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010A -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010A
KR20110060010A KR1020090116475A KR20090116475A KR20110060010A KR 20110060010 A KR20110060010 A KR 20110060010A KR 1020090116475 A KR1020090116475 A KR 1020090116475A KR 20090116475 A KR20090116475 A KR 20090116475A KR 20110060010 A KR20110060010 A KR 20110060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unit
sheave
unloading devic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787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장비의 하부에 구비되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을 구비하는 주행부와; 제동위치에서 주행레일과 마찰되어 주행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동부와; 제동부를 제동위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제동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고정위치에서 휠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으로 인해 장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주행레일 측으로 가압되면서 주행레일과 마찰되는 쉬브부에 의해 상승된 제동부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주행부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장비의 밀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하역장치, 밀림, 제동

Description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BRAKING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식 하역장비와 같은 장비의 밀림을 방지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원료 또는 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통상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 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이와 같이 선박에서 적재물을 하역시키는 설비를 하역장치(Unloader)라 하며, 특히 버킷(Bucket)이 엘리베이터형으로 연속적으로 적재물을 굴삭하여 하역시키는 형태의 하역장치를 연속식 하역장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연속식 하역장치는, 부두에 설치된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주행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붐(Boom)과, 붐 상에 제공된 엘리베이터 포스 트(Elevator post) 및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되는 다수의 버킷을 포함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설치된 다수의 버킷이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따라 이동되면서 철광석 또는 적재물이 저장된 선박의 홀드 내로 연속적으로 진입하여 적재물을 굴삭 및 적재한다.
이와 같이 버킷에 집적된 적재물은 붐 상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주행부 상측의 호퍼에 투입되고, 호퍼와 연계된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해당 위치로 불출 처리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연속식 하역장치는 대략 2500톤 가량의 상당한 자체중량을 가지고 주행레일을 이동하는 설비이므로,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으로 인해 밀림이 발생되면 가속도가 붙으면서 고속으로 주행하게 된다.
연속식 하역장치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식 하역장치의 주행부에는 레일 클램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 클램프는 작동시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클램핑바가 주행레일에 밀착되는 작용을 이용하여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동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레일 클램프는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이 발생할 경우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일 클램프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식 하역장치가 이동되던 중,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으로 인해 연속식 하역장치의 밀림이 발생하여 레일 클램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레일 클램프가 주행레일과 밀착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밀리면서 레일 클램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으로 인한 연속식 하역장치의 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는: 장비의 하부에 구비되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을 구비하는 주행부와; 제동위치에서 상기 주행레일과 마찰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동부와; 상기 제동부를 상기 제동위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고정위치에서 상기 휠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동위치에서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되는 쉬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쉬브부를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이동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쉬브부를 상기 주행레일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휠에 인접되게 구비되는 고정프레임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쉬브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휠을 고정시키는 고임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쉬브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임목부를 이동시키 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임목부를 상기 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내측에는 안내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임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비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프레임부와; 상기 구동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동부가 상기 제동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동부가 상기 주행레일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를 회동시키는 동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에 따르면,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으로 인해 장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주행레일 측으로 가압되면서 주행레일과 마찰되는 쉬브부에 의해 상승된 제동부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주행부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장비의 밀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쉬브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휠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제동부와 함께 구비함으로써, 제동부의 제동력보다 큰 강도의 돌풍이나 강풍 등과 같은 외력이 장비에 작용하더라도 주행부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장비의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의 동작, 즉 고임목부의 끼움 작업이 연결부를 매개로 쉬브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고임목부의 끼움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수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100)는 주행부(110)와, 제동부(120)와, 구동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주행부(110)는 장비(10)의 하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비(10)는 연속식 하역장치인 것으로 예시된다. 주행부(110)는 부두 등에 설치된 주행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휠(115)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주행레일(1)을 따라 이동하여 장비(1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주행레일(1)에는 두 단위의 주행부(110)가 구비되며, 이 두 단위의 주행부(11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동부(120)는 제동위치에서 주행레일(1)과 마찰되어 주행부(11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동위치는 주행레일(1)과 마찰되어 주행부(110)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제동부(120)가 주행레일(1)과 밀착되는 위치인 것으로 예시된다.
