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987A -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 Google Patents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987A
KR20110112987A KR1020100032270A KR20100032270A KR20110112987A KR 20110112987 A KR20110112987 A KR 20110112987A KR 1020100032270 A KR1020100032270 A KR 1020100032270A KR 20100032270 A KR20100032270 A KR 20100032270A KR 20110112987 A KR20110112987 A KR 20110112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hoisting wire
sheave block
spreader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156B1 (ko
Inventor
김경수
주한종
김수현
장인권
정윤섭
김은호
박윤식
곽병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3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156B1/ko
Priority to EP10194823A priority patent/EP2374748B1/en
Priority to PCT/KR2010/008997 priority patent/WO2011126201A1/en
Priority to US12/969,775 priority patent/US8708172B2/en
Priority to CN2010106201561A priority patent/CN102211740A/zh
Publication of KR2011011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붐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트롤리와, 상기 제1 트롤리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트롤리와, 상기 붐의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를 거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방향 이동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의 횡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하면, 다단 트롤리 구조를 가지는 트롤리 상에서 스프레더가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에도 불구하고 스프레더의 상하방향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CONTAINER CRANE WITH MULTI-STAGE TROLLEY}
본 발명은 육상 또는 해상에서 화물에 대한 하역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의 상품이동수단으로써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 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 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바,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에, 대형 선박을 항구 내의 안벽에 접안 시키지 않고,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정박시킨 채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할 수 있는 이동 항구(모바일 하버, Mobile Harbor)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 방법에 관한 발명이 특허(등록번호 제10-0895604호)받은 바 있다.
도 1은 이동항구의 역할을 수행하는 선박(50)에 설치된 크레인(1)이 컨테이너선(S)에 대하여 컨테이너(C)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호이스트 와이어의 결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붐(10)의 길이방향이자 선박(50)의 너비방향을 종방향(X방향), 붐(10)의 너비방향이자 선박(50)의 길이방향을 횡방향(Y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크레인(1)은, 컨테이너(C)를 파지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프레더(30)와, 스프레더(30)가 지지되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20)와, 트롤리(20)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붐(10)을 가지고 있다.
스프레더(30)는 호이스트 와이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호이스트 와이어 시스템은, 호이스트 와이어(W)를 감고 품으로써 그 움직임을 구동하는 와이어 드럼(B1)과, 호이스트 와이어(W)의 방향을 전환하는 여러 가지 시브 블록(B2, B3, T1)이 있다. 호이스트 와이어는 트롤리가 이동하더라도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높이는 변하지 않도록 결선된다.
한편 해상에서는 바람, 파랑, 또는 조류 등의 영향으로 선박의 요동이 불가결하다. 그런데 종래의 크레인(1)에 의할 경우 크레인 붐(10)에서 이동하는 트롤리(20)와 그에 장착된 스프레더(30)는 종방향으로만 이동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요동으로 인하여 크레인(1) 또는 선박(50)과 컨테이너선(S) 간의 상대 위치가 유지되지 못할 때에는, 스프레더(30)와 컨테이너(C)의 체결 또는 분리에 곤란함을 겪게 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크레인(1) 자체 또는 선박(50) 자체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제어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많은 동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스프레더가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이동에도 불구하고 스프레더의 상하방향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붐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트롤리와, 상기 제1 트롤리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트롤리와, 상기 붐의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를 거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방향 이동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의 횡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한다.
상기 시브 블록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는 종횡전환 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횡전환 시브 블록은, 상기 제1 트롤리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단에 4개 이상 마련되고,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가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종횡전환 시브 블록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한 후 횡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시브 블록은 제1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U자 모양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은, 상기 제1 트롤리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단에 4개 이상 마련되고,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가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롤리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트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브 블록은 상기 제3 트롤리의 종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브 블록은 제2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종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3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2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되는 부유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붐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트롤리와, 상기 제1 트롤리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트롤리와, 상기 붐의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를 거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방향 이동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의 횡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다단 트롤리를 제공한다.
