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698A -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 Google Patents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698A
KR20110129698A KR20100049222A KR20100049222A KR20110129698A KR 20110129698 A KR20110129698 A KR 20110129698A KR 20100049222 A KR20100049222 A KR 20100049222A KR 20100049222 A KR20100049222 A KR 20100049222A KR 20110129698 A KR20110129698 A KR 2011012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wivel crane
crane
swivel
horizontal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283B1 (ko
Inventor
안충승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0004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2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해상에 부유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횡방향 양단에 각각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주행 레일과, 상기 선체의 양 측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한 수평 붐을 가지며 하단에 주행부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과, 상기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붐의 격납 시에 상기 스위블 크레인의 수평 붐을 지지하는 격납 프레임을 포함하고, 해상에서 컨테이너선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Mobile Harbor With A Swivel Crane}
본 발명은 컨테이너 하역용 크레인이 설치되어 해상에서 컨테이너에 대한 하역을 수행하는 이동항구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의 상품이동수단으로써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 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 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바,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에, 대형 선박을 항구 내의 안벽에 접안 시키지 않고,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정박시킨 채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할 수 있는 이동항구(모바일 하버, Mobile Harbo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항구(10)는 크레인(20)을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a는 이동항구(10)와 대형 컨테이너선(3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 1b는 이동항구(10)와 부두(4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시하고 있다.
항만에서의 화물의 하역은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사용하며 이를 취급하는 크레인이 일반화되어 있다. 도 2는 육상의 부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크레인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크레인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컨테이너 크레인은, 컨테이너(C)를 파지하는 스프레더(S)와, 스프레더(S)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트롤리(T)와, 트롤리(T)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거더(G) 및 붐(B)과, 붐(B)과 거더(G)을 지지하는 4 개의 레그(L)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컨테이너 크레인의 붐(B)은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 시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B-1), 대기 시에는 상향하여 격납된다(B-2).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은 수 톤 내지 수십 톤에 이르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이므로 이동 항구와 이에 장착된 크레인의 효율성과 안정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선박이 해상에서 작업할 때 및 격납하여 항해할 때 모두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고 또한 하역과 접안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있는 구조를 가지는 크레인이 장착된 이동항구를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하역잡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 측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붐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횡방향 양단에 각각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주행 레일과, 상기 선체의 양 측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한 수평 붐을 가지며 하단에 주행부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과, 상기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붐의 격납 시에 상기 스위블 크레인의 수평 붐을 지지하는 격납 프레임을 포함하고, 해상에서 컨테이너선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블 크레인은 2 개가 설치되고, 상기 격납 프레임은 상기 선체의 선수 및 선미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붐의 격납 시에 상기 2 개의 스위블 크레인의 수평 붐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블 크레인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1 쌍 이상의 레그와, 상기 1 쌍 이상의 레그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어 지지되되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1 쌍의 직선형 지지체와, 상기 직선형 지지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지지되는 원형 지지체와, 상기 원형 지지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와 고정 연결되는 수평 붐과, 스프레더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 붐 및 상기 직선형 지지체를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롤리는 상기 1 쌍의 직선형 지지체 사이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원형 지지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원형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원형 레일을 따라 접하며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붐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붐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직선형 지지체에는 상기 수평 붐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붐 레일과 일직선을 형성하는 직선형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납 프레임은, 선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1 쌍의 프레임 레그와, 상기 1 쌍의 레그를 연결하되 상기 수평 붐이 지지되는 프레임 거더를 포함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항구는,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플랫폼과, 플랫폼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와,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동안 컨테이너선과 충돌하지 않고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완충접속 장치와,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에 따른 중량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플랫폼이 수직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평형유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블 크레인의 수평 붐이 양 측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양 측면 방향에서 모두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역작업이 용이해지고 이동항구의 항해속도와 운용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붐이 상향하는 종래의 크레인과 달리 스위블 크레인이 격납 프레임에 의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격납되고 항해할 수 있게 되므로 항해 시 안정성이 확보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항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해상에서의 하역하는 모습을, 도 1b는 육상에서 하역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육상 크레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이 하역상태에 있는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정면도, 도 3d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이 격납상태에 있는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어 격납상태에 있는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가 컨테이너선에 대하여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선박의 길이방향이자 수평 붐의 너비방향을 종방향, 선박의 너비방향이자 수평 붐의 길이방향을 횡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 측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붐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이 하역상태에 있는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정면도, 도 3d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이 격납상태에 있는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선박의 길이방향이자 수평 붐(110)의 너비방향을 종방향, 선박의 너비방향이자 수평 붐(110)의 길이방향을 횡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100)은, 1 쌍 이상의 레그(150)와, 1 쌍의 직선형 지지체(140)와, 원형 지지체(130)와, 회전체(116)와, 수평 붐(110)과, 트롤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15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그(150)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칭으로 2 쌍, 즉 4 개가 형성된다.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레그(150)의 상단끼리는 1 쌍의 거더(152)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다.