구동부(130)는 제동부(120)를 제동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이격되게 배치된 주행부(110)와 주행부(110) 사이에 구비되며, 구동프레임부(132)와, 동력전달부(134)와, 가압부(136) 및 동력발생부(138)를 포함한다.
구동프레임부(132)는 장비(10)의 하부에 구비되되, 장비(10)의 하부와 주행레일(1)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프레임부(132)에는 동력전달부(134), 가압부(136), 동력발생부(138)가 설치된다.
동력전달부(134)는 구동프레임부(13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34)는 가압부(136)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회동되어 제동부(120)를 제동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134)는 제1동력전달부(134a)와 제2동력전달부(134b)를 포함한다.
제1동력전달부(134a)는 그 일측이 가압부(136)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제2동력전달부(134b)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부(134b)는 그 일측이 제1동력전달부(134a)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프레임부(13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프레임부(13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동력전달부(134b) 타측의 단부는 제동부(120)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부(134)에 따르면, 가압부(136)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회동되는 제1동력전달부(134a)는 제2동력전달부(134b)를 회동시키며, 제1동력전달부(134a)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제2동력전달부(134b)는 제동부(120)를 이동시키게 된다.
가압부(136)는 제동부(120)가 제동위치로 이동되도록 동력전달부(134)를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136)는 베이스부재(136a)와 탄성부재(136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재(136a)는 구동프레임부(132)에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구동프레임부(132)의 내측 상면과 베이스부재(136a) 사이에는 탄성부재(136b)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36b)는 그 일측이 구동프레임부(132)의 내측 상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베이스부재(136a)를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36b)는 베이스부재(136a)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 시키며, 탄성부재(136b)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재(136a)는 동력전달부(134)를 가압하여 정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처럼 가압부(136)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는 동력전달부(134)는 제동부(120)를 제동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동력발생부(138)는 제동부(120)가 주행레일(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전달부(134)를 회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발생부(138)는 가압부(136)에서 발생되는 가압력보다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동력발생부(138)는 동작시 베이스부재(136a)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력전달부(134)를 정방향의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동력발생부(138)의 동력으로 인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동력전달부(134)는 제동부(120)를 주행레일(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130)에 의해 제동위치 또는 주행레일(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제동부(120)는, 주행레일(1)의 양측에 구비되며, 이동프레임부(122)와, 쉬브부(124) 및 제1탄성부(126)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부(122)는 구동부(130)와 연결되어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프레임부(122)는 구동부(13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부재(122a)와, 고정프레임부재(12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부재(122b)를 포함한다.
쉬브부(124)는 이동프레임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쉬브부(124)는 이동프레임부재(122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프레 임부재(12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부재(122b)를 매개로 고정프레임부재(12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쉬브부(124)는 제동위치에서 주행레일(1)과 접촉되어 제동부(120)와 주행레일(1) 간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쉬브부(124)는 장비(10)가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과 같은 외력을 받는 경우에도 주행부(110)를 제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정지마찰토크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부(126)는 쉬브부(124)를 주행레일(1) 측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126)는 이동프레임부(122)의 내부, 즉 고정프레임부재(122a)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일측이 고정프레임부재(122a)에 지지되고 타측이 이동프레임부재(122b)를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탄성부(126)는 이동프레임부재(122b)를 주행레일(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쉬브부(124)가 주행레일(1)에 확실하게 밀착되어 제동부(120)의 제동력이 상승되도록 작용한다.
