상면쪽이 측면가장자리부 인입방향(우로부터 좌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직사각형상포편(Y)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상에 접촉하는 부분의 가장자리정렬측 측면가장자리부(Yb)는, 측면가장자리부검출기(71)에 의한 검출위치를 사이에 두고 그 좌우소범위의 장소에서만, 미세하게 위치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직사각형상포편(Y)가 이동체(2)와 동시에 프레임안쪽에 인입될 때에, 끝가장자리부 검출기(72)는, 우선 최초, 포편비검출상태로부터 끝가장자리부검출기 위쪽으로 직사각형상포편(Y)가 다가오면 포편검출상태가 되며, 이동체(2)가 다시 후퇴해서 직사각형상포편(Y)의 끝가장자리부(Yc)가 끝가장자리부검출기(72)에 의한 검출위치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다시 포편비검출상태가 되지만, 그때 발신되는 끝가장자리부검출기(7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제어기(10)는 이동체구동장치(3)를 즉시 작동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런데, 직사각형상포편을 볼록형앞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접촉저항을 가지게 하면서 공급벨트로 이루어진 제치대상에 인입했을 경우는, 직사각형상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는 견인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고 펼쳐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 대책으로서 제안된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견인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수정하는 방식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4-9198호 공보에 표시한 것과 같은 분할공급벨트컨베이어에 의한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정렬시키는 기구가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구는, 복잡하고 기계의 비용도 높게 됨과 동시에, 포편의 전개에 걸리는 시간에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 위치수정의 시간이 가산되어서 포편의 전개사이클시간이 길어져서, 능력이 올라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위치수정은, 포편이 인입되어 놓여진 후에 행해지게 되기 때문에, 포편이 당겨짐이 없이, 주름이 진 그대로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는 결과, 다음 공정의 아이로너장치에 있어서의 시트등의 완성품질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직사각형상포편은, 하나의 모서리와 그 모서리를 포함하는 변의 1개소가, 파지구로서 파지되어서 재치대상에 인입되기 때문에, 길고큰 직사각형상포편을 취급할때는, 파지된 모서리의 대각의 모서리는 꼬리형상으로 늘어뜨려져서 재치대상으로부터 빠져 나온채로 되어, 다음의 직각방향의 이동시에, 장치의 구조물에 걸리게 되거나, 감겨들어가거나 할 위험이 있으며, 만약 파지구로 포편을 인입할 때에, 포편모서리끝의 꼬리형상의 부분까지 재치대상에 인입하려고 하면, 한층더 긴 재치대가 필요하게 되어, 기계설비가 대형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의 포편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여러회의 세탁처리를 거친 포편층에는 변형한 것도 있으며, 이들 포편이 그 하나의 모서리와 그 모서리를 포함하는 변의 1개소를 파지구에 의해 파지되어서 재치대상에 인입될때, 번형한 표편의 경우,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에의 포편의 걸림이 불완전하게 되어, 재치대상에 인입했을 때 직사각형상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는 견인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되거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로부터 벗어나서 전개불능하게 되거나 한다. 이때 이 포편은 후속공정으로 리젝트되어, 작업의 수율이 저하한다. 또한, 포편이 비스듬하게 인입되어, 리젝트되지 않고 다음 공정으로 보내져서 전개되어도, 세탁물로서의 완성품질은 불량이 되기 때문에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포편의 임의의 모서리와, 그 모서리를 포함하는 변의 1개소를 2개의 클립이 장착된 이동가능한 파지구로 파지해서 포편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후, 벨트컨베이어등에 의해 구성되는 재치대의 상면을 수평으로 재치대의 볼록형앞가장자리부에 포편을 저항접촉시키면서 파지구로 견인이동해서, 포편을 재치대상에 인입하는 공정을 가지는 포편전개장치에 있어서, 동재치대의 포편견인 궤도면의 포가장자리쪽의 반정도의 면에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덕트를 형성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포편재치대의 위쪽의 고정부재에 부착된 유닛대와, 동유닛대의 고정축상에서 회동하는 적작동레버와, 동작동레버에 설치되어, 단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벨트를 동시에 구동, 정지하는 작용을 가지는 브레이크롤러와, 상기 작동레버를 작동하는 공기압작동기와, 컨베이어벨트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인입된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된 벨트동작정지유닛을 나란히 배치한 구조의 포편재치대, 및 각벨트동작정지유닛마다에 상기 센서가 발하는 포편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공기압작동기에 지령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해서 이루어지고, 재치대상에 포편이 놓여져서,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주행하기 시작할 때, 상기 각벨트동작정지유닛마다에 센서가 발하는 포편통과검출신호를 받아서 단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벨트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이것을 정지시킴에 의한 포편의 자세제어기능을 부가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에 있어서, 포편도입부인 볼록형 앞쪽가장자리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종축폴리로 가이드되고, 상기 볼록형앞가장자리부의 볼록형을 따르는 종측면을 형성해서 수평주행하는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벨트와, 동흡인벨트의 안쪽에 수용되고, 동흡인벨트의 볼록형수직면에 접하는 면쪽이 열려 있는 흡인덕트와, 동흡인덕트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흡출송풍기와, 상기 흡인 벨트를 구동하는 모터와, 포편도입부의 수평면에 포편측면가장자리부 인입선을 따라서 설치된 포편검출센서와, 동포편검출센서의 신호에 의해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치우침을 검출해서 상기 모터에 정전 또는 역전 및 정지의지령을 해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통과하는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된 포폭정렬기구를 부가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을 문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포편의 전개장치에 있어서, 포편도입부인 볼록형앞가장자리부와 재치대사이에 설치된 포편가이판 중앙의, 포편인입시에 포편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설치되고, 포편인입방향과 직각양방향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벨트컨베이어와, 동흡인벨트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열려있는 흡인덕트와, 상기 흡인벨트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정역전가능한 브레이크부서어보모터와, 상기 포편가이드판의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인입선에 설치된 포편검출센서와, 동포편검출센서의 신호에 의해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치우침을 검출해서 상기 브레이크부모터에 정전 또는 역전 및 정지의 지령을 해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통과하는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된 포폭정렬기구를 부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항의 각기구, 수단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직사각형상포편은 재치대상을, 동재치대에 뚫린 다수의 구멍에 포편견인궤도면의 포가장자리쪽의 반정도의 면이 흡인되면서 인정되기 때문에, 포가장자리쪽만이 견인방향의 마찰저항을 받아서, 포편은 견인방향에 대해서 평행선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편의 포가장자리는 파지구에 파지된 끝부분으로부터 견인된 최후부까지 팽팽함을 가진 그대로의 상태로 재치대에 둘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 공정의 아이로너에 보냄으로써, 시트등의 완성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상포편은 재치대상을 이동하는 사이에, 센서에 의해 통과위치의 타이밍이 검출되고, 센터링의 타이밍이 연산되어서 파지구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이 공정에 있어서의 시간의 손실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직사각형상포편이 재치대상이 견인될 때, 오목형 앞가장자리부 부근을 통과하는 포편은 합쳐져서, 상기 앞가장자리부의 상류에 있는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상기 앞가장자리부 부근에 있어서의 포편의 마찰저항이 감소한다. 또한, 직사각형상 포편의 이동이 끝났을 때에는, 오목형 앞가장자리부에 합쳐져서 꼬리 형상으로 늘어뜨려졌던 포편의 모서리는 면적이 적어서 가볍게 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구멍으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로 불어올려져, 가이드판에 가이드되어서 재치대상의 소정위치에 놓여진다. 따라서 포편모서리가 걸리거나, 감겨들어가거나 해서 다음의 포편이송공정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 같은 불리점은 없게 된다.
