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583A -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583A
KR20100097583A KR1020090082786A KR20090082786A KR20100097583A KR 20100097583 A KR20100097583 A KR 20100097583A KR 1020090082786 A KR1020090082786 A KR 1020090082786A KR 20090082786 A KR20090082786 A KR 20090082786A KR 20100097583 A KR20100097583 A KR 2010009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me
container ship
floating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순흥
김익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0009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2Magnetic moor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1Mooring bars, yokes, or the like, e.g. comprising articulations on both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6Suction cups, or the like, e.g. for mooring, or for towing or p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수면에 부유하여 추력에 의해 이동하며, 컨테이너가 선적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부유이동체와, 부유이동체에 컨테이너선을 도킹시키도록 마련되는 도킹로봇과, 부유이동체와 컨테이너선 간에 컨테이너를 선적시키도록 부유이동체에 마련되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을 해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항만 기반 시설의 항로수심 및 부두수심 확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컨테이너선이 컨테이너터미널에 접안하는 회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환적화물의 신속한 처리를 만족시키며,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 확보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P1020090082786
컨테이너선, 환적, 부유이동체, 도킹로봇, 부착패드, 이송암, 크레인, 연장부

Description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CONTAINER SHIP TO CONTAINER SHIP TRANS-SHIPMENT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을 해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항만 기반 시설의 항로수심 및 부두수심 확보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환적화물의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port 또는 harbor)은 천연적으로 또는 인공을 가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출입, 정박 및 계류시키고, 해운과 내륙교통의 연결에 관한 각종 물류활동이 행하여지는 장소로서, 국제교역기능과 배후지의 경제발전을 위한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항만이 단순 하역과 보관을 통한 해송운송과 육상운송을 연결시켜주는 기능으로부터 나아가서 상업주의적 물류중심항만(hub port)으로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하여 환적화물 유치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적극적이며, 다양한 고객의 욕구에 만족할 수 있도록 변화되고 있다.
한편, 동북아 주변 국가의 항만은 대부분 중소형 항만이며, 이러한 항만의 화물은 대부분 환적화물이다. 국내에서도 해상 화물량의 증가와 컨테이너 화물량도 증가하고 있으며, 환적화물량 역시 증가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항만은 무역 규모의 증가로 인한 물동량 증가로 인해 항만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이를 만족하기 위해 항로수심 및 부두수심의 확보, 컨테이너 조작장(container freight station; CFS) 규모 등을 만족하는 시설의 건설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천문학적이며, 테크노 수퍼 라이너(techno super liner)의 실용화로 해상 물류의 고속화 추세에 부응하는 대형 항만시스템을 중소형 내지 환적 항만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 선박의 환적에 요구되는 항로수심 및 부두수심의 확보가 필요없으며, 환적화물의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은, 컨테이너선 간에 환적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수면에 부유하여 추력에 의해 이동하며, 컨테이너가 선적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부유이동체와, 부유이동체에 컨테이너선을 도킹시키도록 마련되는 도킹로봇과, 부유이동체와 컨테이너선 간에 컨테이너를 선적시키도록 부유이동체에 마련되는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도킹로봇은, 부유이동체의 양쪽 측면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선의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패드와, 부착패드를 컨테이너선의 부착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부착패드는, 컨테이너선의 선체에 진공으로 흡착되거나,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이송암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의 암부와, 암부에 설치되며, 암부가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신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크레인은, 부유이동체에 컨테이너가 설치되는 장소 상측을 가로질러서 도킹로봇에 의해 도킹된 컨테이너선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프레임과,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며, 컨테이너를 승강시켜서 제 1 프레임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할 있으며, 부유이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제 1 프레임이 부유이동체의 폭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 1 레일과, 제 1 프레임이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 1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이송부는, 제 1 프레임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제 2 구동부에 의해 제 1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 3 구동부에 의해 제 2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대차와, 이송대차에 설치되며, 컨테이너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 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제 1 프레임은, 부유이동체에 컨테이너가 선적되는 장소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부유이동체의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연장부와, 연장부가 본체부에 접힘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접힘결합부와, 연장부가 접힘결합부에 의해 본체부에 접혀지거나 본체부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접힘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제 