직선형 지지체(140)는 2쌍의 레그(150)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어 지지되되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1 쌍의 직선형 지지체(140)는 1 쌍의 거더(152)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직선형 지지체(14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 레일(146)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 지지체(130)는 직선형 지지체(140)의 상부에 마련되어 지지된다. 원형 지지체(130)에는 그 둘레를 따라 원형 레일(136)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체(116)는 원형 지지체(13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체(116)는 원형 레일(136)을 따라 접하며 회전 가능하다. 회전체(116)는 180 도 이상 회전할 수 있다.
수평 붐(110)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전체(116)와 고정 연결된다. 회전체(116)는 수평 붐(110)이 2 가지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즉 수평 붐(110)은 양 측면 방향 어느 쪽으로든지 회전될 수 있다. 수평 붐(1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붐 레일(112)이 마련된다. 수평 붐(110)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붐 레일(112)과 직선형 레일(146)은 일직선을 형성한다.
트롤리(120)는 수평 붐(110)의 붐 레일(112) 및 직선형 지지체(140)의 직선형 레일(146)을 따라 이동한다. 트롤리(120)에는 컨테이너를 파지할 수 있는 스프레더(122)가 구비된다. 트롤리(120)는 1 쌍의 직선형 지지체(140) 사이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수단(170)은 수평 붐(11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170)은 회전체(116)와 원형 지지체(130)에 마련된다. 고정수단(170)에 의해 하역 또는 항해 중에 수평 붐(110)이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어 격납상태에 있는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가 컨테이너선에 대하여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100)은 해상에 부유하는 부유체 또는 이동항구(200)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블 크레인(100)은 종방향 간격을 두고 2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1 개(도 5) 또는 2 개(도 6)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부유체(200)는 자체 동력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는 선박일 수 있고, 해상에 계류되는 부유 구조물일 수도 있다. 부유체(200)는 해상에 부유하면서 육상의 항만 대신에 또는 육상의 항만과 더불어 컨테이너선(S)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C)를 전달하고 컨테이너를 임시적으로 적재하는 이동항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항구인 부유체(200)는,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플랫폼과, 플랫폼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와,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동안 컨테이너선(S)과 충돌하지 않고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완충접속 장치와,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에 따른 중량변동에 대응하여 플랫폼이 수직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평형유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200)는 주행 레일(230)과 격납 프레임(220)과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레일(230)은 부유체(200)의 횡방향 양단에 각각 종방향으로 길게 2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스위블 크레인(100)은 주행부(160)를 사용하여 레일(2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주행부(160)는 일 예로 바퀴 또는 롤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격납 프레임(220)은 선수 또는 선미 측에 형성되어 수평 붐(110)이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붐(110)을 지지하며 격납할 수 있다. 격납 프레임(220)은, 선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1 쌍의 프레임 레그(222)와, 1 쌍의 레그(222)를 연결하되 수평 붐(110)이 지지되는 프레임 거더(22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블 크레인(100)은 2 개가 설치된 경우, 격납 프레임(220)은 선체의 선수 및 선미 측에 형성되어 수평 붐(110)의 격납 시에 2 개의 스위블 크레인(100)의 수평 붐(110)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부유체(200)와 스위블 크레인(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제하며 컨테이너의 하역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블 크레인의 수평 붐(110)이 양 측면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부유체(200)의 양 측면 방향에서 모두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유체(200)가 이동항구의 역할을 수행할 때 하역작업이 용이해지고 이동항구의 항해속도와 운용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붐이 상향하는 종래의 크레인과 달리 스위블 크레인이 격납 프레임에 의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격납되고 항해할 수 있게 되므로 항해 시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를 사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은, 선체의 양 측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한 수평 붐(110)을 가지는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100)이 설치되는 2 대 이상의 이동항구(200)가 안벽에서 해상으로 항해하는 단계(S310)와, 이동항구가 해상에서 컨테이너선(S)의 양 측면에 접근하여 접안하는 단계(S320)와, 수평 붐(110)이 회전하여 격납상태에 있던 스위블 크레인(100)이 하역상태가 되는 단계(S330)와, 트롤리(120)가 수평 붐(110) 상에서 이동하면서 이동항구와 컨테이너선사이에서 컨테이너가 하역되는 단계(S340)와, 수평 붐이 회전하면서 하역상태에 있던 스위블 크레인이 격납상태가 되는 단계(S350)와, 이동항구가 해상에서 안벽으로 항해하는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양 측면에 접안하는 단계(S320)에서는 컨테이너선(S)의 양 측면에 각각 1 대씩의 이동항구(2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접근하여 접안할 수 있다. 또는 양 측면에 접안하는 단계에서는 컨테이너선(S)의 양 측면에 각각 2 대씩의 이동항구(2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접근하여 접안할 수 있다. 한쪽 방향으로만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크레인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크레인(100)은 접근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하역상태가 되는 단계(S330)에서는 양 측면에 접근한 이동항구의 수평 붐(110)이 컨테이너선(S) 방향으로 회전하되 컨테이너선의 플랫폼 상에서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컨테이너가 하역되는 단계(S340)에서는 스위블 크레인에 구비된 주행부(160)가 이동항구의 선체의 횡방향 양단 각각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주행 레일(2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격납상태가 되는 단계(S350)에서는 선수 또는 선미 측에 형성되는 격납 프레임(220)이 수평 붐(110)을 지지하며 격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항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100: 스위블 크레인 110: 수평 붐
112: 붐 레일 116: 회전체
120: 트롤리 122: 스프레더
130: 원형 지지체 136: 원형 레일
140: 직선형 지지체 146: 직선형 레일
150: 레그 152: 거더
160: 주행부 170: 고정수단
200: 부유체 210: 제어부
220: 격납 프레임 230: 주행 레일
S: 컨테이너선 C: 컨테이너

Claims (8)