다음에 상기의 벨트의 동작정지유닛을 횡으로 나란히 배치해서 구성된 포편측면 가장자리 정렬재치대의 적용을 설명하면, 포편이 재치대에 인입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되어 포편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단계에서, 포편의 유무를 각 벨트동작정지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 검출하고, 포편이 통과해서 센서가 포편없음의 신호를 발하고, 이것이 제어회로에 보내지면, 제어회로는 공기압작동기를 작동해서, 컨베이어벨트로부터 텐션풀리를 떼어놓고, 브레이크를 걸어서 이것을 정지시킨다.
또한 모든 컨베이어벨트벨트유닛의 센서의 발하는 신호가 포편없음으로 되어, 포편측면가장자리가 전부 컨베이어벨트상의 결정된 위치에 정렬되는 것이 확인된 후, 일제히 브레이크를 해방하여, 각 컨베이어벨트를 움직여서 포편을 송출한다.
또한 상기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 재치대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종축폴리로 가이드되고, 상기 볼록형앞가장자리부의 볼록형을 따르는 종측면을 형성해서 수평 주행하는 흡인벨트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 정렬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포편이 파지구로 파지되어서 포편전개장치의 포편도입부에 인입되는 공정에 있어서, 동포편도입부의 수평면에 설치된 포편검출센서에 의해, 인입이동중의 포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선으로부터 안쪽 혹은 바깥쪽으로 벗어나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포편측면가장자리를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상기 흡인 벨트를 횡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횡이동중에 포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수정된 것을 포편검출센서가 검출했을 때,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상기 흡인벨트의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또한 동흡인벨트의 흡인력은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포편의 당김을 강하게해서, 포편인입방향의 직선성을 개선하고, 또 포편의 주름을 펴게 하는 효과도 있다.
상술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 재치대 사이에 설치되고, 포편인입방향과 직각양방향으로 구동되는 흡인벨트컨베이어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수단을 설명하면, 포편이 파지구로 파지되어 포편가이드판의 위를 인입되는 공정에 있어서, 동포편가이드판상에 설치된 포편검출센서에 의해, 인입이동중의 포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선으로부터 안쪽바깥쪽의 어느쪽에 면하고 있는 가를 검출하고,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포편측면가장자리를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상기 흡인벨트컨베이어에 포편을 흡인부착해서 횡이동시킨다. 이 횡이동중에, 포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수정된 것을 포편검출센서가 검출했을 때,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상기 흡인벨트컨베이어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흡인벨트컨베이어에 놓여 있지 않은 포편부분의 주름펴기작용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염가인 구조의 장치로 직사각형상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견인하는 방향으로 똑바로 인입할 수 있다. 또한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정렬시키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포편의 전개공정의 사이클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당겨진 상태 그대로 똑바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의 발생이 없게 되어, 후공정인 아이로너에서의 포편의 완성품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포편이 변형되어 있을 때는, 상기 재치대를 구성하는 흡인덕트로 포편에 끄는 저항을 주는 것만으로는,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는 비스듬히 된 그대로, 컨베이어이송방향에 대해 직각의 선에 정렬하지 않지만, 본 발명과 같이, 또한 컨베이어벨트용 텐션풀리와, 브레이크 및 포편센서로 이루어진 벨트동작정지유닛을 횡으로 나란히 배치해서 구성된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재치대를 적용하면, 재치대상에 있어서 직접 포편측면가장자리부를 컨베이어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정렬시킬 수가 있어, 그대로 컨베이어벨트로 보내지기 때문에, 다음 공정의 포편 전부를 펴서 넓히기 위한 포편측면가장자리의 끼워 누름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송출과정에 있어서의 위치정렬작업이기 때문에 조정을 위한 시간 손실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 재치대의 아래에 설치된 포편인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구동되는 흡인밸트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정렬기구에 의해, 인입의 초기에 포편측면가장자리를 정상의 인입선으로 수정하기 때문에, 상기 재치대상의 포편측면가장자리의 견인되는 방향이 한층 더 정확하게 된다.
또한 흡인벨트에는 포편의 주름펴기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 재치대 사이에 설치된, 포편인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구동되는 흡인벨트컨베이어에 의한 포편측면가장자리 정렬수단에 의해서도, 인입이동중의 포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선으로 수정되어, 재치대상에 놓여진 포편측면가장자리가 컨에비어벨트의 이송방향과 직각의 직선상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흡인벨트컨베이어에 놓여 있지 않은 부분의 포편의 주름펴기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도는 시트의 전개장치 전체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흡인덕트를 구비한 재치대를 주체로 전개장치전체의 설명 및 시트불어붙임노즐기구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해 설명하고, 다음에 재치대상에 있어서의 시트측면가장자리부 정렬기구인 벨트동작정지유닛을 제7도 내지 제9도에 의해서, 시트도입부에 설치한 횡이동하는 흡인컨베이어기구를 제10도 내지 제13도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시트(15)의 각모서리 및 각가장자리부의 명칭은 제33도에 표시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 수동으로 시트(15)의 임의의 모서리(C1)과 그 모서리(C1)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Ya)와는, 어깨폭의 거리를 두고 파지구(16)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클립(17)에 파지된다. 파지구(16)는, 4개의 차륜(18)에 의해 가이드레일(25)내를 주행하는 동시에,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랙에 체인(26)을 걸어맞춰서, 도시하지 않은 체인구동수단에 의해 동체인(26)을 개재해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지구(16)는 체인(26)과의 걸어맞춤을 벗어나서, 경사진 가이드 레일상을 자유주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파지구(16)의 클립(17)을 지지하는 팔은, 모서리(C1)쪽의 팔(16a)이 길게, 가장자리부(Ya) 쪽이 팔(16b)은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파지구(16)가 파지한 시트(15)가 자연적으로 늘어뜨려졌을 때, 2개의 클립(17)에의 하중이 걸리는 편을 비교하면, 팔(16b)쪽의 편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트(15)를 매달았던 파지구(16)는, 체인(26)으로 구동되어 가이드레일(25)상을 이동하여, 제1도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부터 전개장치상에 진입한다.
시트(15)는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에서 펼쳐지면서 재치대(35)상에서 인장된다.
그리고 파지구(16)는 재치대(35)상을 진행하고,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가 재치대(35)에 탓던 위치에서, 클립파지해제기구(27)에 의해 시트(15)를 해방하도록 되어 있다. 즉, 클립파지해제기구(27)에 있어서는, 공기압작동기(28)가 작동하고, 레버(29)가 회전해서 누름판(30)이 클립(17)의 해제팔(17a)을 누르고, 상술한 바와같이 시트(15)를 해방하고 있다.
다음에 제2도는 재치대(35)의 구조를 사시도에 의해 표시하고 있으며, 양측의 프레임(38),(39)에 의해 지지되고, 모터(45)에 의해서 간헐구동되는 풀리(40)에 걸려지는 다수의 평벨트(46)가 재치대(35)의 주요부이다. 이들 평벨트(46)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전체면에 뚫려 있는 것, 혹은 공기가 통하기 쉬운 거친 메시의 네트벨트를 사용해도 지장없다. 또한, 재치대(35)의 중앙부는 구멍이 뚫리지 않은 밸트라도 된다.