고정부(140)는 제동부(120)의 동작에 연동되어 고정위치에서 휠(115)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고정부(140)는 고정프레임부(142)와, 고임목부(144) 및 제2탄성부(146)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부(142)는 휠(115)과 인접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프레임부(142)는 휠(1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부(142)의 내측에는 안내부(14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 내부(141)는 휠(115)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고정프레임부(142)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임목부(144)는 고정프레임부(142)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고임목부(144)는 쉬브부(124)의 회전에 연동되어 고정위치에서 휠(115)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위치는 고임목부(114)와 휠(115)이 마찰되어 휠(115)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고임목부(144)가 휠(115)과 밀착되는 위치인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은 고임목부(144)는 쉬브부(124) 회전시 고정위치로 이동되어 주행레일(1)과 휠(115) 사이에 끼워져 주행레일(1) 및 휠(115)과 마찰됨으로써, 휠(115) 및 주행부(1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은 고임목부(144)는 스토퍼(143)를 구비한다. 스토퍼(143)는 고정프레임부(142)의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안내부(141)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토퍼(143)는 안내부(141)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고임목부(144)는 스토퍼(143)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 고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탄성부(146)는 고임목부(144)를 휠(115)과 멀어지는 방향, 즉 고정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탄성부(146)는 일측이 고정프레임부(142)에 지지되고 타측이 고임목부(144)를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탄성부(146)는 고임목부(144)가 쉬브부(124)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고정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임목부(144)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100)는 연결부(150)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150)는 쉬브부(124)와 고임목부(144)를 연결하며, 쉬브부(124)의 회전에 연동되어 고임목부(144)를 고정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50)는 일측이 쉬브부(124)에 고정되고 타측이 고임목부(144)에 고정되는 와이어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연결부(150)는 쉬브부(124) 회전시 쉬브부(124)에 감기면서 고임목부(144)를 당김으로써, 고임목부(144)를 고정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부(138)가 동작되어 베이스부재(136a)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동력전달부(134)가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제동부(120)를 주행레일(1)에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동부(120)는 주행레일(1)에서 이격되며, 주행부(120)는 주행레일(1)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장비(10)는 적재물을 하역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장비(10)의 이동이 완료되어 동력발생부(138)의 동작을 중지시키면, 동력전달부(134)는 가압부(136)에 의해 가압되어 정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처럼 회동되는 동력전달부(134)는 제동부(120)를 제동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동부(120)가 제동위치로 이동되면, 쉬브부(124)는 주행레일(1)의 측부에 접촉되어 제동부(120)와 주행레일(1) 간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함께 쉬브부(124)는 제1탄성부(126)에 의해 가압되는 이동프레임부재(122b)에 의해 주행레일(1)에 확실하게 밀착되어 제동부(120)와 주행레일(1)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제동부(120)의 제동력이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동부(120)의 제동 작용은 주행부(110)의 이동을 제한하여 장비(10)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돌풍이 강풍 등으로 인해 장비(10)의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쉬브부(124)가 갖는 최대정지마찰토크보다 더 큰 외력이 장비(10)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쉬브부(124)는 주행레일(1)과의 마찰력에 의해 주행레일(1) 상을 이동하며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쉬브부(124)가 회전하면, 쉬브부(124)와 연결된 연결부(150)는 회전하는 쉬브부(124)에 감기면서 고임목부(144)를 당기게 된다. 이처럼 연결부(150)에 의해 당겨지는 고임목부(144)는 안내부(141)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스토퍼(143)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 고정위치로 이동된다.
