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965B1 -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965B1
KR100822965B1 KR1020020030080A KR20020030080A KR100822965B1 KR 100822965 B1 KR100822965 B1 KR 100822965B1 KR 1020020030080 A KR1020020030080 A KR 1020020030080A KR 20020030080 A KR20020030080 A KR 20020030080A KR 100822965 B1 KR100822965 B1 KR 10082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upper conveyor
support
guide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434A (ko
Inventor
노수원
이연수
이신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9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64Un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연 코일을 최종적으로 제품화하는 스트립 통판용 업퍼 트래딩 컨베이어에 스트립을 밀착시킬 수 있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선단부를 유도하도록 자력을 갖는 벨트(11)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복수개의 아이들롤(12)이 설치된 업퍼 컨베이어(10);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의 선단부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0);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코일(C)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업퍼 컨베이어(10)의 저부에 설치된 코일 안내수단(30); 및 상기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폭에 따라 상기 코일 안내수단(30)의 간격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Figure R1020020030080
페이오프 릴, 코일, 통판, 업퍼 컨베이어, 유도판

Description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Guide apparatus of coil end-part}
도 1은 종래의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나나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코일 1 : 페이오프 릴
2 : 핀치롤 10 : 업퍼 컨베이어
11 : 벨트 12 : 아이들롤
20 : 회동수단 21 : 지지대
22 : 고정바 23 : 힌지
24 : 업/다운 실린더 24a : 로드
26 : 지지부재 30 : 코일 안내수단
31 : 지지실린더 32 : 지지로드
33 : 고정부재 35 : 유도판
36 : 스프링 37 : 보호롤
40 : 폭 조절수단 41 : 폭 조절 실린더
42 : 이동부재
본 발명은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연 코일을 최종적으로 제품화하는 스트립 통판용 업퍼 트래딩 컨베이어에 스트립을 밀착시킬 수 있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 오프릴에 삽입된 코일을 풀어 목적지로 공급할 때에는 그 코일의 선단부를 핀치롤의 사이에 통판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코일 선단부를 이송시키는 업퍼 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C)이 안착되는 페이오프 릴(1)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코일(C)을 안내하는 핀치롤(2)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핀치롤(2)과 페이오프 릴(1)의 사이에는 통판작업을 할 때 코일(C)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업퍼 컨베이어(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업퍼 컨베이어(10)는 자력을 갖는 벨트(11)가 설치되어 있고 그 벨트(11)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아이들롤(12)이 설치되며 그 아이들롤(12)의 양 단부에는 지지축(1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의 상단부에는 업퍼 컨베이어(1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업/다운 실린더(24)가 상기 업퍼 컨베이어(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6)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통판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업/다운 실린더(24)를 작동시켜 업퍼 컨베이어(10)의 일측 단부를 코일(C)에 근접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페이오프 릴(1)을 회전시키면 코일(C)은 풀려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모터(14)를 작동시키면 업퍼 컨베이어(10)에 설치된 벨트(11)가 회전되는 것이며 상기 코일(C)의 선단부는 벨트(1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벨트(11)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핀치롤(2)의 사이로 유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도장치는 코일(C)의 선단부가 벨트(1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로 통판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통판작업중 진동이 발생되거나 두꺼운 코일(C)을 통판 할 경우에는 코일(C)의 선단부가 벨트(11)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인의 작업자가 코일(C) 선단부를 잡고 페이오프 릴(1)을 풀면서 코일(C)의 선단부를 핀치롤(2)의 사이로 끼우는 통판작업을 할 경우도 있으나, 수작업에 의한 통판을 수행할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통판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통판의 정확도가 상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페이 오프 릴에 감겨진 코일을 풀면서 통판작업을 할 때 상기 코일의 선단부가 하부로 추락하지 않고 핀치롤 측으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는 페이오프 릴에 안착된 코일의 선단부를 유도하도록 자력을 갖는 벨트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복수개의 아이들롤이 설치된 업퍼 컨베이어; 상기 업퍼 컨베이어의 선단부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업퍼 컨베이어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코일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업퍼 컨베이이의 저부에 설치된 코일 안내수단; 및 상기 페이오프 릴에 안착된 코일의 폭에 따라 상기 코일 안내수단의 간격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를 