또한, 평벨트(46)의 내면에 접해서 흡인덕트(47)가 재치대(35)의 전폭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고, 동덕트(46)의 상면, 즉 평벨트(46)에 접하는 면에는 다수의 작은구멍(48)이 뚫려 있다. 또한, 상기 재치대(35)의 중앙부의 평벨트(46)에 대응해서, 동작은구멍(48)도 흡인덕트(47)의 중앙부에는 없어도 된다. 한편, 프레임(38)의 위쪽에 광전센서(49)가 장착되어 있으며, 동센서(49)는 파지구(16)의 통과와, 시트(15)의 끝가장자리부(Yc)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센서(49)가 발한신호는 제어장치(50)에 보내져서 연산처리된다.
제3도는 재치대(35)의 평면도로, 인입되어 놓여진 시트(15)의 위치와 흡인덕트(47)의 흡인구멍(48)군의 관계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덕트(47)의 흡인이 작용하는 범위는, 인입된 시트(15)의 궤도면의 반정도로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쪽, 시트(15)의 진행방향의 전후로 나누어진 (E)와 (F)로 표시된 부분이다. 또한, 흡인이 작용하는 범위를 궤도면 전체길이로 해도 지장이 없지만, 이때는 시트(15)의 인입저항이 과대하게 된다. 또한 흡인덕트(47)는 관(56)에 의해 흡인송풍기(55)에 연결되어 있다.(제4도 참조)
다음에, 시트불어붙임노즐기구의 구조를 제5도 및 제6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치대(35)의 시트도입부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에 계속해서 오목형앞가장자리부(101)가 프레임(38)에 장착되고, 동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의 오목형 중심선에 맞추어서 노즐박스(102)가 프레임(38)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노즐박스(102)의 상면은 재치대(35)의 상면과 동일면에 정렬하고 있으며, 또한 동노즐박스(102)의 상면에는, 시트(15)의 이동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분출하는 복수의 노즐구멍(103)이 뚫려져 있으며, 동노즐박스(102)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원으로부터, 송기관(104)을 통해서 공기가 보내져오는 것처럼 되어 있다.
또한, 노즐박스(102)의 상부에는 노즐구멍(103)으로부터 분출한 공기에 의해 불어올려진 시트(15)의 꼬리형상모서리가 재치대(35)의 위에 확실하게 반전해서 소정위치에 놓여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판(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의 아래쪽에 가이드박스(110)을 설치하여 두면, 길이가 긴 시트(15)의 꼬리형성부분이 이동할 때, 그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서, 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제4도는 전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도와 제4도에 의해서 시트(15)의 전면전개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면, 재치대(35)의 평밸트(46)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의 출구부에 롤러(58)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롤러(58)는 공기압작동기(60)의 작동에 의해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평벨트(46)에 대해서 가압되거나, 떨어지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8),(39)에는 진공식의 에어스프레터(65)가 장착되어 있으며, 동에어스프레터(65)는 앞가장자리에 하향볼록형의 전개판(65a)을 설치해서, 시트(15)를 하향의 흡인슬릿(65b)에 의해서 끌어당겨, 볼록형의 전개판(65a)의 작용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에어스프레터(65)도 관(66)에 의해서 흡인송풍기(67)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재치대(35)의 아래쪽에는 같은 모터(70)로 구동되는 마찰롤러(68)와, 비스듬히 아랫방향으로 주행하는 시트(15)의 송출컨베이어(6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76)은 프레임(38),(39)에 장착된 가이드(75)로 안내되는 도입바이며, 동도입바(76)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에 의한 간헐구동과, 체인의 1개소와 도입바(76)를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링크기구에 의해 상기 가이드(75)로 가이드되어 왕복이동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개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시트(15)의 모서리(C1)과 가장자리부(Ya)가 파지구(16)에 클립(17)으로 파지되어, 재치대(35)상을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에 의해 접촉저항을 받으면서 인입될 때, 만약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는 시트(15)의 다른 부분에 눌려서 시트(15)의 전체의 형상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흡인덕트(47)를 설치함으로써,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는 제3도에서 표시한 (E)의 부분에서 흡인되어 이 부분의 마찰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의 인장력이 증가해서, 시트(15)의 다른 부분을 다시 누르고, 측면가장자리부(Yb)는 똑바로, 또한 항상 팽팽함을 유지해서 인입할 수 있다. 재치대(35)상의 (F)로 표시한 흡인부는, 시트(15)가 파지구(16)의 클립(17)으로부터 해방되어서 재치대(35)상에 놓여질 때, 측면가장자리부(Yb)가 팽팽함을 가진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만약(F)로 표시한 흡인부가 없으면,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는 클립(17)으로부터의 해방과 동시에 수축되어 주름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시트(15)가 파지구(16)의 클립(17)으로 파지되어서 재치대(35)에 진입할 때, 광전센서(49)가 파지구(16)와 시트(15)의 끝가장자리부(Yc)를 검출해서 신호를 제어장치(50)에 보내고, 동제어장치(50)에 있어서 파지구(16)와 시트(15)의 끝가장자리부(Yc)의 통과의 타이밍과, 파지구(16)의 이송속도로부터 시트(15)의 재치대(35)에 대한 센터링의 타이밍을 연산해서 공기압작동기(28)를 작동시켜, 클립파지해제기구(27)를 동작시켜서 시트(15)를 해방한다.
또한, 시트(15)가 길고 큰 직사각형상일 때, 동시트(15)가 재치대(35)상에 끌어당겨질 때 시트가 젖어 있으면, 그 중량은 크고, 또한 이동이 끝나도 시트(15)의 일부가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에 합쳐져서 꼬리형상으로 늘어뜨려진다. 그러나 시트(15)가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를 통과할 때 시트(15)는 합쳐지고, 또한 노즐구멍(103)으로부터 분출하는 용기에 의해 밀어올려지기 때문에, 이 부근의 시트(15)는 떠오르게 되며, 인장에 대한 시트(15)의 마찰저항은 감소하게 된다.
한편, 남은 시트(15)의 모서리(C2)는 면적이 적고 가볍기 때문에 제6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노즐구멍(103)으로부터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불어올려지는 동시에 가이드판(105)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6도에 파선으로 표시한 시트(15')와 같이 반전해서 재치대(35)상의 소정위치에 놓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15)의 모서리(C2)가 프레임이나 파지구(16)의 가이드레일(25)에 걸리거나 감겨지거나해서, 다음의 시트(15)의 이송공정에 지장을 주는 불리점은 없게 된다.