  1. 해상에 부유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횡방향 양단에 각각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주행 레일과,
    상기 선체의 양 측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한 수평 붐을 가지며 하단에 주행부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과,
    상기 선체의 선수 또는 선미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붐의 격납 시에 상기 스위블 크레인의 수평 붐을 지지하는 격납 프레임을 포함하고,
    해상에서 컨테이너선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크레인은 2 개가 설치되고,
    상기 격납 프레임은 상기 선체의 선수 및 선미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붐의 격납 시에 상기 2 개의 스위블 크레인의 수평 붐을 각각 지지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크레인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1 쌍 이상의 레그와,
    상기 1 쌍 이상의 레그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어 지지되되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1 쌍의 직선형 지지체와,
    상기 직선형 지지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지지되는 원형 지지체와,
    상기 원형 지지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와 고정 연결되는 수평 붐과,
    스프레더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 붐 및 상기 직선형 지지체를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1 쌍의 직선형 지지체 사이로 이동 가능한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지지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원형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원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이 마련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붐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붐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직선형 지지체에는 상기 수평 붐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붐 레일과 일직선을 형성하는 직선형 레일이 형성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프레임은,
    선체의 횡방향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1 쌍의 프레임 레그와,
    상기 1 쌍의 레그를 연결하되 상기 수평 붐이 지지되는 프레임 거더를 포함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8. 제1항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플랫폼과,
    플랫폼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와,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동안 컨테이너선과 충돌하지 않고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완충접속 장치와,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에 따른 중량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플랫폼이 수직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평형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KR20100049222A 2010-05-26 2010-05-26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101089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9222A KR101089283B1 (ko) 2010-05-26 2010-05-26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9222A KR101089283B1 (ko) 2010-05-26 2010-05-26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698A true KR20110129698A (ko) 2011-12-02
KR101089283B1 KR101089283B1 (ko) 2011-12-05

Family

ID=4550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9222A KR101089283B1 (ko) 2010-05-26 2010-05-26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088A (ko) * 2017-11-21 2019-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KR20190066235A (ko) 2017-12-05 2019-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루미늄 실린더블록의 열처리 방법 및 알루미늄 실린더블록용 열처리 코일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33B1 (ko) * 2016-05-16 2018-03-0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즉시 부두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2915A1 (de) 2000-01-19 2001-08-02 Mannesmann Ag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JP2002068078A (ja) 2000-08-25 2002-03-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構造物
JP2002339585A (ja) 2001-05-18 2002-11-27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立体駐車設備の構築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クレー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088A (ko) * 2017-11-21 2019-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KR20190066235A (ko) 2017-12-05 2019-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루미늄 실린더블록의 열처리 방법 및 알루미늄 실린더블록용 열처리 코일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283B1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20100097583A (ko)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20110012898A (ko) 평형 유지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WO2012039619A2 (en) Vessel comprising a hull with a deck and a cargo area extend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deck
KR20110062487A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접안 방법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KR20110038449A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25040B1 (ko)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
KR101166718B1 (ko)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KR20110062489A (ko) 선박 접안 유닛
KR101131573B1 (ko)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KR20110124960A (ko) 컨테이너 크레인이 구비되는 해상 부유체
KR20110129699A (ko) 이동 항구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20110079461A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부유체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20110073185A (ko) 컨테이너용 해상 크레인
KR20110029919A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125044B1 (ko) 하향 격납되는 붐을 가지는 컨테이너 크레인
KR101166716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101141598B1 (ko)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
KR101112126B1 (ko) 롤링 차단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20110124961A (ko) 이동 항구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