1 프레임은, 연장부가 접힘결합부에 의해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접힘구동부가 연장부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접힘결합부는, 연장부가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회전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접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접힘구동부는, 본체부에 설치되며, 연장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권선함으로써 연장부가 본체부에 접히도록 하는 윈치를 포함하거나, 본체부와 연장부에 연결되며, 유체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연장부가 본체부에 접히거나 본체부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을 해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항만 기반 시설의 항로수심 및 부두수심 확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컨테이너선이 컨테이너터미널에 접안하는 회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환적화물의 신속한 처리를 만족시키며,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 확보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10)은 부유이동체(100)와, 부유이동체(100)에 마련되는 도킹로봇(200) 및 크레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유이동체(100)는 일례로 뉴 파나맥스(new panamax)급으로서 366m 정도의 길이, 49m 정도의 폭, 15m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컨테이너(1)의 선적이 가능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상면에 선적부(1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디젤, 중유, 그 밖의 연료전지나 전력 등의 다양한 에너지를 사용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가 설치됨으로써 해수면에 부유하여 추진기의 추력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로봇(200)은 부유이동체(100)에 컨테이너선(400)을 도킹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일례로 부유이동체(100)의 양쪽 측면을 따라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부유이동체(100)의 양측에 컨테이너선(400)이 각각 도킹되도록 하거나, 부유이동체(100)의 측부에 다수의 컨테이너선(400)을 도킹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일례로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패드(210)와, 부착패드(210)를 컨테이너선(400)의 부착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암(22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패드(210)는 공급되는 진공에 의해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에 진공으로 흡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에 부착되는 면에 진공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에 의해 흡착력을 발생시키도록 다수의 흡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부착패드(210)는 진공 흡착 외에도 다른 예로서,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자석이 내장될 수도 있다.
이송암(220)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의 암부(221)와, 암부(221)에 설치되어 암부(221)가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신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암부(221)는 부유이동체(100)의 측부에서 수면 위뿐만 아니라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수면으로부터 나와서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 측부에 부착패드(2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미도시)는 암부(221)가 서로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부착패드(210)를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에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에 부착된 부착패드(210)를 부유이동체(100)측 으로 당김으로써 컨테이너선(400)이 부유이동체(100) 측으로 인양되도록 하여 도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300)은 부유이동체(100)와 컨테이너선(400)간에 컨테이너(1)를 선적시키도록 부유이동체(100)에 마련되고, 이로 인해 부유이동체(100)의 선적부(110)를 매개로 하여 컨테이너선(400)들의 컨테이너(1)를 환적시키거나, 컨테이너선(400)간에 컨테이너(1)를 직접 환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일례로 갠트리 크레인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부가 부유이동체(100)의 선적부(110)에 선적된 최상단 컨테이너(1)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최상단 컨테이너(1)의 선적이나 하역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선적부(110)에 선적되는 컨테이너(1) 적층 높이는 컨테이너(1)를 7단 내지 8단 적재시 약 20m 정도이다.
크레인(300)은 부유이동체(100)에 도킹된 다수의 컨테이너선(400)에 대한 환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로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처럼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으로 3개가 배열될 수 있는데, 부유이동체(100)에 컨테이너(1)가 설치되는 장소인 선적부(110) 상측을 가로질러서 도킹로봇(200)에 의해 도킹된 컨테이너선(400)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프레임(310)과, 제 1 프레임(3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컨테이너(1)를 승강시켜서 제 1 프레임(310)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프레임(310)이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는 제 1 레일(330)과, 제 1 프레임(310)이 제 1 레 일(3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 1 구동부(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310)은 단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송부(32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처럼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유이동체(100)의 선적부(110)의 상측을 가로질러서 설치됨과 아울러 부유이동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킹로봇(200)에 의해 도킹된 컨테이너선(400)의 상측까지 연장됨으로써 이송부(320)에 의한 컨테이너(1)의 승강과 이동에 의해 컨테이너선(400)에 선적된 컨테이너(1)의 환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 1 프레임(31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부유이동체(100)에 컨테이너(1)가 선적되는 장소, 즉 