또한, 재치대(35)상에 놓여진 시트(15)는, 모터(45)에 의해 구동되는 평벨트(46)로 제2도 및 제3도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측면가장자리부(Yb)가 롤러(58)의 앞쪽에 달한 위치에 정지한다. 시트(15)의 다른 부분은 평벨트(46)의 끝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자연적으로 늘어뜨려진다. (제4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시트(15)의 위치)
다음에, 도입바(76)가 작동해서 시트(15)를 마찰롤러(68) 및 송출컨베이어(69)의 위에 밀어넣으면(제4도의 파선으로 표시한 시트(15)의 위치), 시트(15)는 에어스프레더(65)와 마찰롤러(68)에 의해 펼쳐지면서 송출컨베이어(69)에 의해 다음 공정의 아이로너(80)에 보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포의 전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정사각형상포에 대해서도 전혀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15)의 임의의 모서리(C1)과 그 모서리(C1)을 포함하는 모서리부(Ya)를 파지하는 예에서 설명했지만, 긴 변쪽의 가장자리부의 일부(예를들면, 제19도의 (C1)과 (Yb')의 부분)을 유지하도록 해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시트(15)의 짧은 쪽의 가장자리부(제19도에 있어서 부호(Ya)의 가장자리부)가 정렬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벨트동작정지유닛을 횡으로 나란히 배치해서 구성된 스트측면가장자리정렬재치대에 대한 실시예를 제7도~제9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7도는 벨트동작정지유닛(180)의 단면도, 제8도는 재치대(35)에 장착된 벨트동작정지유닛(180)의 사시도, 제9도는 작용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다수의 벨트동작정지유닛(180)이 수평빔(195)에 나란히 장착되어 있으며, 동수평빔(195)은 본체프레임(38)에 기등부재(196)를 개재해서 고정되어 있다. 수평빔(195)에 고정된 유닛대(181)에는 고정축(182)이 고착되고, 동고정축(182)에는 작동레버(183)가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작동레버(183)에 고착되고, 동레버(183)의 양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축(185)에 한쌍의 텐션풀리(184)가 또한 마찬가지로 고착되고 동작동레버(183)의 양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축(186)에 한쌍의 브레이크롤러(19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들 텐션풀리(184) 및 브레이크롤러(190)는 2본의 컨베이어벨트(46)를 동시에 구동, 정지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유닛대(181)에 공기압작동기(187)가 작동로드가 돌출되어 있는 제7도의 실선의 위치는, 브레이크롤러(190)가 올라가고, 텐션풀리(184)가 내려가서 컨베이어벨트(46)에 텐션이 주어지고, 구동롤러(40)의 회전이 컨베이어벨트(46)에 전달되어, 컨베이어벨트(46)가 이송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공기압작동기(187)의 작동로드가 인입되고 있는 제7도의 2점쇄선의 위치는, 텐션풀리(184)가 올라가서 컨베이어벨트(46)에 텐션이 없어져서, 컨베이어벨트(46)가 느슨해지고, 브레이크롤러(190)가 컨베이어벨트를 가압해서 이것을 브레이크판(191)에 밀어부쳐서 브레이크를 걸어, 컨베이어벨트(46)를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유닛대(181)의 위쪽의 수평빔(195)에는 광원을 겸한 광전센서(188)가 장착되고, 컨베이어벨트(46)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흡인덕트(47)의 상면의, 한쌍의 컨베이어벨트(46)간의 틈새의 위치에는, 광전센서(188)의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판(189)이 장착되어 있다. 이 광전센서(188)와 반사판(189)에 의해, 벨트(46)의 주행에 의해 운반되는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통과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유닛마다 광전센서(188)가 발하는 시트(15)의 유무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공기압작동기(187)에 적당한 지령을 발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벨트동작정지유닛(180)으로 구성된 시트측면가장자리정렬재치대의 실시예에 대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시트(15)가 재치대(35)에 인입된 후(제9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시트(15)는 인입된 직후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46)가 구동되어 시트(15)가 다음 공정을 이송되는 단계에서, 시트(15)의 유무를 각벨트동작정지유닛(180)에 설치되어 있는 광전센서(188)와 반사판(189)으로 검출하고, 시트(15)가 통과해서 시트없음의 신호가 발해져서 제어회로에 보내지면, 제어회로는 공기압작동기(187)를 작동시켜, 컨베이어벨트(46)로부터 텐션풀리(184)를 분리해서 컨베이어벨트(46)의 텐션을 풀고 브레이크를 걸어, 이것을 정지시킨다.(제9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시트(15)는 각 벨트동작정지유닛(180)에 의해 반사판(189)의 직후에 정지된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가 전부 컨베이어벨트(46)상의 정해진 위치에 정렬하고, 전체의 벨트동작정지유닛(180)의 센서(188)의 발하는 신호가 시트없음으로된 경우에 제어회로가 신호를 내서, 일제히 브레이크를 해방하고, 전컨베이어벨트(46)를 움직여서 시트(15)를 송출한다. 실제작용에 있어서는, 컨베이어벨트(46)에 의해 가장 긴거리에 이송된 시트(15)(예를 들면, 제9도의 좌단의 2열의 컨베이어벨트(46)로 보내진 시트(15))는, 광전센서(188)와 반사판(189)이 시트(15)의 통과를 검출했을 때, 브레이크를 걸 사이도 없이, 일제히 컨베이어벨트(46)를 움직이는 지령이 나오기 때문에 거의 정지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시트인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구동되는 흡인벨트에 의한 포편측면 가장자리정렬기구의 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3도에 표시한다. 우선, 이 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11)의 구조를, 제10도 및 제11도의 사시도에 의해 설명한다.
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11)은, 시트도입부인 볼록형앞가장자리(36)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38)에 장착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11)의 주요구성부품인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벨트컨베이어(212)는, 3개의 가장자리부착종축폴리(215),(216),(217)로 가이드되고, 볼록형앞가장자리부의 볼록형을 따르는 종축면을 형성해서 수평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인벨트(212)는, 종축풀리(217)와, 이 풀리(217)의 축에 고착되어 있는 종동풀리(218)와, 구동벨트(219)를 개재해서 모터(220)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종축풀리(215),(216),(217)의 축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일체로 흡인덕트(213)가 형성되고, 이 흡인덕트(213)는 흡인벨트(212)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고, 흡인벨트(212)의 볼록형수직면에 접하는 면쪽에 다수의 긴 구멍이 열려있다. 또한 흡인덕트(213)내의 공기는, 이 흡인덕트(213)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배출관(214)을 통해서, 도시되어 있지 않은 흡출송풍기에 의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부재(도시생략)에 장착된 광원을 겸한 광전센서(134),(136)는 프레임(38)상의 시트가이드판(111)의 시트측면가장자리부인입선의 양쪽에 설치되고, 반사판(135),(137)과 조합되어서,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시트인입선을 따른 허용폭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는, 광전센서(134),(136)의 신호에 의해 시트측면가장자리부의 치우침을 검출하고, 모터(220)에 정전 또는 역전 및 정지의 지령을 해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통과하는 위치를 보정하고 있다.
변형된 시트(15)는, 파지구(16)로 파지된 시트(15)의 모서리부가 예각으로서, 인입되는 시트의 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시보다 안쪽으로 벗어나 있는 것이 태반을 점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광전센서는 안쪽의 광전센서(136)와 반사판(137)의 조합뿐이어도 시트인입선에 폭정렬의 목적을 어느정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11)에 의한 시트측면가장자리정렬기구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의 제1예를 제12도에서 설명한다. 이 제12도는 광전센서(136)와 반사판(137)이 1조만을 사용한 경우의 예이다.
시트(15)가 파지구(16)에 의해 파지되어 시트가이드판(111) 및 재치대(35)의 위를 인입되는 공정에 있어서, 광전센서(136)의 광원빔이 시트가이드판(111)상에 설치된 반사판(137)에 닿게 되어, 인입이동중의 시트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허용폭으로부터 안쪽으로 벗어나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한다. 즉, 광전센서(136)가 반사판(137)의 반사광을 검출하면, 제12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시트(15)는 안쪽으로 가고 있으며,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시트측면가장자리부가 실선으로 표시한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흡인벨트(212)에 시트(15)를 끌어당겨서 바깥쪽으로 (화살표방향) 횡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횡이동중에, 스트측면가장자리부가 바른 인입허용폭선내에 들어가면, 광전센서(136)의 광원빔을 차단하여, 광전센서(136)가 시트(15)의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 신호에 의해 흡인벨트(212)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제13도는 광전센서(134),(136)와 반사판(135),(137)의 2조의 검출센서를 조합한 경우에 있어서의 작용의 제2예이다. 시트(15)가 파지구(16)로 파지되어서 시트가이드판(111) 및 재치대(35)의 위를 인입되는 공정에 있어서, 광전센서(134),(136)과 시트가이드판(111)상에 설치된 반사판 (135),(137)에 의해, 인입이동중의 시트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허용폭으로부터 안쪽 또는 바깥쪽의 어느쪽으로 벗어나 있는 가를 검출한다.