상기 시브 블록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는 종횡전환 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브 블록은 제1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U자 모양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횡전환 시브 블록 또는 상기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은, 상기 제1 트롤리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단에 4개 이상 마련되고,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가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롤리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트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브 블록은 상기 제3 트롤리의 종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브 블록은 제2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종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3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2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하면, 다단 트롤리 구조를 가지는 트롤리 상에서 스프레더가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에도 불구하고 스프레더의 상하방향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스프레더를 트롤리의 이동에 따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도,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높이는 와이어 구동 드럼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프레더의 위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된 부유체 또는 이동항구는,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선박에 설치된 크레인이 컨테이너선에 대하여 화물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호이스트 와이어의 결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 사용되는 다단 트롤리 및 호이스팅 와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트롤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브 블록과 호이스팅 와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트롤리가 붐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다단 트롤리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다단 트롤리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호이스팅 와이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다단 트롤리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호이스팅 와이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스프레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호이스팅 와이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붐의 길이방향이자 선박의 너비방향을 종방향(X방향), 붐의 너비방향이자 선박의 길이방향을 횡방향(Y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 사용되는 다단 트롤리 및 호이스팅 와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트롤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브 블록과 호이스팅 와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은, 다단 트롤리(120)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프레더(140)가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이동에도 불구하고 스프레더(140)의 상하방향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시브 블록과 호이스팅 와이어 시스템을 갖춘다.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은, 제1 트롤리(112)와, 제2 트롤리(122)와, 제3 트롤리(132)와, 스프레더(140)와, 호이스팅 와이어(w)와, 와이어 구동 드럼(114)과, 시브 블록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단 트롤리 구조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도록 한다.
제1 트롤리(112)는 붐(11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트롤리(122)는 제1 트롤리(112)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트롤리(132)는 제2 트롤리(122)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단 트롤리 구조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트롤리(112, 122, 132)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레더(140) 또한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박 등의 요동에 의하여 하역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횡방향 위치가 바뀔 때에도, 크레인 또는 크레인이 설치되는 선박 자체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제2 트롤리(122)를 이동시킴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을 운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하여 스프레더(14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제1 트롤리(112)를 사용하고, 선박의 요동에 따른 위치 보정을 위해서는 제3 트롤리(132)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프레더(140)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시브 블록 및 호이스팅 와이어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도록 한다.
스프레더(140)는 호이스팅 와이어(w)와 제1 내지 제3 트롤리(112, 122, 132)를 거쳐 연결되어 지지된다. 스프레더(140)는 호이스팅 와이어(w)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방향 이동할 수 있다.
호이스팅 와이어(w)는 붐(110)의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제공되어 스프레더(140)와 연결될 수 있다. 호이스팅 와이어는 붐(110)의 종방향 양단에 마련되는 붐 엔드 시브 블록(110b, 110c)을 거치고, 제1 내지 제3 트롤리(112, 122, 132)를 통하여, 와이어 구동 드럼(114)으로부터 스프레더(140)까지 연결된다.
와이어 구동 드럼(114)은 호이스팅 와이어(w)를 감거나 품음으로써 스프레더(140)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스프레더(140)의 수직방향 이동은 트롤리의 이동에 관계 없이 와이어 구동 드럼(114)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시브 블록은 호이스팅 와이어(w)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2 트롤리(122)의 횡방향 이동 시 스프레더(140)의 수직방향 위치, 즉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한다. 시브 블록은 또한 제3 트롤리(132)의 종방향 이동 시 스프레더(140)의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시브 블록과 다단 트롤리 및 호이스팅 와이어의 연결관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종횡전환 시브 블록(112a, 112b)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w)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종횡전환 시브 블록(112a, 112b)은 제1 트롤리(112)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에 4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종횡전환 시브 블록(112a, 112b)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w)의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한 후 횡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트롤리 시브 블록(112c)은 제1 트롤리(112)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w)를 U자 모양으로 방향 전환하여 제2 트롤리(122) 측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트롤리 시브 블록(112c)은 제1 트롤리(112)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단에 4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롤리 시브 블록(122a)은 제2 트롤리(122)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w)를 종방향으로 전환하여 제3 트롤리(132) 측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 트롤리 시브 블록(132a)은 제3 트롤리(132)에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w)를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스프레더(140)에 마련되는 스프레더 시브 블록(140a)으로 연결할 수 있다.