선적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부(311)와, 본체부(311)로부터 부유이동체(100)의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연장부(312)와, 연장부(312)가 본체부(311)에 접힘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접힘결합부(313)와, 연장부(312)가 접힘결합부(313)에 의해 본체부(311)에 접히도록 하거나 본체부(311)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접힘구동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1)는 선적부(110)의 양측에 마련된 제 1 레일(330) 상에 직립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수직빔과, 수직빔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312)는 부유이동체(100)에 접안되는 컨테이너선(400)의 규모를 고려하여 길이가 정해질 수 있고, 일례로 20m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본체부(3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마련되되, 접힘결합부(313)에 의해 부유이동체(100) 측으로 접히도록 본체(311)의 일측에 결합되고, 접힘결합부(313) 에 의해 본체(31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이송부(320)가 부유이동체(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컨테이너선(400)의 상측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유이동체(100)의 양현 하역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접힘결합부(313)는 연장부(312)가 본체(311)로부터 슬라이딩되거나, 회전하거나, 그 밖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접히거나 펴지도록 연장부(312)와 본체(311)를 서로 결합시키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312)가 본체부(311)로부터 상방으로 회전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접히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장부(312)와 본체(311)가 힌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접힘구동부(314)는 연장부(312) 각각에 대응하기 위한 개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부유이동체(100)가 항해시 연장부(312)가 부유이동체(100)측으로 접히도록 함과 아울러 컨테이너(1)의 환적시 연장부(312)가 펼쳐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본체부(311)에 설치됨과 아울러 연장부(312)에 고정되는 와이어(314b)를 권선함으로써 연장부(312)가 본체부(311)에 접히도록 하는 윈치(314a)를 포함하거나, 본체부(311)와 연장부(312)에 연결됨으로써 유체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연장부(312)가 본체부(311)에 접히거나 본체부(311)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실린더(314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윈치(314a)와 실린더(314c)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윈치(314a)는 와이어(314b)의 권선에 의해 연장부(312)가 본체부(311)로부터 상방으로 회전하여 접히도록 하거나, 와이어(314b)의 풀림에 의해 연장부(312)가 자중에 의해 본체부(311)로부터 하방으로 회전하여 본체부(311)와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314b)는 권선될 경우 연장부(31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부(311)로부터 상방으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14f)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314c)는 일례로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일측과 피스톤로드(314d)가 본체부(311)와 연장부(312)에 각각 고정된 링크부재(314e)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피스톤로드(314d)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연장부(312)가 본체부(311)에 접히거나 본체부(311)로부터 펼쳐지도록 한다.
이송부(320)는 제 1 프레임(310)에 교차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제 2 구동부(321a)에 의해 제 1 프레임(310)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프레임(321)과, 제 2 프레임(321)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 3 구동부(322a)에 의해 제 2 프레임(321)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대차(322)와, 이송대차(322)에 설치됨과 아울러 컨테이너(1)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321)은 부유이동체(10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프레임(310)의 상부, 즉 본체부(311)의 상부와 연장부(312)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프레임(310)에 교차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이송대차(322)가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 2 구동부(321a)는 제 1 프레임(310)의 본체부(311)와 연장부(312)를 따라 마련되는 제 2 레일(미도시)을 따라 제 2 프레임(321)이 이동하기 위한 다양한 액츄에이터와 동력전달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2 프레임(321)에 회 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2 레일(미도시)에 회전 지지되는 롤러 또는 제 2 프레임(3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2 레일(미도시)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에 기어 결합된 피니언을 모터의 구동력을 이동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송대차(322)는 제 2 프레임(321)에 의해 일례로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3 구동부(322a)는 제 2 프레임(321)을 따라 마련되는 제 3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송대차(322)가 이동하기 위한 다양한 액츄에이터와 동력전달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송대차(3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3 레일(미도시)에 회전 지지되는 롤러 또는 이송대차(3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3 레일(미도시)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에 기어 결합된 피니언을 모터의 구동력을 이동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승강유닛(323)은 이송대차(322)에 마련되는 권선기(323a)와, 권선기(323a)에 권선되는 와이어(323b)에 연결됨과 아울러 선적 또는 하역이 필요한 컨테이너(1)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블록(3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일(33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부유이동체(100) 상의 양측에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에 제 1 프레임(310)이 부유이동체(100)의 폭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된다.