즉, 광전센서(134),(136)의 양쪽이 시트(15)를 검출하면, 제13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시트(15)는 바깥쪽으로 너무 간 것이며,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시트측면 가장자리부가 실선으로 표시한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흡인벨트(212)에 시트(15)를 끌어당겨서 안쪽으로 (제13도에 있어서 하향의 화살표방향)횡이동시킨다. 이 횡이동중에, 시트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허용폭선내에 들어가면, 광전센서(134)가 시트(15)의 없는 것을 검출하고, 그 신호에 의해 흡인벨트(212)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또한, 광전센서(134),(136)의 양쪽이 시트(15)를 검출하지 않았을때는, 제13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시트(15)는 안쪽으로 너무 간 것이며,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시트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흡인벨트(212)에 시트(15)를 끌어당겨서 바깥쪽으로 (제13도에 있어서 상향의 화살표방향)횡이동시킨다.
그리고 시트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허용폭선내에 들어가면, 광전센서(136)가 시트(15)의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 신호에 의해 흡인벨트(212)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흡인벨트(212)의 흡인력은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에 있어서의 시트(15)의 견인을 강하게 하여, 시트(15)의 인입방향의 직선성을 개선하고, 또 시트(15)의 주름펴기의 효과도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볼록형앞가장자리에 설치한 사행롤러를 제14도 및 제15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4도는 사행롤러장착부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G~G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80)은 사행롤러이고, 동사행롤러(80)는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에 고정된 수직축(8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롤러브래킷(82)에 수평한 핀(83)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외주부는 롤러브래킷(8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여기를 통과하는 시트(15)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동롤러브래킷(82)의 사행롤러(80)를 지지하는 부분(82a)은, 반원상의 판으로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의 선단의 원호부의 절단부를 메우고 있으며, 하부에는 아암부(82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핀(84)이 끼워 맞춰져 있다.
(85),(86), 및 (87),(88)은 각각 에어실린더와 동에어실린더에 고정된 구동판이며, 구동판(86)에는 사각구멍(86a), 구동판(88)에는 긴구멍(88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은 롤러(89)를 개재해서 상기 핀(84)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사행롤러(80)은 이들 구동판(86),(88)에 의해, 견인방향의 중립위치(N), 좌측(도면의 하측)으로 거의 30°회전환 위치(L), 우측으로 거의 30°회전한 위치(R)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90)은 에어실린더(85) 및 (87)의 로드를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에 고정하는 브래킷이며, (91)은 이들 기구를 덮는 커버이다.
제2도중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92)는 재치대의 시트도입부 부근의 위쪽(도면에서는 프레임(38)의 위)에 설치한 광전식의 측면가장자리부검출센서로, 시트(15)의 정렬측측면가장자리부(Yb)가 견인되는 바른 위치를 사이에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를 통과하는 위치는 드물게 정상의 위치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일이 있으며, 이 경우를 동볼록형앞가장자리부(36)로부터 받는 횡방향의 저항력이 크게 되고, 클립(17)에 의한 측면가장자리부(Yb)의 인장력만으로는 정상의 위치로 다시 끌어올 수 없는 일이 생긴다. 이 경우에는 사행롤러(80)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사행롤러(80)의 동작을 제16도 및 제17도에 의해서 설명하면, 에어실린더(85)의 구동판(86)은 제16도에 표시한 (R)위치와 제17도에 표시한 (L)위치를 취할 수가 있으며, 에어실러더(87)의 구동판(88)은 제16도 및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롤러(89)를 사각구멍(86a)의 좌측(도면의 하측)에 접촉시키는 (L)위치와, 롤러(89)를 사각구멍(86a)의 우측(도면의 상측)에 접촉시키는 (R)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판(86)이 제16도에 표시한 (R)위치에 있고. 구동판(88)이 (L)위치에 있을 때는 사행롤러80)는 중립위치(N)(제16도의 실선)에 있고, 구동판(88)이 (R)위치로 이동하면 사행롤러(80)는 우측(도면의 하측)으로 회전해서 좌측위치(L)(제16도의 2점쇄선)로 이동한다. 또한 구동판(86)이 제17도에 표시한 (L)위치에 있고, 구동판(88)이 (R)위치에 있을 때에는 사행롤러(80)는 중립위치(N)(제17도의 실선)에 있고, 구동판(88)이 (L)위치로 이동하면 사행롤러(80)는 우측으로 회전해서 우측위치(R)(제17도의 2점쇄선)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행롤러(80)가 위치(N),(L),(R)을 취할 수 있는 것이 요건으로 상술의 구동기구는 2개의 로터리실린더를 사용해도 되고, 혹은 1개의 실린더를 서어보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시트(15)의 선단부가 재치대(15)의 상부로 진입하여 오면, 측면가장자리부검출센서(92)가 검출상황을 제어장치(50)에 송신하고, 제어장치(50)에서는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Yb)가 정상적인 위치범위에 있는지(1개의 센서가 온, 다른 센서가 오프), 좌측으로 벗어나 있는지 (2개의 센서가 온)를 판단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벗어나 있는 경우는 실린더(85),(87)을 작동해서 사행롤러(80)의 방향을 바꾸어서, 포편측면가장자리부(Yb)를 정상위치범위에 들어오도록 이끈다. 사행롤어(80)는 시트(15)에 대해서 회전방향으로는 저항력을 주지 않고, 이것과 직각방향으로 큰 저항력을 주기 때문에, 시트(15)는 사행롤러(8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시트(15)는 견인방향으 거의 반정도의 속도로 횡방향으로 이동해서 궤도가 교정된다. 측면가장자리부(Yb)는 정상위치범위에 있으면 사행롤러(80)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사행롤러(80)는 중립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면 된다.
제18도 및 제19도에 변형된 시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재치대에 적정하게 인입하기 위한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 그 구동수단에 지시를 주는 시트측면가장자리부 검출센서수단을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술의 제1도에 표시한 고정의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로 바꾸어서, 시트(15)의 견인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전개판(112)(시트의 전개견인기능에 대해서는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동일)이 설치되어 있다. 전개판(112)은 전개판지지박스(113)와 일체로 되어 박스체를 구성하고, 프레임(38)에 고정된 수평구동유닛(115)에 의해 시트가이드판(111)을 따라서 수평구동된다. (114)는 시트(15)의 가이드롤러이다.
시트가이드판(111)상에 놓여진 반사판(132)은, 상술한 파지구(16)의 통과와, 시트(15)의 끝가장자리부(Yc)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49)의 광원을 받아서, 반사광을 센서(49)에 되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프레임(38)에 센서장착대(133)가 고정되고, 동센서장착대(133)에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34),(136)가 장착된다.