종횡전환 시브 블록(112a, 112b)과 제1 트롤리 시브 블록(112c)은, 제2 트롤리 시브 블록(122a)을 통하여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호이스팅 와이어(w)가 결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트롤리(132)가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면으로는 도시되지 않지만, 호이스팅 와이어(w)는 제3 트롤리 시브 블록(132a) 대신 제2 트롤리(122)에 마련되는 시브 블록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전환되어 스프레더(140)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동 방법을 살펴본다.
도 6은 제1 트롤리가 붐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다단 트롤리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트롤리(112)가 붐(11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제1 트롤리(112) 내부에서의 호이스팅 와이어(w)의 길이 변화는 없으므로, 제1 트롤리(112)가 이동하면서 스프레더(140)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7은 제2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다단 트롤리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호이스팅 와이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트롤리 시브 블록(112c)은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호이스팅 와이어(w)가 결선되므로, 제2 트롤리(122)가 이동하더라도 제1 트롤리 시브 블록(112c) 외부에서의 호이스팅 와이어(w)는 고정된다. 제2 트롤리 시브 블록(122a) 내부의 호이스팅 와이어(w)의 길이 변화는 없이, 제2 트롤리(122)가 종방향 이동하면서 스프레더(140)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9는 제3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다단 트롤리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트롤리가 이동하는 경우의 호이스팅 와이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 트롤리(132)가 이동하더라도 제2 트롤리 시브 블록(122a) 외부에서의 호이스팅 와이어(w)는 고정된다. 제3 트롤리 시브 블록(132a) 내부의 호이스팅 와이어(w)의 길이 변화는 없이, 제3 트롤리(132)가 횡방향 이동하면서 스프레더(140)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1은 스프레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호이스팅 와이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와이어 구동 드럼(114)에 의하여 호이스팅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스프레더(14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은 해상에 부유하는 부유체에 설치될 수 있다.
부유체는 자체 동력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는 선박일 수 있고, 해상에 계류되는 부유 구조물일 수도 있다. 부유체는 해상에 부유하면서 육상의 항만 대신에 또는 육상의 항만과 더불어 컨테이너선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전달하고 컨테이너를 임시적으로 적재하는 이동항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항구는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플랫폼과, 선박과 플랫폼 사이에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장치와, 플랫폼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와, 화물을 하역하는 동안 선박과 충돌하지 않고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완충접속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하면, 선박 등의 요동에 의하여 하역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위치가 바뀔 때, 스프레더를 트롤리의 이동에 따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도,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높이는 와이어 드럼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프레더의 위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된 부유체 또는 이동항구는,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110: 붐 110b, 110c: 붐 엔드 시브 블록
112: 제1 트롤리 112a, 112b: 종횡전환 시브 블록
112c: 제1 트롤리 시브 블록 114: 와이어 구동 드럼
120: 다단 트롤리 122: 제2 트롤리
122a: 제2 트롤리 시브 블록 132: 제3 트롤리
132a: 제3 트롤리 시브 블록 140: 스프레더
140a: 스프레더 시브 블록 w: 호이스팅 와이어

Claims (16)

  1. 붐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트롤리와,
    상기 제1 트롤리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트롤리와,
    상기 붐의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를 거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방향 이동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의 횡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는 종횡전환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횡전환 시브 블록은,
    상기 제1 트롤리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단에 4개 이상 마련되고,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가 결선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횡전환 시브 블록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한 후 횡방향으로 전환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은 제1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U자 모양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은,
    상기 제1 트롤리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단에 4개 이상 마련되고,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가 결선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롤리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트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브 블록은 상기 제3 트롤리의 종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은 제2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종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3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2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되는 부유체.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항구.