나나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선단부를 유도하는 업퍼 컨베이어(10)와,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의 선단부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0)과,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코일(C)의 하부를 지지하는 코일 안내수단(30)과, 상기 페이오프 릴(1)에 안 착된 코일(C)의 폭에 따라 상기 코일 안내수단(30)의 간격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업퍼 컨베이어(10)는 모터(14)에 의해서 회전되며 자력을 갖는 벨트(11)가 설치되어 있고, 그 벨트(11)의 중앙부분에는 벨트(11)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아이들롤(1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아이들롤(12)은 양단부에는 설치된 지지축(1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동수단(20)은 핀치롤(2)의 상부에 지지대(2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대(21)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바(2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바(22)의 상단에는 업/다운 실린더(24)가 힌지(23)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 실린더(24)의 로드(24a)에는 지지부재(26)가 연결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26)의 하측 양단부는 업퍼 컨베이어(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코일 안내수단(30)은 고정부재(33)가 업퍼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33)의 일측과 지지대(21)의 사이에는 지지실린더(31)가 연결되고, 타측과 지지부재(26)의 사이에는 지지로드(3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3)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회동바(34)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상기 회동바(34)의 하부는 업퍼 컨베이어(10)의 하부면에 위치되도록 내향 절곡되어 있고 중앙부는 업퍼 컨베이어(10)의 아이들롤(12)을 지지하는 지지축(13)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의 하부면에 위치된 회동바(34)의 상면에는 유도판(35)이 안착되어 있다.
한편, 유도판(35)은 회동바(34)의 상면에 스프링(36)을 매개로 탄력 설치되 어 있고, 상기 유도판(35)의 상면에는 코일(C)의 표면에 긁힌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코일(C)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게 복수개의 보호롤(3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폭 조절수단(40)은 고정부재(33)의 하부면에 로드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폭 조절실린더(41)가 설치되어 있고 폭 조절실린더(41)의 로드에는 이동부재(4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이동부재(42)의 선단부는 회동바(34)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동수단(20)에 설치된 업/다운 실린더(24)를 작동시키면 상기 업/다운 실린더(24)의 로드(24a)가 인출되면서 업퍼 컨베이어(10)는 자중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되고, 상기 업/다운 실린더(24)는 힌지(23)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업퍼 컨베이어(10)가 페이오프 릴(1)과 핀치롤(2)의 상측에 위치되면 업/다운 실린더(24)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폭 조절수단(40)에 설치된 폭 조절실린더(41)를 작동시켜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폭에 따라서 유도판(35)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폭 조절실린더(41)를 작동시키면 이동부재(42)와 그 이동부재(42)에 연결된 회동바(34)가 이동되면서 회동바(34)의 하부에 설치된 유도판(35)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도판(35)의 폭 조절이 완료되면 유도판(35)을 업퍼 컨베이어(10)의 저면에 근접시키는 것이며 이때에는 지지실린더(31)를 당김 방향으 로 작동시키면 고정부재(33)가 당겨짐에 따라 그 고정부재(33)에 설치된 복수개의 회동바(34)는 지지축(13)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동되므로 상기 회동바(34)의 하부에 설치된 유도판(35)은 업퍼 컨베이어(10)의 하부에 근접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업퍼 컨베이어(10)에 설치된 모터(14)를 회전시키면서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선단부를 풀면 상기 코일(C)의 선단부는 벨트(1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상기 벨트(11)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벨트(11)와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코일(C)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퍼 컨베이어(10)와 유도판(35)의 사이로 유입되어 유도판(35)에 설치된 보호롤(37)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하부로 추락하지 않게 되므로 통판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도판(35)은 스프링(36)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판과정 중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오프 릴에 안착된 코일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업퍼 컨베이어의 하부에 상기 코일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유도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판 작업시 코일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페이오프 릴에 안착된 코일의 폭에 따라서 그 코일을 안내하는 유도판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규격을 코일의 통판 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선단부를 유도하도록 자력을 갖는 벨트(11)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복수개의 아이들롤(12)이 설치된 업퍼 컨베이어(10);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의 선단부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0);
    상기 업퍼 컨베이어(10)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코일(C)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업퍼 컨베이어(10)의 저부에 설치된 코일 안내수단(30); 및