동센서(134),(136)은 모두 센서(49)와 마찬가지로 광원을 일체로 구비한 광전센서이다. 시트가이드판(111)상에 놓여진 반사판(135)은 센서(134)에 대응하고, 반사판(137)은 센서(136)에 대응한다. 양반사판(135),(137)은 시트(15)가 인입될 때의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의 바른 인입선의 양쪽에 같은 거리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9도에 수평구동유닛(115)의 구조를 사시도에 의해 표시한다. (116)은 구동유닛프레임이며, 동유닛프레임(116)에 장착된 베어링(122),(123)에 의해 볼나사(118)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볼나사(118)의 축끝은 유닛프레임의 끝면에 장착된 브레이크부 서어보모터(119)의 출력축에 직결되어 있다. 브레이크부서어보모터(119)에는 회전검출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볼나사(118)에 걸어맞춤하는 볼나사너트(121)는 이동대(117)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닛프레임(116)에는 4개의 브래킷(125)을 개재해서, 볼나사(118)와 평행하게 2본의 가이드바(124)가 고정되고, 이 가이드바(124)에 끼워 맞춤해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한쌍의 리니어볼베어링(126)도 이동대(117)에 장착되어 있다. 서어보모터(119)가 회전하고, 볼나사(118)가 회전하면, 이동대(117)는 가이드바(124)로 가이드되어서 수평이동을 하고, 이동대(117)에 장착된 전개판(112) 및 전개판지지박스(113)는 자세를 유지한 채 수평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가능한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 그 구동수단에 지시를 주는 시트측면가장자리부검출센서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면, 제20도에 시트(15)의 변형된 것을, 변형시트(15')(점선으로 표시), 변형시트(15'')(2점쇄선으로 표시)로 표시하고, 제21도에 이들 시트가 파지구(16)에 의해 재치대(35)의 위를 견인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파지구(16)와 이에 파지된 시트(15)가 반사판(132)상을 통과하여, 센서(49)의 광원빔을 끊었을 때에 센서(49)이 신호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그때까지 오프로 되어 있던 광전센서(134),(136)의 센서기능이 온으로 되고, 반사판(135),(137)의 위를 통과하는 시트(15)의 유무가 센서(134),(136)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신호가 되어 발신된다.
정상의 시트(15)가 통과해서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가 반사판(135),(137)의 사이를 통과할 때는 (광전센서(134)가 온, 광전센서(136)가 오프), 제어회로에서 정상이라고 판단해서 전개판(112)을 작동하지 않지만, 만약 변형시트(15')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는 센서(134),(136)모두(온으로 되어), 시트없음의 신호를 제어회로에 보내고, 제어회로는 이것을 가공해서 전류를 서어보모터(119)에 보내어, 이것을 돌려서 전개판(112)을 도면의 상방향(점선의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15')를 상방향의 정규의 위치에 접근시킨다.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가 반사판(135),(137)의 중간까지 접근되면, 센서(136)가 시트있음(오프로된다)의 신호를 제어회로에 보내서 전개판(112)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변형시트(15'')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는, 센서(134),(136)모두 시트있음의 신호(양쪽 모두 오프)를 제어회로에 보내고, 제어회로는 이것을 가공해서 전류를 모터(119)에 보내고, 상기와 역방향으로 이것을 회전시켜서 전개판(112)을 도면의 하방향(2점쇄선의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15'')를 정규의 위치에 접근시킨다.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가 반사판(135),(137)의 중간까지 접근되면, 센서(134)과 시트없음(온)의 신호를 제어회로에 보내서 전개판(112)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시트(15)가 통과해서 반사판(132)이 다시 나타나서, 센서(49)가 시트없음을 전하면 측면가장자리부센서(134),(136)의 기능은 오프로 된다. 동시에 모터(119)가 직전에 회전검출기(120)의 검출된 회전수만큼 역회전해서 전개판(112)을 중립의 위치로 되돌린다.
제22도에, 상술의 제18도에서 설명한 구멍이 없는 전개판(112) 및 전개판 지지박스(113)의 대신에, 다수의 흡인구멍을 형성한 전개판(142)과 전개판지지박스(143)가 일체로 되어 박스체를 구성한 것으로 치환한 예를 표시한다. 이 전개판 (142)은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평구동유닛(115)에 장착되어,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센서(134),(136)의 시트확인신호에 의해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를 규정선상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전개판지지박스(143)의 하부에는 가요관(145)이 장착되고, 가요관(145)의 선단부에 흡출송풍기(150)가 연결되어 있다.
시트(15)의 건조도가 높고 가볍게 되어 있을 때는, 전개판(112)에 의한 인장저항이 작기 때문에, 전개판(112)상에서 시트(15)가 횡으로 미끌어져서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의 방향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 흡출송풍기(150)를 회전시키면, 송풍기(150)는 전개판(142)과 전개판지지박스(143)가 구성하는 박스체로부터 공기를 흡출하고, 흡인구멍(142a),(143a)로부터 시트(15)를 흡인함으로써 시트(15)의 인장저항을 크게 하고,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의 횡이동에 의한 방향제어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2도에는 가요관(145)과 흡출송풍기(150)의 흡인구관(149)과의 사이에 공기압실린더(148)로 작동하는 공기벨브(147)를 설치하고 있는 예를 표시한다. 이 공기벨브(147)는 시트(15)가 인입되는 동안만큼(즉, 센서(49)의 발하는 광빔이 시트(15)에 차단되는 동안 만큼)흡출관로를 열도록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이 공기벨브(147)는 공기압실린더(148)에 의해 극히 단시간 작동하고,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는 흡출송풍기(150)의 흡출관로를 순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15)가 인입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공기밸브(147)는 흡출관로를 닫고, 가까이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시트(15)를 끌어당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변형시트를 처리하는 경우, 시트의 인입라인을 보정하는 또하나의 방식인 비스듬히 위치한 가이드롤러기구와 그의 제어에 대하여 제23도 내지 제26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23도 및 제24도는, 시트(15)가 정상의 시트의 인입라인을, 안쪽으로 비스듬히 벗어나 있는 경우에만 시트의 인입라인을 보정하는 기구의 예이다. 제23도는 그 기구를 사시도로 표시하고, 제24도는 시트(15)의 흐름에 따른 전개도이다. 변형된 시트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시트(15')로 표시하고 있다.
재치대(35)의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의 비스듬한 가장자리의 아래쪽에는, 동비스듬한 가장자리의 선과 볼록형의 정점 부근에서 교차하고, 비스듬히 아래로 경사하는 직선상에 축을 가진 자유회전하는 가이드롤러(161)가, 구면베어링(165)을 개재해서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와 작동레버(164)에 지지되어 있다. 동작동레버(164)는, 프레임(38)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지지대(167)의 축에 구면베어링(168)을 개재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레버지지대(167)는 공기압작동기(162)의 작동로드에 핀 조인트(169)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압작동기(162)는 프레이(38)에 고정되어 있는 작동기지지대(163)에 구면베어링(166)을 개재해서 장착되어 있다.
(170)은 정상적인 인입라인을 통과하는 시트(15)의 가장자리부를 확인하는 광전센서이다. 동센서(170)의 시트(15)의 가장자리부검출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에 보내지고, 이 제어회로에서 상황을 판단하여, 공기압작동기(162)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이 가이드롤러(161)에 의한 시트의 인입라인을 보정하는 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3도 및 제24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서는 가이드롤러(161)는, 시트(15)가 가이드롤러(161)과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를 통과할 때에, 늘어뜨려졌던 시트(15)의 무게에 의한 마찰력으로 가이드롤러(161)가 돌아, 시트(15)를 인입선의 바깥쪽방향으로 접근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변형시트(15')(제23도에 있어서는 점선으로 표시)가 인입되어 있을 때에 이 가이드롤로(161)에 의해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가 바깥쪽으로 유도되어 정상적인 시트(15)의 인입위치에 달하면, 광전센서(170)가 시트(15)를 검출해서 신호를 제어회로에 보내고, 제어회로의 지령으로 공기압작동기(162)가 작동하며, 가이드롤러(161)는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밀려들어가서 시트(15)에 대한 유도의 기능이 없어진다.