고정위치로 이동된 고임목부(144)는 주행레일(1)과 휠(115) 사이에 끼워져 주행레일(1) 및 휠(115)과 마찰됨으로써, 휠(115) 및 주행부(1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주행부(110)는 쉬브부(124) 및 고임목부(144), 즉 제동부(120) 및 고정부(140)의 제동 작용에 의해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장비(10)의 밀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100)는,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으로 인해 장비(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주행레일(1) 측으로 가압되면서 주행레일(1)과 마찰되는 쉬브부(124)에 의해 상승된 제동부(120)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주행부(11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장비(10)의 밀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100)는, 쉬브부(124)의 회전에 연동되어 휠(115)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140)를 제동부(120)와 함께 구비함으로써, 제동부(120)의 제동력보다 큰 강도의 돌풍이나 강풍 등과 같은 외력이 장비(10)에 작용하더라도 주행부(11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장비(10)의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100)는, 고정부(140)의 동작, 즉 고임목부(144)의 끼움 작업이 연결부(150)를 매개로 쉬브부(124)의 회전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고임목부(144)의 끼움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수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110 : 주행부
115 : 휠 120 : 제동부
122 : 이동프레임부 124 : 쉬브부
126 : 제1탄성부 130 : 구동부
132 : 구동프레임부 134 : 동력전달부
136 : 가압부 138 : 동력발생부
140 : 고정부 142 : 고정프레임부
144 : 고임목부 146 : 제2탄성부
150 : 연결부

Claims (11)

  1. 장비의 하부에 구비되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휠을 구비하는 주행부;
    제동위치에서 상기 주행레일과 마찰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동부;
    상기 제동부를 상기 제동위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고정위치에서 상기 휠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동위치에서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되는 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쉬브부를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이동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쉬브부를 상기 주행레일 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프레임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휠에 인접되게 구비되는 고정프레임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쉬브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휠을 고정시키는 고임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쉬브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임목부를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임목부를 상기 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내측에는 안내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임목부는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임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비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프레임부;
    상기 구동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동부가 상기 제동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동부가 상기 주행레일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를 회동시키는 동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KR1020090116475A 2009-11-30 2009-11-30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KR10117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75A KR101175787B1 (ko) 2009-11-30 2009-11-30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75A KR101175787B1 (ko) 2009-11-30 2009-11-30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10A true KR20110060010A (ko) 2011-06-08
KR101175787B1 KR101175787B1 (ko) 2012-08-21

Family

ID=4439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475A KR101175787B1 (ko) 2009-11-30 2009-11-30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25B1 (ko) * 2011-06-29 2013-04-16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CN115122301A (zh) * 2022-09-01 2022-09-30 山西科达自控股份有限公司 一种挂载式巡检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983B1 (ko) 2012-10-10 2014-04-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25B1 (ko) * 2011-06-29 2013-04-16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CN115122301A (zh) * 2022-09-01 2022-09-30 山西科达自控股份有限公司 一种挂载式巡检机器人
CN115122301B (zh) * 2022-09-01 2022-11-22 山西科达自控股份有限公司 一种挂载式巡检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787B1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116A (ko) 슬래브, 패널 또는 시트 재료를 위한 리프팅 장치
RU2132895C1 (ru) Вагон для разгрузки погруженных на транспортные платформы длинномерных рельсов
JP5179481B2 (ja) ハッチカバーにおける装置
CN102409600A (zh) 传送器和具有传送器的施工机器
KR101175787B1 (ko)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CN201406288Y (zh) 重型浮式起重机的臂架滑移系统
KR20100127630A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CN102097140B (zh) 压水堆燃料水下运输小车及倾翻装置
CN201062187Y (zh) 煤矿井下巷道单轨吊
RU106626U1 (ru) Рельсопогрузочный поезд
CN107972686A (zh) 一种地铁轨道区间平板运输装置
US8146510B2 (en) Workpiece support system
KR101320657B1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2077926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CN201729492U (zh) 胶带输送机断带保护装置
CN205771506U (zh) 一种移动升降皮带机
CN113860182A (zh) 一种操作方便的自动平矿装置
CN210915080U (zh) 一种矿用绞车排绳装置
CN208684280U (zh) 一种双轨双运输变频无级调速牵引绞车
CN206735688U (zh) 火车煤采样机采样头升降机构用防坠落装置
CN207417781U (zh) 一种井下上行运输皮带防逆行装置
CN202214176U (zh) 一种调度绞车
CN110329431A (zh) 运用于锚机的承载式滑轨锚支架结构及其控制方法
CN209539400U (zh) 一种煤矿井下单索道柔性短距离快速运料装置
CN216105679U (zh) 一种操作方便的自动平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