제 1 구동부(331)는 제 1 레일(330)을 따라 제 1 프레임(310)이 이동하기 위한 다양한 액츄에이터와 동력전달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1 프레임(3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레일(330)에 회전 지지되는 롤러 또는 제 1 프레임(3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레일(330)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에 기어 결합된 피니언을 모터의 구동력을 이동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적 컨테이너 물류를 처리하기 위해서 부유이동체(100)에 컨테이너선(400)을 접안시키기 위하여 도킹로봇(200)의 이송암(220)이 액츄에이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신장하여 부착패드(210)를 부유이동체(100)에 근접한 컨테이너선(400)의 선체(410)로 이송시킨 다음, 부착패드(210)가 진공 또는 자력에 의해 선체(410)에 부착되면, 액츄에이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이송암(220)이 부착패드(210)를 끌어당김으로써 컨테이너선(400)을 인양시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이동체(100)에 도킹되도록 한다. 이러한 컨테이너선(400)이 부유이동체(100)에 도킹되는 모습을 도 6 내지 도 9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컨테이너선(400)이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10)에 다양하게 도킹된 모습은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부유이동체(100)의 양측으로 2척 이상 접안하여 양현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부유이동체(100)에 컨테이너선(400)이 도킹되면, 부유이동체(100)에 설치된 크레인(300)을 이용하여 컨테이너선(400)으로부터 컨테이너(1)를 선적부(110)에 선적시키거나, 선적부(110)에 선적된 컨테이너(1)를 컨테이너선(400)에 선적시키거나, 컨테이너선(400)들간에 컨테이너(1)를 선적 내지 하역시킴으로써 환적을 실시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 2 프레임(321)이 제 2 구동부(321a)에 의해 제 1 프레임(310)을 따라 이동하고, 이송대차(322)가 제 3 구동부(322a)에 의해 제 2 프레임(32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승강유닛(323)이 환적시키고자 하는 컨테이너(1)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블록(323c)을 컨테이너(1) 상부에 결합시킨 다음, 권선기(323a)의 구동에 의해 컨테이너(1)를 상승시켜서 승강유닛(323)이 설치된 이송대차(322)를 제 2 및 제 3 구동부(321a,322a)에 의해 제 1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321)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그런 다음, 권선기(323a)의 구동에 의해 컨테이너(1)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제 1 프레임(310)의 연장부(312)가 부유이동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킹된 컨테이너선(1)의 상측까지 연장됨으로써 이송부(320)가 컨테이너선(1)의 상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선(400)에 대한 컨테이너(1)의 선적 또는 컨테이너선(400)으로부터 컨테이너(1)의 하역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1 프레임(310)이 제 1 구동부(331)에 의해 제 1 레일(3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부(320)의 작업위치를 부유이동체(100)의 길이방향인 선미측 또는 선수측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컨테이너선(400)의 크기와 도킹 위치에 맞도록 원활한 환적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10)은 이동시 제 1 프레임(310)의 돌출부위, 즉 연장부(312)가 다른 선박이나 구조물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접힘구동부(314)의 구동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결합부(313) 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접히도록 하며, 연장부(312)가 접히는 모습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자체 추력에 의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에 컨테이너선이 도킹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에 컨테이너선이 도킹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크레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연장부가 접힌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에 컨테이너선이 도킹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에 컨테이너선이 도킹된 모습을 다양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연장부가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유이동체 110 : 선적부
200 : 도킹로봇 210 : 부착패드
220 : 이송암 221 : 암부
300 : 크레인 310 : 제 1 프레임
311 : 본체부 312 : 연장부
313 : 접힘결합부 314 : 접힘구동부
314a : 윈치 314b : 와이어
314c : 실린더 314d : 피스톤로드
314e : 링크부재 314f : 가이드프레임
320 : 이송부 321 : 제 2 프레임
321a : 제 2 구동부 322 : 이송대차
322a : 제 3 구동부 323 : 승강유닛
323a : 권선기 323b : 와이어
323c : 승강블록 330 : 제 1 레일
331 : 제 1 구동부 400 : 컨테이너선
410 : 선체

Claims (14)

  1. 컨테이너선 간에 환적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수면에 부유하여 추력에 의해 이동하며, 컨테이너가 선적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부유이동체와,
    상기 부유이동체에 상기 컨테이너선을 도킹시키도록 마련되는 도킹로봇과,
    상기 부유이동체와 상기 컨테이너선 간에 컨테이너를 선적시키도록 상기 부유이동체에 마련되는 크레인
    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로봇은,
    상기 부유이동체의 양쪽 측면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로봇은,
    상기 컨테이너선의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패드와,
    상기 부착패드를 상기 컨테이너선의 부착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암
    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패드는,
    상기 컨테이너선의 선체에 진공으로 흡착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패드는,
    상기 컨테이너선의 선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암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의 암부와,