가이드롤러(161)를 사용하고, 변형된 시트(15')가 정상의 시트의 인입라인으로부터, 안쪽 및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벗어나 있는 경우에도 시트의 인입라인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실시예의 기구와 제어에 대하여 제25도 및 제26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25도는 그 기구를 사시도로 표시하고, 제26도는 시트(15)의 흐름에 따른 전개도이다. 변형된 시트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시트(15') 및 시트(15'')로 표시한 것이다. 재치대(35)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의 비스듬한 가장자리의 아래쪽에, 동비스듬한 가장자리의 선과 볼록형의 정점부근에서 교차하고, 비스듬히 아래로 경사하는 직선상에 축을 가진 자유회전하는 가이드롤러(161)가 구면베어링(165)을 개재해서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와 작동레버(176)로 지지되고, 작동레버(176)는 프레임(38)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지지대(174)의 축에 구면베어링(168)을 개재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레버지지대(174)는, 2단공기압작동기(175)의 작동로드에 핀조인트(169)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2단공기압작동기(175)는 프레임(38)에 고정되어 있는 작동기지지대(173)에 구면베어링(166)을 개재해서 장착되어 있다. (170) 및 (171)은 정상적인 인입라인의 허용범위내에 있는 시트의 가장자리부를 확인하는 광전센서이다. 동센서(170),(171)의 시트의 가장자리부 검출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에 보내지고, 이 제어회로에서 상황을 판단하여, 2단공기압작동기(175)를 제어하고 있다.
2단 공기압작동기(175)의 작동로드가 실린더내로 인입하고 있을 때, 작동레버(176) 및 가이드롤러(161)는 제25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으며, 인입되는 시트(15)가 이 가이드롤러(161)에 감겨서 보내지면 제26도의 실선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보내져 시트는 바깥쪽으로 접근된다. 또한 2단공기압작동기(175)의 1단째의 작동로드가 돌출하면, 가이드롤러(161)는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 즉 시트의 인입라인에 직각의 위치에 멈추고, 시트는 어느쪽에도 접근하지 않는다. 또한 2단공기압작동기(175)의 1단째 및 2단째의 작동로드가 돌출하면, 작동레버(176) 및 가이드롤러(161)는 제25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이동하고, 인입되는 시트(15)가 위치의 가이드롤러(161)에 감겨서 보내지면 제26도의 2점쇄선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보내져 시트는 안쪽으로 접근된다.
다음에 이 두 번째의 가이드롤러(161)에 의한 시트의 인입라인을 보정하는 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된 시트(15')(제25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된 측면가장자리부 안쪽으로 비스듬하게된 시트)가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를 통과할 때에는, 센서(170), (171)는 시트(15')를 검출하지 않는다. 이것은 시트(15')의 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선으로부터 안쪽으로 벗어나 있는 것을 표시하고, 이 검출신호가 제어회로에 보내지고, 제어회로의 지령으로 2단공기압작동기(175)가 1,2단 모두 작동로드가 인입되도록 작동하고, 가이드롤러(161)를 실선의 작동위치로 이동시켜서 시트(15')를 정상의 인입선에 접근시키는 작용을 행하게 한다. 시트(15')가 바깥쪽으로 다가가서, 센서(170)가 시트(15')를 검출한 신호를 내고, 센서(171)가 시트없음의 신호를 제어회로에 보내면, 제어회로에 있어서 통과중인 시트(15')의 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선에 접근되었다고 판정해서, 2단공기압작동기(175)의 1단째가 작동하고, 가이드롤러(161)는 중립의 위치로 이동해서 그 위치에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변형된 시트(15'')는(제25도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측면가장자리부가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된 시트)가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를 통과할 때에는, 센서(170),(171)는 양쪽 모두 시트(15'')를 검출한다. 이것은 시트(15'')의 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선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표시하고, 이 검출신호가 제어회로에 보내지고, 제어회로의 지령으로 2단공기압작동기(175)가 1,2단 모두 작동로드가 압출되도록 작동하고, 가이드롤러(161)를 2점쇄선의 작동위치로 이동시켜서, 시트(15'')를 바른 인입선에 접근시키는 작용을 행하게 한다. 시트(15'')가 안쪽으로 다가가서, 센서(171)가 시트없음을 검출하고 센서(170)는 이전 그대로 시트를 검출한 신호를 내서 제어회로에 보내면, 제어회로에 있어서 통과중의 시트(15'')의 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인입선에 접근되었다고 판정해서, 2단공기압작동기(175)의 1단째를 역작동해서 되돌리고, 가이드롤러(161)는 중립의 위치로 이동해서 그 위치에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시트(15)가 재치대(35)에 인입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센서의 시트있음의 신호에 의해 센서(170)가 온이 되도록 전기회로가 꾸며져 있기 때문에, 시트가 없을때에는 가이드롤러(161)는 반드시 중립의 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를 시트의 견인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볼록형앞가장자리부와 재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의 인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구동되는 흡인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포푠측면가장자리정렬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제27도의 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01)의 사시도에 의해 설명한다. 시트도입부인 볼록형앞가장자리부(36)와 재치대(35)사이에 설치된 시트가이드판(111)의 중앙에 있어서, 시트인입시에 시트(15)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흡인벨트컨베이어유닛(201)이 설치되어 있다. 동유닛(201)에는, 시트인입방향과 직각의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진 흡인벨트컨베이어(202)가 설치되고, 동흡인벨트컨베이어(202)의 하부에는, 상부가 열려있는 흡인덕트(203)가 장착되어 있다. 흡인덕트(203)는 가요관(204)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흡출송풍기에 연결되어 있다. 흡인벨트컨베이어(202)는 흡인덕트(203)와 일체의 프레임에 장착된 풀리(206),(207)에 감겨져 있다. (208)은 풀리(207)의 축의 테이크업이다. (205)는 구동축의 풀리(206)를 구동하는 정역전가능한 브레이크부 서어보모터이다. 프레이(38)에 장착된 장착대(133)에는 광원을 겸한 광원센서(134),(136)가 장착되고, 이들 광전센서(134),(136)는 시트가이드판(111)의 시트측면가장자리부인입선의 양쪽에 설치되어 반사판(135),(137)과 조합되고 시트(15)의 측면가장자리부가 정상의 시트인입선에 따른 허용폭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는, 광전센서(134),(136)의 신호에 의해 시트측면가장자리부의 치우침을 검출해서 브레이크부모터(205)에 정전 또는 역전 및 정지의 지령을 내서 시트측면가장자리부의 통과하는 위치를 보정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의 흡인벨트컨베이어(201)에 의한 시트측면가장자리정렬수단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시트(15)가 파지구(16)로 파지되어 시트가이드판(111)의 위를 인입되는 공정에 있어서, 광전센서(134),(136)와 시트가이드판(111)상에 설치된 반사판(135),(137)에 의해, 인입이동중의 시트측면의가장자리가 바른 인입허용폭으로부터 안쪽 바깥쪽의 어느쪽으로 벗어나 있는가를 검출한다. 즉, 광전센서(134),(136)의 양쪽이 시트(15)를 검출하면, 시트(15)는 바깥쪽으로 너무 간 것이며,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시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흡인벨트컨베이어(202)에 시트(15)를 끌어당겨서 안쪽으로 횡이동시킨다. 이 횡이동중에, 시트측면 가장자리가 인입허용폭선내에 들어가면, 광전센서(134)가 시트(15)의 없는 것을 검출하고, 그 신호에 의해 흡인벨트컨베이어(202)의 이송을 중지시킨다.