    상기 페이오프 릴(1)에 안착된 코일(C)의 폭에 따라 상기 코일 안내수단(30)의 간격을 조절하는 폭 조절수단(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20)은 핀치롤(2)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고정바(22)가 형성된 지지대(21)와, 상기 고정바(22)의 상단에 힌지(23)를 매개로 결합된 업/다운 실린더(24)와, 상기 업/다운 실린더(24)의 로드(24a) 단부에 연결되고 하측 양단부는 업퍼 컨베이어(10)에 결합된 지지부재(2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내수단(30)은 업퍼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대(21)와 지지부재(26)의 사이에 고정되도록 지지실린더(31) 및 지지 로드(32)를 매개로 설치된 고정부재(33)와, 상기 고정부재(33)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하부는 업퍼 컨베이어(10)의 하부면에 위치되도록 내향 절곡되며 중앙부는 업퍼 컨베이어(10)의 아이들롤(12)을 지지하는 지지축(13)에 끼워진 복수개의 회동바(34)와, 상기 회동바(34)의 상면에 설치된 유도판(3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35)을 탄력 설치하도록 그 유도판(35)과 회동바(34)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6)과,
    상기 유도판(35)에 안내되는 코일(C)의 표면에 긁힌흠이 발생되지 않도록 코일(C)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게 유도판(35)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보호롤(3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40)은 고정부재(33)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폭 조절 실린더(41)와, 상기 폭 조절 실린더(41)의 로드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회동바(34)에 결합된 이동부재(4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KR1020020030080A 2002-05-29 2002-05-29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KR10082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80A KR100822965B1 (ko) 2002-05-29 2002-05-29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80A KR100822965B1 (ko) 2002-05-29 2002-05-29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434A KR20030092434A (ko) 2003-12-06
KR100822965B1 true KR100822965B1 (ko) 2008-04-17

Family

ID=3238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080A KR100822965B1 (ko) 2002-05-29 2002-05-29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9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4526A (en) * 1980-02-15 1981-09-09 Kawasaki Steel Corp Apparatus for production of quick cooled thin metallic strip
JPS60216921A (ja) * 1984-04-13 1985-10-30 Hitachi Ltd コイルフイ−ダ−装置
KR19980043828U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스트립(strip)의 자동안내장치
JP2001198618A (ja) * 2000-01-17 2001-07-24 Nkk Corp 鋼帯の蛇行制御装置
KR20030035001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20030050507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의 크기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스트립 통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4526A (en) * 1980-02-15 1981-09-09 Kawasaki Steel Corp Apparatus for production of quick cooled thin metallic strip
JPS60216921A (ja) * 1984-04-13 1985-10-30 Hitachi Ltd コイルフイ−ダ−装置
KR19980043828U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스트립(strip)의 자동안내장치
JP2001198618A (ja) * 2000-01-17 2001-07-24 Nkk Corp 鋼帯の蛇行制御装置
KR20030035001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20030050507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의 크기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스트립 통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434A (ko)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5618B2 (ja) 鋼帯連続処理ラインの入側の鋼帯巻出し案内装置
JP4677186B2 (ja) 高温の金属から成る熱間圧延された粗ストリップの巻取り及び巻戻しをするための装置
US4186861A (en) Wire accumulator tower
US6042047A (en) Unwinder device for reels
KR100822965B1 (ko)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CN211679374U (zh) 一种开卷机
KR200186061Y1 (ko) 철제 슬리브와 코일의 분리장치
KR100879322B1 (ko) 크레인의 코일 이송용 리프트장치
CN114728831A (zh) 玻璃膜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CN221027441U (zh) 一种建筑工程用吊装设备
KR100775466B1 (ko)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JPH07214162A (ja) 鋼板巻取装置における間紙挿入装置
KR100829807B1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CN108545525A (zh) 自动卷纸装置
CN211003883U (zh) 一种钢带放料设备
KR200197995Y1 (ko) 스트립의 수직소둔로 원격 통판장치
JPH05253617A (ja) 線材取出し案内装置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KR20020048156A (ko) 강판 스트립의 센터링 유도장치
JP2610570B2 (ja) 延反機
KR100990722B1 (ko)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JP2534819Y2 (ja) 線材・棒鋼圧延機のローラ式ガイド装置
JPH07314037A (ja) コイルオープナー用マグネットコンベア
JP3053573B2 (ja) シャー及びこれを用いたスリットフープ巻取り装置
KR100931542B1 (ko) 벨트레퍼의 절손 방지 및 스트립의 엔드마크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