  11. 붐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트롤리와,
    상기 제1 트롤리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트롤리와,
    상기 붐의 횡방향 양단에 종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와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를 거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수직방향 이동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의 횡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다단 트롤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은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의 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하는 종횡전환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다단 트롤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은 제1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U자 모양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제2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다단 트롤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횡전환 시브 블록 또는 상기 제1 트롤리 시브 블록은,
    상기 제1 트롤리의 횡방향 및 종방향 양단에 4개 이상 마련되고,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시브 블록끼리 상기 호이스팅 와이어가 결선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다단 트롤리.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롤리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트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브 블록은 상기 제3 트롤리의 종방향 이동 시 상기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다단 트롤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은 제2 트롤리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호이스팅 와이어를 종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3 트롤리 측으로 연결하는 제2 트롤리 시브 블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다단 트롤리.
KR1020100032270A 2010-04-08 2010-04-08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10111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270A KR101112156B1 (ko) 2010-04-08 2010-04-08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EP10194823A EP2374748B1 (en) 2010-04-08 2010-12-14 Multi-stage trolley for a crane and a crane therewith
PCT/KR2010/008997 WO2011126201A1 (en) 2010-04-08 2010-12-16 Multi-stage trolley for a crane and a crane therewith
US12/969,775 US8708172B2 (en) 2010-04-08 2010-12-16 Multi-stage trolley for a crane and a crane therewith
CN2010106201561A CN102211740A (zh) 2010-04-08 2010-12-31 用于起重机的多级吊运车及包括该多级吊运车的起重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270A KR101112156B1 (ko) 2010-04-08 2010-04-08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987A true KR20110112987A (ko) 2011-10-14
KR101112156B1 KR101112156B1 (ko) 2012-02-22

Family

ID=4421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270A KR101112156B1 (ko) 2010-04-08 2010-04-08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08172B2 (ko)
EP (1) EP2374748B1 (ko)
KR (1) KR101112156B1 (ko)
CN (1) CN102211740A (ko)
WO (1) WO20111262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433A (ko) 2022-04-07 2023-10-16 노갑문 스마트하고 에너지절감형의 컨테이너 크레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474B (fi) * 2013-03-01 2014-09-15 Konecranes Oyj Nostoköysijärjestely nosturin nostovaunussa
US8905702B1 (en) * 2013-03-05 2014-12-09 Inland Pipe Rehabilitation, Llc Cable-driven trailer loading system for liner
WO2018179369A1 (ja) * 2017-03-31 2018-10-04 平田機工株式会社 搬送装置
KR102220458B1 (ko) * 2019-04-01 2021-02-26 (주)엔키아 권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진단 장치
KR102385064B1 (ko) 2020-07-16 2022-04-1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
KR102437147B1 (ko) 2020-07-24 2022-08-26 현대인프라솔루션 주식회사 컨테이너 크레인
CN112061985A (zh) * 2020-09-30 2020-12-11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卷筒防摇门架小车系统
KR20230158811A (ko) 2022-05-12 2023-11-21 남해호이스트 주식회사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1884A (en) * 1961-06-09 1963-03-19 Manning Maxwell & Moore Inc Crane with anti-sway mechanism
US3207329A (en) * 1962-12-03 1965-09-21 Lake Shore Inc Cargo handling apparatus
GB1162878A (en) * 1967-06-09 1969-08-27 John Stevenson Thomson Improvements relating to Cranes for Handling Containers
US3536351A (en) * 1967-11-13 1970-10-27 Fruehauf Corp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lifting and spacing cargo containers
US3671069A (en) * 1970-07-15 1972-06-20 Fruehaul Corp Cargo container lifting and spacing apparatus
US3945503A (en) * 1970-10-02 1976-03-23 Fruehauf Corporation Crane with a variable center rope suspension system
US3899083A (en) * 1972-03-24 1975-08-12 Krupp Gmbh Device ofr damping pendulum movements
US3779395A (en) * 1972-11-15 1973-12-18 Heyl & Patterson Clamshell bucket unloader with rope operated trolley
AU471953B2 (en) * 1972-12-29 1976-05-06 Ishikawajima-Harima Jukogyo K.K. Device for preventing the swaying ofthe suspending means ina crane
US3887080A (en) * 1973-06-29 1975-06-03 Ray Wilson Crane structure
US3944272A (en) * 1974-08-12 1976-03-16 Midland-Ross Corporation Cargo container spreader with articulated structure for skewing and tilting
NL7614540A (nl) * 1976-12-29 1978-07-03 Figee Maschf Kraan met topsysteem geschikt voor het behandelen van zowel stukgoed als containers.