광전센서(134),(136)의 양쪽이 시트(15)를 검출하지 않았을 때는, 시트(15)는 안쪽으로 너무 간 것이며, 그 신호에 의해 제어회로가 작용해서, 시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선을 따르도록, 흡인벨트컨베이어(202)에 시트(15)를 끌어당겨서 바깥쪽으로 횡이동시킨다. 그리고 시트측면가장자리가 정상의 인입허용폭선내로 들어가면, 광전센서(136)가 시트(15)의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 신호에 의해 흡인벨트컨베이어(202)의 이송을 중지시킨다.
그외에, 흡인벨트컨베이어(202)에 놓여 있지 않은 부분의 시트(15)의 주름펴기 작용도 있다

Claims (5)

  1. 직사각형상 포편의 임의의 모서리와, 그 모서리를 포함하는 변의 1개소를 2개의 클립이 장착되어 있는 이동가능한 파지구로 파지해서 포편을 자연적으로 늘어뜨린후, 재치대의 상면을 수평으로 상기 재치대의 볼록형앞가장자리부에 포편을 접촉시키면서 파지구로 견인이동시켜, 포편을 동재치대상에 인입하는 공정을 가지는 포편전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의 포편견인궤도면의 포가장자리쪽의 반정도의 면에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진 흡인덕트와, 포편재치대의 위쪽의 고정부재에 장착된 유닛대와, 동유닛대의 고정축상에서 회동하는 작동레버와, 동작레버에 설치되어, 단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벨트를 동시에 구동, 정지하는 작용을 가진 브레이크롤러와, 사익 작동레버를 작동하는 공기압작동기와, 컨베이어벨트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인입된 포편의 측면가장자리부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재치대상에 배치된 벨트동작정지유닛과 그리고 각 벨트동작정지유닛마다에 상기 센서가 발하는 포편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공기압작동기에 지령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해서 이루어지고, 재치대상에 포편이 놓여지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주행하기 시작할 때, 상기 각벨트동작정지유닛마다에 센서가 발하는 포편통과검출신호를 받아서 단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벨트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이것을 정지시킴에 의한 포편의 자세제어기능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상포편의 전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의 포편도입부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에 이어진 오목형 앞가장자리부와, 동오목형 앞가장자리부의 오목형중심선에 맞추어서 프레임에 장착되고, 또한 상면이 상기 재치대의 상면과 동일면이며, 그 상면에 포편의 이동방향으로 비스듬히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가지는 노즐박스와, 동노즐박스에 공기를 보내는 공기원과, 상기 노즐구멍에서 분출한 공기로 불어올려진 포편의 꼬리형상모서리를 재치대상의 소정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사각형상포편의 전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포편도입부인 볼록형앞가장자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종축풀리로 가이드되어, 상기 볼록형앞가장자리부의 볼록형을 따르는 종측면을 형성해서 수평주행하는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벨트와, 동흡인벨트의 안쪽에 수용되고, 동흡인벨트의 볼록형수직면에 접하는 면쪽이 열려있는 흡인덕트와 ,동흡인덕트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 및 흡출송풍기와, 상기 흡인벨트를 구동하는 모터와, 포편도입부의 수평면에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인입선을 따라서 설치된 포편검출센서와, 동포편검출센서의 신호에 의해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치우침을 검출해서 상기 모터에 정전 또는 역전 및 정지의 지령을 해서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통과하는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된 포폭정렬기구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사각형상포편의 전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의 포편도입부의 볼록형앞가장자리부에 이어진 오목형 앞가장자리부와, 동오목형 앞가장자리부의 오목형중심선에 맞추어서 프레임에 장착되고, 또한 상면이 상기 재치대의 상면과 동일면이며, 그 상면에 포편의 이동방향으로 비스듬히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가지는 노즐박스와, 동노즐박스에 공기를 보내는 공기원과, 상기 노즐구멍에서 분출한 공기로 불어올려진 포편의 꼬리형상모서리를, 재치대상의 소정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사각형상포편의 전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대의 포편견인궤도면의 포가장자리쪽의 반정도의 면에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덕트를 형성해서 이루어진 직사각형 포편의 전개장치로서, 포편도입부인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와 재치대 사이에 설치된 포편가이드판중앙의, 포편인입시에 포편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설치되고, 포편인입방향과 직각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인벨트컨베이어와, 동흡인벨트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열려있는 흡인덕트와, 상기 흡인벨트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정역전가능한 브레이크부서어보모터와, 상기 포편가이드판의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인입선에 설치된 포편검출센서와, 동포편검출센서의 신호에 의해 포편측면가장자리부의 치우침을 검출해서 상기 브레이크부 모터에 정전 또는 역전 정지의 지령을 해서 포편측면 가장자리부의 통과하는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된 포폭정렬 기구를 부가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사각형상포편의 전개장치.
KR1019940007907A 1993-04-16 1994-04-15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 KR0142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12459 1993-04-16
JP5112459A JP2695739B2 (ja) 1992-04-20 1993-04-16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16498293A JP3462530B2 (ja) 1993-06-11 1993-06-11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93-164982 1993-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2015B1 true KR0142015B1 (ko) 1998-07-01

Family

ID=1580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907A KR0142015B1 (ko) 1993-04-16 1994-04-15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62530B2 (ko)
KR (1) KR0142015B1 (ko)
TW (1) TW2644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216352B2 (en) 2012-08-22 2015-02-12 Woodside Energy Technologies Pty Ltd Modular LNG production facility
JP6511256B2 (ja) * 2014-12-08 2019-05-15 株式会社プレックス 方形状布類展開装置
JP2018086064A (ja) * 2016-11-28 2018-06-07 株式会社白興 布類の投入姿勢修正装置,布類処理装置,及び布類の投入姿勢修正方法
CN109677991A (zh) * 2019-03-04 2019-04-26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卷边面料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64454B (ko) 1995-12-01
JP3462530B2 (ja) 2003-11-05
JPH07696A (ja) 199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6992A (en) Apparatus for spreading rectangular cloth
EP0523872B1 (en) Sheet corner transfer
KR100800569B1 (ko) 수하물 포장방법 및 장치
US3886879A (en) Shirt front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US4825622A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d feeding web material
US5430915A (en) Apparatus for spreading rectangular cloth pieces
ITTO960204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fezionati per la fabbricazione di maniche.
KR0142015B1 (ko) 직사각형상 포편의 전개장치
US5179795A (en) Device for straightening one edge of rectangular sheet
US4967495A (en) Vacuum feed system for feeding laundry articles onto a conveyor
US5540166A (en) Edge steer finishing device and method
EP0878573B1 (en) Sock boarding apparatus
JP2695739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H1159987A (ja) 輪転印刷機にウエブを通し入れるための装置
EP0719883B1 (en) Device for conveying, to a final station, loose textile articles fed selectively by at least two feed stations
JPH07265577A (ja) 洗濯物処理装置へ洗濯物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JPS63277168A (ja) 延反機に於ける布体搬送制御方法
JPH0490704A (ja) 生地付きスライドフアスナーチエーンの切断加工装置
JP4371358B2 (ja) 布類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3432961B2 (ja) ワークの機種検出装置
US3933105A (en) Shirt front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NL1005377C2 (nl) Inrichting voor het vouwen van een plat stuk wasgoed, en werkwijze daarvoor.
JP2009039443A (ja) タオル類折り畳み装置
US20070213190A1 (en) Folding device for folding textile or other foldable material
JP3777056B2 (ja) 自動送り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