    상기 암부에 설치되며, 상기 암부가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신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부유이동체에 컨테이너가 설치되는 장소 상측을 가로질러서 상기 도킹로봇에 의해 도킹된 상기 컨테이너선의 상측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설치되며, 컨테이너를 승강시켜서 상기 제 1 프레임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부유이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이 상기 부유이동체의 폭방향으로 놓이도록 설치되는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프레임이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 1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제 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1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 3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2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부유이동체에 컨테이너가 선적되는 장소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부유이동체의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힘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접힘결합부와,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접힘결합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접혀지거나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접힘구동부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접힘결합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접힘구동부가 상기 연장부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결합부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회전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접히게 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권선함으로써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히도록 하는 윈치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며, 유체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본체부에 접히거나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지도록 하는 실린더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KR1020090082786A 2009-02-26 2009-09-03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KR20100097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066 2009-02-26
KR20090016066 2009-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83A true KR20100097583A (ko) 2010-09-03

Family

ID=4300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786A KR20100097583A (ko) 2009-02-26 2009-09-03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58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4213A (zh) * 2010-11-04 2012-05-23 韩国科学技术院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KR20150094226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고정장치
KR20150094221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KR20160027358A (ko) * 2014-08-29 2016-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착식 플로팅 크레인
CN113277018A (zh) * 2021-05-30 2021-08-20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船舯转运接驳分流系统的控制方法
CN113682422A (zh) * 2021-10-27 2021-11-23 南通飞利明船舶配套有限公司 用于提高船舶并靠补给稳定性的停靠装置
CN114873161A (zh) * 2022-06-24 2022-08-09 华东交通大学 一种折叠式散料输送机
CN114988148A (zh) * 2022-06-24 2022-09-02 华东交通大学 一种船舶用散料输送设备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4213A (zh) * 2010-11-04 2012-05-23 韩国科学技术院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CN102464213B (zh) * 2010-11-04 2014-09-10 韩国科学技术院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KR20150094226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고정장치
KR20150094221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계류장치
KR20160027358A (ko) * 2014-08-29 2016-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착식 플로팅 크레인
CN113277018A (zh) * 2021-05-30 2021-08-20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船舯转运接驳分流系统的控制方法
CN113277018B (zh) * 2021-05-30 2022-08-09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船舯转运接驳分流系统的控制方法
CN113682422A (zh) * 2021-10-27 2021-11-23 南通飞利明船舶配套有限公司 用于提高船舶并靠补给稳定性的停靠装置
CN114873161A (zh) * 2022-06-24 2022-08-09 华东交通大学 一种折叠式散料输送机
CN114988148A (zh) * 2022-06-24 2022-09-02 华东交通大学 一种船舶用散料输送设备
CN114873161B (zh) * 2022-06-24 2023-12-05 华东交通大学 一种折叠式散料输送机
CN114988148B (zh) * 2022-06-24 2024-03-12 华东交通大学 一种船舶用散料输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7583A (ko)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CN102464213B (zh)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KR20110112987A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CN107856819A (zh) 浮动船厂及浮动式舰船维修和建造方法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CN106560557B (zh) 一种自航式人工浮岛
CN207985137U (zh) 浮动船厂
CA2900357C (en) A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101166718B1 (ko)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751538B1 (ko) 요트 상하가 항만 하역장비
US6334401B1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125040B1 (ko)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
KR101162927B1 (ko) 선체간 고정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67909B1 (ko) 선박 고정장치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WO2024018024A1 (en) Monopiles transport and installation vessel
KR20150000890U (ko) 안벽계류선박의 화물 선적 및 하역용 운송장치
KR20110073102A (ko)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KR20100097588A (ko)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