JPS6038318B2 (ja) * 1977-09-20 1985-08-3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岸壁荷役クレ−ン
FR2443996A1 (fr) * 1978-12-15 1980-07-11 Potain Sa Engin de levage tel que grue ou portique pour la manutention de conteneurs
US5186342A (en) * 1990-11-07 1993-02-16 Paceco Corp. Integrated passive sway arrest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US5538382A (en) * 1994-06-03 1996-07-23 Paceco Corp. Variable level lifting platform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US5713477A (en) * 1995-10-12 1998-02-03 Wallace, Jr.; Walt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a container crane or other similar cranes
CA2234489A1 (en) * 1997-04-11 1998-10-11 Dave Staats Logging carriage apparatus
KR19980085896A (ko) * 1997-05-30 1998-12-05 김정국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흔들림 방지장치
FI104816B (fi) * 1997-09-24 2000-04-14 Kci Kone Cranes Int Oy Laite nosturin nostoköysistöön kohdistuvan ylikuormituksen ja törmäysliike-energian vaimentamiseksi
TW542227U (en) * 1997-12-03 2003-07-11 Mitsubishi Heavy Ind Ltd Crane apparatus
KR100255882B1 (ko) * 1998-06-01 2000-05-01 추호석 유압실린더 제어를 이용한 스웨이 제동용 쉬브 작동 시스템
US6439407B1 (en) * 1998-07-13 2002-08-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System for stabilizing and controlling a hoisted load
US6250486B1 (en) * 1999-09-13 2001-06-26 Masamitsu Enoki Integrated balanced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KR100567466B1 (ko) * 1999-12-22 2006-04-03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흔들림 제어장치
CN1255314C (zh) * 2003-02-12 2006-05-10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钢丝绳缠绕型吊具纠偏系统
KR100649728B1 (ko) * 2006-02-10 2006-11-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의 안티 스웨이 장치
CN2918355Y (zh) * 2006-07-14 2007-07-04 中国华电工程(集团)有限公司 集装箱起重机八绳防摇起升机构
US7753637B2 (en) * 2007-03-01 2010-07-13 Benedict Charles E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KR20110029919A (ko) * 2009-09-16 2011-03-23 한국과학기술원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41593B1 (ko) * 2009-10-08 2012-05-17 한국과학기술원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079654B1 (ko) * 2009-10-22 2011-11-04 한국과학기술원 듀얼 가이드 크레인, 이를 장착한 선박 및 컨테이너 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433A (ko) 2022-04-07 2023-10-16 노갑문 스마트하고 에너지절감형의 컨테이너 크레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1740A (zh) 2011-10-12
WO2011126201A1 (en) 2011-10-13
US8708172B2 (en) 2014-04-29
EP2374748A1 (en) 2011-10-12
KR101112156B1 (ko) 2012-02-22
EP2374748B1 (en) 2012-11-21
US20110247991A1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WO2012039619A2 (en) Vessel comprising a hull with a deck and a cargo area extend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deck
KR101166718B1 (ko)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101079654B1 (ko) 듀얼 가이드 크레인, 이를 장착한 선박 및 컨테이너 착지 방법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101125044B1 (ko) 하향 격납되는 붐을 가지는 컨테이너 크레인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20110029919A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0750223B1 (ko) 이동식 부유안벽
KR20110124960A (ko) 컨테이너 크레인이 구비되는 해상 부유체
KR101112126B1 (ko) 롤링 차단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383860B1 (ko) 모바일 하버 용 크레인 시스템의 트롤리 구동 장치
KR101166716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20120060380A (ko) 독립 구동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는 크레인
KR20110069441A (ko) 다단식 크레인 시스템
KR20110064229A (ko) 컨테이너 2단 하역 장치 및 방법
KR20110016740A (ko) 변형 가능 부유체
KR20150000890U (ko) 안벽계류선박의 화물 선적 및 하역용 운송장치
KR101166714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101125040B1 (ko)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
KR20120060378A (ko) 가변 질량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는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